KR20180065513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513A
KR20180065513A KR1020160166489A KR20160166489A KR20180065513A KR 20180065513 A KR20180065513 A KR 20180065513A KR 1020160166489 A KR1020160166489 A KR 1020160166489A KR 20160166489 A KR20160166489 A KR 20160166489A KR 20180065513 A KR20180065513 A KR 2018006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ame
exercise
user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구
정철오
Original Assignee
박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구 filed Critical 박순구
Priority to KR1020160166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513A/ko
Publication of KR2018006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헬스 기기와 연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헬스 기기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를 운동게임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운동게임 관리서버가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에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과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헬스 기기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HEALTH DEVICE GAME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 기기는 가정 및 공공 장소(일 예로, 스포츠 센터, 교육기관 및 호텔 등)에서 사용자의 체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고안된 운동 기구이다. 사용자가 이러한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심폐 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력의 강화 및 충분한 칼로리 소비를 통한 체중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헬스 기기는 가정이나 스포츠 센터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최근에 시간적 또는 공간적 제약에 따라 운동이 부족한 일반인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헬스 기기는 사용자가 운동만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헬스 기기를 사용하여 운동할 때, 헬스 기기 사용자는 재미를 느끼지 못하므로 쉽게 운동을 그만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헬스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건강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운동 시작부터 운동 목적, 즉 건강 증진을 이룰 때 까지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헬스 기기; 각 헬스 기기와 연동하여, 각 헬스 기기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에 현재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을 리스트화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대상자와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동게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헬스 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동기화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리 탑재된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상기 운동게임 관리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운동게임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헬스 기기는,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 또는 해당 헬스기기의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 또는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또는 헬스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연동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동게임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신체 전위 측정 센서, 신체 물리량 측정 센서, 신체 조성물 측정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위치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및 로드셀(load cell)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체지방 정보,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체수분 정보 및 근육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게임 참여자들의 운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 관련 게임 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헬스 기기의 평균 회전 속도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게임 참여자들의 운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헬스 기기와 연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헬스 기기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를 운동게임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운동게임 관리서버가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에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과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헬스 기기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운동게임 관리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헬스 기기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또는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헬스 기기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상태를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신체 상태와 비교하여 현재 자신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헬스 기기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운동게임 관리서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 및 운동게임 관리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운동 장치일 수 있다. 즉,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바닥, 벽, 천장 등의 고정 물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고정 물체에 부착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를 사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유산소 헬스 기구 및 무산소 헬스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모든 운동 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소 헬스 기구는 러닝 머신(Treadmill), 헬스 바이크(Health bike), 스텝퍼(Stepper) 및 헬스 진동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유산소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모든 유산소 운동 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헬스 바이크는 헬스 자전거(또는, 헬스 싸이클) 및 싸이클런(또는, 일립티컬(Elliptic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 헬스 기구는 웨이트 헬스 기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모든 무산소 운동 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트 헬스 기구는 버터플라이(Butterfly), 하이폴리(Highpully), 인크라인(Incline), 디클라인(Decline), 업도미널(Abdominar) 및 숄더프레스(Shoulderpress) 등과 같은 상체 헬스 기구; 및 스미스(Smith), 레그스쿼트(Legsquat), 레그익스텐션(Legextension), 레그컬(Legcurl), 어덕터(Adductor) 등과 같은 하체 헬스 기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근력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모든 근력 운동 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또는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정보들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생산자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식별 정보는 다른 기기들과 구별하기 위한 해당 기기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기기 식별 정보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기 식별 정보는 예컨대, 기기의 이름 정보, 기기의 비밀 번호 정보, 기기의 일련 번호 정보, 기기의 종류 정보, 기기의 제조 회사 정보, 기기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정보, 기기의 모델 정보, 기기의 버전 정보, 기기의 라벨링 책임자 정보, 기기의 생산일자 정보 및 기기의 배치 장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기기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복수의 센서(미도시)들을 통해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주기적으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실시간으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직접 측정하여 획득된 정보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보들을 처리(일 예로, 연산)하여 획득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의 민첩성 정보, 사용자의 근지구력 정보, 사용자의 순발력 정보, 사용자의 평형성 정보, 사용자의 유연성 정보, 사용자의 근력 정보, 사용자의 악력 정보, 사용자의 심폐 지구력 정보, 사용자의 이동 거리 정보, 사용자의 이동 시간 정보, 사용자의 이동 속도 정보, 사용자의 신체 활동량 정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 사용자의 호흡수 정보, 사용자의 온도 정보, 사용자의 자세 정보, 사용자의 심박 변이도 정보, 사용자의 혈압 정보, 사용자의 체지방 정보, 사용자의 시력 정보, 사용자의 체중 정보, 사용자의 혈액형 정보, 사용자의 신장 정보, 사용자의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정보, 사용자의 비만 정보, 사용자의 기초 대사율(basak metabolic rate) 정보,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 정보, 사용자의 산소 포화돠 정보, 사용자의 체수분 정보, 사용자의 근육량 정보, 사용자의 최대 산소 섭취량 정보 및 사용자의 무산소성 역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신체에서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의 신체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복수의 센서들(미도시)을 통해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상태를 측정하여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주기적으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상태를 측정하여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실시간으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상태를 측정하여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는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자신의 상태를 직접 측정하여 획득된 정보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보들을 처리(일 예로, 연산)하여 획득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가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서 운동하는 중에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서 발생되는 속도 정보 및/또는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모든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관련된 상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러닝 머신인 경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일 예로, 사용자의 걷기 또는 달리기)에 의해 무한 궤도를 이루며 회전하는 러닝 벨트, 상기 러닝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속도 정보 및/또는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헬스 바이크인 경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일 예로, 사용자의 발구르기)에 의해 구동되는 페달, 상기 페달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또는, 디스크) 및 상기 바퀴의 구동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속도 정보 및/또는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서 발생되는 속도 정보는 예컨대,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회전 속도 정보 및 평균 회전 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서 발생되는 거리 정보는 예컨대,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이동 거리 정보 및 평균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서 복수의 센서들(미도시)을 통해 획득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에서 복수의 센서들(미도시)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예컨데, 신체 전위 측정 센서, 신체 물리량 측정 센서, 신체 조성물 측정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위치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온도 센서, 토크(torque) 센서 및 로드셀(load cell) 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측정 장치들뿐만 아니라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측정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체 전위 측정 센서(미도시)는 예컨데, 사용자의 심전도, 뇌파, 근전도, 심장 및 뇌유발 전위 등과 같은 신체 전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측정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물리량 측정 센서(미도시)는 예컨데, 사용자의 호흡, 체온, 혈압, 혈류, 맥파 및 맥박기 같은 신체 물리량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측정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조성물 측정 센서는 예컨데, 사용자의 혈당, 산소 포화도, 체성분 및 호흡 가스와 같은 신체 조성물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측정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사용자가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서 운동하는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토크(torque) 센서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load cell) 센서는 힘(일 예로, 질량 또는 토크)을 검출하는 하중 감지 센서로서, 사용자의 하중 및/또는 근력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발생되는 운동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서 필요한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와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동기화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통신 방식으로서,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와 연동하여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가 서로 동기화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면,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또는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각각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연결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연동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또는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통신망(10)을 통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1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고유 정보는 다른 사용자들과 구별하기 위한 해당 사용자만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고유 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정보,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 사용자의 비밀 번호 정보, 사용자의 주소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정보, 사용자의 나이 정보, 사용자의 생년월일 정보, 사용자의 생일 정보, 사용자의 공인 인증서 정보, 사용자의 과거 병력 정보, 사용자의 운동 목적 정보, 사용자의 흡연량 정보 및 사용자의 음주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의 고유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통신망(10)을 통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신망(10)을 통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여, 상기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미리 탑재된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와 서로 연결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운동게임 관리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헬스 기기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은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운동게임 관리서버(300) 사이에서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와 연결될 수 있다.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고유 정보, 헬스 기구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상술한 정보들을 제공받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상술한 정보들을 제공받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상술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가 이루어지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운동게임 관리서버(3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현재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게임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동게임 관리서버(3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이에 대한 판단 결과(존재하지 않음)를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현재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리스트화하여 게임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제품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같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일 수 있다.
일 예에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러닝 머신일 경우, 상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러닝 머신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체 헬스 기구인 버터플라이(Butterfly)인 경우, 상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상체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인 하이폴리(Highpully)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유산소 헬스 기구인 러닝 머신인 경우, 상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유산소 운동 기구인 헬스 바이크일 수 있다.
또한,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생성된 게임 대상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할 수 있다. 게임 대상 리스트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되면, 사용자는 게임 대상자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제공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 정보를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게임 대상자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게임 대상자와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제공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와 연동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은 헬스 기기와 연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헬스 기기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를 운동게임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운동게임 관리서버가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에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과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헬스 기기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팀별로 운동관련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운동관련 게임을 완료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게임 참여자들의 운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지방 정보,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체수분 정보 및 근육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라면 어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게임 참여자들의 운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평균 회전 속도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상태 정보라면 어떠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상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러닝 머신인 경우,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하는 러닝 벨트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러닝 벨트가 이동한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회전 속도 및 산출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을 획득하며, 획득된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헬스 바이크인 경우,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하는 페달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페달이 이동한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회전 속도 및 산출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을 획득하며, 획득된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은 운동관련 게임서비스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또는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헬스 기기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상태를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신체 상태와 비교하여 현재 자신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스 기기 사용자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하여 헬스 기기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SP)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SP)은 예컨대,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해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운동관련 애플리케이션 게임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SP)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SP)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SP)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SP)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스마트폰(SP)은 크게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 무선망 통신모듈(220), 화면 출력부(230), 키입력부(240), 사운드 출력부(250), 사운드 입력부(260), 카메라부(270), 메모리부(280), 제어부(290) 및 배터리부(BU)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은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동기화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은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 및 제어부(29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은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서로 동기화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면,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아 제어부(29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은 제어부(290)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및/또는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정보 등을 제공받아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29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29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9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망 통신모듈(220)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운동게임 관리서버(300) 및 제어부(29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제어부(290)로부터 사용자의 고유 정보,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아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제어부(290)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 및/또는 게임 대상 리스트 등을 제공받아 제어부(290)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29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 정보를 제공받아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 등을 제공받아 제어부(29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과 무선망 통신모듈(2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구성부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로 통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화면 출력부(230)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90)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9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 출력부(230)로 출력한다.
예컨대, 화면 출력부(230)는 제어부(290)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 및/또는 게임 대상 리스트 등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출력부(230)는 제어부(290)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 등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3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제어부(290)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9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9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한, 키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아 제어부(29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키입력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고유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 정보를 제공받아 제어부(29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250)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90)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9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예컨대, 사운드 출력부(250)는,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게임을 하는 동안, 제어부(290)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에 포함된 사운드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의 사운드 등을 제공받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입력부(260)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90)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예컨대, 사운드 입력부(260)는,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게임을 하는 동안,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운드 및/또는 해당 사용자의 주변에 대한 사운드 등을 획득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부(270)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부(270)는,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게임을 하는 동안,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영상 및/또는 해당 사용자의 주변 영상 등을 획득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부(280)는 스마트폰(SP)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제어부(29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또한, 메모리부(28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SP)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SP)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280)에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280)는 제어부(290)와 연결되어 제어부(29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280)는 제어부(290)로부터 사용자의 고유 정보,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 게임 대상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 정보 및/또는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 정보 등을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스마트폰(SP)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SP)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29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SP)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SP)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 무선망 통신모듈(220), 화면 출력부(230), 키입력부(240), 사운드 출력부(250), 사운드 입력부(260), 카메라부(270), 메모리부(280) 및 배터리부(BU)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90)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부(280)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를 제공받고, 키입력부(240) 및/또는 메모리부(280)로부터 사용자 고유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메모리부(280)와 무선망 통신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무선망 통신모듈(220)로부터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공받아 스마트폰(SP) 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SP) 내에 미리 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미리 탑재된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와 서로 연결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무선망 통신모듈(220)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및/또는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정보 등을 제공받아 메모리부(280), 화면 출력부(230)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무선망 통신모듈(220)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 및/또는 게임 대상 리스트 등을 제공받아 메모리부(280)와 화면 출력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무선망 통신모듈(220)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 등을 제공받아 메모리부(280), 화면 출력부(230)와 사운드 출력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키입력부(24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 정보 등을 제공받아 메모리부(280)와 무선망 통신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운동관련 게임을 하는 동안, 무선망 통신모듈(220)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에 포함된 사운드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의 사운드 등을 제공받아 사운드 출력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운동관련 게임을 하는 동안, 사운드 입력부(260)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운드 및/또는 해당 사용자의 주변에 대한 사운드 등을 제공받아 무선망 통신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운동관련 게임을 하는 동안, 카메라부(270)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영상 및/또는 해당 사용자의 주변 영상 등을 제공받아 무선망 통신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부(BU)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10), 무선망 통신모듈(220), 화면 출력부(230), 키입력부(240), 사운드 출력부(250), 사운드 입력부(260), 카메라부(270), 메모리부(280) 및 제어부(290)와 연결되어, 이들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하여 이하에서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를 이용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 게임서비스 방법은, 먼저, 복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를 통하여,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해당하는 기기 식별 정보를 각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할 수 있다(S100).
이후, 각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를 통하여,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200).
즉, 각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를 통하여,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와 게임 대상자들 간에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기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대상 리스트를 생성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하고,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대상자와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운동게임 관리서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운동게임 관리서버(3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S310).
이후,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현재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을 리스트화하여 게임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320).
즉, 운동게임 관리서버(3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현재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리스트화하여 게임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동게임 관리서버(3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이에 대한 판단 결과(존재하지 않음)를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에 현재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리스트화하여 게임 대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제품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같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일 수 있다.
일 예에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러닝 머신일 경우, 상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러닝 머신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상체 헬스 기구인 버터플라이(Butterfly)인 경우, 상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상체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인 하이폴리(Highpully)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해당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유산소 헬스 기구인 러닝 머신인 경우, 상기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는 유산소 운동 기구인 헬스 바이크일 수 있다.
이후,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게임 대상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이후, 게임 대상 리스트가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전송되면, 사용자에 의해 게임 대상자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 정보를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340).
이후,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게임 대상자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게임 대상자와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제공할 수 있다(S350).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로 제공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와 연동되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운동관련 게임을 하는 동안,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또는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등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정보들은 연동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1 내지 200-N)를 통해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S360).
이후, 해당 사용자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들이 운동관련 게임을 완료한 후,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또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370).
일 예에서,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또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게임 참여자들의 운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지방 정보,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체수분 정보 및 근육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라면 어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또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게임 참여자들의 운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평균 회전 속도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상태 정보라면 어떠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의 상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러닝 머신인 경우,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또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하는 러닝 벨트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러닝 벨트가 이동한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회전 속도 및 산출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을 획득하며, 획득된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헬스 기기(100-1 내지 100-N)가 헬스 바이크인 경우, 운동게임 관리서버(300)(또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하는 페달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페달이 이동한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회전 속도 및 산출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을 획득하며, 획득된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 통신망 100-1 내지 100-N: 헬스 기기
200-1 내지 200-N: 이동통신 단말기 210: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220: 무선망 통신모듈 230: 화면 출력부
240: 키입력부 250: 사운드 출력부
260: 사운드 입력부 270: 카메라부
280: 메모리부 290: 제어부
300: 운동게임 관리서버

Claims (9)

  1.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헬스 기기;
    각 헬스 기기와 연동하여, 각 헬스 기기로부터 전송된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각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요청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헬스 기기와 동일한 종류의 헬스 기기에 현재 접속된 게임 대상자들을 리스트화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대상자와 운동관련 게임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동게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헬스 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동기화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리 탑재된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상기 운동게임 관리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특정 운동관련 게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운동게임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헬스 기기는,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 또는 해당 헬스기기의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 또는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또는 헬스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연동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동게임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운동관련 게임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신체 전위 측정 센서, 신체 물리량 측정 센서, 신체 조성물 측정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위치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및 로드셀(load cell)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관련 게임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체지방 정보,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체수분 정보 및 근육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게임 참여자들의 운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련 게임 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헬스 기기의 평균 회전 속도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헬스 기기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운동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게임 참여자들의 운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참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KR1020160166489A 2016-12-08 2016-12-0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KR20180065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89A KR20180065513A (ko) 2016-12-08 2016-12-0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89A KR20180065513A (ko) 2016-12-08 2016-12-0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13A true KR20180065513A (ko) 2018-06-18

Family

ID=6276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489A KR20180065513A (ko) 2016-12-08 2016-12-0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51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39B1 (ko) * 2008-06-12 2010-02-19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운동기구와 신체부착센서를 이용한 멀티게임 구동시스템
KR20110043901A (ko) * 2009-10-22 2011-04-28 (주)인성정보 네트워크 헬스게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57758A (ko) * 2009-11-25 2011-06-01 한국과학기술원 단합된 운동 동작에 기초한 다참여자 운동 게임 시스템
KR20140083438A (ko) * 2012-12-26 2014-07-04 김창주 운동 및 게임 기능을 갖는 운동 기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39B1 (ko) * 2008-06-12 2010-02-19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운동기구와 신체부착센서를 이용한 멀티게임 구동시스템
KR20110043901A (ko) * 2009-10-22 2011-04-28 (주)인성정보 네트워크 헬스게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57758A (ko) * 2009-11-25 2011-06-01 한국과학기술원 단합된 운동 동작에 기초한 다참여자 운동 게임 시스템
KR20140083438A (ko) * 2012-12-26 2014-07-04 김창주 운동 및 게임 기능을 갖는 운동 기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2067B2 (en) Predictable and adaptive personal fitness planning
US20210130254A1 (en) Exercise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330239B2 (en) Cloud-based initiation of customized exercise routine
US20220180998A1 (en) Fitness monitoring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and applications thereof
JP6586144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トの自動休止を有する運動競技の監視システム
US10881304B2 (en) Exercise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292935B2 (en) Sensor-based evaluation and feedback of exercise performance
US1154127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quential tasks via task specific user interface elements
US20090292178A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users during an interactive activity
US201002341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hysical exertion
WO2015108701A1 (en) Fuzzy logic-based evaluation and feedback of exercise performance
US20090082677A1 (en) Exercise assisting devices
KR20160054325A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508615A (ja) カーディオバスキュラーマイル
US10313868B2 (en) Athletic data aggregation and display system
KR101066183B1 (ko) 상황인식 기반 휴대 단말장치를 포함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KR2018006551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헬스 기기 게임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