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654A - 식재료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식재료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654A
KR20180064654A KR1020160164768A KR20160164768A KR20180064654A KR 20180064654 A KR20180064654 A KR 20180064654A KR 1020160164768 A KR1020160164768 A KR 1020160164768A KR 20160164768 A KR20160164768 A KR 20160164768A KR 20180064654 A KR20180064654 A KR 20180064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asing
drive shaft
cutter hous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희 filed Critical 이정희
Priority to KR102016016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654A/ko
Publication of KR2018006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료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방된 상부로 처리물을 받아 수용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으로부터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케이싱의 상부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관통구를 가지고 그 상면에는 관통구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응 위치하는 다수의 축받이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플레이트와, 상하로 개방되며 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올려지되 관통구 및 축받이를 그 내부영역에 수용하는 커터하우징과, 커터하우징의 상부에 씌워지며 절단할 대상물을 받아들여 하부로 유도하는 투입부와, 커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축받이에 지지된 상태로 수동 조작되어 투입부를 통해 하강한 대상물을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 파트가 체결용 부속으로 조립된 것이 아니므로 수시로 분해가 가능하여, 그만큼 내부 청소가 간편하고 필요시 일광 소독은 물론 자외선 소독도 할 수 있어 항상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 할 수 있고, 쌍을 이루는 블레이드디스크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므로 블레이드디스크의 쉐어링(shearing) 효과가 뛰어나 전체적인 절단 효율이 좋다.

Description

식재료 절단장치{Food material cut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각종 식재료를 세절하는데 사용하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시로 분해 세척이 가능하고, 수거함을 가져 절단된 결과물을 바로 꺼낼 수 있는 식재료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건강 장수를 중요시하는 웰빙 문화의 보편화에 편승하여 몸에 유익한 음식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그에 따라 가령 야채를 포함한 다양한 자연식품을 포함하는 요리 레시피가 제안되고 있다.
다른 식재료와 마찬가지로 야채를 요리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준비된 야채를 다양한 크기로 절단하는 작업이 요구될 경우가 많다. 가령, 대파나 부추 등의 야채는 음식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절단되어야 한다. 그런데, 요리에 경험이 별로 없는 사람의 경우, 대게 다발을 이루는 대파나 부추 등을 신속하고 깔끔하게 절단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여 보다 쉽고 빠르며 힘들이지 않도록 야채를 절단하기 위한 여러 조리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에는, 가령, 동력식 절단기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절단장치는 모터의 힘에 의해 회전하는 고속 칼날을 가지며 쉽고 빠른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동력식 절단기는 어디까지나 전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장치가 크고 무겁다는 문제는 차치 하더라도, 사용이 부담스럽고 특히 습기가 많은 주방에서 사용하기에는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가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의 힘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히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한 절단 수단으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57064호(주방용 식품 절단기)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상기 식품 절단기는, 투입구를 가진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칼날유닛과, 상기 칼날유닛을 회전시키는 작동로드와,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식품 절단기는, 케이싱을 분해할 수 없어,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칼날유닛의 세척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케이싱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를 통해 세척수를 분사 한다 하더라도, 칼날유닛의 사이사이에 수압을 도달 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세척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칼날유닛의 틈새에 식품의 찌꺼기가 남게 되면 악취가 발생함은 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곰팡이나 세균 또는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이 서식하게 되어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각 파트가 체결용 부속으로 조립된 것이 아니므로 수시로 분해가 가능하여, 그만큼 내부 청소가 간편하고 필요시 일광 소독은 물론 자외선 소독도 할 수 있어 항상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 할 수 있는 식재료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쌍을 이루는 블레이드디스크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므로 블레이드디스크의 쉐어링(shearing) 효과가 뛰어나 전체적인 절단 효율이 좋은 식재료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재료 절단장치는, 상부로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처리물을 받아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케이싱의 상부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관통구를 가지고, 그 상면에는 상기 관통구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응 위치하는 다수의 축받이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플레이트와; 상하로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올려지되 상기 관통구 및 축받이를 그 내부영역에 포함하는 커터하우징과; 상기 커터하우징의 상부에 씌워지며 절단할 대상물을 받아들여 하부로 유도하는 투입부와; 상기 커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축받이에 지지된 상태로 수동 조작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해 하강한 대상물을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축받이에 양단부가 걸쳐져 지지된 상태로 관통구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한 구동축 및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구동축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다수의 제 1블레이드디스크와, 상기 종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그 일부가 상기 제 1브레이드디스크와 접하는 디스크형 부재로서, 종동축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제 1블레이드와 더불어 대상물을 절단하는 다수의 제 2블레이드디스크와,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동력이음하는 전동수단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며 커터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회전토오크를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구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호 대향하는 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에 그 일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블레이드디스크의 사이와, 제 2블레이드디스크의 사이로 진입하여, 제 1,2블레이드디스크에 붙어있는 처리물을 제 1,2블레이드디스크로부터 떼어내는 다수의 스위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터하우징의 내부에는, 커터하우징이 받침플레이트 상부에 정위치될 때, 상기 스위퍼를 지지대측으로 하향 가압하는 누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는, 처리물을 수용하며 사용자에 의해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서랍형 수거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에는, 절단 작업시 제 1,2블레이드디스크의 상호간의 밀착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과 제 1,2블레이드디스크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 1,2블레이드디스크를 탄력 가압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식재료 절단장치는, 각 파트가 체결용 부속으로 조립된 것이 아니므로 수시로 분해가 가능하여, 그만큼 내부 청소가 간편하고 필요시 일광 소독은 물론 자외선 소독도 할 수 있어 항상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쌍을 이루는 블레이드디스크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므로 블레이드디스크의 쉐어링(shearing) 효과가 뛰어나 전체적인 절단 효율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커팅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커팅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커팅부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장치(11)는, 각 파트가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속을 통해 조립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적층되거나 끼움 결합한 구조를 가지므로 분해가 매우 간단하다. 이와같이 분해 조립이 용이하므로 가정 주부라도 쉽게 분해하여 내부 청소는 물론 살균과 건조를 수행할 수 있어 청결하게 관리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장치(11)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장치(11)는, 상부로 개방된 박스형 케이싱(25)과, 상기 케이싱(25)의 상부에 놓여지는 커터지지부(21)와, 상기 커터지지부(21)에 걸쳐져 지지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커팅부(29)와, 상기 커팅부(29)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커터히우징(17)과, 상기 커터하우징(17)의 상부를 커버하며 호퍼(13)를 갖는 투입부(1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먼저, 상기 케이싱(25)은 내부공간(25c)을 가지는 사각 박스형 부재로서 수거함(25a)을 갖는다. 상기 수거함(25a)은 내부공간(25c)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커팅부(29)에 의해 절단되어 낙하한 처리물(절단이 이루어진 식재료)을 받아 수용하는 서랍형 용기로서, 그 전면에 손잡이(25b)를 갖는다. 식재료의 절단 작업 후 상기 손잡이(25b) 당기면 수거함(25a)이 내부공간(25c)으로부터 인출되어 처리물을 쉽게 꺼낼 수 있다. 상기 케이싱(25)이나 수거함(25a)의 용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25)은 스텐레스스틸이나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강화유리나 아크릴 등을 적용하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상기 커터지지부(21)는, 그 테두리부가 상기 케이싱(25)의 네 벽면의 상단부에 올려져 수평을 이루는 판상부재이다. 특히 상기 커터지지부(21)는 케이싱(25)의 상단부에 단지 걸쳐지는 것이며 어떠한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속을 통해 케이싱(25)에 조립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마치 상자의 상부에 씌워지는 뚜껑과 같은 것이다.
당연히, 커터지지부(21)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케이싱(25)으로부터 커터지지부(21)가 분해되어 내부공간(25c)이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커터지지부(21)는, 그 중앙부에 관통구(21b)를 갖는 받침플레이트(21a)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1a)의 상면에 고정되는 네 개의 축받이(21d)와, 두 개의 지지대(2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받이(21d)는, 후술할 구동축(29c)과 종동축(29g)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각 쌍을 이루는 축받이(21d)는 관통구(21b)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축받이(21d)에 양단부가 걸쳐 지지되는 구동축(29c) 및 종동축(29g)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며 상호 평행하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축받이(21d)의 상단부에는 반원형홈(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구동축(29c)과 종동축(29g)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상기 구동축(29c) 및 종동축(29g)은 반원형홈에 수용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21c)는, 커팅부(29)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판상부재로서, 관통구(21b)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한다. 특히 상기 지지대(21c)의 상단부에는 고정홈(21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21e)은 스위퍼(29b)의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홈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축받이(21d)와 지지대(21c)는 받침플레이트(21a)에 대해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팅부(29)는 호퍼(13)를 통해 투입된 절단대상물을 받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축(29c) 및 종동축(29g)에 끼워지는 다수의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와, 구동기어(29e)와 종동기어(29f)와, 핸들(29d)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29c)은 일측 축받이(21d)에 그 양단부가 올려진 샤프트로서 그 일단부에 핸들(29d)을 갖는다. 상기 핸들(29d)은 일반적인 크랭크형 핸들로서, 구동축(29c)의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벤딩된 구조를 갖는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29d)을 수동으로 돌리면 당연히 구동축(29c)이 축회전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29c)에는, 다수의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와 하나의 구동기어(29e)가 차례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는 그 테두리부에 블레이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형 커팅날로서, 구동축(29c)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29c)의 축회전에 따라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도 동시에 회전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기어(29e)는 구동축(29c)의 회전토오크를 종동축(29g)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계요소로서, 구동축(29c)을 그 중심부로 통과시킨다. 상기 구동기어(29e)는 구동축(29c)의 축회전시 회전하며, 종동축(29g)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종동축(29g)에는, 다수의 제 2블레이드디스크(29z)와, 하나의 종동기어(29f)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2블레이드디스크(29z)는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원판형 커터로서, 종동축(29g)의 축회전과 동시에 회전한다.
특히 상기 제 2블레이드디스크(29z)의 외곽부 일부는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와 접한다. 즉,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의 일부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호 면접하는 것이다.
상기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는 상기와 같이 면접한 상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쉐어링 작용(shearing effect)을 구현한다. 즉,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의 사이로 낙하한 절단 대상물을 (마치 가위가 종이를 자르듯이)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종동기어(29f)는 종동축(29g)에 고정된 기어로서 상기 구동기어(29e)와 치합을 이룬다. 따라서, 당연히, 구동기어(29e)의 회전력이 종동기어(29f)를 통해 종동축(29g)으로 전달된다.
아울러, 각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의 일측부와, 제 2블레이드디스크(29z)의 일측부에는 스위퍼(29b)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퍼(29b)는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 및 제 2블레이드디스크(29z)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에 붙어 있는 처리물을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위퍼(29b)의 구조와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커터하우징(17)은, 상호 직각을 이루며 상하로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이루는 벽부(19d)와, 상기 벽부(19d)의 내부공간을 제 1공간부(17a)와 제 2공간부(17b)로 구획하는 격벽(17c)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터하우징(17)은 그 내부에 커팅부(29)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격벽(17c)은 커터하우징(17)이 받침플레이트(21a)의 상부에 정위치 된 상태로, 상기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를 구동기어(29e) 및 종동기어(29f)로부터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공간부(17a)에는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가 수용되고, 제 2공간부(17b)에는 구동기어(29e) 및 종동기어(29f)가 위치한다.
상기 격벽(17c)의 작용에 의해, 제 1공간부(17a)로 투입된 절단 대상물이, 구동기어(29e) 및 종동기어(29f)가 동작하고 있는 제 2공간부(17b) 측으로 딸려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벽부(17d)의 일부에는 수용홈(17f)과 슬릿(17g)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17f)은 각 축받이(21d)를 수용하는 홈이다. 특히 상기 수용홈(17f)의 내부에는 하향반홈(17k)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향반홈(17k)은 각 축받이(21d)에 올려져 있는 구동축(29c)과 종동축(29g)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반원형 홈이다.
결국 상기 구동축(29c)과 종동축(29g)은, 축받이(21d)와 하향반홈(17k)에 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인 축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커터하우징(17)의 상부에 씌워지는 투입부(12)는, 상부로 넓어지는 형태의 호퍼(13)와, 상기 호퍼(13)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커터하우징(17)의 상부를 차단하는 커버(15)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13)는 절단대상물을 하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장치는, 각 구성요소를 쉽게 분해할 수 있다.
가령, 케이싱(25)으로부터 커터지지부(21)를 들어 올릴 수 도 있고, 커터지지부(21)로부터 커터하우징(17)과 커팅부(29)를 들어 낼 수 도 있는 것이다. 당연히 커터하우징(17)에 씌워져 있는 투입부(12)도 커터하우징(17)으로부터 들어 올려 분해할 수 있다. 이와같이 각 구성요소들이 별도의 체결부속(볼트나 너트 또는 각종 나사 등)을 통해 조립된 것이 아니므로, 장치를 수시로 분해하여 내부 청소 및 살균 건조를 얼마든지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커팅부(29)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커팅부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의 측부에 스위퍼(29b)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스위퍼(29b)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그 일부가 상기 고정홈(21e)에 끼워진 상태로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의 일측면에 접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스위퍼(29b)는 지지대(21c)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스위퍼(29b)에는 축구멍(29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구멍(29h)은 구동축(29c)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상기 축구멍(29h)의 내주면은 구동축(29c)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결국 상기 스위퍼(29b)는, 지지대(21c)에 지지된 상태로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의 일측면 중앙부에 근접 또는 면접하며, 커팅작업시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의 측면에 붙는 처리불을 떼어내는 작용을 한다.
특히 상기 스위퍼(29b)의 일부분 즉, 상기 고정홈(21e)에 끼워지는 부분은, 상기 누름부(도 2의 17e)에 의해 하향 가압된다. 이와같은 누름부(17e)의 작용에 의해 스위퍼(29b)는 안정된 자세를 취하며 본연의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부(17e)를 제거할 경우 지지대(21c)로부터 스위퍼(29b)를 분리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각 제 2블레이드디스크(29z)의 측부에도 스위퍼(29b)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퍼(29b)는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에 적용되는 스위퍼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즉, 제 2블레이드디스크(29z)에 붙어 있는 처리물을 떼어내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커팅부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구동축(29c) 및 종동축(29g)에 다수의 고정링(31)과 스프링(33)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31)은, 구동축(29c) 및 종동축(29g)에 채워진 걸림부재로서, 상기 제 1블레이드디스크(29a) 및 제 2블레이드디스크(29z)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31)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3)은 고정링(31)과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로서,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를 화살표 f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이러한 고정링(31)과 스프링(33)의 작용에 의해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는 보다 안정적으로 면접한 상태로 커팅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장치(11)를 이용해 원하는 식재료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준비된 식재료를 상기 호퍼(13)를 통해 커터하우징(17)의 내부로 투입한다.
상기 투입과정이 완료되었다면, 핸들(29d)을 도 1의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핸들(29d)을 상기와 같이 회전시킴에 따라,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투입되어 있는 식재료를 순차적으로 절단하며 하부로 내려 보낸다.
상기 제 1,2블레이드디스크(29a,29z)에 의해 절단된 처리물은 수거함(25a)에 모이며, 사용자는 상기한 절단작업을 완료한 후 수거함(25a)을 인출하여 처리물을 꺼낸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절단장치 12:투입부 13:호퍼
15:커버 17:커터하우징 17a:제 1공간부
17b:제 2공간부 17c:격벽 17d:벽부
17e:누름부 17f:수용홈 17g:슬릿
17k:하향반홈 21:커터지지부 21a:받침플레이트
21b:관통구 21c:지지대 21d:축받이
21e:고정홈 25:케이싱 25a:수거함
25b:손잡이 25c:내부공간 29:커팅부
29a:제 1블레이드디스크 29b:스위퍼 29c:구동축
29d:핸들 29e:구동기어 29f:종동기어
29g:종동축 29h:축구멍 29z:제 2블레이드디스크
31:고정링 33:스프링

Claims (6)

  1. 개방된 상부로 처리물을 받아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케이싱의 상부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관통구를 가지고, 그 상면에는 상기 관통구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응 위치하는 다수의 축받이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플레이트;
    상하로 개방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올려지되 상기 관통구 및 축받이를 그 내부영역에 수용하는 커터하우징;
    상기 커터하우징의 상부에 씌워지며 절단할 대상물을 받아들여 하부로 유도하는 투입부; 및
    상기 커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축받이에 지지된 상태로 수동 조작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해 하강한 대상물을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축받이에 양단부가 걸쳐져 지지된 상태로 관통구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한 구동축 및 종동축;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구동축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다수의 제 1블레이드디스크;
    상기 종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그 일부가 상기 제 1블레이드디스크와 접하는 디스크형 부재로서, 종동축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제 1블레이드디스크와 더불어 대상물을 절단하는 다수의 제 2블레이드디스크;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동력이음하는 전동수단; 및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며 커터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회전토오크를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절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구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호 대향하는 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에 그 일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블레이드디스크의 사이와, 제 2블레이드디스크의 사이로 진입하여, 제 1,2블레이드디스크에 붙어있는 처리물을 제 1,2블레이드디스크로부터 떼어내는 다수의 스위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절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하우징의 내부에는, 커터하우징이 받침플레이트 상부에 정위치될 때, 상기 스위퍼를 지지대측으로 하향 가압하는 누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절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처리물을 수용하며 사용자에 의해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서랍형 수거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절단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에는, 절단 작업시 제 1,2블레이드디스크의 상호간의 밀착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과 제 1,2블레이드디스크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 1,2블레이드디스크를 탄력 가압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절단장치.

KR1020160164768A 2016-12-06 2016-12-06 식재료 절단장치 KR20180064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768A KR20180064654A (ko) 2016-12-06 2016-12-06 식재료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768A KR20180064654A (ko) 2016-12-06 2016-12-06 식재료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54A true KR20180064654A (ko) 2018-06-15

Family

ID=6262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768A KR20180064654A (ko) 2016-12-06 2016-12-06 식재료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6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801B1 (ko) 2021-02-22 2022-04-18 신동철 대파 절단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973Y1 (ko) * 1989-04-14 1991-03-30 김일태 파 세절기
JPH10244487A (ja) * 1997-02-28 1998-09-14 Hagiwara Kogyo Kk カッター装置
JP2004322302A (ja) * 2003-04-22 2004-11-18 Hirano Seisakusho:Kk 食品千切り器
KR200457064Y1 (ko) * 2009-09-18 2011-12-02 백남수 주방용 식품 절단기
KR20130075134A (ko) * 2011-12-27 2013-07-05 웅진식품주식회사 홍삼 절단기
KR200467929Y1 (ko) * 2012-01-20 2013-07-23 강경원 식재료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973Y1 (ko) * 1989-04-14 1991-03-30 김일태 파 세절기
JPH10244487A (ja) * 1997-02-28 1998-09-14 Hagiwara Kogyo Kk カッター装置
JP2004322302A (ja) * 2003-04-22 2004-11-18 Hirano Seisakusho:Kk 食品千切り器
KR200457064Y1 (ko) * 2009-09-18 2011-12-02 백남수 주방용 식품 절단기
KR20130075134A (ko) * 2011-12-27 2013-07-05 웅진식품주식회사 홍삼 절단기
KR200467929Y1 (ko) * 2012-01-20 2013-07-23 강경원 식재료 절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801B1 (ko) 2021-02-22 2022-04-18 신동철 대파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68426B2 (en) Garlic peeler
EP3028828B1 (en) A dicer
US20090139094A1 (en) Coconut Splitting Device
KR102058772B1 (ko) 음식물 삽입 장치를 포함하는, 취사용 가전 기기
US7258289B1 (en) Combination food cutting, storage, and shredder apparatus
WO2018183912A1 (en) Mechanized cubing apparatus
RU2519987C2 (ru) Кух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RO129769A2 (ro) Maşină şi metodă de tăiat carne în cuburi
CN108576777A (zh) 一种基于转动惯性的家庭用辣椒酱初期加工设备
US5738578A (en) Modular food processing assembly
JP2016533773A (ja) 食品の粉砕のための装置
KR20180064654A (ko) 식재료 절단장치
CA2611682A1 (en) Coconut splitting device
KR100782904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기
US8695905B1 (en) Pasteles maker
CN205889342U (zh) 一种食品加工专用的切菜清洗一体机
CN205359154U (zh) 一种果蔬粉碎机
CN204819689U (zh) 一种切菜机
US1907413A (en) Combination kitchen machine
CN112773293A (zh) 厨余再生及水槽洗碗一体机
TWM602861U (zh) 榨汁機
CN207656750U (zh) 自动切菜机
US2931404A (en) Potato peeling device
CH702302A2 (de) Direkt angetriebenes, multifunktionales Rührwerk für Küchenmaschinen.
WO1995029593A1 (en) Modular food process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