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536A -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536A
KR20180062536A KR1020160161623A KR20160161623A KR20180062536A KR 20180062536 A KR20180062536 A KR 20180062536A KR 1020160161623 A KR1020160161623 A KR 1020160161623A KR 20160161623 A KR20160161623 A KR 20160161623A KR 20180062536 A KR20180062536 A KR 2018006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us
product
larva
citrus juice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488B1 (ko
Inventor
박경진
안현주
김상숙
김은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크로바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크로바유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6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4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 착즙 부산물을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사료로 섭취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생존율과 생체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개체내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A feed composition for the larva of Protaetia brevitarsis comprising citrus by-product and a breeding method of the larv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체량 및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곤충시장이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곤충산업이 미래 유망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미래농업으로의 곤충산업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유용 곤충 산업 시장 규모는 약 3천39억∼3천193억원으로 추정하며 4년전에 비해 80∼9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의 곤충 사업은 친환경농업과 시설농업 시장으로 화분매개 곤충과 천적 곤충 시장 가능성이 주목을 받고 있지만, 농촌진흥청에서 실시한 2012년과 2015년에 한 곤충산업 실태조사를 비교하면 사료용(7.4%→26.5%), 식용(8.3%→11.2%), 환경정화용(1.5%→8.4%) 등의 분야에서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등은 <동의보감>에 간질환 등 성인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식용곤충으로 소개 되어 있으며, 높은 단백질 함량과, 올레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것으로 밝혀져 있다.
감귤가공부산물을 매년 5만∼7만톤 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 사료용을 위한 가공처리하거나 보관, 혹은 해양배출 등으로 처리되고 있어 처리 비용이 발생되거나 방법적인 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7154호 (2010.01.0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생체량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는 사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 증가를 유도할 수 있는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상기 유충의 사육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감귤 쥬스 등으로 가공한 후 버려지는 감귤 가공 부산물을 식용 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로 이용하여 재배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제공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향상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귤 착즙 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감귤 착즙 후 버려지는 감귤의 착즙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생체량 증가를 가져온다는 놀라운 사실에 기초한다. 뿐만 아니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체내에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어, 식용 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놀라운 사실에 기초하여 완성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은 굼벵이라고도 불린다.
딱정벌레 (Coleoptera) 유충으로 풍뎅이과 (Scarabaeidae)와 사슴벌레과 (Lucanidae)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이 여기에 속한다(우건석. 1988. 곤충분류학. 483 p. 집현사. 서울). 매미의 유충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의 유충에도 매미의 굼벵이와 동일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굼벵이라는 용어는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 곤충의 유충을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중에 통용되는 굼벵이 역시 이와 같은 곤충들의 유충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명세서의 유충은 단백질, 지방, 무기물질 등이 풍부하며, 악혈과 어혈을 풀어주고 제거하는 혈액순환 활성화 기능이 있다. 근육과 뼈가 손상되어 쑤시고 아픈 증상, 여자의 생리가 끊어지고 배가 아픈 경우, 산모의 젖이 잘 안나오는 경우, 산후에 차가운 바람을 맞은 경우, 목구멍이 마비된 증상, 단독, 치루, 옹저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약재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이 사용될 수 있다.
굼벵이는 식물의 지하부 뿌리를 취하면서, 목재의 셀룰로오스를 영양원으로 생존에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굼벵이 자신은 셀룰로오스를 분해시킬 수 있는 효소를 생성하지 못한다(Lo, N., H. Watanabe and M. Sugimura. 2003.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a cellulase gene in the last common ancestor of bilaterian animals. Proc. R. Soc. Lond. B 270: S69-S72).
굼벵이는 후장(hindgut)의 일부 영역에 공생세균을 밀생시킨 발효실 (fermentation chamber)에서 세균 기원의 C1-cellulase에 의해 셀룰로오스 분해를 유도한다(Chapman, R.F. 1998. The insects: Structure and function.4th ed. 770 p.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굼벵이 먹이는 참나무 톱밥과 같이 톱밥 형태로 잘게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해 미생물과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알에서 부화하여 3령을 경과하여 번데기 방을 만든 후 우화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알 11일, 유충 50일, 번데기 28일, 성충 40일 정도의 생활사를 가지고 있고, 성충을 분리하여 쌍으로 사육시 집단으로 사육하는 것보다 오래 사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착즙 부산물"은 과육 펄프(pulp)라고도 불리며, 감귤 등과 같은 과일의 껍질(과피)를 벗겨내고 착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과육 찌꺼기를 일컫는 것으로 넓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감귤 부산물은 감귤 착즙 부산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감귤 가공 과정에서 감귤 착즙 후 버려지는 부산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부산물은 매년 5만 톤 정도가 감귤 가공 시 발생되며, 이러한 착즙 부산물의 처리방안에 대해 적절한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려지고 있던, 감귤 착즙 후 남은 찌꺼기를 폐기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감귤"은 온주 밀감뿐만 아니라 유럽 남부 등지에서 재배되는 시트론(citron), 미국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재배되는 레몬(lemon), 열대 지방 등지에서 재배되는 문단이나 자몽 등의 문단류, 미국의 플로리디 등지에 재배되는 문단의 돌연변이종인 그레이프 프루트(grape fruit), 인도, 이탈리아 등지에서 재배되는 광귤(sour orange), 인도 등 세계 각지에서 재배되는 당귤,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금귤이나 유자(柚子), 우리나라 제주도 등에서 재배되는 한라봉, 진지향, 진귤, 산귤, 청귤, 동정귤, 당유자, 홍귤, 편귤, 사두감, 주감, 탱귤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만,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라는 목적상 상기 감귤은 온주밀감(Satsuma mandar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감귤 착즙 부산물 및 참나무 톱밥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발효하여 얻은, 감귤 착즙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 혼합 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감귤 착즙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을 혼합하여 발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감귤 착즙 부산물: 참나무 톱밥의 혼합비율을 1:1 내지 7, 더 바람직하게 1:2 내지 6, 더욱 더 바람직하게 1:3 내지 5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첫번째 단계로, 감귤 착즙 후 얻어진 감귤 착즙 부산물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귤 착즙 부산물은 감귤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목적상 온주 밀감을 착즙하여 얻은 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셀룰로오스 분해가 어려운 굼벵이의 특성상 상기 착즙 부산물은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 처리 같은 가공 단계를 거쳐 준비할 수 있다.
두번째 단계로, 상기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여, 이를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감귤 착즙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을 혼합하여 발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감귤 착즙 부산물: 참나무 톱밥의 혼합비율을 1:1 내지 7, 더 바람직하게 1:2 내지 6, 더욱 더 바람직하게 1:3 내지 5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상온 발효 등의 방법으로 발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효조를 이용하여 발효할 수 있다.
발효 온도는 20℃이상, 바람직하게 25℃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5℃ 에서 발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1차 발효 후에 추가로 2차 발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 단계를 거쳐 얻어진 발효물은 굼벵이가 사료를 더 많이 섭식하게 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2차 발효는 1차 발효 후에 10일, 바람직하게는 12일, 더 바람직하게는 15일 경과한 후 교반하여 30의 항온에서 발효할 수 있다.
세번째 단계로, 상기 혼합 발효물을 사료로 제공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사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육 하는 단계는 온도가 40℃이하, 바람직하게 35℃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 25 내지 30℃ 일 수 있다. 습도는 65 내지 75%, 바람직하게 68 내지 73%, 더 바람직하게 70%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귤 착즙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의 혼합물을 발효하여 얻은, 혼합발효물을 먹고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제공한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감귤 착즙 부산물을 포함하지 않은 사료로 사육한 유충에 비해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착즙부산물 함유 발효톱밥을 식용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에 60일 동안 식이한 결과 기존의 참나무 톱밥 발효사료를 먹인 것보다 생체량이 1.8배, 생존율이 약 18%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감귤착즙부산물 함유 발효톱밥을 이용하여 식용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이 60일 동안 섭취한 결과 감귤의 기능성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이 기존의 참나무 톱밥 발효사료보다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기가 곤란하고, 처리에 많은 비용을 요하는 감귤 착즙 부산물을 이용한 식용 곤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식용 곤충의 사육 방법을 제공하며, 특히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및 이의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를 섭취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존량 및 생체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를 통해 사육된 식용곤충의 유충에서 감귤착즙부산물 함유 발효톱밥을 섭취하여 기능성 성분의 함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식용곤충의 식이적, 약리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육을 위한 발효톱밥의 사진이며, 혼합 재료별 발효톱밥 사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실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사료의 종류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시기별 생체량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사료의 종류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시기별 생존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감귤착즙부산물을 함유한 식용곤충용 발효톱밥과 이를 섭취한 유충의 총폴리페놀 함량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감귤 착즙 부산물을 포함한 사료로 사육한 유충과 이를 포함하지 않은 사료로 사육한 유충의 개체 크기를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감귤 착즙 부산물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고 사육된 유충은 개체의 크기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제조
1) 실험 재료
- 사료용 발효톱밥 재료 : 참나무톱밥, 감귤착즙부산물, 감귤나무 가지, 흑설탕, 밀기울, 미생물(EM)
2) 실험 방법
- 발효 조건 : 발효조를 이용하여 혼합 후 30℃의 항온 조건에서 발효 처리함. 발효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15일 후 다시 교반 후 30℃의 항온에서 발효함.
3) 실험 결과
- 참나무 톱밥과 감귤가공부산물의 혼합비율을 2:8, 5:5, 8:2의 질량비로 조절하여 발효 처리한 결과, 8:2와 5:5의 비율 조건에서는 높은 수분 함량으로 인하여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효율이 낮았다. 하지만 참나무 톱밥과 감귤가공부산물이 8:2로 혼합하여 발효하였을 때 발효 과정이 잘 이루어졌으며, 제조 기간도 약 30일로 기존의 발효 기간과 유사하게 이루어졌다.
- 제조된 발효톱밥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감귤가공부산물이 20% 함유된 처리군에서 총 질소 함량이 참나무 발효톱밥보다 약3배 높았으며, 다른 무기성분들도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래 표 1은 혼합 재료별 발효톱밥 사료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사료 T-N(%) P(%) K(%) Ca(%) Mg(%) Fe(ppm) Mn(ppm) Zn(ppm) Cu(ppm)
참나무 0.45 0.13 0.34 0.43 0.08 149.65 59.15 10.62 4.35
참나무/감귤 착즙 부산물(8:2) 1.42 0.42 0.95 0.66 0.24 235.51 93.65 24.18 6.09
참나무/감귤 착즙 부산물(5:5) 1.20 0.36 0.88 0.65 0.23 176.00 95.76 28.15 10.50
참나무/감귤나무(5:5) 1.34 0.32 0.76 0.80 0.23 227.18 114.11 43.22 16.75
감귤나무/감귤 착즙 부산물(5:5) 1.14 0.27 0.67 0.71 0.20 236.29 106.42 41.15 15.65
참나무:감귤 착즙 부산물의 질량비율이 8:2일 때, 사료로 이용되기 적절한 정도의 발효율을 나타냈으며, 이는 미생물의 성장이 월등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미생물의 성장은 질소질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질소함량이 우수하여 유충의 우수한 단백질원으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한편, 참나무와 감귤 착즙 부산물의 질량비가 5:5에서는 발효가 잘 되지 못해 발효 시간이 증가하고 발효 효율도 낮았다. 감귤나무와 감귤 착즙 부산물의 질량비가 5:5에서는 유충의 성장이 향상되지 못하고 오히려 성장률이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2> 제조된 발효톱밥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육
1) 실험 재료
- 공시충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1령)(제주, 크로바유원)
- 사료 : 발효톱밥(참나무, 참나무와 감귤나무, 참나무와 감귤착즙부산물)
- 사육 조건 : 공기유입이 가능한 플라스틱 사육상자를 이용하여 항온 사육실에서 사육한다.
2) 실험 방법
- 1령 상태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제조한 발효톱밥별로 사육상자에 입실한 후 15일 간격으로 조사하며, 총 60일간 사육하여 결과를 얻는다.
- 각 처리별 사육상자에는 200마리의 1령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투입하고, 각 처리별 3반복하여 결과를 얻는다.
- 사육실의 온도 조건은 28℃이며 습도는 70%를 유지하였다.
- 생체량은 조사 기간별 전체 무게(질량)를 조사하여 총 개체수로 나누어 확인하였으며, 생존율은 시기별 생존 개체수를 확인하여 처음 개체수인 200 마리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3) 실험 결과
- 발효톱밥의 처리군별로 15일 간격으로 생체량과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최종 60일 기간 동안 생체량은 감귤착즙부산물이 함유된 발효톱밥 사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사육 30일에는 약 1.7배 높았으며, 3령의 상태인 60일 사육 후에는 참나무 발효톱밥을 먹인 처리군이 1마리당 1.21 g이였지만, 감귤착즙부산물을 함유한 발효톱밥을 섭취한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는 2.27 g으로 약 1.8배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생존율에서는 60일에 참나무 발효톱밥을 섭취한 군이 42%였지만, 감귤부산물을 혼합한 경우 약 60%로 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 감귤착즙부산물 함유 발효톱밥 사료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기능성 성분 향상
1) 실험 재료
- 공시충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1령)
- 사료 : 참나무 발효톱밥 사료, 감귤착즙부산물 함유 발효톱밥 사료, 참나무와 감귤나무 함유 발효톱밥 사료, 감귤나무와 감귤착즙부산물 함유 발효톱밥 사료
2) 실험 방법
- 각 사료 처리별 발효톱밥을 제조한 후, 이를 60일간 식이하여 총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였다.
- 총폴리페놀 성분 분석은 Folin-Denis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처리별 시료의 추출물을 100 ㎕에 증류수 900 ㎕를 넣어 total volume이 1 ㎕가 되도록 희석하고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100㎕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다. 이후 Na2CO3 용액(7%, w/v) 200㎕를 첨가하고 증류수 700㎕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60분간 반응하고 UV-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 분석하였으며,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검량곡선을 작성하였다.
3) 실험 결과
- 최종 제조된 발효톱밥 사료의 총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참나무톱밥을 발효한 사료는 2.4 ㎎/100g 이며, 감귤착즙부산물이 함유된 발효톱밥 사료는 2.9 ㎎/100g 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를 이용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60일 동안 사육하여 총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한 결과, 참나무 사료를 섭취한 군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4.0 ㎎/100g, 감귤착즙부산물이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군은 4.7 ㎎/100g으로 총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감귤착즙부산물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이 식용곤충에 누적될 수 있으며, 이는 식용곤충의 식이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Claims (9)

  1. 감귤 착즙 부산물을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감귤 착즙 부산물 및 참나무 톱밥을 혼합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감귤 착즙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의 혼합비율이 1:3 내지 5(감귤 착즙 부산물: 참나무 톱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사료 조성물.
  4.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육 방법으로,
    (S1) 감귤 착즙 후 부산물을 수집하는 단계;
    (S2) 상기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이 혼합된 혼합물을 발효하여 혼합 발효물을 얻는 단계; 및
    (S3) 상기 혼합 발효물을 사료로 제공하여 사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감귤 착즙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의 혼합비율이 1:3 내지 5(감귤 착즙 부산물: 참나무 톱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육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25 내지 30℃ 이며, 습도는 65 내지 75%인 조건에서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육 방법.
  7. 감귤 착즙 부산물 및 참나무 톱밥의 혼합 발효물을 먹고 사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 착즙 부산물이 포함된 사료로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부산물 및 참나무 톱밥의 혼합 발효물은 감귤 착즙 부산물과 참나무 톱밥의 혼합비율이 1:3 내지 5(감귤 착즙 부산물: 참나무 톱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 착즙 부산물이 포함된 사료로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 착즙 부산물이 포함된 사료로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KR1020160161623A 2016-11-30 2016-11-30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KR10195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23A KR101950488B1 (ko) 2016-11-30 2016-11-30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23A KR101950488B1 (ko) 2016-11-30 2016-11-30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36A true KR20180062536A (ko) 2018-06-11
KR101950488B1 KR101950488B1 (ko) 2019-05-13

Family

ID=6260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623A KR101950488B1 (ko) 2016-11-30 2016-11-30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4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564A (ko) * 2018-06-18 2019-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20200068596A (ko) * 2018-12-05 2020-06-15 농업회사법인 (주) 사람인자연 인삼을 이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사육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200071427A (ko)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KR102182126B1 (ko) * 2020-02-05 2020-11-23 유승학 굼벵이 먹이용 발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방법
KR20210000777A (ko) * 2019-06-25 2021-01-06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식물 추출물을 사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 방법
KR20230064650A (ko) 2021-11-03 2023-05-11 농업회사법인 건강드림주식회사 톱밥 및 피트를 포함하여 유충의 생존율과 성장률 향상에 유효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862B1 (ko) * 2000-03-08 2003-09-19 지경애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꽃무지 풍뎅이의 인공 사육방법
KR100937154B1 (ko) 2009-06-16 2010-01-15 경상북도 예천군(예천군곤충연구소장) 흰점박이꽃무지 대량 계대 증식 사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862B1 (ko) * 2000-03-08 2003-09-19 지경애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꽃무지 풍뎅이의 인공 사육방법
KR100937154B1 (ko) 2009-06-16 2010-01-15 경상북도 예천군(예천군곤충연구소장) 흰점박이꽃무지 대량 계대 증식 사육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564A (ko) * 2018-06-18 2019-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20200068596A (ko) * 2018-12-05 2020-06-15 농업회사법인 (주) 사람인자연 인삼을 이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사육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200071427A (ko)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KR20210000777A (ko) * 2019-06-25 2021-01-06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식물 추출물을 사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 방법
KR102182126B1 (ko) * 2020-02-05 2020-11-23 유승학 굼벵이 먹이용 발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방법
KR20230064650A (ko) 2021-11-03 2023-05-11 농업회사법인 건강드림주식회사 톱밥 및 피트를 포함하여 유충의 생존율과 성장률 향상에 유효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488B1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488B1 (ko)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KR101605790B1 (ko) 해조류 추출물, 이들의 사료 및 비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9024141A (ja) 害虫忌避効果を有する土壌改良材、発酵肥料、及びその製造方法
Kennedy Survival and development of Bradysia impatiens (Diptera: Sciaridae) on fungal and non-fungal food sources
KR102222811B1 (ko)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837A (ko) 면실류, 미강, 비트펄프 및 유황이 함유된 참나무톱밥 배지에서 생산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한 굼벵이 양식용 유황 발효 톱밥 및 그 유황 톱밥 제조방법
KR20180117841A (ko) 면실류, 미강, 비트펄프 및 유황이 함유된 참나무톱밥 배지에서 생산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이용한 굼벵이 양식용 사료 제조방법
KR20190062995A (ko) 비지박을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JP3338704B1 (ja) 鱗翅目ヤガ科昆虫の幼虫を使用した植物性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並びに、その産物を使用した飼料
Rodriguez Estrada et al.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KR101832725B1 (ko) 닭 사육 방법
KR102257872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3599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31924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식용버섯의 재배방법
KR20200071427A (ko)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Nasir et al. Effect of maize residues and sawdust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apidus
KR20120077691A (ko) 미부화 폐란을 이용한 코디세핀 생산방법
Tsiropoulos Carbohydrate utilization by normal and γ-sterilized Dacus oleae
KR101719773B1 (ko) 동충하초를 함유하는 꽃무지류 유충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9667A (ko) 한약재 부산물과 식용 버섯균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조성물
CN113693029B (zh) 一种产虫茶昆虫室内规模化繁殖的方法
KR20020084533A (ko) 버섯재배후 나온 폐톱밥과 버섯균사체를 이용한버섯사료제조방법 및 기능성 축산물 생산방법
Musakhail et al. Growth and yield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s affected by gram powder amendment in substrate
Vera et al. The effect of substrates on the growth, yield,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components of Pleurotus ostreatus supplemented with four medicinal plants
Fung et al. Mushroom Market in Malay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