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683A -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683A
KR20180064683A KR1020160164834A KR20160164834A KR20180064683A KR 20180064683 A KR20180064683 A KR 20180064683A KR 1020160164834 A KR1020160164834 A KR 1020160164834A KR 20160164834 A KR20160164834 A KR 20160164834A KR 20180064683 A KR20180064683 A KR 20180064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remote control
management server
nfc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6016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683A/ko
Publication of KR2018006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06K2017/00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품질보증서(NFC Tag) 제공으로 언제 어디서나 유통되는 상품의 유효성을 쉽게 판단하여 전자장치에 자동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을 NFC Tag를 접촉하여 쉽게 실행할 수 있게 제공하여 관리자 전자장치 원격제어 버튼만으로 관리서버의 상품정보를 삭제 및 변경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 서버를 선택적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How to us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NFC Tag 방식으로 통신하고, 유통된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NFC Tag (품질보증서)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전자장치로 NFC Tag 접촉 시 관련 상품 정보가 생성되어 유통된 상품의 유효성(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자장치 시스템이다.
또한,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을 NFC Tag를 접촉하여 쉽게 실행할 수 있게 제공하여 관리자 전자장치 원격제어 버튼만으로 관리서버에 있는 상품 관련 정보를 삭제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선택적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NFC Tag·QR 코드(품질보증서)를 사용자 전자장치로 확인 저장하면, 관리서버에서 관련 정보가 삭제되더라도 사용자 전자장치에 저장된 NFC Tag에 해당되는 관련 정보는 확인 될 수 있도록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시장에서 유통되거나 판매되는 상품의 진위 여부 판별을 위해 품질 보증서나 감정서를 제품과 함께 동봉하는 방법 또는 제품에 바코드, 인증마크 또는 홀로그램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품질 보증서나 바코드, 인증마크, 홀로그램 스티커 등에 의한 정품 확인방법은 아무리 정교하고 특수한 로고, 표시라 하더라도 모방 또는 도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 무선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장치로 NFC Tag(QR 코드)를 접촉하면 상품에 관한 정보/ AS정보/구매처 등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또한 APP을 통하여 상품에 대한 보증서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서버에 저장 보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정보만 보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품 구매 고객한테 NFC Tag(QR 코드) 모바일 품질보증서 제공으로 언제 어디서나 유통되는 상품의 유효성을 쉽게 판단하여 전자장치에 자동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을 NFC Tag를 접촉하여 쉽게 실행할 수 있게 제공하여 관리자 전자장치 원격제어 버튼만으로 관리서버의 상품 관련 정보를 삭제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선택적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 출원 특허 10-2016-0149666(2016-11-10.출원) "NFC Tag(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 출원 특허 10-2016-0151692 (2016-11-15.출원) "NFC Tag(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이용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NFC Tag 방식으로 통신하고, 유통된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NFC Tag (품질보증서)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전자장치로 NFC Tag 접촉 시 관련 상품 정보가 생성되어 유통된 상품의 유효성(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등)을 쉽게 확인하고, 관리자 전자장치 원격제어 버튼으로 관리서버의 상품 관련 정보를 선택적 관리할 수 있는 상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NFC Tag를 접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장치의 원격제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NFC Tag·QR 코드(품질보증서)를 사용자 전자장치로 확인 저장하면, 관리서버에서 관련 정보가 삭제되더라도 사용자 전자장치에서 저장된 NFC Tag에 해당되는 관련 정보는 확인 될 수 있도록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은 NFC Tag (품질보증서)에 기록된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관련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 정보를 생성하며, 유통된 상품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자 전자장치와 공급자 전자장치 원격제어 버튼에서 관리서버의 상품 정보를 삭제 및 변경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원격제어 버튼으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서버의 정보 기록을 관리, 선택적 삭제 등을 할 수 있는 상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서버의 동작신호를 외부 전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연결되어, 원격제어 전자장치의 구동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원격제어 전자장치의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관리서버의 사용을 정지 또는 상품정보 등을 삭제 및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NFC Tag를 접촉하여 인증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장치에 NFC Tag 인증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공급되는 상품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하여, 전자장치에서 유통될 NFC Tag에 접촉하면 제공할 상품 관련 정보를 입력 설정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어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전송기능을 갖는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자장치의 원격제어에 의하여 관리서버의 사용 정지 상태 모드 및 정보를 삭제 상태 모드 또는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사용자 정보, 상품 정보 및 삭제/변경 상태 등에 해당되는 신호 등을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프린터 요청 시 NFC Tag상품 정보에 해당되는 QR코드가 생성되어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프린터 출력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 상품정보는, 일별, 월별 또는 선택한 자료별로 생성되고 삭제/변경 요청된 사용자 정보 및 상품 정보는 관리서버에서 복구될 수 없도록 한다.
여기서, 삭제/변경 요청된 사용자 정보 및 상품 정보는, 삭제/변경된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복구될 수 있도록 공급자에게 보급된 NFC Tag 인증을 통하여 복호화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관련 정보가 복구될 수 있다.
또한, 삭제된 상품 정보는, 관리서버에서 삭제되더라도 사용자 전자장치에서 저장된 NFC Tag에 해당되는 관련 정보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삭제/변경된 상품 정보는, 관리서버에서 삭제/변경되더라도 NFC Tag에 해당되는 관련 상품정보는 NFC Tag 접촉 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원격제어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관리서버의 사용 정지 상태모드 및 상품 목록을 변경 및 삭제 할 상태가 발생 시, 관리서버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단계에 있어서,
여기서, 원격제어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서버의 사용정지 또는 상품정보 삭제 및 변경 서비스를 요청할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의 원격제어 서비스를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이력 저장부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가 존재할 경우, 원격제어 서버에서 요청된 서비스 상태로 실행한다.
여기서, 서버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원격제어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공급자에게 보급된 NFC Tag 접촉 인증을 통하여 제어 권한을 인증하고 담당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서버의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실행 상태 단계 이후에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고,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사용자 정보 및 상품정보 삭제/변경에 관한 결과 정보를 요청한 전자장치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NFC Tag 방식으로 통신하고, 유통된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NFC Tag (품질보증서)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유통된 상품의 유효성(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등)을 쉽게 확인하고, 관리자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을 쉽게 제공하여 전자장치의 원격제어 버튼만으로 관리서버의 상품 정보 상태를 삭제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선택적 관리를 할 수 있는 상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NFC Tag 인증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정보가 생성되는 해상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전자장치에서 유통될 NFC Tag에 접촉하면 제공할 상품 관련 정보를 입력 설정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 또는 프린터가 출력되는 해상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통신 단말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이동 단말,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모바일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형 전자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관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표면 얼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방법의 흐름도와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NFC Tag 인증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정보가 생성되는 해상도 그리고 전자장치에서 유통될 NFC Tag에 접촉하면 제공할 상품 관련 정보를 입력 설정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 또는 프린터가 출력되는 해상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약칭함)은 전자장치(200, 200a), NFC Tag(400, 400a) 및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장치(200, 200a)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사용자 식별정보는 전자장치(200, 200a)을 사용하는 사용자 본인의 확인 및 정보 제공서버(100)에서 생성되는 모바일 상품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정보에는 전자장치(200, 200a) 식별정보와 이름, 주소, 연락할 수 있는 번호 하나 이상의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공급자 전자장치(200)에서 상품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생성 시 NFC Tag(400a) 정보 식별을 위한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293)하며, 식별정보에는 전자장치(200)에 따라 할당된 고유번호 또는 변경 가능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품정보는 공급자 전자장치(200) 입력부(230)를 통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미리 입력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여 전자장치(200, 200a)의 입력부(230), 다시 말해 전자장치(200, 200a)의 표시부(220)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에서 전자장치(200, 200a)의 사용자 식별정보 생성을 위한 전자장치(200, 200a)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표시부)(220)와,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부(표시부)(220)에는 입력부(230), 버튼(230a), 키패드(230b)가 표시되고,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250)에는 이동통신 모듈(250a), 무선 랜 모듈(250b), 근거리통신 모듈(250c)이 포함되며 상기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품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상기 전자장치(200, 200a)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표시부)(220) 상품관리 및 정보 확인 정보 신호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포함한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200)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230), NFC Tag인증부(240)를 통하여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 또는 상품 정보를 입력할 정보가 생성되어 확인 후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전자장치(200a)으로 NFC Tag(QR 코드)(400a)를 리딩 시 관련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확인하고 사용자 전자장치(200a)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상품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100)로 전송한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장치 원격제어 버튼(292a)에서 관리서버(100)의 상품 기록 상태를 삭제 및 변경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자장치(200) 원격제어 버튼(292a)으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서버(100)의 상품 정보를 선택적 관리할 수 있는 상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장치(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급자가 유통하는 상품을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해 암호화된 URL이 포함된 NFC Tag(QR 코드)(400, 400a)별로 상품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100)는 관리서버(100)의 동작신호를 외부 전자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120)와 연결되어, 원격제어 전자장치(200)의 구동 상태를 인식한다.
그리고 원격제어 전자장치(200)의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140)와 연결되어, 관리서버(100)의 사용을 정지 또는 상품정보 등을 삭제/변경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장치(200)는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NFC Tag(400)를 접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장치(200)에 NFC Tag 인증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되는 상품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하여, 전자장치(200)에서 유통될 NFC Tag(400a)에 접촉하면 제공할 상품 관련 정보를 입력 설정할 수 있는 입력창(293)이 생성되어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통신망(300)을 통한 외부 서버(100)로의 전송기능을 갖는다.
한편 공급자가 필요에 따라 전자장치(200)의 원격제어에 의하여 관리서버(100)의 사용 정지 모드 및 상품 정보를 삭제/변경 모드 또는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전자장치(200)는,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사용자정보, 상품정보, 삭제/변경 신호 등을 발생한다.
또한,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전자장치(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프린터 요청(295) 시 NFC Tag(400a)상품 정보에 해당되는 QR코드(297)가 생성되어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프린터 출력(296)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 상품정보는, 일별, 월별 또는 선택한 자료별로 생성된다.
그리고, 전자장치(200) 원격제어에 의하여 삭제/변경 요청된 사용자 정보 및 상품 정보는 관리서버(100)에서 복구될 수 없도록(292b) 한다.
그러나 전자장치(200) 원격제어에 의하여 삭제/변경 요청된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100)에서 복구될 수 있도록 공급자에게 보급된 NFC Tag(400) 인증을 통하여 복호화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관련 정보가 복구(292c) 할 수 있다.
여기서 삭제된 상품 정보(292b)는 관리서버(100)에서 삭제되더라도 사용자 전자장치(200a)에서 저장된 NFC Tag(400a)에 해당되는 관련 정보는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삭제된 상품 정보(292b)는 관리서버(100)에서 삭제되더라도 NFC Tag(400a)에 해당되는 관련 상품정보는 NFC Tag(400a) 접촉 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100)는 공급자가 제공하는 상품에 부착할 NFC Tag(400a)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유통될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의 유효성(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등)을 판단하기 위한 관련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NFC Tag(QR 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
그리고, 전자장치(200)로 NFC Tag(QR 코드)(400a)에 기록된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관련 공급자 상품정보를 생성(293)하여 NFC Tag(QR 코드)(400a)에 대응되는 각각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1)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장치(200)로 NFC Tag(QR 코드)(400, 400a) 접촉 시 NFC Tag(QR 코드)(400, 400a)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주출부(141), NFC Tag(QR 코드)(400a)별로 상품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전자장치(200)에서 상품 관련 정보를 입력 시 상기 공급자가 제공하는 상품에 부착될 NFC Tag(QR 코드)(400a)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42)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관리 서버(100)는 상품에 부착된 NFC Tag·QR 코드(품질보증서)(400a)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 전자장치(200a)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전자장치(20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120)와 상품에 부착될 NFC Tag(QR 코드)(400a)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NFC Tag(QR 코드)(400a)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하는 저장부(142)를 둔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전자장치(200a)로부터 NFC Tag·QR 코드(품질보증서)(400)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를 추출하여, 그 에 해당하는 설정된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전자장치(200a)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NFC Tag(QR 코드)(400a)에 해당되는 모바일 품질 보증서를 확인 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전자장치(200a)로 공급자가 상품에 포함되어 제공하는 NFC Tag(400a)를 접촉 또는 QR코드를 스캔하면 NFC Tag(QR 코드)(400a)와 관련된 상품 식별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NFC Tag(QR 코드)(400a) 관련 상품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200a)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 또는 상품 정보(품질 보증서)가 사용자의 전자장치(200a)에 보관되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구들을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 원격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3 내지 도 5 의 실시예에서 전자장치 원격제어 방법은 도 1 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을 예로 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의 실시예에 해당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과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 전자장치(20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100)의 사용 정지 상태 모드 및 상기 상품정보를 삭제 할 상태가 발생 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273)에서, 원격제어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서버의 사용정지 또는 상품정보 삭제 서비스를 요청할 정보를 선택한다.
단계(274)에서 선택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100)의 원격제어서비스를 요청하고 단계(275)에서 제어이력 저장부(14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276)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가 존재할 경우, 원격제어서버에서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한다.
여기서, 서버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는 단계(271)에서 원격제어 전자장치(200)를 이용하여, 공급자에게 보급된 NFC Tag(400) 접촉 인증을 통하여 제어권한을 인증하고 단계(272)에서는 담당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한다.
한편, 서버의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실행 상태 단계 이후에는 단계(277)에서 관리서버(100)는 그 이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고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사용 정지 상태 모드 및 상기 사용자정보, 상품정보를 변경, 삭제 상태에 관한 결과 정보를 요청한 전자장치(2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유통된 상품을 인증하고 유통된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의 유효성(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등)을 판단하여 관리자 전자장치(200) 원격제어 버튼으로 관리서버(100)의 상품정보를 삭제 및 변경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서버(100)의 상품정보를 선택적 관리할 수 있는 상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정보 제어권한에 대한 인증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인증 관리 NFC Tag(400)를 접촉하여 확인하고, 상품(귀금속, 시계, 가방, 휴대폰, 악세사리, 특산품 등)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NFC Tag(400a)·QR 코드(품질보증서)를 사용자 전자장치(200a)로 확인 저장하면, 관리서버에서 관련 정보가 삭제되더라도 사용자 전자장치(200a)에서 저장된 NFC Tag(400a)에 해당되는 관련 정보는 확인 될 수 있도록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서버 110 : 데이터베이스
111 : 상품 식별 정보 DB 112 : NFC Tag(인증,상품)정보DB
120 : 통신부 130 : SMS, MMS 처리부
140 : 중앙처리장치 141 : 정보추출부
142 : 저장부 143 : 제어부
200 : 공급자 전자장치 200a : 사용자 전자장치
210 : 제어부 210a : 카메라
220 : 표시부 230 : 입력부
230a : 버튼 230b : 키패드
240 : NFC Tag 인증부 250 : 통신부
250a : 이동통신 모듈 250b : 무선 랜 모듈
250c : 근거리 통신 모듈 260 : 저장부
300 : 통신망 400 : NFC Tag(인증관리)
400 : NFC Tag(상품관리)

Claims (14)

  1. 전자장치 원격제어 버튼으로 관리서버에 있는 사용자정보, 상품정보를 삭제 및 변경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원격제어 버튼으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서버의 사용자정보, 상품정보를 선택적 관리할 수 있는 상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포함하며,
    상품 공급자가 유통하는 상품을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해 암호화된 URL이 포함된 NFC Tag(QR 코드);
    관리서버는,
    관리서버의 동작신호를 외부 전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와 연결되어, 원격제어 전자장치의 구동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원격제어 전자장치의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관리서버의 사용을 정지 또는 사용자정보, 상품정보 등을 삭제/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정보 제어 권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NFC Tag를 접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장치에 NFC Tag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공급자가 공급할 상품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하여. 전자장치에서 유통될 NFC Tag에 접촉하면 제공할 상품 관련 정보를 입력 설정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어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통신망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전송기능을 갖는 서비스 공급자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자장치의 원격제어에 의하여 관리서버의 사용 정지모드 및 사용자정보, 상품정보를 삭제/변경 모드 또는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사용자 정보, 상품 정보를 삭제 및 변경 관리할 수 있는 신호 등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프린터 요청 시 NFC Tag상품 정보에 해당되는 QR코드가 생성되어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여 프린터 출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상품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품정보 등을 일별, 월별 또는 선택한 자료별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 원격제어에 의하여,
    상기 삭제 요청된 사용자 정보 및 상품정보는 관리서버에서 복구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 원격제어에 의하여,
    상기 삭제 요청된 사용자 정보 및 상품정보는, 삭제된 관련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복구될 수 있도록 공급자에게 보급된 NFC Tag 인증을 통하여 복호화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관련 정보가 복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된 상품 정보는, 관리서버에서 삭제되더라도 사용자 전자장치에서 저장된 NFC Tag에 해당되는 관련 정보는 보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된 상품 정보는, 관리서버에서 삭제되더라도 NFC Tag에 해당되는 관련 상품정보는 NFC Tag 접촉 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
  12. 원격제어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관리서버의 사용 정지 상태 모드 및 상기 사용자정보, 상품정보를 변경, 삭제 할 상태가 발생 시,
    상기 관리서버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관리서버의 사용 정지 상태 모드 및 상기 사용자정보, 상품정보를 변경, 삭제 서비스를 요청할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로 원격제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제어이력 저장부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가 존재할 경우, 관리 서버에서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격제어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공급자에게 보급된 NFC Tag 접촉 인증을 통하여 제어권한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담당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실행 상태 단계 이후에는,
    상기 서버는 그 이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고,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 사용 정지 상태 모드 및 상기 사용자정보, 상품정보를 변경, 삭제 상태에 관한 결과 정보를 요청한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원격제어 방법.
KR1020160164834A 2016-12-06 2016-12-06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20180064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34A KR20180064683A (ko) 2016-12-06 2016-12-06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34A KR20180064683A (ko) 2016-12-06 2016-12-06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83A true KR20180064683A (ko) 2018-06-15

Family

ID=6262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834A KR20180064683A (ko) 2016-12-06 2016-12-06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6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666A (ko) 2015-06-19 2016-12-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실린더 헤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666A (ko) 2015-06-19 2016-12-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실린더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43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and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US20220129876A1 (en) Multi-mode point-of-sale device
US110894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arying a function triggered by near field communication
TWI689878B (zh) 多模銷售點裝置
US20130297425A1 (en) Quick transaction completion using mobile device
CN101517592A (zh) 具有磁条的移动支付装置
KR20180123767A (ko) NFC Tag(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101828742B1 (ko) 보안이 강화된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
US20140236697A1 (en) Managing digital coupons
KR20180130144A (ko)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7841A (ko)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8150A (ko)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7886A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US976732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rowd sourced counterfeit detection and brand assurance
JP4961608B2 (ja) 保証システム
KR20140010295A (ko)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80064684A (ko) NFC Tag 기록매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4683A (ko) 전자장치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20180137667A (ko) 상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313728A (zh) 用于建立在线购物平台中的冲动产品货架的系统和方法
US10733404B2 (en) Method and systems for rendering of virtual displays using cryptographic symbols
KR20180131046A (ko)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4131A (ko) NFC Tag(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이용 방법
CN110781992A (zh) 比价电子码标签、带比价电子码的商品包装、比价方法及装置
KR20190006155A (ko)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