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741A - 트로카 - Google Patents

트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741A
KR20180061741A KR1020160161249A KR20160161249A KR20180061741A KR 20180061741 A KR20180061741 A KR 20180061741A KR 1020160161249 A KR1020160161249 A KR 1020160161249A KR 20160161249 A KR20160161249 A KR 20160161249A KR 20180061741 A KR20180061741 A KR 2018006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knife
case
fluid
slee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767B1 (ko
Inventor
배경철
Original Assignee
배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철 filed Critical 배경철
Priority to KR102016016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767B1/ko
Priority to JP2016240764A priority patent/JP6318225B1/ja
Publication of KR2018006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4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4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 A61M2039/047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the self-sealing member being a viscous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로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는 인체의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되는 슬리브부(100), 슬리브부(100)에 삽입가능하고, 복벽을 절개하는 나이프부(200), 및 슬리브부(100)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부(300)를 포함하고, 슬리브부(100)에는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유체를 하측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트로카{Trocar}
본 발명은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많다. 따라서, 수술 이후 환자의 회복이 더디고,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된다. 이러한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 기법 등이 개발되었다.
최소 침습 수술은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도록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도구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절개 부위가 작고 출혈량이 개복 절개 수술에 비해서 현저히 적다. 따라서, 수술 이후 환자의 회복이 빠르고 외부에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최소 침습 수술은 복강경 내시경 수술 방법 중의 하나로, 복부나 흉부 등에 복강경이나 흉강경의 작은 구멍을 뚫고 수술도구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로카(trocar)를 이용한다. 여기서, 트로카는 환자의 복부나 흉부에 작은 구멍을 1개 이상 내고, 트로카의 삽입관으로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를 관통 인입시킨 다음, 수술 부위를 관찰하면서 수술을 수행할 있다.
상술한 복강경 내시경 수술 방법은 피부의 절개 부분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환자를 빠르게 회복시키며, 감염의 위험성과 흉터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담낭 절제술, 담도 결석 제거술, 출수 돌기 절제술 등을 비롯하여 일반 외과 수술에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트로카는 수술 과정에서 복부 내부의 가스가 누출될 수 있다. 이러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기술에 따른 트로카는 실링체를 구비하여 밀봉하지만, 실링체만으로는 복부 내부의 가스가 누출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612718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리브부에 복부 내부 방향으로 유체를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복부 내부의 가스가 누출하는 방지할 수 있는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는 인체의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되는 슬리브부, 상기 슬리브부에 삽입가능하고, 복벽을 절개하는 나이프부, 및 상기 슬리브부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나이프부 또는 수술기구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부에는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유체를 하측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슬리브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공급부, 및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슬리브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체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과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 내측에 형성된 분리벽 사이에 구비된 소정공간, 및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과 상기 분리벽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나선형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유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파이프부, 및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과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 외측에 형성된 공급벽 사이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파이프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연통홀을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공급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슬리브부의 상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는, 상기 밸브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확관부, 상기 확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관형으로 연장된 삽입부, 및 상기 확관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확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가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실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슬라이딩한 후,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실링부보다 상측에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돌출부에 접촉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실링부보다 하측에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된 제3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접촉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3 접촉면과,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4 접촉면을 포함하는 제4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촉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제5 접촉면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4 접촉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제6 접촉면이 하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6개의 실링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2개 이상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지지편은 후크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2개 이상의 케이스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케이스부재는 후크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호 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소정면과 상기 실링부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는 제1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호 접촉하는 상기 케이스의 소정면과 상기 탄성체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호 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소정면과 상기 탄성체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 돌기가 삽입되는 제3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에는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가 관통하고, 유체가 상기 밸브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6개의 체크밸브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상기 나이프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부가 상기 밸브부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관에 삽입될 때, 상기 나이프부에는 상기 가이드관의 상측과 마주보도록 상기 가이드관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복벽을 절개하는 상기 나이프부의 첨예한 말단에는 상기 나이프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날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브부에 복부 내부 방향으로 유체를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복부 내부의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6개의 실링편이 구비되어, 나이프부나 수술기구의 유동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의사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의사의 술기를 환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6개의 실링편이 구비되어, 진동에 의한 마찰력이 크고 마찰열이 높은 초음파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찰저항이 적으므로 실링부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로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로카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밸브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복강경 수술을 수행할 때 인체의 절개부에 복강경 수술용 견인장치를 설치하여, 절개부가 벌려진 견인 상태를 유지한 후, 본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의 나이프부(200)를 이용하여 절개부 내측의 복벽을 절개한다.
복벽을 절개한 후에는 슬리브부(100)와 밸브부(300)로부터 나이프부(200)를 제거한 후, 슬리브부(100)와 밸브부(300)에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복강경 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로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로카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밸브부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는 인체의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되는 슬리브부(100), 슬리브부(100)에 삽입가능하고, 복벽을 절개하는 나이프부(200), 및 슬리브부(100)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부(300)를 포함하고, 슬리브부(100)에는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유체를 하측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부(100)는 인체의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되는 것으로,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 등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슬리브부(100)는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리브부(100)는 확관부(110), 삽입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관부(110)는 밸브부(30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슬리브부(100)의 상측에 확관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0)는 확관부(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관형으로 연장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슬리브부(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가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는 삽입부(120)를 통과하여 절개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30)는 확관부(110)와 삽입부(120)를 연결하는 것으로, 삽입부(120)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부(100)에는 유체를 하측(복부 내부 방향)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체공급부(400)는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유체를 공급한다. 이때, 유체공급부(400)는 공급부(410), 및 유체통로(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부(410)는 슬리브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는다. 또한, 유체통로(420)는 슬리브부(100)의 외벽(423) 내측에 형성되고,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일측이 공급부(410)와 연통되고, 타측이 슬리브부(100)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공급부(410)로 공급된 유체는 나선형으로 연장된 유체통로(420)를 통과하여, 슬리브부(100)의 내부에 나선형으로 공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유체통로(420)는 슬리브부(100)의 외벽(423)과 슬리브부(100)의 외벽(423) 내측에 형성된 분리벽(425) 사이에 구비된 소정공간, 및 슬리브부(100)의 외벽(423)과 분리벽(425)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돌출되고 나선형으로 연장된 돌출부(427)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부(100)의 외벽(423)과 분리벽(425)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42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425)으로부터 슬리브부(100)의 외벽(423)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부(100)의 외벽(423)과 분리벽(425) 사이의 소정공간과 소정공간 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427)에 의해서, 유체통로(420)는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410)는 파이프부(413)와 공급통로(4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부(413)는 슬리브부(100)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공급원에 연결되어, 유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공급통로(415)는 슬리브부(100)의 외벽(423)과 슬리브부(100)의 외벽(423) 외측에 형성된 공급벽(415a)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고, 일측이 파이프부(413)와 연통되고, 타측이 연통홀(416)을 통해서 유체통로(42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파이프부(413)를 거쳐 공급통로(415)로 전달되고, 다시 공급통로(415)에서 유체통로(420)로 전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파이프부(413)에는 개폐밸브(417)가 구비되어, 파이프부(413)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급통로(415)와 유체통로(420)가 연통되는 연통홀(416)은 슬리브부(1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홀(416)이 슬리브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므로, 유체는 파이프부(413)를 거쳐 공급통로(415)에서 슬리브부(100)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후 유체는 연통홀(416)을 통과하여 유체통로(420)에서 슬리브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유체통로(420)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체는 유체통로(420)를 통과하면서 완전히 나선형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유체통로(420)는 확관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부(13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통로(420)는 확관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연통홀(416)을 통해서 유체를 공급받고, 연결부(130)의 하단에 형성된 배기홀(419)을 통해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유체는 유체통로(420)를 거치면서 나선형으로 유도되어, 슬리브부(100)의 삽입부(120)에 나선형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공급부(400)가 하측(복부 내부 방향)으로 유체를 나선형으로 공급하면, 공급된 유체는 복부 내부의 가스가 슬리브부(100)를 통해서 올라오는 것을 막아, 복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유체공급부(400)는 유체를 나선형으로 공급하므로, 복부 내부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슬리브부(100)에는 체크밸브(4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체크밸브(430)는 밸브부(30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유체가 밸브부(3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체크밸브(430)는 밸브부(300)보다 하측에 배치되므로, 슬리브부(100)로부터 밸브부(300)를 분리하더라도, 복부 내부의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통로(420)의 배기홀(419)보다 상측에 배치되므로, 유체통로(42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누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430)는 예를 들어 6개의 체크밸브편(43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430)가 6개의 체크밸브편(435)으로 형성되므로, 체크밸브(4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체크밸브(430)와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체크밸브(430)가 뒤집어지더라도 원상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상기 밸브부(300)는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밸브부(300)는 슬리브부(100)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300)는 케이스(310), 지지부(320), 및 실링부(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는 밸브부(300)의 외관을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310)는 4개의 케이스부재(311, 313, 315, 317)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4개의 케이스부재(311, 313, 315, 317)는 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케이스부재(311), 제2 케이스부재(313), 제3 케이스부재(315), 및 제4 케이스부재(317)로 정의한다. 이때, 제2 케이스부재(313)와 제3 케이스부재(315)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부재(314)가 배치되어, 케이스(310)를 밀봉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20)는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20)는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전후좌우(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에 수직인 평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지지부(320)는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가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에 대해서 경사지도록(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에 대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320)는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스윙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부(320)는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실링부(360)는 지지부(320)에 설치되어,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즉, 실링부(360)는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가 슬리브부(100)에 삽입될 때,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 주변을 밀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부(32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부(320)는 지지부재(330), 가이드부(340), 및 탄성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330)는 실링부(360)를 지지하고, 가이드부(340)는 지지부재(3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한다. 또한, 탄성체(350)는 일단이 케이스(310)(제3 케이스부재(315)와 제4 케이스부재(317)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부재(330)(제1 지지편(331)과 제2 지지편(333)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부재(330)가 슬라이딩한 후, 지지부재(33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삽입하면 지지부재(330)가 슬라이딩하면서, 탄성체(350)는 변형되어 탄성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탄성체(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가 제거되면 지지부재(33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탄성체(350)는 2번 굴곡지도록 연장되어 지지부재(330)에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350)에 의해서, 지지부재(330)에 지지된 실링부(360)는 항상 초기위치(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어,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의 안정적인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40)는 제1 가이드부(341), 제2 가이드부(343), 제3 가이드부(345), 및 제4 가이드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부(341)는 실링부(360)보다 상측에서 케이스(310)에 고정되고(제3 케이스부재(315)의 상측), 전체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31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343)는 제1 돌출부(342)의 상면에 접촉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1 접촉면(343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343)는 제1 접촉면(343a)이 제1 돌출부(342)에 지지되어 전후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부(345)는 실링부(360)보다 하측에서 케이스(310)에 고정되고(제4 케이스부재(317)의 하측), 전체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31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가이드부(347)는 제2 돌출부(346)의 상면에 접촉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3 접촉면(347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가이드부(347)는 제3 접촉면(347a)이 제2 돌출부(346)에 지지되어 전후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부(343)는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2 접촉면(34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330)의 상단(제1 지지편(331)의 상단)에는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2 가이드부(343)의 제2 접촉면(343b)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제5 접촉면(33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30)는 제5 접촉면(337)이 제2 접촉면(343b)에 지지되어,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스윙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가이드부(347)는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4 접촉면(347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330)의 하단(제3 지지편(335)의 하단)에는 슬리브부(100)의 길이방향(A)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4 가이드부(347)의 제4 접촉면(347b)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제6 접촉면(33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30)는 제6 접촉면(339)이 제4 접촉면(347b)에 지지되어,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스윙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결국, 제1 가이드부(341)의 제1 돌출부(342)와 제2 가이드부(343)의 제1 접촉면(343a) 사이의 슬라이딩, 및 제3 가이드부(345)의 제2 돌출부(346)와 제4 가이드부(347)의 제3 접촉면(347a) 사이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지지부재(330)는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343)의 제2 접촉면(343b)과 지지부재(330)의 제5 접촉면(337) 사이의 슬라이딩, 및 제4 가이드부(347)의 제4 접촉면(347b)과 지지부재(330)의 제6 접촉면(339) 사이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지지부재(330)는 나이프부(200) 또는 수술기구를 스윙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330)는 제1 지지편(331), 제2 지지편(333), 및 제3 지지편(3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편(331)과 제3 지지편(335)은 제2 지지편(333)을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편(331)과 제2 지지편(333) 사이에는 탄성체(350)의 말단이 결합되고, 제2 지지편(333)과 제3 지지편(335) 사이에는 실링부(36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편(331), 제2 지지편(333), 및 제3 지지편(335)은 상호 후크방식(hook type)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지지편(335)에는 후크 형상의 제1 체결돌기(336)가 형성되고, 제2 지지편(333)에는 제1 체결돌기(33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체결홈(334)이 형성되어, 제3 지지편(335)과 제2 지지편(333)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케이스(310)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부재(311), 제2 케이스부재(313), 제3 케이스부재(315), 및 제4 케이스부재(317) 등은 상호 후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케이스부재(315)에는 후크 형상의 제2 체결돌기(316)가 형성되고, 제4 케이스부재(317)에는 제2 체결돌기(31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체결홈(318)이 형성되어, 제3 케이스부재(315)와 제4 케이스부재(317)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지지편과 2개 이상의 케이스부재가 후크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오일침투나 환경적인 요인에 상관없이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360)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 6개의 실링커버(363)와 실링커버(363)의 하측에 배치된 6개의 실링편(3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6개의 실링편(365)이 구비되므로, 실링부(360)는 나이프부(200)나 수술기구의 유동시 마찰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의사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의사의 술기를 환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에 의한 마찰력이 크고, 마찰열이 높은 초음파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찰저항이 적으므로 실링부(36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촉하는 지지부재(330)의 소정면과 실링부(360)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기(335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돌기(335a)가 삽입되는 제1 홈(365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30) 중 제3 지지편(335)의 소정면에는 제1 돌기(335a)가 형성되고, 실링부(360) 중 실링편(365)의 소정면에는 제1 돌기(335a)가 삽입되는 제1 홈(36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30)와 탄성을 갖는 실링부(360)가 제1 돌기(335a)와 제1 홈(365a)의 조합으로 결합되므로, 실링부(360)의 두께 불균일로 인한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실링부(360)가 지지부재(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접촉하는 케이스(310)의 소정면과 탄성체(350)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돌기(315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2 돌기(315a)가 삽입되는 제2 홈(350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310) 중 제3 케이스부재(315)와 제4 케이스부재(317)의 소정면에는 제2 돌기(315a)가 형성되고, 탄성체(350)의 소정면에는 제2 돌기(315a)가 삽입되는 제2 홈(35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호 접촉하는 지지부재(330)의 소정면과 탄성체(350)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돌기(331b)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3 돌기(331b)가 삽입되는 제3 홈(350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30) 중 제1 지지편(331)의 소정면에는 제3 돌기(331b)가 형성되고, 탄성체(350)의 소정면에는 제3 돌기(331b)가 삽입되는 제3 홈(35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310)와 탄성을 갖는 탄성체(350)가 제2 돌기(315a)와 제2 홈(350a)의 조합으로 결합되고, 지지부재(330)와 탄성을 갖는 탄성체(350)가 제3 돌기(331b)와 제3 홈(350b)의 조합으로 결합되므로, 탄성체(350)의 두께 불균일로 인한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체(350)가 케이스(310)나 지지부재(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나이프부(200, 도 1 참조)는 복벽을 절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나이프부(200)는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어, 슬리브부(100)에 삽입하거나 분리가능하고, 슬리브부(100)에 삽입하면, 하단이 슬리브부(1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나이프부(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나이프부(200)의 상단을 통해서 내시경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나이프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출편(210)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돌출편(210)은 탄성력을 갖으며, 내시경의 외주면에 접촉하므로, 내시경 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이프부(2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탄성링(2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링(22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편(210)이 나이프부(200)에 형성된 관통홀(230)을 통해서 나이프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탄성링(220)과 돌출편(210)은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부(200)는 밸브부(300)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관(305)을 통해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이프부(200)가 밸브부(300)의 가이드관(305)에 삽입될 때, 나이프부(200)에는 가이드관(305)의 상측과 마주보도록 가이드관(305) 방향으로 돌출된(직경이 증가한) 연장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240)에 의해서, 나이프부(200)는 밸브부(300)의 가이드관(305)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나이프부(20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의사의 힘이 나이프부(200)에 정확히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복벽을 절개하는 나이프부(200)의 첨예한 말단에는 나이프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날개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250)는 예를 들어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250)에 의해서 나이프부(200)는 복벽을 강하게 잡고 투관할 수 있어, 복막을 쉽게 투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나이프부(200)는 기본적인 구성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프부(200)는 한 번의 사출로 형성됨으로써,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품질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슬리브부 110: 확관부
120: 삽입부 130: 연결부
200: 나이프부 210: 돌출편
220: 탄성링 230: 관통홀
240: 연장부 250: 날개부
300: 밸브부 305: 가이드관
310: 케이스 311: 제1 케이스부재
313: 제2 케이스부재 314: 실링부재
315: 제3 케이스부재 315a: 제2 돌기
316: 제2 체결돌기 317: 제4 케이스부재
318: 제2 체결홈 320: 지지부
330: 지지부재 331: 제1 지지편
331b: 제3 돌기 333: 제2 지지편
334: 제1 체결홈 335: 제3 지지편
335a: 제1 돌기 336: 제1 체결돌기
337: 제5 접촉면 339: 제6 접촉면
340: 가이드부 341: 제1 가이드부
342: 제1 돌출부 343: 제2 가이드부
343a: 제1 접촉면 343b: 제2 접촉면
345: 제3 가이드부 346: 제2 돌출부
347: 제4 가이드부 347a: 제3 접촉면
347b: 제4 접촉면 350: 탄성체
350a: 제2 홈 350b: 제3 홈
360: 실링부 363: 실링커버
365: 실링편 365a: 제1 홈
400: 유체공급부 410: 공급부
413: 파이프부 415: 공급통로
415a: 공급벽 416: 연통홀
417: 개폐밸브 419: 배기홀
420: 유체통로 423: 외벽
425: 분리벽 427: 돌출부
430: 체크밸브 435: 체크밸브편
A: 슬리브부의 길이방향

Claims (19)

  1. 인체의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되는 슬리브부;
    상기 슬리브부에 삽입가능하고, 복벽을 절개하는 나이프부; 및
    상기 슬리브부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나이프부 또는 수술기구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부에는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유체를 하측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가 형성되는 트로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슬리브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공급부; 및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슬리브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체통로;
    를 포함하는 트로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과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 내측에 형성된 분리벽 사이에 구비된 소정공간, 및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과 상기 분리벽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나선형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된 트로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유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파이프부; 및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과 상기 슬리브부의 외벽 외측에 형성된 공급벽 사이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파이프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연통홀을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공급통로;
    를 포함하는 트로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슬리브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트로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는,
    상기 밸브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확관부;
    상기 확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관형으로 연장된 삽입부; 및
    상기 확관부와 상기 삽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확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트로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가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에 밀착되는 실링부;
    를 포함하는 트로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실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슬라이딩한 후,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트로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실링부보다 상측에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돌출부에 접촉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실링부보다 하측에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된 제3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접촉하여 전후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제3 접촉면과,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4 접촉면을 포함하는 제4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촉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제5 접촉면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4 접촉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제6 접촉면이 하단에 형성된 트로카.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6개의 실링편을 포함하는 트로카.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2개 이상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지지편은 후크방식으로 결합되는 트로카.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2개 이상의 케이스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케이스부재는 후크방식으로 결합되는 트로카.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호 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소정면과 상기 실링부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는 제1 홈이 형성되는 트로카.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호 접촉하는 상기 케이스의 소정면과 상기 탄성체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호 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소정면과 상기 탄성체의 소정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 돌기가 삽입되는 제3 홈이 형성되는 트로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에는 상기 나이프부 또는 상기 수술기구가 관통하고, 유체가 상기 밸브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트로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6개의 체크밸브편을 포함하는 트로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상기 나이프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는 트로카.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부가 상기 밸브부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관에 삽입될 때,
    상기 나이프부에는 상기 가이드관의 상측과 마주보도록 상기 가이드관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된 트로카.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벽을 절개하는 상기 나이프부의 첨예한 말단에는 상기 나이프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날개부가 형성된 트로카.
KR1020160161249A 2016-11-30 2016-11-30 트로카 KR102055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49A KR102055767B1 (ko) 2016-11-30 2016-11-30 트로카
JP2016240764A JP6318225B1 (ja) 2016-11-30 2016-12-12 トロカ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49A KR102055767B1 (ko) 2016-11-30 2016-11-30 트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741A true KR20180061741A (ko) 2018-06-08
KR102055767B1 KR102055767B1 (ko) 2019-12-13

Family

ID=6206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249A KR102055767B1 (ko) 2016-11-30 2016-11-30 트로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18225B1 (ko)
KR (1) KR1020557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270A (ko) * 2018-09-14 2020-03-24 (주)미래컴퍼니 수술용 트로카
KR20210142232A (ko) * 2020-05-18 2021-11-25 박진서 수술 도구 유도용 실링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765B1 (ko) * 2019-11-06 2020-08-25 정진수 트로카조립체
KR102502904B1 (ko) * 2020-05-25 2023-02-23 박진서 기체 유입 조절 안정성이 향상된 트로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427A (en) * 1992-06-16 1995-04-18 Loma Linda University Medical Center Trocar facilitator for endoscopic surgery
KR200357206Y1 (ko) * 2004-04-21 2004-07-27 이두연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장치
KR20060069321A (ko) * 2004-12-17 2006-06-21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원주방향 투관침 밀봉 조립체
KR101092938B1 (ko) * 2011-04-22 2011-12-12 배경철 복강경 수술용 투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0447A (ko) * 2011-08-17 2015-01-02 존 스티븐 파카크 트로카 지지체
US9232963B2 (en) * 2009-10-09 2016-01-1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with retention cannula
KR101612718B1 (ko) 2014-06-18 2016-04-15 (주) 신한씨스텍 트로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59181B1 (en) * 2006-09-08 2011-02-16 SurgiQuest, Incorporated Trocar assembly with pneumatic sealing
WO2010081105A1 (en) * 2009-01-09 2010-07-15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Pleated trocar shield
DE102012213205A1 (de) * 2012-07-26 2014-05-15 Aesculap Ag Medizinische Einführhilfe mit gezogenem Einführkana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427A (en) * 1992-06-16 1995-04-18 Loma Linda University Medical Center Trocar facilitator for endoscopic surgery
KR200357206Y1 (ko) * 2004-04-21 2004-07-27 이두연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장치
KR20060069321A (ko) * 2004-12-17 2006-06-21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원주방향 투관침 밀봉 조립체
US9232963B2 (en) * 2009-10-09 2016-01-1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with retention cannula
KR101092938B1 (ko) * 2011-04-22 2011-12-12 배경철 복강경 수술용 투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0447A (ko) * 2011-08-17 2015-01-02 존 스티븐 파카크 트로카 지지체
KR101612718B1 (ko) 2014-06-18 2016-04-15 (주) 신한씨스텍 트로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270A (ko) * 2018-09-14 2020-03-24 (주)미래컴퍼니 수술용 트로카
KR20210142232A (ko) * 2020-05-18 2021-11-25 박진서 수술 도구 유도용 실링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767B1 (ko) 2019-12-13
JP6318225B1 (ja) 2018-04-25
JP2018089318A (ja)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6164A1 (en) Devices for and methods of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surgical procedures through a single incision
KR20180061741A (ko) 트로카
US8038652B2 (en) Button cannula
EP2090259B1 (en) Flip-top design cannula
KR101622426B1 (ko) 단일 절개부를 통해서 최소침습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223418A (ja) 自在高さ発泡体ポート
US10786280B2 (en) Trocar
JP2012110680A (ja) 調節可能外科手術ポータル
US9463007B2 (en) Adjustable height port including retention elements
JP2011110421A (ja) 外科用のポータルおよび導入器アセンブリ
JP2008289879A (ja) 可変調節性を有する外科用ポータル装置
KR102395034B1 (ko) 벌룬이 설치된 배액 카테터
KR20190052209A (ko)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싱글포트
US20180325551A1 (en) Surgical trocar
JP2014161733A (ja) 可撓性のあるアクセスアセンブリ
KR102367127B1 (ko) 벌룬 트로카
US10881391B2 (en) Sealing pack assembly for use with endoscopic stitching device
AU2017307229A1 (en) Laparoscopic guide
EP3871620A1 (en) Surgical access assembly having a button inflator
KR20230063566A (ko) 운드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싱글 포트
KR20110088625A (ko) 투관침 장치
JP2019093097A (ja) トロッ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