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202A -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202A
KR20180065202A KR1020160165730A KR20160165730A KR20180065202A KR 20180065202 A KR20180065202 A KR 20180065202A KR 1020160165730 A KR1020160165730 A KR 1020160165730A KR 20160165730 A KR20160165730 A KR 20160165730A KR 20180065202 A KR20180065202 A KR 20180065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xing member
housing
eye camera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형
Original Assignee
노성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언 filed Critical 노성언
Priority to KR102016016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202A/ko
Publication of KR2018006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안 영상을 촬영하는 좌안 카메라 및 우안 영상을 촬영하는 우안 카메라를 평행축 방식으로 배열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의 일부 및 좌측면 내측의 일부와 결합되는 사각형태의 제1고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 내측의 일부와 우측면 내측의 일부와 결합되는 사각형태의 제2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 내측은 제1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은 제2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Stereoscopic 3D Camera Rig}
본 발명은 두 개의 카메라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입체영상이 이용되고 있으며, 입체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장비나 장치 등의 개발 및 그에 대한 관심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은 인간의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함으로서 구현되며, 이러한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좌안을 위한 좌측영상과 우안을 위한 우측영상을 각각 촬영하여 합성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 때 입체영상은 3D 촬영용으로 제작된 양안 카메라 혹은 양안 캠코더에 의해 생성되거나, 고가의 카메라 결합 혹은 동조 장비는 리그(Rig)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리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좌안 영상을 촬영하는 좌안 카메라와 우안 영상을 촬영하는 우안 카메라를 평행축 방식으로 배열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는, 각 카메라의 스트랩 장착홀을 수용할 수 있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두 카메라가 서로 하면을 맞댄 상태에서 카메라의 바디 전체를 유격없이 감쌀 수 있는 입체영상 촬영용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의 일부 및 좌측면 내측의 일부와 결합되는 사각형태의 제1고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 내측의 일부와 우측면 내측의 일부와 결합되는 사각형태의 제2고정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 내측은 제1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은 제2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서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좌안 카메라에 구비된 스트랩 장착홀인 제1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홈은 상기 우안 카메라에 구비된 스트랩 장착홀인 제2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서 상기 좌안 카메라 및 상기 우안 카메라는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를 지지면으로 하여, 각 카메라의 하면이 맞닿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면은 상기 좌안 카메라의 우측면과, 상기 제1고정부재의 우측면은 상기 우안 카메라의 하면의 일부와 맞닿을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면은 상기 우안 카메라의 우측면과, 상기 제2고정부재의 좌측면은 상기 좌안 카메라의 하면의 일부와 맞닿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우측면은 상기 우안 카메라의 핸드그립부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좌측면은 상기 좌안 카메라의 핸드그립부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서 상기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 결합된 상기 좌안 카메라의 렌즈와 상기 우안 카메라의 렌즈간 거리가 65mm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탈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도 개방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는 상기 좌안 카메라 및 상기 우안 카메라가 서로 하면을 맞댄 상태에서 상기 두 카메라의 바디 전체를 유격없이 감쌀 수 있다.
제안하는 카메라 리그 장치에 의하면, 두 개의 카메라를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개선된 방식으로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입체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두 대의 카메라를 결합하는 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 카메라가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 카메라가 고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1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0)의 전면에는 렌즈(미도시)의 결합을 위한 렌즈 결합공(11)이 구비되고, 좌측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핸드그립부(12)가 구비됨과 더불어 우측면에는 메모리 카드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면에는 카메라(10)의 기능 조작을 위한 다수의 조작 버튼(14) 및 디스플레이창(15)이 구비되고, 카메라(10)의 좌측면에는 스트랩(미도시)과 결합할 수 있는 스트랩 고정홀(16)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0)는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의 모양이 모두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입체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두 대의 카메라를 결합하는 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체영상은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하여 실제로 우리가 자연에서 보고 느끼는 현실감, 깊이감이 그대로 표현되는 영상인데, 사람이 입체를 지각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우리가 두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좌안과 우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의 상을 보게 되고 이 두 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3차원 영상의 원근감과 실재감을 재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스테레오스코피(Steroscopy)라고 한다. 즉, 사람이 입체를 지각할 수 있는 요소인 입체지각요소에는 크게 주시각(Convergence angle)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있다. 특히 양안시차는 인간의 눈이 가로방향으로 약 65mm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입체지각요소로써 하나의 물체에 대하여 좌안과 우안이 각각 서로 다른 2차원의 상을 봄으로써 생기는 좌우 망막상의 공간적인 차이의 효과이다.
3D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하나의 피사체에 대하여 서로 양안시차와 주시각을 갖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촬영하여 좌안 영상은 사람의 좌안에 제시하고, 우안 영상은 사람의 우안에 제시하는 방법이 있다.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좌안을 위한 좌안 영상을 촬영하고, 우안을 위한 우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2a 내지 도 2c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대의 카메라를 거치하여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렌즈의 중심과 영상센서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하, 광축이라한다.)을 광축이라 할 때, 두 대의 카메라를 수평 이격 배치한 경우, 두 카메라의 광축이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두 카메라의 배열방식(평행축방식,직교방식등)과 관계없이, 해당 두 카메라의 광축이 동일평면상에 위치하여 수평 정렬되는 것은 입체 영상 촬영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도 2a 내지 도2c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카메라 광축의 수평 정렬 상태는 좌안 카메라(20a,20b,20c)의 렌즈와 우안 카메라(30a,30b,30c)의 렌즈가 일정한 간격(a,b,c)으로 떨어져 배치되었을 때, 좌안 카메라(20a,20b,20c)의 광축과 우안 카메라(30a,30b,30c)의 광축이 동일평면 상 에 위치한 상태를 말한다. 입체 영상 촬영시, 이러한 두 카메라 광축의 수평 정렬 상태는 우수한 품질의 입체 영상을 얻기 위한 전제 조건 이다. 두 카메라 광축이 수평 정렬되지 않으면, 입체 영상의 화질이 떨어지고, 이를 보상하기 위한 후보정 작업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후보정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높은 품질의 입체 영상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외관을 보면 각 측면마다 모양 및 굴곡이 다르므로, 두 카메라의 광축이 수평정렬이 잘 되도록 두 카메라의 외관 구조를 고려하여 두 카메라를 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두 카메라의 렌즈 간 거리는 성인의 두 눈 사이의 거리가 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입체영상은 두 눈의 간격에 의해 나타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한 것이므로 입체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두 카메라의 최적 이격 거리는 평균적인 성인의 두 눈 사이의 거리인 65mm 가 타당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카메라의 외관 구조와 렌즈간 거리를 고려하면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카메라(20a)의 우측면과 우안 카메라(30a)의 좌측면이 맞대어진 배치구조는 거치는 쉬우나, 렌즈간 거리인 a는 65mm보다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카메라(20b)의 우측면과 우안 카메라(30b)의 우측면이 맞대어진 배치구조는, 카메라의 외관 구조상 거치도 어렵고 렌즈간 거리인 b도 65mm보다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카메라(20c)의 하면과 우안 카메라(30c)의 하면이 맞대어진 배치구조는, 렌즈간 거리인 c는 65mm 가 되지만 카메라의 외관 구조상 거치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용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카메라의 렌즈간 거리를 성인의 두 눈 사이의 거리인 65mm 로 유지하기 위하여, 좌안 카메라(100)의 하면(130)과 우안 카메라(200)의 하면(230)이 서로 맞닿아 있는 채로 배치하되, 두 카메라(100,200)의 외관을 유격없이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좌안 영상을 촬영하는 좌안 카메라(100) 및 우안 영상을 촬영하는 우안 카메라(200)를 평행축 방식으로 배열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하우징(310), 제1고정부재(370) 및 제2고정부재(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310)은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태로 두 카메라(100,200)의 외관을 감싸는 구조이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310)은 전후면이 모두 개방된 사각관통홀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10)은 하면 내측에 제1고정홈(330)을 구비하여, 좌안 카메라(100)의 좌측면(110)에 구비된 스트랩 장착홀인 제1고정돌기(15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0)은 상면 내측에 제2고정홈(350)을 구비하여, 우안 카메라(200)의 좌측면(210)에 구비된 스트랩 장착홀인 제2고정돌기(250)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좌안 카메라(100) 및 우안 카메라(200)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370)는 하우징(310)의 상면 내측의 일부 및 좌측면 내측의 일부와 결합되는 사각형태로, 제1고정부재(370)의 하면은 좌안 카메라(100)의 우측면(140)과, 제1고정부재(370)의 우측면은 우안 카메라(200)의 하면의 일부와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우안 카메라(200)의 하면의 일부는 우안 카메라(200)의 핸드그립부의 하면(22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재는(390)는 하우징(310)의 하면 내측의 일부와 우측면 내측의 일부와 결합되는 사각형태로, 제2고정부재(390)의 상면은 우안 카메라(200)의 우측면(240)과, 제2고정부재(390)의 좌측면은 좌안 카메라(100)의 하면의 일부와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좌안 카메라(100)의 하면의 일부는 좌안 카메라(200)의 핸드그립부의 하면(12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제1고정부재(370) 및 제2고정부재(390)를 좌안 카메라(100)와 우안 카메라(200)의 일부면의 지지면으로 하여, 좌안 카메라(100)의 하면(130)과 우안 카메라(200)의 하면(230)이 맞닿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370) 및 제2고정부재(390)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370) 및 제2고정부재(390)는 각 카메라의 외형 및 크기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고정부재(370) 및 제2고정부재(390)는 두 카메라(100,200)가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유격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하우징(310)의 내측 상에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 카메라가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310)은 하면 내측에 제1고정홈(330)을 구비하여, 좌안 카메라(100)의 좌측면(110)에 구비된 스트랩 장착홀인 제1고정돌기(150)를 수용하고, 상면 내측에 제2고정홈(350)을 구비하여, 우안 카메라(200)의 좌측면(210)에 구비된 스트랩 장착홀인 제2고정돌기(250)를 수용하여, 하우징(310)의 내측에 좌안 카메라(100) 및 우안 카메라(2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하우징(310)의 내측에 좌안 카메라(100)와 우안 카메라(200)를 고정(A,C)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6 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하우징(310), 제1고정부재(370) 및 제2고정부재(390)를 좌안 카메라(100)와 우안 카메라(200)의 지지면으로 하여, 좌안 카메라(100)의 하면(130)과 우안 카메라(200)의 하면(230)이 맞닿은 상태(B)에서 두 카메라(100,200)의 바디 전체를 유격없이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두 카메라(100,200)를 각 하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B)에서 고정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좌안 카메라(100)의 우측면(140)은 제1고정부재(370)의 하면과 맞닿아 있고, 좌안 카메라의(100)의 하면(130)은 우안 카메라(200)의 하면(230)과 맞닿아 있다. 또한 좌안 카메라(100)의 핸드그립부의 하면(120)은 제2고정부재(390)의 좌측면과 맞닿아 있고, 좌안 카메라의(100)의 좌측면(110)은 제1고정돌기(150)와 하우징의 하면 내측에 구비된 제1고정홈(330)이 결합된 채로, 하우징의 하면 내측과 맞닿아 있다. 또한, 좌안 카메라(100)의 상부는 하우징(310)의 좌측면 내측과 맞닿아 있다.
마찬가지로, 우안 카메라(200)의 좌측면(210)은 제2고정돌기(250)와 하우징의 상면 내측에 구비된 제2고정홈(350)이 결합된 채로, 하우징의 상면 내측과 맞닿아 있고, 우안 카메라(200)의 핸드그립부의 하면(220)은 제1고정부재(370)의 우측면과 맞닿아 있다. 또한, 우안 카메라(200)의 하면(230)은 좌안 카메라(100)의 하면(130)과 맞닿아 있고, 우안 카메라(200)의 우측면(240)은 제2고정부재(390)의 상면과 맞닿아 있다. 또한, 우안 카메라(200)의 상면은 하우징(310)의 우측면 내측과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좌안 카메라(100)와 우안 카메라(200)가 하우징(3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좌안 카메라(100)의 하면(130)과 우안 카메라(200)의 하면(230)이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좌안 카메라(100) 및 우안 카메라(200)의 바디 전체를 유격없이 감쌀 수 있다. 이 경우,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카메라(100)의 광축과 우안 카메라(200)의 광축은 수평 정렬된 상태이고, 두 카메라의 렌즈간 거리는 평균적인 성인의 두 눈 사이의 거리인 65mm 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 카메라가 고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좌안 카메라(100)가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에 고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카메라(100)의 스트랩 장착홀인 제1고정돌기(150)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의 하우징의 하면 내측에 구비된 제1고정홈(330)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고정홈(330)의 크기는 제1고정돌기(150)가 완전 수용되어, 좌안 카메라(100)의 좌측면(110)이 하우징(310)의 하면 내측과 맞닿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홈(330)의 위치는 좌안 카메라(100)의 핸드그립부의 하면(120)이 제2고정부재(390)의 좌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 우안 카메라(200)가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에 고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안 카메라(200)의 스트랩 장착홀인 제2고정돌기(250)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의 하우징의 상면 내측에 구비된 제2고정홈(350)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고정홈(350)의 크기는 제2고정돌기(250)가 완전 수용되어, 우안 카메라(200)의 좌측면(110)이 하우징(310)의 상면 내측과 맞닿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홈(350)의 위치는 우안 카메라(200)의 핸드그립부의 하면(220)이 제1고정부재(370)의 우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존의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는 두 대의 카메라를 나사와 볼트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물리적 구조였기 때문에, 카메라의 무게와 체결부재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결합 구조가 쉽게 흐트러지고, 두 카메라의 광축이 수평 정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하우징(310)의 내측에 두 카메라(100,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두 카메라(100,200)의 스트랩 장착홀인 제1고정홀(150) 및 제2고정홀(250)을 수용할 수 있는 제1고정홈(330) 및 제2고정홈(350)을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하우징(310)의 내측과 두 카메라(100,200)의 외관이 유격없이 맞닿을 수 있도록, 제1고정부재(370) 및 제2고정부재(390)을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는 외부 체결부재인 나사나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두 카메라(100,200)의 외관상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300)에 두 카메라(100,200)를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좌안 카메라 200: 우안 카메라
300: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310: 하우징
330: 제1고정홈 350: 제2고정홈
370: 제1고정부재 390: 제2고정부재

Claims (9)

  1. 좌안 영상을 촬영하는 좌안 카메라 및 우안 영상을 촬영하는 우안 카메라를 평행축 방식으로 배열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의 일부 및 좌측면 내측의 일부와 결합되는 사각형태의 제1고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 내측의 일부와 우측면 내측의 일부와 결합되는 사각형태의 제2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 내측은 제1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은 제2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좌안 카메라에 구비된 스트랩 장착홀인 제1고정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제2고정홈은 상기 우안 카메라에 구비된 스트랩 장착홀인 제2고정돌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카메라 및 상기 우안 카메라는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를 지지면으로 하여, 각 카메라의 하면이 맞닿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면은 상기 좌안 카메라의 우측면과, 상기 제1고정부재의 우측면은 상기 우안 카메라의 하면의 일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면은 상기 우안 카메라의 우측면과, 상기 제2고정부재의 좌측면은 상기 좌안 카메라의 하면의 일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우측면은 상기 우안 카메라의 핸드그립부의 하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좌측면은 상기 좌안 카메라의 핸드그립부의 하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에 결합된 상기 좌안 카메라의 렌즈와 상기 우안 카메라의 렌즈간 거리가 6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도 개방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카메라 및 상기 우안 카메라가 서로 하면을 맞댄 상태에서 상기 좌안 카메라 및 상기 우안 카메라의 바디 전체를 유격없이 감쌀 수 있는 것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 장치.
KR1020160165730A 2016-12-07 2016-12-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KR20180065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30A KR20180065202A (ko) 2016-12-07 2016-12-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30A KR20180065202A (ko) 2016-12-07 2016-12-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02A true KR20180065202A (ko) 2018-06-18

Family

ID=6276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730A KR20180065202A (ko) 2016-12-07 2016-12-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2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9115B2 (en) Modular and detachable wearable devices for AR/VR/MR
KR101446767B1 (ko) 입체 영상 촬상 장치
US7478904B2 (en) Three dimensional viewing spectacles
TWI509340B (zh) 雙鏡頭保持裝置
CN209402654U (zh) 摄像装置
KR20120030005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입체 화상 표시 장치
KR101396254B1 (ko)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KR20130040379A (ko) 단일화된 부품이 케이스의 중앙부에 내장된 입체영상 안경
KR101908102B1 (ko)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
JP3205552B2 (ja) 立体映像撮像装置
KR20180065202A (ko)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CN213338233U (zh) 一种装配系统
JPH09224265A (ja) 立体視画像記録方法並びに装置
US20060152580A1 (en) Auto-stereoscopic volu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KR20140046642A (ko) 배터리가 내장된 안경다리가 착탈되는 투과 광량 제어용 전자안경
KR20120079777A (ko) 삼차원 영상 관찰용 시트 장치
Watt et al. 3D media and the human visual system
JP2016527827A (ja) 複数カメラと複数ビームスプリッターを含むビデオ撮像システム
CN104238130A (zh) 具有图像校正功能的电子设备3d观看头盔
WO2012017578A1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14045392A (ja) 立体映像受像機
KR101123099B1 (ko) 광 경로 변화 렌즈가 구비된 입체카메라
JP2014057219A (ja)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067965B1 (ko) 입체 영상 시스템
KR20180108314A (ko) 사용자 인터렉션 정보를 반영하여 입체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