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012A -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012A
KR20180063012A KR1020180061482A KR20180061482A KR20180063012A KR 20180063012 A KR20180063012 A KR 20180063012A KR 1020180061482 A KR1020180061482 A KR 1020180061482A KR 20180061482 A KR20180061482 A KR 20180061482A KR 20180063012 A KR20180063012 A KR 20180063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filter
pair
sliding plates
de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588B1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8006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5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38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for connecting at least two filtering element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46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발명은 비데, 정수기, 이온수기, 냉장고 또는 기타 기능수제조기 등에 사용되는 필터를 적용 기기에 착탈시키기 위한 어댑터를 원터치 방식으로 사용자가 상호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다중의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필터의 착탈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이를 구비하는 필터 및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 시스템{Filter detachable adapte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the safety system}
본 발명은 필터 착탈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의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 정수기, 이온수기 등의 기기에는 물의 여과 또는 정화를 위한 필터와 이러한 필터를 상기와 같은 적용기기에 착탈시키기 위한 어댑터가 존재한다.
종래, 이러한 어댑터와 필터의 체결은 어댑터와 필터를 복잡한 암형 및 수형의 클램프 구조로 형성하여 상호 체결하거나 별도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행해지며, 체결 상태의 어댑터 및 필터의 분리는 복잡한 분리 과정을 거치거나 별도의 분리 기구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이들 필터의 교환시 원수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원수 차단 장치를 별도 로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 구조는 필터의 교환을 위한 체결 및 분리 과정이 복잡하여 필터의 교환 작업이 어려웠으며, 더욱이 단일 갯수 보다는 복수개의 필터를 채용하고 있는 적용 기기의 경우, 복수개의 필터의 교환을 위해 복잡한 교환 작업을 일일이 하여야 하고, 해당 분야에 비전문가인 사용자들은 당 제품의 제조사 또는 대리점에 a/s를 신청하여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기존의 불편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필터를 사용자가 손쉽게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한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에 대하여 기술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터치 형태로 필터를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는 필터 및 정수시스템 내부의 물이 외부로 분출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36367호(2016.04.04)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36368호(2016.04.04)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00190호(2016.01.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비데, 정수기, 이온수기, 냉장고 또는 기타 기능수제조기 등에 사용되는 필터를 적용 기기에 착탈시키기 위한 어댑터를 원터치 방식으로 사용자가 상호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다중의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필터의 착탈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이를 구비하는 필터 및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에게 필터의 체결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필터의 착탈시 안전사고 발생하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줄 수 있는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이를 구비하는 필터 및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착탈 어댑터는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를 구비하는 필터를 정수시스템 본체에서 착탈시키기 위한 필터 착탈 어댑터로서, 상기 정수시스템 본체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밸브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상기 밸브에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어댑터 본체부, 상기 어댑터 본체부 하단에 구비되며 관통홀 및 내측에 상기 필터의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구비되는 어댑터 하부커버,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의 하측을 둘러싸며 마주하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 공간부에 형성된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를 둘러싸며 마주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맞닿는 양단에는 상기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공간부가 형성되며, 판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측에 구비되며 일단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부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칼라 플랜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양측에는 상기 경사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푸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착탈 어댑터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사용자가 누름 동작을 행하는 푸쉬플레이트의 작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홈을 형성하여 주고 이에 푸쉬플레이트의 돌기부를 삽입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간편히 필터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간단한 기계적 구성만을 가짐으로써 오작동 및 고장의 염려를 해결할 수 있는 필터 착탈 어댑터, 이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착탈 어댑터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는 푸쉬 플레이트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며, 푸쉬 플레이트의 버튼부를 사용자가 잠금 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 착탈시 사용자 또는 작동상의 오류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착탈 어댑터에 현재 필터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안내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정수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필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정수시스템에서 필터의 착탈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 4는 필터, 필터 착탈 어댑터의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의 추가적인 안전수단을 나타낸 참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일반적인 필터,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정수시스템은 크게 정수기 본체(10), 필터(30) 및 정수기 본체(10)에 필터를 장착하기 위한 필터 장착 어댑터(20)로 이루어진다.
통상 정수기 본체(10)에는 원수, 그리고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이동하는 유로(12)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2)상에 복수의 필터(30)가 결합되기 위한 체크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복수의 체크밸브 상에 필터 장착 어댑터(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필터 착탈 어댑터(20)와 유로 및 체크밸브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유로 및 체크 밸브는 필터 착탈 어댑터(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 필터의 정수기 착탈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36367(2016.04.04.)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인 필터 착탈 어댑터(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의 정면도 및 필터 착탈 어댑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참조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100)은 크게 어댑터 본체부(200), 어댑터 하부 커버(300), 푸쉬 플레이트(600) 및 필터 착탈 어댑터(100) 내부에 구비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어댑터 본체부(200)는 필터 착탈 어댑터(100)를 정수기 본체(10)에 지지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어댑터 본체부(200)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로 및 체크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 본체부(200)에는 필터(30)가 삽입되어 상기 밸브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홀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어댑터 본체부(200)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쉬 플레이트(600),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 및 어댑터 하부 커버(300)가 구비된다.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어댑터 본체부(200) 하단에 어댑터 하부커버(300)가 구비되면 어댑터 본체부(200)와 어댑터 하부커버(300)가 형성하는 필터 착탈 어댑터(100) 내부 공간부에 푸쉬 플레이트(600),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가 각각 구비된다.
어댑터 하부커버(300)는 어댑터 본체부(20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필터(30)가 삽입된 후 필터(30)의 칼라플랜지(32)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어댑터 하부커버(300)의 하측면에는 필터(30) 및 필터의 칼라 플랜지(32)가 삽입 가능한 관통홀(320)이 형성되고 관통홀(320)이 형성된 하측면의 사방측면에 측벽들이 형성되어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사방 측면 중 전방측면에는 푸쉬 플레이트(600)의 버튼부(620)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방 측면 중 양측면에는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에 형성된 돌기부(514, 524)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통공(330)이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사방 측면 중 양측면의 내측에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 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방 측면 중 양측면 내측에 구비되는 자석(도시하지 않음)과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사방 측면 중 양측면 내측에 구비되는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구비되어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석으로 탄성수단이 구비되면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를 스프링으로 지지할 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로 인하여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가 탄성지지되는 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줄 수 있다.
다음으로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에 대하여 설명하면,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는 판형태로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칼라 플랜지(32)의 하측을 둘러싸며 마주하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플랜지(32)의 하측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호부가 각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반원호부가 칼라플랜지(32)의 하측을 지지하거나 해제함으로써 필터(30)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에는 칼라 플랜지(32)를 둘러싸며 마주하는 맞닿는 양단(512,522)이 칼라 플랜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져 경사공간부(530)를 형성한다.
각각의 경사공간부(530)에는 푸쉬 플레이트(600)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부(610, 612)가 각각의 경사공간부(530)에 삽입된다.
각각의 경사공간부(530)에 삽입된 돌기부(610, 61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푸쉬 플레이트(600) 누름 동작에 따라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져 경사공간부(530)를 형성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를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한쌍의 경사공간부(530)에 삽입된 돌기부(610, 612)가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 하측 및 상측을 각각 경사방향을 따라 밀어내기 때문에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가 각각 양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경사공간부(530)가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 하측 및 상측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경우 푸쉬 플레이트(600) 누름 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힘은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 좌우 방향이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가 각각 양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가 어댑터 하부커버(300) 상측 또는 하측벽에 걸려 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100)는 이와 같이 간단히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가 맞닿는 양단을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주는 것만으로도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가 사용자의 푸쉬 플레이트(600) 누름동작에 따라 원활히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존에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에 별도의 장공을 형성하여 주거나 하는 것이 없이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를 좌우로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필터 착탈 어댑터(100)의 제작 및 사용자의 사용편의성, 오작동 및 고장의 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의 양측면에는 돌기부(514, 524)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의 양측면에 돌기부(514, 524)가 형성되면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 돌기부(514, 524)는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300) 양측벽에 형성된 통공(3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그런데 예를 들면 도 1과 같은 상태인,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정수시스템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밸브에 각각 구비된 필터 착탈 어댑터들(100)이 접한 상태에서는 상기 접하는 양측의 필터 착탈 어댑터가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에 형성된 돌기부(514, 524)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막음으로써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20, 520)가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즉, 필터 착탈 어댑터들(100)이 접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푸쉬 플레이트(600)의 버튼부(620)를 눌러도 눌러지지 않게 됨으로써 필터 착탈 어댑터들(100)이 접한 상태에서는 필터(30)가 착탈되지 않으며 필터(30) 교체 상태인 예를 들면 도 3과 같은 상태인, 필터 착탈 어댑터들(100)이 접하지 않은 상태가 되어야만 푸쉬 플레이트(600)의 버튼부(620)를 눌러 필터(30)를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100)는 이와 같은 다중 안전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정수 시스템의 필터(30) 교체시 사용자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100)는 이와 같은 안전장치 이외에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필터 착탈 어댑터(100)의 상태를 안내하는 표시부(525,526) 및 푸쉬 플레이트(600)의 버튼부(620) 잠금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즉,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의 추가적인 안전수단을 나타낸 참조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하부커버(300)의 사방 측면중 사용자가 마주하는 전면측에 통공(316)을 형성하여 주고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의 측면중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300)에 형성된 통공(3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자를 형성한다.
즉,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의 측면에 붉은색, 파란색 또는 열쇠 열림 및 잠금 표시자(525, 526)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300)에 형성된 통공(316)에 이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상기 필터 착탈 어댑터(100)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푸쉬 플레이트(600)의 버튼부(620)를 푸쉬 플레이트(600)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형성하여 주며 버튼부(620)를 회동가능하게 해줌으로써 버튼부(620)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여 줄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620)를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켜 놓으면 버튼부(620)를 사용자가 누르더라도 필터 착탈 어댑터(100)의 외측부에 걸려 눌러지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게 버튼부(620)를 누르거나 어린아이가 버튼부(620)를 눌러 필터(30)가 착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100)에는 어댑터 하부커버(300) 양단에 돌출된 후크(350)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 외측부에는 상기 후크(350)가 끼워지는 슬라이딩 홈(540)이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는 상기 후크(350)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후크(350) 및 슬라이딩 홈(540)이 형성되지 않으면 스프링과 조립시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작시에 고정을 위한 별도의 지그가 필요하다.
그리고 필터 착탈 어댑터(100)의 작동시에도 스프링에 의한 외측으로 돌출되려고 하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510, 52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100)에는 이와 같은 후크(350) 및 슬라이딩 홈(540)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애로사항없이 필터 착탈 어댑터(100)를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착탈 어댑터(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본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유로상에 구비되는 밸브(800)의 앞단부가 삽입 가능한 경사진 홈(710) 및 필터(30)의 착탈 동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경사진 홈 면을 따라 상기 밸브(8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800)를 개폐시키는 밸브 샤프트(700)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800)는 체크 밸브(800)로서 일반적으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밸브의 개폐를 위해 본체 중앙 관통홀에 밸브플런져 가이드와 밸브플런져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부 커버플레이트 및 원수유출방지용 오링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상부커버플레이트는 항상 수압을 받고 있는 구조로 오링의 눌림력이 상실되거나 이탈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누수가 발생하면 외부로 누수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불편함을 끼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평상으로 체크밸브(800)를 구성하여 상부커버플레이트 및 원수 유출 방지 오링이 필요없도록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필터 착탈 어댑터 200: 어댑터 본체부 300: 어댑터 하부커버
600: 푸쉬 플레이트

Claims (7)

  1.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를 구비하는 필터를 정수시스템 본체에서 착탈시키기 위한 필터 착탈 어댑터로서,
    상기 정수시스템 본체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밸브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상기 밸브에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어댑터 본체부,
    상기 어댑터 본체부 하단에 구비되며 관통홀 및 내측에 상기 필터의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구비되는 어댑터 하부커버,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의 하측을 둘러싸며 마주하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 공간부에 형성된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를 둘러싸며 마주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맞닿는 양단에는 상기 칼라 플랜지(collar flange)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공간부가 형성되며,
    판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측에 구비되며 일단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부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칼라 플랜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양측에는 상기 경사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푸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의 양단에는 돌출된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 외측부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후크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필터 착탈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커버에는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좌우로 이동되는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 표시부가 구비되는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3. 제 2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 이동 표시부는 상기 하측커버에 형성된 표시홈 및 상기 표시홈 내측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표시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푸쉬 플레이트의 버튼부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 착탈 어댑터 외측에 걸려 눌러지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어댑터 하부커버의 공간부 일측에 형성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이 구비된 공간부 일측과 마주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에 형성된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본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유로상에 구비되는 상기 밸브의 앞단부가 삽입 가능한 경사진 홈 및 필터의 착탈 동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경사진 홈 면을 따라 상기 밸브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 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착탈 어댑터.
  7. 제1항의 필터 착탈 어댑터를 구비하는 정수 시스템.
KR1020180061482A 2018-05-30 2018-05-30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 시스템 KR101891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482A KR101891588B1 (ko) 2018-05-30 2018-05-30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482A KR101891588B1 (ko) 2018-05-30 2018-05-30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053A Division KR101875764B1 (ko) 2016-07-20 2016-07-20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이를 구비하는 필터 및 정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821A Division KR20180094829A (ko) 2018-08-17 2018-08-17 사용자가 손쉽게 필터를 교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필터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012A true KR20180063012A (ko) 2018-06-11
KR101891588B1 KR101891588B1 (ko) 2018-09-28

Family

ID=6260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482A KR101891588B1 (ko) 2018-05-30 2018-05-30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5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90A (ko)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피코그램 다이아프램형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60036367A (ko)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직수형 정수기
KR20160036368A (ko)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직수형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044B1 (ko) * 2004-07-05 2006-10-20 주식회사 피코그램 원터치 착탈식 단일 및 멀티 어댑터, 이에 착탈되는 필터조립체 및 이들 요소를 채용한 정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90A (ko)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피코그램 다이아프램형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60036367A (ko)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직수형 정수기
KR20160036368A (ko)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직수형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588B1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96377B (en) Joint for fluid controller
MX2007000096A (es) Adaptador individual o multiple del tipo para colocacion en un solo toque, una unidad de filtro empotrada desprendiblemente con el mismo y un sistema para purificacion de agua que emplea estos elementos.
KR100637044B1 (ko) 원터치 착탈식 단일 및 멀티 어댑터, 이에 착탈되는 필터조립체 및 이들 요소를 채용한 정수 시스템
KR20110102292A (ko) 플로팅 록이 구비된 푸쉬 필터
PT1841925E (pt) Regulador de caudal, regulador de jacto, ou dispositivo anti-refluxo em duas peças, com ligação por encaixe com estalido entre as peças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N106687734A (zh) 用于连接器的锁定元件
ITMI20071112A1 (it) Struttura di scarico sanitaria
KR20180094829A (ko) 사용자가 손쉽게 필터를 교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필터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 시스템
KR101891588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및 정수 시스템
JP2010053889A (ja) 止水栓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給水設備
CN108635948B (zh) 滤芯组件及净水器
KR101875764B1 (ko)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필터 착탈 어댑터, 이를 구비하는 필터 및 정수 시스템
US20160013584A1 (en) Structure of network connector
KR101558979B1 (ko) 온수매트용 관 연결 장치
JP2003113981A (ja) カプラー
CN214063868U (zh) 一种出水装置及抽拉式出水龙头
KR20160117774A (ko) 유로관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JP2012072557A (ja) 水栓
JP2006521508A (ja) ガスソケット
US9657473B2 (en) Vacuum toilet assembly
KR101528620B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의 피팅 구조
CN218980754U (zh) 过滤装置和净水设备
CN214061820U (zh) 一种厨房龙头快装机构
CN216328458U (zh) 刀片连接架、接口组件及剃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