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155A -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155A
KR20190006155A KR1020170086877A KR20170086877A KR20190006155A KR 20190006155 A KR20190006155 A KR 20190006155A KR 1020170086877 A KR1020170086877 A KR 1020170086877A KR 20170086877 A KR20170086877 A KR 20170086877A KR 20190006155 A KR20190006155 A KR 2019000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product
symmetr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7008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155A/ko
Publication of KR2019000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3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wherein the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entities apply symmetric encryption, i.e. same key use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를 활용하여 관련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등록 이후에 그 외 다른 사용자가 대칭키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자의 인증 확인절차 과정을 거쳐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추가 사용 등록 또는 거부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NFC Tag·QR 코드가 생성되어 전자기기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 대칭키를 통해서만 전자기기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복제 식별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How to manage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유통되는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를 사용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 대칭키를 통해서만 전자기기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불법을 통한 접근을 방지될 수 있도록 보안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한 이후에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될 수 있도록 보안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시장에서 유통되거나 판매되는 전자기기의 Io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IoT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는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사물 인터넷 인터페이스 기술, 사물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실행 단계와 통신을 선택하여 페어링 단계를 거쳐야하는 등 불편함들이 있어 IoT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게 현실이다.
또한, IoT 기술 분야의 급격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IoT 환경에서의 보안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으로 많은 보안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567333호(2015.11.03) IoT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설정모듈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 방법 등록특허 제10-1680144호(2016.11.22) 집적 회로와 이의 작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NFC 기반 센싱 시스템 등록특허 제10-1688813호(2016.12.16) IoT 기기와 소유자 사이의 관계 확립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유통되는 전자기기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를 사용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쉽게 인증 확인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전자기기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NFC Tag·QR 코드가 생성되어 전자기기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 대칭키를 통해서만 전자기기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불법을 통한 접근을 방지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등록 이후에 그 외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에 해당되는 대칭키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자의 인증 확인절차 과정을 거쳐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추가 사용 등록 또는 거부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한 이후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은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가 부여된 전자기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가 리드되면 자동으로 전자기기 관리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및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하는 서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서버는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판매자로부터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고유 식별 정보 요청을 접수하고, 요청된 전자기기 수에 따른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진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를 각 전자기기에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부여된 대칭키와 관련된 비밀키 그리고 전자기기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각 전자기기에 부여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의 조회요청을 접수하고, 조회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를 관련된 비밀키로 해독하고, 상기 해독된 정보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전자기기 관련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에 표시되게 한다.
그리고, 표시된 전자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접수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 정보에 연동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품에 부착되는 부착물들은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 정보가 이식된 무선식별태그 또는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이다.
여기서,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대칭키의 조회요청 방법은 소비자의 스마트 폰의 NFC 리더기로 전자기기 상품에 부착된 무선식별태그(NFC Tag)를 태깅하거나 카메라로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QR 코드를 리드 한다.
그리고, 전자기기 상품의 대칭키 조회요청이 있을 때 전자기기 서비스 앱이 소비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전자기기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기기 서비스 앱을 상기 스마트 폰에 푸쉬하여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는 전자기기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에 해당되는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이용자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인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및 이용자가 이용할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등록 이후에 그 외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에 해당되는 대칭키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자의 인증 확인절차 과정을 거쳐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추가 사용 등록 또는 거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한 이후에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동일한 전자기기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NFC Tag·QR 코드가 생성되어 전자기기에 대한 등록/관리/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매체를 스마폰으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제공 한다.
여기서, 전자기기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 대칭키를 통해서만 전자기기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불법을 통한 접근을 방지한다.
그리고, 전자기기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는, 상기 전자기기를 확인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NFC Tag·QR 코드 연산 수단을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디지털 암호데이터로 변환된 대칭키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여기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은, 보안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스마트폰 기기 내 별도 영역에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물리적으로 선택 저장할 수 있고, 또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비밀키값을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별도 보안서버에 저장되어 손쉽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전자기기 정보가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상품정보를 포함된 NFC Tag·QR 코드를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이용 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비밀키값이 실행되어 관련 상품에 대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전자기기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실행한다.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한 전자기기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NFC Tag·QR 코드가 생성되어 전자기기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 대칭키를 통해서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여 쉽게 인증 확인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등록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한 이후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NFC Tag·QR 코드를 사용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시?스 동작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NFC Tag·QR 코드를 사용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를 활용하여 관련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흐름도 .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에 부여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NFC Tag·QR 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관련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하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판매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통신 단말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이동 단말,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판매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은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판매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형 전자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관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표면 얼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NFC·QR코드를 사용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시?스 동작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관리 서비스는 소비자 즉 고객 또는 구매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소비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구매한 전자기기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NFC Tag를 태깅하거나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등 전자기기와 관련된 식별코드를 촬영하는 동작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서비스가 활성화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먼저, 서비스 공급자(10)는 판매자(20)로부터 전자기기에 해당되는 식별정보 발급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공급자(10)는 각 전자기기 상품에 대하여 유니크한 대칭키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대칭키 값을 포함한 NFC 태그(무선식별태그)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등의 식별 이지미가 인쇄된 인쇄물을 판매자(20)에 발급한다.
여기서, 서비스 공급자(10)는 판매자(20)가 요청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발급된 대칭키 값을 도 2의 고유키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서비스 공급자(10)는 소비자(30)의 스마트 폰을 통하여 대칭키 값에 대한 조회 요청이 접수되면, 데이터베이스(12)에서 대응하는 대칭키를 해독하고 전자기기 식별정보를 소비자(30)의 스마트 폰에 전자기기 상품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소비자(30)는 구매한 전자기기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NFC Tag를 자신의 스마트 폰으로 태깅하거나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스마트 폰에 표시된 전자기기 식별정보에 의해 구매한 전자기기의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데이터베이스(12)는 대칭키 값(12a), 전자기기 식별정보 (12b), 판매자 정보(12c), 소유권 등록 정보(12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칭키 값(12a)은 URL/암호화/복호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 상품 종류 및 순번에 의해 유니크한 식별코드로 결정되고, 전자기기 식별코드 정보는 서비스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 코드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 식별정보(12b)는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판매자 정보(12c)는 제조사명, 판매자명,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유권 등록정보(12d)는 대칭키가 부여된 전자기기 상품 구매자, 즉 소유권자의 소유권 등록일자, 소유권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전화번호, 주소(위치정보)/전자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 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 식별정보는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시?스 동작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기기 식별정보를 통한 접속제어 방법은 판매자(200)로부터 전자기기 식별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수에 따른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진 전자기기 정보 대칭키 값들을 생성한다. 생성된 대칭키 값을 각 전자기기 상품에 부여한다.
여기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부여된 대칭키와 관련된 비밀키 그리고 전자기기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어서, 소비자(300)로부터 전자기기 상품 부착물로부터 리드된 대칭키 값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조회된 대칭키 값 정보로 해독한다. 해독된 정보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표시한다.
여기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대칭키 값을 각 전자기기에 부여하는 것은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대칭키 값이 포함된 무선식별태그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대칭키 값의 조회요청은 소비자의 스마트 폰의 NFC 리더기로 전자기기에 부착된 무선식별태그(NFC Tag)를 태깅하거나 카메라로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 수신 확인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대칭키 값의 조회요청이 있을 때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대칭키 값을 통해서만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소비자(300)로부터 대칭키 값의 조회요청이 있을 때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서비스 앱이 소비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서비스 앱을 상기 스마트 폰에 푸쉬하여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소비자로부터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는 전자기기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에 해당되는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이용자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인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및 이용자가 이용할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사용할 인원에 대한 전자기기 식별정보 등록 이후에 그 외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에 대한 대칭키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자의 인증 확인절차 과정을 거쳐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추가 사용 등록 또는 거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한 이후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전자기기 상품 구매 후 자신의 스마트 폰으로 전자기기 상품에 부착된 무선식별태그(NFC Tag)를 태깅하거나 카메라로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을 촬영함으로써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를 스마트 폰으로 받아 볼 수 있고, 동시에 전자기기의 제어를 통한 관리 또는 서비스를 간단하게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편하고 편리하게 전자기기 식별정보 확인과정에 의해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품품질보증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NFC Tag·QR코드·바코드를 사용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은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400)로 연결된 서비스 공급자 서버(100), 판매자 단말(200) 및 소비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공급자 서버(100)는 통신부(110)을 통해 유무선 통신망(400)에 접속되어 복수의 단말들(200, 300)과 통신한다. 서버(100)는 프로세서(120), 회원 데이터베이스(130), 고유키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제조된 WINDOWS 2000, WINDOWS 2008, WINDOWS NT 3.51, WINDOWS NT 4.0, 캘리포니아 쿠퍼티노(Cupertino)의 애플 컴퓨터에 의해 제조된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 시스템의 제어 아래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30, 14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전자기기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전자기기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은 대칭키 생성모듈(120a), 전자기기 등록모듈(120b), 암호/복호화모듈(120c)을 포함하며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생성모듈(120a)은 먼저 판매자로부터 제공된 전자기기 상품정보를 기초로 생성일자/순번/상품분류코드를 포함한 유니크한 전자기기 식별정보 대칭키(12a)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대칭키(12a)는 요청된 전자기기 식별정보 NFC Tag·QR코드의 수에 1:1로 대응하여 생성된다. 대칭키 생성모듈(120a)은 생성된 상품식별정보 대칭키를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하여 상품식별정보 비밀키를 각각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대칭키는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전자기기 상품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URL과 함께 NFC Tag·QR코드에 라이트 된다.
그리고, 전자기기 식별정보 대칭키가 라이트된 NFC Tag·QR코드를 전자기기 상품을 공급하는 판매자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대칭키 생성모듈(120a)은 생성된 대칭키와 전자기기 식별정보 등을 고유키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대칭키 모듈(120a)은 소비자 단말(300)로부터 조회된 고유키를 복호화 하여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로 복원한다.
그리고, 판매자 단말(200)은 입력부(210), 디스플레이(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및 프로세서(250)을 포함한 컴퓨터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컴퓨터 장치는 서버(100)와 네트워크 통신(400)이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또는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200)은 서버(100)와 통신하여 상품식별정보 대칭키 값을 요청하거나 판매된 상품의 전자기기 상품정보 등의 전자기기 식별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소비자 단말(300)은 입력부(310), 디스플레이(320), 통신부(330), NFC 리더기(340), 카메라(370), 저장부(350) 및 프로세서(360)을 포함한 휴대용 컴퓨터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휴대용 컴퓨터 장치는 서버(100)와 네트워크 통신(400)이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 단말(300)은 상품에 부착된 NFC Tag로부터 Tag정보를 리드할 수 있는 NFC 리더기와 QR코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가진 제품이다.
여기서, 소비자 단말(300)은 NFC 리더기 또는 카메라로 리드한 대칭키 값을 서버(100)와 통신하여 조회를 요청하거나 Tag를 태깅 또는 QR코드를 촬영하는 동작에 의해 다른 불편한 입력없이 곧바로 서버(100)에 링크되어 서비스, 즉 소유권 등록, 전자기기 제어/관리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대칭키 값 조회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접속된 단말(300)에 본 발명의 단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단말(300)의 경우에는 서버(100)에서 단말(3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을 푸쉬하여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단말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노인이나 장애인들이 아주 쉽게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서버(100)에서는 단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의 설치가 완료되거나 이미 설치된 경우에는 조회 요청된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고유키 값을 복호화 모듈(미도시))에서 고유키를 사용하여 복호화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내지 도 6 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 고유키 값이 복호화되면 비로소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에 포함된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대칭키가 부여된 전자기기 상품;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대칭키(12 a)가 리드되면 자동으로 전자기기 관리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300); 및 상기 스마트 폰(300)과 통신(400)하는 서버(100)를 구비한다.
야기서, 서버(100)는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여기서, 판매자로부터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요청(321)하면, 요청된 전자기기 수에 따른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진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대칭키(12 a)들을 생성(321 a)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12 a)를 각 전자기기에 부여하고,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부여된 대칭키(12 a)와 관련된 비밀키(322) 그리고 전자기기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323)한다.
여기서, 각 전자기기 상품에 부여된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대칭키(12 a)의 조회요청(326 a)이 접수되면, 조회(324)된 전자기기와 통신9400)할 수 있는 대칭키(12 a)를 관련된 비밀키(140)로 해독(327)하고, 상기 해독된 정보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전자기기 관련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300)에 표시(328)되게 한다.
여기서, 표시된 전자기기 정보(328)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입력(329)하고, 상기 입력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 정보에 연동시켜 데이터베이스(323 a)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품에 부착되는 부착물들은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대칭키 정보(12 a)가 이식된 무선식별태그 또는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이다.
여기서, 스마트 폰(300)으로부터 전자기기 대칭키(12 a)의 조회요청은 소비자의 스마트 폰(300)의 NFC 리더기(340)로 전자기기에 부착된 무선식별태그(NFC Tag)를 태깅하거나 카메라(370)로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전자기기 서비스 앱이 소비자의 스마트 폰(300)에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전자기기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기기 서비스 앱을 상기 스마트 폰(300)에 푸쉬하여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는 전자기기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에 해당되는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이용자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인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및 이용자가 이용할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등록 이후에 그 외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에 해당되는 대칭키(12 a)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자의 인증 확인절차 과정을 거쳐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추가 사용 등록 또는 거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한 이후에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329 a)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330)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동일한 전자기기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NFC Tag·QR 코드가 생성되어 전자기기에 대한 등록/관리/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매체를 스마폰으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제공한다.
여기서. 전자기기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 대칭키(12 a)를 통해서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불법을 통한 접근을 방지한다.
여기서, 전자기기에 해당되는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는 전자기기를 확인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NFC Tag·QR 코드 연산 수단을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디지털 암호데이터로 변환된 대칭키(12 a)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서버(100)에 저장한다.
여기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은 보안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스마트폰(300) 기기 내 별도 영역에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물리적으로 선택 저장할 수 있고, 또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비밀키값(140)을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별도 보안서버에 저장되어 손쉽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자기기 정보가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상품정보를 포함된 NFC Tag·QR 코드를 이용자 스마트폰(300)으로 이용 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비밀키값(140)이 실행되어 관련 상품에 대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전자기기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120 c)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실행한다.
그리고, 전자기기로부터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12 a)를 리드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장치(300)에 있어서는 전자기기로부터 통신(400)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360)를 구비하고, 전자기기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로부터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대칭키가 리드(326)되면 서버(100)에 전자기기와 통신(400)할 수 있는 대칭키의 조회를 요청(326 a)한다.
또한 조회 요청 시 휴대용 단말장치(300) 정보를 서버(100)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전자기기 정보를 디스플레이(320)에 표시(328)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300) 정보와 전자기기 정보에 포함된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 등록할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100)에 상기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할 스마트폰(3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통하여 등록을 요청(329)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가 등록 완료(323 a)되면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리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등록이 완료된 후에 등록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등록 리스트 화면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동작을 하게되면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320)에 표시(328)되어 상기 서버(100)에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전자기기 관련 정보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와 관련된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등 입력할 수 있는 도구들이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서비스 공급자 12 : 데이터베이스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130 : 회원 DB 140 : 고유키 DB
100 : 서버
20 : 전자기기 상품 판매자 200 : 전자장치
210 : 입력부 220 : 디스플레이
230 : 통신부 240 : 저장부
250 : 프로세서
30 : 소비자 300 : 전자장치
310 : 입력부 320 : 디스플레이
330 : 통신부 340 : NFC 리더기
350 : 저장부 360 : 프로세서
370 : 카메라

Claims (26)

  1.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를 활용하여 관련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판매자로부터 전자기기 상품과 통신할 수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요청된 전자기기 수에 따른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진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를 각 상품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부여된 대칭키와 관련된 비밀키와 전자기기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각 전자기기에 부여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의 조회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조회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와 관련된 비밀키로 해독하는 단계;
    상기 해독된 정보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전자기기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전자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접수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 정보에 연동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를 각 상품에 부여하는 것은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가 이식된 무선식별태그를 전자기기 에 부착하거나,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를 포함한 QR 코드가 인쇄된 태그를 전자기기 또는 포장지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대칭키의 조회요청은 소비자의 스마트 폰의 NFC 리더기로 전자기기에 부착된 무선식별태그를 태깅하거나 카메라로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전자기기 서비스 앱이 소비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전자기기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기기 서비스 앱을 상기 스마트 폰에 푸쉬하여 자동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에 해당되는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이용자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인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및 이용자가 이용할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등록 이후에 그 외 다른 사용자가 대칭키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자의 인증 확인절차 과정을 거쳐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추가 사용 등록 또는 거부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한 이후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전자기기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NFC Tag·QR 코드가 생성되어 전자기기 상품에 대한 등록/관리/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매체를 스마폰으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제공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 대칭키를 통해서만 전자기기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불법을 통한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는,
    상기 전자기기를 확인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NFC Tag·QR 코드 연산 수단을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디지털 암호데이터로 변환된 대칭키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은,
    상기 보안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스마트폰 기기 내 별도 영역에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물리적으로 선택 저장할 수 있고, 또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비밀키값을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별도 보안서버에 저장되어 손쉽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정보가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상품정보를 포함된 NFC Tag·QR 코드를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이용 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비밀키값이 실행되어 관련 상품에 대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전자기기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12.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가 부여된 전자기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가 리드되면 자동으로 전자기기 관리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및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하는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판매자로부터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고유 식별 정보 요청을 접수하고, 요청된 전자기기 상품 수에 따른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진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를 각 전자기기에 부여하고,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부여된 대칭키와 관련된 비밀키와 전자기기 상품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각 전자기기에 부여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의 조회요청을 접수하고, 조회된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를 관련된 비밀키로 해독하고, 상기 해독된 정보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전자기기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표시된 전자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접수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 상품 정보에 연동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동작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는 부착물들은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 정보가 이식된 무선식별태그 또는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품질보증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대칭키의 조회요청은 소비자의 스마트 폰의 NFC 리더기로 전자기기에 부착된 무선식별태그를 태깅하거나 카메라로 QR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전자기기 서비스 앱이 소비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전자기기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기기 서비스 앱을 상기 스마트 폰에 푸쉬하여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고유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에 해당되는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이용자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인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및 이용자가 이용할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등록 이후에 그 외 다른 사용자가 대칭키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자의 인증 확인절차 과정을 거쳐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추가 사용 등록 또는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한 이후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18.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전자기기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NFC Tag·QR 코드가 생성되어 전자기기에 대한 등록/관리/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매체를 스마폰으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19.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NFC Tag), QR 코드 대칭키를 통해서만 전자기기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불법을 통한 접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식별 코드인 NFC Tag·QR 코드는,
    상기 전자기기를 확인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NFC Tag·QR 코드 연산 수단을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디지털 암호데이터로 변환된 대칭키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은,
    상기 보안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스마트폰 기기 내 별도 영역에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물리적으로 선택 저장할 수 있고, 또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비밀키값을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별도 보안서버에 저장되어 손쉽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22. 제20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정보가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상품정보를 포함된 NFC Tag·QR 코드를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이용 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비밀키값이 실행되어 관련 상품에 대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전자기기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23. 전자기기로부터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를 리드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는 전자기기로부터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전자기기 부착 또는 제공되는 무선식별태그, QR 코드로부터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가 리드되면 서버에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칭키의 조회를 요청하고, 또한 조회 요청시 휴대용 단말장치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전자기기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 정보와 전자기기 정보에 포함된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 등록할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할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통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가 등록 완료되면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등록이 완료된 후에 등록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고, 등록 리스트 화면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동작을 하게되면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상기 서버에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전자기기를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기기와 관련된 상품분류정보, 제품정보, On/Off 제어정보, 타이머 기능정보, 페어링정보, 통신 방식정보, 사용자정보, 사용할 인원에 대한 식별정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등 입력할 수 있는 도구들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26. 제23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한 이후에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가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확인만으로 전자기기 상품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도록 등록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장치.
KR1020170086877A 2017-07-09 2017-07-09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6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877A KR20190006155A (ko) 2017-07-09 2017-07-09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877A KR20190006155A (ko) 2017-07-09 2017-07-09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155A true KR20190006155A (ko) 2019-01-17

Family

ID=6527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877A KR20190006155A (ko) 2017-07-09 2017-07-09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1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801A (ko) * 2020-04-09 2021-10-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제품의 소유권을 거래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333B1 (ko) 2014-04-25 2015-11-10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IoT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설정모듈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 방법
KR101680144B1 (ko) 2015-06-26 2016-11-29 쓰리에이로직스(주) 집적 회로와 이의 작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nfc 기반 센싱 시스템
KR101688813B1 (ko) 2016-04-18 2016-12-22 (주)케이사인 IoT 기기와 소유자 사이의 관계 확립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333B1 (ko) 2014-04-25 2015-11-10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IoT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설정모듈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 방법
KR101680144B1 (ko) 2015-06-26 2016-11-29 쓰리에이로직스(주) 집적 회로와 이의 작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nfc 기반 센싱 시스템
KR101688813B1 (ko) 2016-04-18 2016-12-22 (주)케이사인 IoT 기기와 소유자 사이의 관계 확립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oT 기기와 소유자 사이의 관계 확립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IoT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설정모듈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 방법
집적 회로와 이의 작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NFC 기반 센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801A (ko) * 2020-04-09 2021-10-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제품의 소유권을 거래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3699B2 (en) Open registry for identity of things
US11107088B2 (en) Open registry for internet of things
US9842234B2 (en) RFID tag authentication system
US9280770B2 (en) Secure point of sale presentation of a barcode at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US101525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nd providing secured access to encrypted global identities embedded in a QR code
US20200234015A1 (en) Networked computer system for remote rfid device management and tracking
US202201083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ent management by issuers on behalf of cardholders
US11455621B2 (en) Device-associated token identity
US9230133B2 (en) Secure access for sensitive digital information
US118248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login access
US2020000477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trieving lost property
US9742810B2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KR20180123767A (ko) NFC Tag(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이용 방법
US201201976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Ownership of Printed Matter
KR20180127841A (ko)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8150A (ko)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0144A (ko)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155A (ko) 전자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7667A (ko) 상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0605A (ko)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2541B1 (ko) Usim을 이용한 파일보안 서비스 방법
KR20180064684A (ko) NFC Tag 기록매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844694B (zh)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161225B1 (ko) 라이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비스
US20240152828A1 (en) Task management service server capable of performing task management for an electronic terminal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