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575A -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575A
KR20180064575A KR1020187016016A KR20187016016A KR20180064575A KR 20180064575 A KR20180064575 A KR 20180064575A KR 1020187016016 A KR1020187016016 A KR 1020187016016A KR 20187016016 A KR20187016016 A KR 20187016016A KR 20180064575 A KR20180064575 A KR 20180064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bile terminal
camera
user
preset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183B1 (ko
Inventor
지 딩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6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이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뷰(view)를 빠르게 캡쳐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제어 모듈, 및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상기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빠르게 뷰를 캡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촬영 경험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TARTING SHOOTING O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점 더 많은 화소를 가진 카메라가 모바일 폰 내부로 통합되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사람들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하여 전용 카메라 대신에 점점 더 모바일 폰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모바일 폰은 잠금 화면 상태에 있다. 진기하거나 특별한 장면 또는 멋진 순간을 볼 때 사진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기 위하여, 모바일 폰 사용자는, 1) 전원 버튼을 눌러 화면을 켜는 단계; 2)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3)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단계; 4) 사진 또는 비디오 촬영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단계; 5) 촬영 범위를 파악하는 단계; 및 6) 촬영 버튼을 누르는 단계를 완료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멋진 뷰(view)는 순간적이고, 모바일 폰 사용자가 사진 또는 비디오 촬영 프로그램을 액세스하는 때 즈음에는 보통 지나가 버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사진 촬영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제어 모듈, 및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상기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제1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계속 누르는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양의 시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제2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촬영을 준비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카메라를 켜서 준비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2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촬영을 수행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2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카메라를 끄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제3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를 켜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을 수행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제4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이 해제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3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디폴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2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3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4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제5 구현 방식에서, 상기 버튼은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제어 모듈은 비디오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제어 모듈은 사진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켠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2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3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4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제6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상기 제어 모듈이 사진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켤 때, 상기 사용자가 하나의 사진을 촬영할지 여부 또는 사전 설정된 양의 사진을 연속 촬영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2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3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4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제7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상기 제어 모듈이 비디오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켠 때부터의 자동 비디오 촬영 지속시간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2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3 구현 방식, 또는 제1 양태의 제4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제8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뷰파인더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의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켜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의 제1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계속 누르는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양의 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구현 방식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의 제2 구현 방식에서,
상기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켜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촬영을 준비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켜져 준비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2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2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이 검출된 때, 상기 카메라를 끄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의 제3 구현 방식에서,
상기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켜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를 켜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의 제4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이 해제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3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디폴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의 제5 구현 방식에서, 상기 버튼은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상기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을 위해 켜지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상기 카메라가 사진 촬영을 위해 켜진다.
전술한 과제 해결수단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유리한 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에서 대기중인 경우, 검출 모듈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가 촬영을 위해 켜짐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멋진 뷰를 빠르게 캡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사진 촬영 경험이 향상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빠르게 뷰(view)를 캡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진 촬영 경험이 향상된다.
당업자가 본 발명에서의 과제 해결수단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과제 해결수단을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일 뿐 전부가 아니다. 당업자가 창의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기의 실시예는,
카메라(101), 제어 모듈, 및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버튼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100)는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고, 제어 모듈은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고 아무런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제어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100)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촬영을 위해 카메라(101)를 켜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튼은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100) 상의 물리적인 버튼이거나 가상의 버튼(virtual button)일 수 있다.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때, 제어 모듈은 사진 촬영 작업 또는 비디오 촬영 작업을 위해 카메라(101)를 켠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에서 대기중인 경우, 검출 모듈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가 켜짐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켜기 위해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복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도 멋진 뷰를 빠르게 캡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진 촬영 경험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또는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양의 시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어 모듈은, 사용자가 버튼을 1.5초 동안 누르고 있는 것을 감지한 때 또는 사용자가 버튼을 두 번 연속 누르고 각각의 버튼을 누른 시간이 1초 또는 1.5초인 것을 감지한 때,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한다. 물론, 전술한 버튼을 누르는 시간의 양 및 연속적으로 버튼을 누르는 횟수는 예시적일 뿐이고 아무런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일부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에는, 카메라를 켜기 위하여 비교적 긴 시간이 필요하다. 빠른 캡쳐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촬영 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카메라를 먼저 켜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카메라가 켜지고 준비된 후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2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를 제어하여 카메라가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어 모듈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2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을 검출하면, 카메라를 끄도록 구성되는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기가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이 촬영을 준비하기 위해 카메라를 켜고, 사용자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5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거나 또는 버튼이 1초 동안 눌린 직후에 버튼이 1초 동안 다시 눌림이 감지된 때까지, 카메라가 촬영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카메라(101)가 켜져서 준비된 후에, 제어 모듈이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5초보다 짧은 것을 검출하거나, 또는 제어 모듈이 버튼이 1초 동안 눌린 직후에 버튼이 1초 동안 다시 눌리지 않은 것을 감지하면, 카메라가 꺼진다. 물론, 제1 사전 설정 조건 및 제2 사전 설정 조건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고 아무런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일부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에는, 카메라를 켜는데 비교적 짧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 후,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이 구체적으로, 카메라를 제어하여 켜고 카메라가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잠금이 해제된 후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3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때,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버튼에 대응하는 디폴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버튼은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볼륨 업 버튼(volume up button)이다. 모바일 단말기(100)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경우, 볼륨 업 버튼이 지속적으로 눌리는 지속시간이 2초에 도달하는 때 카메라가 켜질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100)가 잠금이 해제된 후에 볼륨 업 버튼이 눌릴 때마다,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재생되는 사운드의 사전 설정된 볼륨 값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100)의 표면 상에 추가적인 버튼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의 표면 상의 기존의 버튼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빠르게 켤 수 있으며, 아무런 실질적인 비용도 추가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버튼은 제1 버튼(103a) 및 제2 버튼(103b)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1 버튼(103a)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위해 카메라(101)를 켜고, 사용자가 제2 버튼(103b)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은 사진 촬영 작업을 위해 카메라(101)를 켠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 버튼(103a)은 볼륨 업 버튼이고, 제2 버튼(103b)은 볼륨 다운 버튼(volume down button)이다. 비디오 촬영 작업이 수행되기 시작한 후에 제2 버튼(103b)이 사용자에 의해 다시 눌린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카메라를 끄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실제 적용 예에서, 상기 버튼은 하나의 버튼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를 제어하여 켜고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어 모듈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4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를 제어하여 켜고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이 카메라를 켜서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준비하도록 하고, 제2 사전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 때, 제어 모듈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제2 사전 설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카메라를 끄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4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이 카메라를 켜서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준비하도록 하고, 제5 사전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 때 제어 모듈이 카메라를 제어하여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제5 사전 설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카메라를 끄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예에서의 사진 촬영 작업 및 비디오 촬영 작업을 위한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하였으나 1.5초보다 짧은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이 카메라를 제어하여 켜고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자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2초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이 카메라를 제어하여 켜고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또는, 사용자가 계속해서 버튼을 누르는 지속시간이 0.5초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이 카메라를 켜서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준비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계속 버튼을 누르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하였으나 1.5초보다 짧은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를 제어하여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0.5초에 도달하였으나 1초에 도달하지 않은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를 끈다.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2초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제어 모듈은 카메라를 켜서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준비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2.5초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를 제어하여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2초에 도달하였으나 2.5초에 도달하지 않은 것을 검출하면, 카메라를 끈다. 또한,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 수행을 시작한 후에,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다시 눌린 것을 검출한 때, 카메라를 끄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사전 설정 조건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고 아무런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에는, 제어 모듈이 사진 촬영을 위해 카메라(101)를 켤 때, 사용자가 하나의 사진을 촬영할지 여부 또는 사전 설정된 양의 사진을 연속 촬영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에는, 제어 모듈이 비디오 촬영을 위해 카메라(101)를 켠 때부터의 자동 비디오 촬영 지속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카메라(101)는 켜진 이후에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촬영을 수행한 후에 자동적으로 꺼진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에는,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버튼을 누르자마자 카메라를 켜는 기능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빠르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제어 모듈이 카메라(101)를 켜면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107)을 켜도록 구성되어 있고, 표시 화면은 카메라(101)에 의해 캡쳐된 뷰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촬영될 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제어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을 켜는 것이 생략될 수 있으며, 대신에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뷰파인더(105)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뷰파인더(105)를 이용하여 촬영될 뷰를 캡쳐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카메라가 켜져 촬영 작업을 수행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의 전원 버튼을 누름으로써 화면이 밝아지고, 공통 촬영 모드가 이 표시 화면을 이용하여 진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을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진 촬영 작업을 위해 또는 비디오 촬영 작업 수행을 시작하기 위해 카메라를 켜는 경우,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사운드를 내거나 또는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301: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의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한다.
모바일 단말기는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다른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다.
302: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켠다.
버튼은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의 물리적인 버튼이거나 가상의 버튼일 수 있다.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때,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 또는 비디오 촬영 작업을 위해 켜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경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감지된 때, 카메라가 촬영을 위해 켜짐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멋진 뷰를 빠르게 캡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진 촬영 경험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에는, 제어 모듈이 사진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켜는 때, 사용자가 하나의 사진을 촬영할지 여부 또는 사전 설정된 양의 사진을 연속 촬영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을 위해 켜진 후에 사용자가 자동 비디오 촬영 지속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어 모듈은, 비디오 촬영을 위해 카메라(101)가 켜진 때부터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촬영을 수행한 후에 자동적으로 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에는,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버튼을 누르자마자 카메라를 켜는 기능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빠르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 화면이 카메라가 켜지면서 켜질 수 있으며, 이로써 표시 화면은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뷰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촬영할 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카메라가 켜지면서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켜는 것이 생략될 수 있고, 대신에 모바일 단말기에는 뷰파인더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이용하여 촬영할 뷰를 캡쳐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카메라가 켜져 촬영 작업을 수행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의 전원 버튼을 누름으로써 화면이 밝아지고, 공통 촬영 모드가 이 표시 화면을 이용하여 진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을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위하여 또는 비디오 촬영 작업 수행을 시작하기 위하여 켜지는 때, 모바일 단말기가 사운드를 내거나 또는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하도록 추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401: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의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한다.
402: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또는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양의 시간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켠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을 1.5초 동안 누르는 것이 감지된 때, 또는 사용자가 버튼을 두 번 연속 누르고 각각의 버튼을 누른 시간이 1초 또는 1.5초인 것이 감지된 때, 카메라가 촬영을 위해 켜진다. 물론, 전술한 버튼을 누르는 시간의 양 및 연속적으로 버튼을 누르는 횟수는 예시적일 뿐이고 아무런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501: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의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한다.
502: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를 켜서 촬영을 준비한다.
503: 카메라가 켜져 준비된 후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2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2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를 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져 촬영을 위해 준비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5초에 도달하거나 또는 버튼이 1초 동안 눌린 직후에 버튼이 1초 동안 다시 눌린 것이 감지된 때, 카메라가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카메라가 켜져 준비된 후에,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5초보다 짧은 것이 감지되거나 또는 버튼이 1초 동안 눌린 직후에 버튼이 1초 동안 다시 눌리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카메라가 꺼진다. 물론, 제1 사전 설정 조건 및 제2 사전 설정 조건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고 아무런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별 동작을 통해, 비교적 느리게 시작하는 카메라가 보다 일찍 켜져 빠른 캡쳐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일부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에는, 카메라를 켜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 후,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지고 카메라가 촬영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601: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의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한다.
602: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켠다.
603: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이 해제된 경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3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때,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디폴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버튼은 전원 버튼이다.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경우, 전원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계속 눌리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촬영을 위해 켜지고;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이 해제된 경우, 전원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계속 눌리는 지속시간이 2초에 도달한 때, 모바일 단말기가 전원이 꺼지도록 제어된다. 물론, 전술한 버튼 선택 및 제1 사전 설정 조건과 제3 사전 설정 조건은 예시적일 뿐이고 아무런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제1 사전 설정 조건 및 제3 사전 설정 조건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의 표면 상에 추가적인 버튼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의 표면 상의 기존의 버튼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빠르게 켤 수 있으며, 아무런 실질적인 비용도 추가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701: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모바일 단말기의 하우징 상의 제1 버튼 및 제2 버튼에 대한 감지를 별도로 수행한다.
702: 사용자의 제1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비디오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켜고, 사용자의 제2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사진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켠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 버튼은 볼륨 업 버튼이고, 제2 버튼은 볼륨 다운 버튼이다. 비디오 촬영 작업 수행이 시작된 후에, 제2 버튼이 사용자에 의하여 다시 눌린 것이 감지된 때, 카메라가 추가적으로 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버튼은 사진 촬영 작업 및 카메라의 비디오 촬영 작업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사용자는 빠른 캡쳐를 위해 더 편리하게 카메라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실제 적용 예에서, 상기 버튼은 하나의 버튼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져 사진 촬영 작업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4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져 비디오 촬영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져 사진 촬영 작업을 위해 준비하고, 제2 사전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 때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제2 사전 설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카메라가 꺼지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4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져 비디오 촬영 작업을 위해 준비하고, 제5 사전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 때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제5 사전 설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카메라가 꺼지는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예에서 설명된 사진 촬영 작업 및 비디오 촬영 작업에 대한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하였으나 1.5초보다 짧은 것이 검출된 때, 사진 촬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카메라가 켜지고,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2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지고 비디오 촬영 작업을 수행한다. 또는,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0.5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켜지고;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하였으나 1.5초보다 짧은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사진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며;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0.5초에 도달하였으나 1초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 검출되면, 카메라가 꺼진다.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2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져 비디오 촬영 작업을 준비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2.5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며; 사용자가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2초에 도달하였으나 2.5초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 검출되면, 카메라가 꺼진다. 또한,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 수행을 시작한 후에,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다시 눌린 것이 감지된 때, 카메라는 추가적으로 꺼질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사전 설정 조건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고 아무런 제한도 부과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실제 적용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모바일 폰의 하우징 상에는 볼륨 업 버튼 및 볼륨 다운 버튼을 포함하는 두 개의 물리적인 버튼, 카메라, 및 뷰파인더가 제공된다. 모바일 폰에서의 설정 옵션을 이용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때,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자마자 카메라를 빠르게 켜는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카메라가 사진 촬영을 위해 켜지는 때 3개의 사진이 연속 촬영되는 것을 설정할 수 있으며,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을 위해 켜진 후에 자동 비디오 촬영 지속시간을 2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모바일 폰이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중인 경우, 볼륨 업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계속 눌리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지고, 볼륨 업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계속 눌리는 전체 지속시간이 1.5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3개의 사진을 연속 촬영하도록 제어되며, 모바일 폰이 사운드를 내거나 또는 진동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하도록 제어된다.
볼륨 다운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계속 눌리는 지속시간이 1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켜지고; 볼륨 다운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계속 눌리는 전체 지속시간이 1.5초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는 비디오 촬영 작업 수행을 시작하도록 제어되고, 모바일 폰이 사운드를 내거나 또는 진동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하도록 제어되며, 카메라는 20분의 비디오 촬영 이후에 자동적으로 꺼질 수 있다. 카메라가 비디오 촬영 작업 수행을 시작한 후 20분 이내에 사용자가 볼륨 다운 버튼을 다시 누르는 것이 검출된 때, 카메라가 꺼지고 비디오 촬영 작업이 활성화된다.
전술한 카메라 촬영 프로세스에서,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뷰는, 모바일 폰의 뷰파인더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뷰이다.
모바일 폰의 잠금이 해제된 후에, 볼륨 업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린 것이 검출된 때마다, 모바일 폰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운드의 사전 설정된 볼륨 값이 증가되고; 볼륨 다운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린 것이 검출된 때마다, 모바일 폰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운드의 사전 설정된 볼륨 값이 감소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과제 해결수단의 사상 및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설명된 과제 해결수단에 대해 여전히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과제 해결수단의 일부 기술적인 특징에 대해 등가의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모바일 단말기로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되면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버튼을 포함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를 켜고(turn on),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촬영을 수행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 여기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할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진동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 ,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이 해제된 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3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때,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디폴트 기능을 구현하게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계속 누르는 횟수의 양이 사전 설정된 횟수의 양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디폴트 기능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값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 버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비디오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고,
    사용자가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사진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하나의 사진을 촬영하지 또는 연속으로 사진을 촬영할지의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옵션이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프로세서가 비디오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켠 때부터의 자동 비디오 촬영 지속시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설정 옵션이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뷰파인더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
  10.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되면서 버튼을 포함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 화면 상태로 대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버튼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켜고(turn on),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때, 촬영을 수행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할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진동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 ;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잠금이 해제된 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3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때,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디폴트 기능을 구현하게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계속 누르는 지속시간이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에 도달한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계속 누르는 횟수의 양이 사전 설정된 횟수의 양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상기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제2 버튼을 추가로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비디오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제2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제1 사전 설정 조건을 만족한 것을 검출한 때, 사진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를 켜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디폴트 기능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값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운드의 볼륨값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KR1020187016016A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KR101907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90445 WO2015096067A1 (zh) 2013-12-25 2013-12-25 一种移动终端和启动移动终端拍摄的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151A Division KR101867445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753A Division KR102026426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575A true KR20180064575A (ko) 2018-06-14
KR101907183B1 KR101907183B1 (ko) 2018-10-11

Family

ID=5347734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753A KR102026426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KR1020167013676A KR101790679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KR1020187016016A KR101907183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KR1020197027815A KR102131733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KR1020177030151A KR101867445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753A KR102026426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KR1020167013676A KR101790679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815A KR102131733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KR1020177030151A KR101867445B1 (ko) 2013-12-25 2013-12-25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9787814B2 (ko)
EP (2) EP3057295B1 (ko)
JP (1) JP6321796B2 (ko)
KR (5) KR102026426B1 (ko)
CN (4) CN106843578B (ko)
AU (2) AU2013409341B2 (ko)
BR (1) BR112016014905B1 (ko)
ES (1) ES2707325T3 (ko)
RU (1) RU2651265C2 (ko)
WO (1) WO20150960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79A1 (ko) * 2022-07-01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에 대응하는 픽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059B1 (ko) * 1997-04-10 1999-10-01 정수웅 슬러지를 원료로 한 황산제일철의 제조방법
EP3057295B1 (en) * 2013-12-25 2018-10-24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tarting shooting of mobile terminal
CN106708393B (zh) * 2015-07-13 2020-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移动设备息屏状态下功能的快捷启动方法和装置
WO2017051312A1 (en) * 2015-09-21 2017-03-30 Discovery Limited A method of enabling a lock button of a mobile device with an ios operating system to be used by a user to effect an action
CN105760731A (zh) * 2016-01-25 2016-07-1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启动应用程序的方法及移动终端
KR20180023310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928652B2 (ja) * 2017-06-28 2021-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450950B (zh) * 2017-07-31 2021-03-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启动指令处理方法及装置
CN108710468A (zh) * 2018-04-27 2018-10-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040351B (zh) * 2018-06-12 2020-07-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8924363A (zh) * 2018-07-17 2018-11-30 佛山市灏金赢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摄像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162017B1 (ko) * 2018-10-02 2020-10-06 주식회사 청출어람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조물 안전 진단하기 위한 촬영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00191368A1 (en) * 2018-12-18 2020-06-18 Toniesha Teshell Reed Built in pop up 360 degree swivel tri-LED light for smartphone/tablet
US10594856B1 (en) 2019-06-27 2020-03-17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Immediate-mode camera for portable personal electronic devices
CN111373734B (zh) * 2019-06-27 2021-08-2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便携式个人电子设备的即时模式相机
CN111163260B (zh) * 2019-12-20 2021-1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启动方法及电子设备
CN112356665B (zh) * 2020-10-19 2022-02-18 山东派蒙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油门防误踩的方法及系统
CN112261489A (zh) * 2020-10-20 2021-01-2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生成视频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JP7149549B2 (ja) 2020-10-27 2022-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
JP2021028980A (ja) 2020-10-27 2021-0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3571A1 (en) * 2011-03-08 2012-09-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ick access to media functions from a locked screen
KR20130093071A (ko) * 2010-07-09 2013-08-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잠금-위 카메라 액세스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2880A (en) * 1989-05-29 1992-06-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still camera with lessened power consumption
JP4366746B2 (ja) 1999-01-28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0307920A (ja) 1999-04-21 2000-11-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US20010033243A1 (en) * 2000-03-15 2001-10-25 Harris Glen Mclean Online remote control configuration system
JP2002051313A (ja) 2000-08-03 2002-02-15 Minolta Co Ltd 通信装置及び携帯型通信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2005121842A (ja) 2003-10-15 2005-05-12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これを用いた特殊撮影方法
DE60315845T2 (de) 2003-12-01 2008-05-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Kamera zur Aufnahme einer Bildsequenz
RU2357376C2 (ru) * 2003-12-01 2009-05-27 Сони Эрикссон Мобайл 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Аб Камера для записи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изображений
JP2005191991A (ja) 2003-12-26 2005-07-14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JP2005277737A (ja) 2004-03-24 2005-10-06 Hitachi Ltd カメラ付き携帯電子機器
KR100571639B1 (ko) * 2004-07-23 2006-04-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촬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촬영 방법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TWI375451B (en) * 2007-11-08 2012-10-21 Htc Corp Method for displaying speed dial information and device using the method
CN101370201A (zh) * 2008-08-20 2009-02-18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省电的方法
US20100178957A1 (en) * 2009-01-13 2010-07-15 Chao Chen Mobile device having an impact resistant input
KR101537706B1 (ko) 2009-04-16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19704A1 (en) 2010-07-26 2012-01-26 Levey Charles I Automatic digital camera photography mode selection
JP5743512B2 (ja) 2010-12-02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CN102779027B (zh) * 2011-05-09 2016-08-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即时通信软件实现屏幕截取的方法及装置
CN103024258B (zh) * 2011-09-28 2016-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快速拍摄方法及电子设备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934291B1 (ko) 2012-01-02 2019-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2594984A (zh) * 2012-02-06 2012-07-18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移动终端的快速拍照的系统和方法
CN103312876A (zh) * 2012-03-13 2013-09-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和移动终端快速拍照实现方法
CN103327160A (zh) * 2012-03-19 2013-09-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及其拍照拍摄控制方法
CN103369117A (zh) * 2012-04-01 2013-10-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在锁定状态下的拍照方法
US9448813B2 (en) 2012-05-24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try points to image-related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JP2012257324A (ja) 2012-09-03 2012-12-27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無線通信端末
CN103019542A (zh) * 2012-11-28 2013-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锁屏界面快速拍照的方法
CN103002152B (zh) 2012-12-06 2015-09-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连续拍照方法及装置
CN203151568U (zh) 2013-01-28 2013-08-21 刘树亮 一种具有一键开启摄像功能的手机
CN203070267U (zh) * 2013-01-31 2013-07-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快速进入拍照模式的触摸屏设备
CN203120024U (zh) * 2013-03-11 2013-08-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终端的摄像设备
US20140333591A1 (en) * 2013-05-09 2014-11-13 Cynthia Sue Bell Salient control element and mobile device with salient control element
CN103402004A (zh) 2013-07-23 2013-11-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启动移动终端多摄像头的方法
CN103442170A (zh) * 2013-08-07 2013-12-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CN103442175A (zh) * 2013-09-02 2013-12-1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移动终端的拍照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EP3057295B1 (en) * 2013-12-25 2018-10-24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tarting shooting of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3071A (ko) * 2010-07-09 2013-08-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잠금-위 카메라 액세스
JP2013534121A (ja) * 2010-07-09 2013-08-29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ロックされたカメラのアクセス
US20120233571A1 (en) * 2011-03-08 2012-09-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ick access to media functions from a locked 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79A1 (ko) * 2022-07-01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에 대응하는 픽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426B1 (ko) 2019-09-27
CN106843578A (zh) 2017-06-13
KR20180112128A (ko) 2018-10-11
EP3057295A4 (en) 2016-11-09
US20170353595A1 (en) 2017-12-07
AU2013409341B2 (en) 2017-08-03
AU2013409341A1 (en) 2016-06-02
BR112016014905B1 (pt) 2022-07-19
EP3057295B1 (en) 2018-10-24
AU2017239483B2 (en) 2019-04-11
RU2016126293A (ru) 2018-01-11
KR101867445B1 (ko) 2018-06-14
EP3461112A1 (en) 2019-03-27
CN111131625B (zh) 2024-05-24
CN106843578B (zh) 2019-04-19
EP3461112B1 (en) 2023-05-31
US11233890B2 (en) 2022-01-25
US10225390B2 (en) 2019-03-05
KR101907183B1 (ko) 2018-10-11
US20200351398A1 (en) 2020-11-05
JP6321796B2 (ja) 2018-05-09
RU2651265C2 (ru) 2018-04-19
US9787814B2 (en) 2017-10-10
ES2707325T3 (es) 2019-04-03
KR101790679B1 (ko) 2017-10-26
KR102131733B1 (ko) 2020-07-08
AU2017239483A1 (en) 2017-10-26
US20160269529A1 (en) 2016-09-15
KR20190110161A (ko) 2019-09-27
JP2016539359A (ja) 2016-12-15
US10764419B2 (en) 2020-09-01
WO2015096067A1 (zh) 2015-07-02
CN111294461A (zh) 2020-06-16
KR20160075685A (ko) 2016-06-29
US20190158648A1 (en) 2019-05-23
CN111131625A (zh) 2020-05-08
CN104982024A (zh) 2015-10-14
CN104982024B (zh) 2020-02-21
BR112016014905A2 (pt) 2018-05-22
KR20170121309A (ko) 2017-11-01
EP3057295A1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183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방법
CN108419016B (zh) 拍摄方法、装置及终端
US10270975B2 (en) Preview image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3002152B (zh) 移动终端连续拍照方法及装置
US94387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385456A (zh) 拍照预览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7143778A1 (zh) 照片的自动获取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6638978B2 (ja) モバイル端末、モバイル端末上で撮影を開始するための方法及び当該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RU2680255C1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запуска съемки на мобильном терминале
WO2016127530A1 (zh) 拍摄的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JP2021192544A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TW200421828A (en) Cellular phone set with image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remaining frame count or exposed frame c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