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101A -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101A
KR20180064101A KR1020160164293A KR20160164293A KR20180064101A KR 20180064101 A KR20180064101 A KR 20180064101A KR 1020160164293 A KR1020160164293 A KR 1020160164293A KR 20160164293 A KR20160164293 A KR 20160164293A KR 20180064101 A KR20180064101 A KR 2018006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mounting
insertion hole
protrud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101A/ko
Publication of KR2018006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F16F1/3849Mounting brackets therefor, e.g. stamped steel brackets; Restraining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블록에 고정되는 마운팅 부싱(10)이 불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용 블록의 마운팅부(1)에 형성된 삽입홀(3) 내주면에 볼록걸이부(5)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걸이부(5) 사이에는 부싱통과부(7)가 형성된다. 마운팅 부싱(10)의 내부에는 스틸부싱(11)이 구비되고, 아우터부싱(12)이 상기 스틸부싱(11)을 둘러싼다. 상기 아우터부싱(12) 외주면에는 상기 부싱통과부(7)에 대응되는 형태의 돌출완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완충부(15)의 사이에는 상기 볼록걸이부(5)가 슬라이드되는 간섭회피부(17)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부싱(10)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마운팅부(1)와 마운팅 부싱(10) 사이에 형성된 걸림돌기(19)와 걸림홈(9)이 서로 걸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마운팅 부싱(10)이 차량용 블록의 삽입홀(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마운팅부(1)에 걸려 고정되므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임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Mounting-Bush and Fixing Device for Block Using this}
본 발명은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차량용 블록에 장착되는 마운팅 부싱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블록에는 차량용 블록의 고정을 위해 부싱 어셈블리가 사용된다. 부싱 어셈블리는 기계적 연결부위의 유격을 없애주어 유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연결부위에 유연성 및 탄력을 제공하여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부싱 어셈블리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장착되기도 하는데 차량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부싱 어셈블리는 다양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차량 내에서 진동의 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에 사용된다.
아우터부싱으로 우레탄 재질의 일체형 부싱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흔히, 부싱 어셈블리는 원통형의 금속 부시인 스틸부싱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고무 등의 재질로 아우터부싱이 스틸부싱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부싱 어셈블리는 차량용 블록에 고정되는 마운팅부에 압입되어 걸어지므로 진동이나 충격이 차량용 블록에 전달되면 마운팅부로부터 부싱 어셈블리가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1998-0545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49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95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용 블록의 마운팅부와 부싱 어셈블리 사이 접촉하는 부분의 형태를 서로 대응되어 걸어지도록 변형하여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부싱 어셈블리의 스틸부싱과 아우터부싱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아우터부싱을 어느 방향으로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싱 어셈블리의 조립공정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틸부싱과, 길이방향을 따라 스틸부싱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아우터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부싱은 차량 블록의 삽입홀에 대응되는 돌출완충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완충부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간섭회피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완충부는 상기 아우터부싱의 외주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각각 돌출되고, 상기 간섭회피부는 상기 돌출완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대응된다.
상기 아우터부싱의 일측에 상기 간섭회피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삽입홀 일측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싱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어진다.
상기 걸림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간섭회피부 측 상기 돌출완충부 내면이 상기 삽입홀에 대하여 슬라이드된다.
상기 걸림돌기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간섭회피부 측 상기 돌출완충부 내면이 상기 삽입홀에 대하여 슬라이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차량용 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운팅부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마운팅 부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싱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틸부싱과, 상기 스틸부싱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돌출완충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완충부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간섭회피부가 형성되는 아우터부싱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걸이부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상기 돌출완충부에 대응되는 부싱통과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완충부는 상기 아우터부싱의 외주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각각 돌출되고, 상기 간섭회피부는 상기 돌출완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볼록걸이부에 대응된다.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싱의 일측에 상기 간섭회피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싱의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어진다.
상기 걸림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간섭회피부 측 상기 돌출완충부 내면이 상기 볼록걸이부에 대하여 슬라이드된다.
상기 걸림돌기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간섭회피부 측 상기 돌출완충부 내면이 상기 볼록걸이부에 대하여 슬라이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부싱 및 블록고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마운팅 부싱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완충부가 차량용 블록의 마운팅부에 대응되어 마운팅 부싱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간섭회피부에 의해 일부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된 상태에서는 마운팅 부싱의 돌출완충부가 마운팅부의 볼록걸이부에 걸어지게 되어 마운팅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운팅 부싱의 아우터부싱에 스틸부싱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아우터부싱의 조립되는 방향이 어느 방향이어도 가능하도록 대칭되는 형태이므로 조립공정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마운팅 부싱이 차량용 블록의 마운팅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마운팅 부싱과 마운팅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운팅 부싱이 마운팅부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운팅 부싱이 마운팅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운팅 부싱이 마운팅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부(1)의 삽입홀(3)에 결합되는 마운팅 부싱(10)이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부(1)는 차체 내부로부터 소정의 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3)은 상기 마운팅부(1)의 일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홀(3)의 내주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마운팅 부싱(10)의 아우터부싱(12) 외주면이 대응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3)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삽입홀(3)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걸이부(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볼록걸이부(5)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4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볼록걸이부(5) 사이에는 부싱통과부(7)가 형성된다. 상기 부싱통과부(7)는 아래에서 설명될 아우터부싱(12) 외주면의 돌출완충부(1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볼록걸이부(5) 각각의 일측에는 걸림홈(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9)은 아래에서 설명될 아우터부싱(12)의 걸림돌기(19)에 대응되어 걸어지게 된다. 상기 걸림홈(9)에 걸림돌기(19)가 걸어짐으로 상기 마운팅 부싱(10)이 상기 마운팅부(1)의 삽입홀(3)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부싱(10)은 내부의 스틸부싱(11) 외주면에 아우터층이 몰딩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아우터부싱(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부싱(12)에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되어 상기 스틸부싱(1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부싱(12)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공간(13)을 향하여 돌출되는 압착돌기(14)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착돌기(14)는 상기 아우터부싱(1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부싱(12)의 외주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완충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완충부(15)는 상기 삽입홀(3)의 부싱통과부(7)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3)에 상기 마운팅 부싱(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돌출완충부(15)는 소정의 간격으로 4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상기 볼록걸이부(5) 및 부싱통과부(7)에 대응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싱통과부(7) 및 볼록걸이부(5)의 개수에 따라 상기 돌출완충부(15)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록걸이부(5)가 소정의 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상기 부싱통과부(7)가 3군데 형성되면 상기 돌출완충부(15)도 이에 대응하여 3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돌출완충부(15)의 사이 공간은 당연하게도 상기 볼록걸이부(5)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완충부(15)의 각각에는 간섭회피부(17)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17)는 상기 삽입홀(3)에 삽입된 마운팅 부싱(10)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간섭회피부(17)는 상기 볼록걸이부(5)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돌출완충부(15)의 길이방향 중간에 상기 볼록걸이부(5)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간섭회피부(17)는 상기 돌출완충부(15)의 가운데 부분이 소정 크기 절단된 형상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완충부(15)는 상기 간섭회피부(17)를 사이에 두고 도면상 상기 아우터부싱(12)의 외주면 위아래부분에 대칭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회피부(17)는 높이를 달리한 상기 돌출완충부(15)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우터부싱(12)의 상하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완충돌기(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완충돌기(18)는 스틸부싱(11) 일측과 접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각각의 상기 돌출완충부(15)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완충돌기(18)가 상기 아우터부싱(12)의 상하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부싱(12)이 상기 스틸부싱(11)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아우터부싱(12)의 조립되는 방향이 어느 방향이 되어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완충부(15)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간섭회피부(17)를 향하여 걸림돌기(1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9)는 상기 볼록걸이부(5)의 걸림홈(9)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마운팅 부싱(10)이 상기 삽입홀(3)에 삽입되어 회전되면 탄성변형되다가 상기 걸림돌기(19)가 상기 걸림홈(9)에 도달하면 탄성회복되며 걸어지게 된다.
도면상 상기 걸림돌기(19)는 아랫쪽의 돌출완충부(15)에서 상기 간섭회피부(17)를 향하여 돌출된 것만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마운팅부(1)의 걸림홈(9)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윗쪽의 돌출완충부(15)에도 상기 간섭회피부(17)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물론, 상기 걸림홈(9)도 도면상에서는 상기 마운팅부(1)의 윗면에만 도시되어 있지만 아랫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부싱 및 블록고정장치의 체결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마운팅 부싱(10)의 스틸부싱(11)은 아우터부싱(12)에 설치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부싱(10)이 차체의 마운팅부(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마운팅 부싱(10)을 상기 마운팅부(1)의 삽입홀(3)에 대응시키면 상기 마운팅 부싱(10)의 아우터부싱(12) 외주면에 돌출된 돌출완충부(15)가 상기 삽입홀(3)에 형성된 부싱통과부(7)에 대응되어 삽입이 가능해진다.
상기 마운팅 부싱(10)이 상기 부싱통과부(7)를 통과하여 상기 돌출완충부(15)의 절반정도가 반대쪽으로 관통하면, 상기 삽입홀(3)의 볼록걸이부(5)가 간섭회피부(17)에 다다르게 된다.
상기 간섭회피부(17)에 의해 상기 마운팅 부싱(10)이 상기 볼록걸이부(5)에 걸리지 않고 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 마운팅 부싱(10)을 회전시키면 상기 볼록걸이부(5)에 상기 돌출완충부(15)의 걸림돌기(19)가 접하면서 탄성변형된다. 상기 걸림돌기(19)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계속해서 회전되다가, 상기 볼록걸이부(5)에 형성된 걸림홈(9)에 상기 걸림돌기(19)가 삽입되며 탄성회복되어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 부싱(10)은 더 이상의 회전은 방지되고, 상기 마운팅부(1)에 고정된다.
따라서,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마운팅 부싱(10)이 회전하여 임의로 이탈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부싱(10)을 상기 마운팅부(1)의 삽입홀(3)에 일부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고정이 가능하므로 압입에 의해 체결하는 것보다 간단한 조작력만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림홈(9)과 걸림돌기(17)가 상기 마운팅부(1)와 마운팅 부싱(10)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기 마운팅부(1)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거나, 상기 마운팅 부싱(10)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9)에는 상기 볼록걸이부(5)에 걸려서 마운팅 부싱(1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특정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상기 아우터부싱(12)의 재질이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 : 마운팅부 3 : 삽입홀
5 : 볼록걸이부 7 : 부싱통과부
9 : 걸림홈 10 : 마운팅 부싱
11 : 스틸부싱 12 : 아우터부싱
13 : 내부공간 14 : 압착돌기
15 : 돌출완충부 17 : 간섭회피부
18 : 완충돌기 19 : 걸림돌기

Claims (13)

  1.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틸부싱과,
    길이방향을 따라 스틸부싱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아우터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부싱은 차량 블록의 삽입홀에 대응되는 돌출완충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완충부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간섭회피부가 형성되는 마운팅 부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완충부는 상기 아우터부싱의 외주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각각 돌출되고, 상기 간섭회피부는 상기 돌출완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마운팅 부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부싱의 일측에 상기 간섭회피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삽입홀 일측에 삽입되는 마운팅 부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싱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어지는 마운팅 부싱.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간섭회피부 측 상기 돌출완충부 내면이 상기 삽입홀에 대하여 슬라이드되는 마운팅 부싱.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간섭회피부 측 상기 돌출완충부 내면이 상기 삽입홀에 대하여 슬라이드되는 마운팅 부싱.
  7. 일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차량용 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운팅부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마운팅 부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싱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틸부싱과,
    상기 스틸부싱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돌출완충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완충부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간섭회피부가 형성되는 아우터부싱을 포함하는 블록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걸이부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상기 돌출완충부에 대응되는 부싱통과부가 형성되는 블록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완충부는 상기 아우터부싱의 외주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각각 돌출되고, 상기 간섭회피부는 상기 돌출완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볼록걸이부에 대응되는 블록고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싱의 일측에 상기 간섭회피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블록고정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부싱의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어지는 블록고정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간섭회피부 측 상기 돌출완충부 내면이 상기 볼록걸이부에 대하여 슬라이드되는 블록고정장치.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간섭회피부 측 상기 돌출완충부 내면이 상기 볼록걸이부에 대하여 슬라이드되는 블록고정장치.
KR1020160164293A 2016-12-05 2016-12-05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 KR20180064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293A KR20180064101A (ko) 2016-12-05 2016-12-05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293A KR20180064101A (ko) 2016-12-05 2016-12-05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01A true KR20180064101A (ko) 2018-06-14

Family

ID=6262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293A KR20180064101A (ko) 2016-12-05 2016-12-05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1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9930A (zh) * 2018-10-15 2021-04-30 宝马股份公司 减振器的紧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575U (ko) 1996-12-31 1998-10-07 오상수 마운팅용 고무 부시 구조
KR19990034959U (ko) 1999-05-21 1999-09-06 주태경 벽부착용옷장
KR100279573B1 (ko) 1998-06-30 2001-05-02 정주호 자동차 엔진의 부시마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575U (ko) 1996-12-31 1998-10-07 오상수 마운팅용 고무 부시 구조
KR100279573B1 (ko) 1998-06-30 2001-05-02 정주호 자동차 엔진의 부시마운트
KR19990034959U (ko) 1999-05-21 1999-09-06 주태경 벽부착용옷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9930A (zh) * 2018-10-15 2021-04-30 宝马股份公司 减振器的紧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6514B2 (en) Damper
JP645407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358747B2 (ja) 防振装置
KR102487792B1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JP2004520992A (ja) 二段階の車体マウント用リバウンドクッション
CN107947069B (zh) 固定构造以及电气接线箱
CN113752952A (zh) 承载组件
US20050098374A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KR20180064101A (ko) 마운팅 부싱 및 이를 이용한 블록고정장치
US4382587A (en) Vibration damping element
US20090020930A1 (en) Strut Top Mount With Dual Axial Rate Tuning
JP2008002565A (ja) 防振装置
JP200924350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US10486619B2 (en) Connection assemblies in a vehicle
CN117329216A (zh) 紧固件
US20090256032A1 (en) Device for Vibration-Damping Fastening of at Least One Object to a Support Element
US10369875B2 (en) Torque rod
CN210518269U (zh) 具有防震功能的锁相环电路装置及移动电子设备
JP2014105730A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CN210126489U (zh) 无人驾驶汽车相机模组减震结构及汽车
KR20170001245U (ko) 자동차용 블럭
KR101851858B1 (ko)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JP2009052727A (ja) 防振具
JP6694273B2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JP6227897B2 (ja) 留め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