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528A - 지게차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3528A KR20180063528A KR1020160163364A KR20160163364A KR20180063528A KR 20180063528 A KR20180063528 A KR 20180063528A KR 1020160163364 A KR1020160163364 A KR 1020160163364A KR 20160163364 A KR20160163364 A KR 20160163364A KR 20180063528 A KR20180063528 A KR 201800635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rotation
- seat
- forklift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에 탑승한 작업자를 각종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작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트(S)의 등받이 후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부에는 회전축이 개재되어 구비된 힌지브라켓(220)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00); 상기 돌출부(210)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고정바(310)와, 중앙에 홀(322a)이 형성된 회전부(3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부(322)의 홀(322a)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수단(330)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며 타측이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바(320)로 구성된 안전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트(S)의 등받이 후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부에는 회전축이 개재되어 구비된 힌지브라켓(220)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00); 상기 돌출부(210)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고정바(310)와, 중앙에 홀(322a)이 형성된 회전부(3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부(322)의 홀(322a)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수단(330)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며 타측이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바(320)로 구성된 안전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게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에 탑승한 작업자를 각종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작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벨트(seat belt)(이하 '안전벨트'라 함)는 사고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승용차, 버스 및 지게차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안전벨트의 효용가치에 대하여는 언급의 여지가 없을 만큼 중요하다. 또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안전벨트 착용자와 미착용자가 받는 영향은 극명하게 차이가 난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벨트의 효용가치에도 불구하고 때에 따라서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운전을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지게차의 경우에는 작업장 바닥이 평탄하지 못하여 지게차가 전도되는 경우, 운전자가 지게차 밖으로 이탈되어 헤드 가드에 협착되거나,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뛰어내리는 행동으로 작업장 바닥에 머리를 부딪히는 사고 등으로 인하여 지게차의 헤드 가드를 벗어나지 못하고 협착 또는 머리를 바닥에 부딪히게 되는 사망재해 사고가 매년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왔다.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997-0039946호에 '안전벨트 미착용 경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다수개의 승객용 좌석을 갖는 승합차에서 각 좌석에 착석 감지센서와 벨트 착용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안전벨트 미착용 승차자에게 미착용 경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교통사고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술은 단순히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보음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운전자가 무의식 상태 또는 의식을 하더라도 착용시 불편함을 느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운전자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국 공개특허 제1997-0039958호에 '안전벨트 미착용 확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안전벨트 잠금부 및 안전벨트 길이 조절부에 시동장치를 연결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들은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시동장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지게차의 경우는 일반차량과는 달리 작업자가 수시로 승ㆍ하차를 반복하면서 작업을 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전ㆍ후진 방향으로 운전 중 장애물의 제거 등을 수행하기 위해 안전벨트를 해체하고 수시로 오르내릴 때 시동을 다시 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시동이 정지되면 지게차의 상ㆍ하차 작업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안전벨트의 역할을 하는 안전유닛을 작동시켜 이 안전유닛에 의해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산업재해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 안전벨트를 직접 착용하는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작업자의 가슴을 압박하여 발생하는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트(S)의 등받이 후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부에는 회전축이 개재되어 구비된 힌지브라켓(220)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00); 상기 돌출부(210)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고정바(310)와, 중앙에 홀(322a)이 형성된 회전부(3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부(322)의 홀(322a)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수단(330)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며 타측이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바(320)로 구성된 안전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330)은 상기 회전부(322)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축방향 홈(322b)과, 상기 축방향 홈(322b)에 걸림 결합되어 걸림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쇠부(332)와, 상기 걸쇠부(332)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바(320)의 외주연에 노출되게 형성된 버튼부(334)와, 상기 회전바(32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33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축방향 홈(322b)과 걸쇠부(332)가 결합 해제됨으로써 상기 회전바(320)를 펼쳐지도록 하는 코일스프링(3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330)은 상기 걸쇠부(332)가 하나의 축방향 홈(322b)으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까지 상기 회전바(320)를 시트(S)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전유닛(300)은 고정바(310)에 대해 회전바(32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평면상 'U'자 형상을 이루되, 상기 회전바(320)의 길이가 상기 고정바(3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310) 및 회전바(320)의 내측에는 탄성을 지닌 쿠션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바(310) 및 회전바(320)의 각 끝단 내부에는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고정바(310)와 회전바(320)가 상호 인력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게차용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안전벨트의 역할을 하는 안전유닛을 작동시켜 이 안전유닛에 의해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산업재해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 안전벨트를 직접 착용하는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작업자의 가슴을 압박하여 발생하는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의 회전바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의 회전바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의 회전바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의 회전바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의 회전바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의 회전바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는 시트(S)의 등받이 후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부에는 회전축이 개재되어 구비된 힌지브라켓(220)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00); 상기 돌출부(210)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고정바(310)와, 중앙에 홀(322a)이 형성된 회전부(3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부(322)의 홀(322a)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수단(330)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며 타측이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바(320)로 구성된 안전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지게차용 안전장치는 크게 지지대(100), 연결부재(200) 및 안전유닛(300)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지게차용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시트(S)는 지게차 등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0)는 등받이의 후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0)는 시트(S)와의 더욱 견고한 밀착을 위해 상기 지지대(100)와 시트(S)의 등받이가 접하는 지점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볼트(110)가 결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S)의 양 측면부를 감싸는 지지대는 상기 시트(S)와의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양 측면부를 감싸는 지지대에 대해 상기 시트(S)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에 대해 시트(S)가 슬라이딩 이동하되, 원하고자 하는 지점에 위치시켜 고정하고자 할 때는 상기 시트의 양 측면부 및 후면부가 접하는 지점에 시트 후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시트(S)를 원하고자 하는 위치에 지정한 후 볼트 결합시킬 수 있다.
더불어서, 상기 시트(S)에 설치된 지지대(100)는 시트(S)와의 체결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등받이 전면부에 'X'자 형태 또는 '11'자 형태의 밴드를 상기 지지대(100)에 연결하여 지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상측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0)는 작업자가 시트(S)에 착석할 경우, 작업자의 팔걸이가 자연스러운 높이에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부재(200)의 나머지 측면부에는 회전축이 개재되어 구비된 힌지브라켓(2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브라켓(220)은 상측에 개폐가능하게 덮개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를 개방하여 후술할 회전바(320)를 상기 힌지브라켓(220)에 구비된 회전축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전유닛(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0)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고정바(310)와, 중앙에 홀(322a)이 형성된 회전부(3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부(322)의 홀(322a)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수단(330)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며 타측이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바(3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310)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을 향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우측에 설치되는게 좋다. 이는 대부분의 지게차의 작동장치는 상기 고정바(310)가 설치된 위치에 있음으로 작업자가 지게차의 작동장치를 용이하게 콘트롤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바(3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인체가 닿는 부위를 고려하여 인체에 굴곡진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사시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바(310)는 환봉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파지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 이 같은 환봉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사시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회전바(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중앙에 홀(322a)이 형성된 회전부(322)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바(320)의 형상 및 환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320)는 일측에 형성된 회전부(322)의 홀(322a)을 힌지브라켓(220)에 형성된 회전축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서 회전수단(330)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바(32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바(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앙에 홀(322a)이 형성된 회전부(322)가 덮개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에 관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는 이에 대응되는 브라켓과 볼트 체결된다. 한편, 상기 회전바(320)는 회전수단(330)을 매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는 잠금상태가 되고, 상기 회전바(320) 또는 연결부재(200)의 측면부 일측에 형성된 버튼부(334)에 힘을 가하게 되면 반자동 상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수단(330)은 상기 회전부(322)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축방향 홈(322b)과, 상기 축방향 홈(322b)에 걸림 결합되어 걸림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쇠부(332)와, 상기 걸쇠부(332)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바(320)의 외주연에 노출되게 형성된 버튼부(334)와, 상기 회전바(32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33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축방향 홈(322b)과 걸쇠부(332)가 결합 해제됨으로써 상기 회전바(320)를 펼쳐지도록 하는 코일스프링(3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방향 홈(322b)은 상기 회전부(322)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홈(322b)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회전바(320)를 접혀진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걸쇠부(332)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쇠부(332)는 일측이 상기 축방향 홈(322b)과 접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쇠부(332)와 축방향 홈(322b)과의 걸림상태 또는 자유상태가 되도록 조절하는 버튼부(334)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전바(32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걸쇠부(332)가 축방향 홈(322b)에 걸림 결합되어 회동이 되지 않는 잠금상태가 되고, 상기 걸쇠부(332)가 축방향 홈(322b)으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 상기 회전바(320)가 코일스프링(336)의 작용에 의해 시트(S)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바(320)를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버튼부(334)에 힘을 가하되, 상기 걸쇠부(332)가 하나의 축방향 홈(322b)으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까지 힘을 가함으로서 상기 회전바(320)를 시트(S)의 외측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32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바(320)와 고정바(310)의 각 끝단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서 평면상 'U'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320)의 길이는 고정바(3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바(320)가 펼쳐졌을 때 보다 넓은 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시트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추가의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바(310) 및 회전바(320)의 내측에는 탄성력을 지닌 쿠션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는 유사시 작업자가 전방쪽으로 쏠릴 때 상기 쿠션부재가 그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310) 및 회전바(320)의 각 끝단 내부에는 서로 다른 극성(N극, S극)을 갖는 자석을 내장하여 상기 고정바(310)와 회전바(320)가 상호 인력작용을 하게 함으로서 잠금상태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회전바(32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동을 개시하지 않게 되면 펼쳐진 상태로 지게차를 운행하는데 방해 요소가 되므로, 작업자는 필수적으로 지게차의 운행을 위해 회전바(320)를 상기 고정바(310)와 대향되게 작동시켜야 하는 소위 반강제적인 형태를 띄게 되므로, 작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산업재해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안전벨트의 역할을 하는 안전유닛을 작동시켜 이 안전유닛에 의해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산업재해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 안전벨트를 직접 착용하는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작업자의 가슴을 압박하여 발생하는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S : 시트 322 : 회전부
100 : 지지대 322a : 홀
200 : 연결부재 322b : 축방향 홈
210 : 돌출부 330 : 회전수단
220 : 힌지브라켓 332 : 걸쇠부
300 : 안전유닛 334 : 버튼부
310 : 고정바 336 : 코일스프링
320 : 회전바
100 : 지지대 322a : 홀
200 : 연결부재 322b : 축방향 홈
210 : 돌출부 330 : 회전수단
220 : 힌지브라켓 332 : 걸쇠부
300 : 안전유닛 334 : 버튼부
310 : 고정바 336 : 코일스프링
320 : 회전바
Claims (6)
- 시트(S)의 등받이 후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시트(S)의 양쪽 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부에는 회전축이 개재되어 구비된 힌지브라켓(220)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00);
상기 돌출부(210)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고정바(310)와, 중앙에 홀(322a)이 형성된 회전부(3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부(322)의 홀(322a)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수단(330)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며 타측이 상기 시트(S)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회전바(320)로 구성된 안전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30)은 상기 회전부(322)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축방향 홈(322b)과, 상기 축방향 홈(322b)에 걸림 결합되어 걸림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쇠부(332)와, 상기 걸쇠부(332)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바(320)의 외주연에 노출되게 형성된 버튼부(334)와, 상기 회전바(32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33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축방향 홈(322b)과 걸쇠부(332)가 결합 해제됨으로써 상기 회전바(320)를 펼쳐지도록 하는 코일스프링(3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30)은 상기 걸쇠부(332)가 하나의 축방향 홈(322b)으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까지 상기 회전바(320)를 시트(S)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유닛(300)은 고정바(310)에 대해 회전바(32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평면상 'U'자 형상을 이루되, 상기 회전바(320)의 길이가 상기 고정바(3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310) 및 회전바(320)의 내측에는 탄성을 지닌 쿠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310) 및 회전바(320)의 각 끝단 내부에는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고정바(310)와 회전바(320)가 상호 인력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3364A KR20180063528A (ko) | 2016-12-02 | 2016-12-02 | 지게차용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3364A KR20180063528A (ko) | 2016-12-02 | 2016-12-02 | 지게차용 안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3528A true KR20180063528A (ko) | 2018-06-12 |
Family
ID=6262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3364A KR20180063528A (ko) | 2016-12-02 | 2016-12-02 | 지게차용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6352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0984A (ko) | 2022-01-17 | 2023-07-25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게차의 안전 지지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9946A (ko) | 1995-12-21 | 1997-07-24 | 전성원 | 안전벨트 미착용 경보장치 |
KR970039958A (ko) | 1995-12-29 | 1997-07-24 | 김주용 | 안전벨트 미착용 확인장치 |
KR20050037457A (ko) | 2005-03-31 | 2005-04-21 | 이주열 |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
-
2016
- 2016-12-02 KR KR1020160163364A patent/KR20180063528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9946A (ko) | 1995-12-21 | 1997-07-24 | 전성원 | 안전벨트 미착용 경보장치 |
KR970039958A (ko) | 1995-12-29 | 1997-07-24 | 김주용 | 안전벨트 미착용 확인장치 |
KR20050037457A (ko) | 2005-03-31 | 2005-04-21 | 이주열 |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0984A (ko) | 2022-01-17 | 2023-07-25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게차의 안전 지지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4520607A5 (ko) | ||
KR101623438B1 (ko) |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 |
EP2089249A1 (en) | Device for operating the anchoring system of an infant seat for automobiles | |
KR20200017268A (ko) | 차량 내장형 카시트 | |
US9493096B2 (en) | Vehicle seat including reclining apparatus | |
KR20180063528A (ko) | 지게차용 안전장치 | |
EP3409532A1 (en) | Portable car seat | |
KR102262393B1 (ko) | 욕창방지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 |
JP2006006702A (ja) | 車椅子用エアバッグ装置 | |
JP4343619B2 (ja) | 車椅子用身体保持装置 | |
JP4421585B2 (ja) | シート着座補助装置 | |
JP2010105438A (ja) | 自動車用シート | |
KR200324069Y1 (ko) | 자동차 운전석용 목보호대 | |
KR101356196B1 (ko) | 버스의 휠체어 탑승자용 시트벨트 장치 | |
KR101567609B1 (ko) | 졸음 방지를 위한 차량용 버클 장치 | |
KR20120007167U (ko) | 운전 중인 운전자 보호 기구 | |
JP3216103U (ja) | シートベルト着用推進具 | |
KR100384166B1 (ko) | 운전자 구속장치 | |
KR100819421B1 (ko) | 언제나 안전한 차량 안전띠 | |
JPH0449013Y2 (ko) | ||
KR200302739Y1 (ko) | 차량충돌과 동시에 고정된의자의 등받이가 자유롭게앞뒤로 움직일수 있게 하는 장치 | |
JP2005224482A (ja) | 車椅子用エアバッグ装置 | |
KR0130761Y1 (ko) | 안정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 |
JPH06282Y2 (ja) | 乗り物に使用されるシ−ト | |
KR20020080309A (ko) | 차량충돌과 동시에 고정된의자의 등받이가 자유롭게앞뒤로 움직일수 있게 하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