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596A -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596A
KR20180061596A KR1020160160936A KR20160160936A KR20180061596A KR 20180061596 A KR20180061596 A KR 20180061596A KR 1020160160936 A KR1020160160936 A KR 1020160160936A KR 20160160936 A KR20160160936 A KR 20160160936A KR 20180061596 A KR20180061596 A KR 20180061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uel engine
leak
dual fuel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596A/ko
Publication of KR2018006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3Failure diagnosis or prevention; Safety measures;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84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s; Details on pumps, rails or the arrangement of 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누출가스 감지센서의 통행로 상향 설치에 따른 각종 진동 취약성 문제점은 물론, 지지구조물의 공간점유 및 추가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통행로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자재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지지구조물 자체의 용량/중량이 과도해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System which provides a fuel for a dual fuel engine}
본 발명은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 단이 이중연료엔진 측 파이프에 부속된 부속구조물(예컨대, 가스 배기 밸브)과 연결된 상태로, 타 단이 상기 이중연료엔진이 설치된 통행로 측으로 하향 인출되면서, 부속구조물로부터 누출된 누출가스를 상기 통행로 방향으로 하향 가이드 할 수 있는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통행로에 배치되면서,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누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누출가스 포집챔버> 등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누출가스 감지센서가 통행로 레벨에 하향 위치한 상태에서도, 상기 누출가스 포집챔버와의 연계 하에, 자신에게 주어진 누출가스 감지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 누출가스 감지센서의 통행로 상향 설치에 따른 각종 진동 취약성 문제점은 물론, 지지구조물의 공간점유 및 추가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통행로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자재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지지구조물 자체의 용량/중량이 과도해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스처리기술, 엔진관련기술 등이 빠른 발전을 거듭하면서, 액체연료, 가스연료 등을 이중으로 병행 사용하는 이중연료엔진 및 이 이중연료엔진 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시스템 또한 폭 넓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특허 제10-726293호(명칭: 개선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이중 연료 엔진의 연료공급장치)(2007.6.11.자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748734호(명칭: 이중 연료 엔진이 장착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2007.8.13.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5-30482호(명칭: 이중연료엔진의 잔류가스 제거 시스템)(2015.3.20.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등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은 초 저온 상태의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에 저장되어 있던 액화천연가스를 강제 기화시키는 강제기화유닛(3), 강제기화유닛(3)으로부터 출력되는 강제기화가스에 포함된 미스트를 분리/제거하는 제 1 미스트 분리유닛(4),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로부터 자연 기화되어 출력되는 자연기화가스(BOG: Boil Off Gas)에 포함된 미스트를 분리/제거하는 제 2 미스트 분리유닛(2), 제 1 미스트 분리유닛(4), 제 2 미스트 분리유닛(2) 등을 거친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을 압축한 후, 압축 완료된 가스를 가스공급라인(14)을 통해, 이중연료엔진(9) 측으로 출력/공급하는 컴프레셔(5), 이중연료엔진(9)의 연료필요량이 자연기화가스의 발생 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자연기화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유닛(6)(GCU: Gas Combustion Unit), 가솔린, 디젤 등과 같은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액체연료 저장탱크(11), 가스공급라인(14) 상에 배치되면서, 일련의 열림 동작 또는 닫힘 동작 등을 통해 상기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이 이중연료엔진(9) 측으로 공급되는 흐름을 통제하는 밸브(12), 액체연료 공급라인(15) 상에 배치되면서, 액체연료(예컨대, 가솔린, 디젤 등)가 이중연료엔진(9) 측으로 공급되는 흐름을 통제하는 밸브(13), 가스공급라인(14) 상에 배치된 밸브(12)를 수용하는 밸브 룸(7), 밸브 룸(7)에 인접 배치되면서, 이중연료엔진(9)을 수용하는 엔진 룸(8)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환경 하에서, 이중연료엔진(9) 측에서는 가스공급라인(14), 액체연료 공급라인(15) 등을 통해,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 액체연료(예컨대, 가솔린, 디젤 등)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은 후, 이들을 자신의 연료로 병행 사용하면서, 발전기(10)를 가동시키는 일련의 발전기 가동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필요 처(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에 필요한 전력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연료엔진(9) 측에서는 가스공급라인(14)과 연결된 파이프(20)(예컨대, 연결파이프, 메인 피드 파이프, 분배 파이프 등)를 매개로 하여,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를 공급받게 된다.
이때, 이중연료엔진(9)은 밀폐된 엔진 룸(8)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파이프(20)를 통해, 이중연료엔진(9) 측으로 공급되던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가 누출될 경우, 폭발 등의 심각한 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종래 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파이프(20)의 부속구조물, 예컨대, 가스 배기 밸브(21)의 주변에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누출가스 감지센서(30)를 설치하고, 이 누출가스 감지센서(30)를 통해, 가스누출에 기인한 문제점을 미리 차단하고 있다.
이때, 이중연료엔진(9) 측으로 공급되는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누출가스 감지센서(30)의 누출가스 감지능력을 최적화 시키기 위하여, 해당 누출가스 감지센서(30)를 통행로(50)의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예컨대, 1.8M~2M) 이격된 상 측 부위에 위치시키는 조치를 취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누출가스 감지센서(30)를 통행로(50)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 측 부위에 위치시키는 경우, 각종 진동(예컨대, 이중연료엔진의 가동에 의한 진동, 발전기의 가동에 의한 진동,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추진에 의한 진동 등)이 해당 누출가스 감지센서(30) 측에 가혹하게 가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운영주체 측에서는 이 진동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한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누출가스 감지센서(30)의 하부에 해당 누출가스 감지센서(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물(40)을 추가로 배치하는 조치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누출가스 감지센서(30)의 하부에 지지구조물(40)을 추가로 배치하게 되는 경우, 운영주체 측에서는 지지구조물(40)의 공간점유 및 추가설치로 인해,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통행로(50)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자재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종래의 체제 하에서, 각종 진동(예컨대, 이중연료엔진의 가동에 의한 진동, 발전기의 가동에 의한 진동,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추진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한 누출가스 감지센서(30) 측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지구조물(40)을 수시로 보강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 경우, 운영주체 측에서는 자재 이용효율 저하 문제점, 통행로 이용효율 저하 문제점뿐만 아니라, 지지구조물 자체의 용량/중량이 과도해지는 문제점 또한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726293호(명칭: 개선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이중 연료 엔진의 연료공급장치)(2007.6.11.자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748734호(명칭: 이중 연료 엔진이 장착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2007.8.13.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5-30482호(명칭: 이중연료엔진의 잔류가스 제거 시스템)(2015.3.20.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이 이중연료엔진 측 파이프에 부속된 부속구조물(예컨대, 가스 배기 밸브)과 연결된 상태로, 타 단이 상기 이중연료엔진이 설치된 통행로 측으로 하향 인출되면서, 부속구조물로부터 누출된 누출가스를 상기 통행로 방향으로 하향 가이드 할 수 있는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통행로에 배치되면서,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누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누출가스 포집챔버> 등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누출가스 감지센서가 통행로 레벨에 하향 위치한 상태에서도, 상기 누출가스 포집챔버와의 연계 하에, 자신에게 주어진 누출가스 감지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 누출가스 감지센서의 통행로 상향 설치에 따른 각종 진동 취약성 문제점은 물론, 지지구조물의 공간점유 및 추가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통행로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자재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지지구조물 자체의 용량/중량이 과도해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중연료엔진과; 상기 이중연료엔진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라인과; 상기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는, 일단이 상기 가스공급라인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이중연료엔진이 설치된 통행로 측으로 하향되게 설치되어, 누출가스를 하향 가이드 하는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와; 상기 누출가스를 포집하는 누출가스 포집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누출가스 감지센서의 통행로 상향 설치에 따른 각종 진동 취약성 문제점은 물론, 지지구조물의 공간점유 및 추가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통행로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자재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지지구조물 자체의 용량/중량이 과도해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누출가스 감지센서의 설치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채용한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의 설치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의 설치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은 초 저온 상태의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1),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1)에 저장되어 있던 액화천연가스를 강제 기화시키는 강제기화유닛(103), 강제기화유닛(103)으로부터 출력되는 강제기화가스에 포함된 미스트를 분리/제거하는 제 1 미스트 분리유닛(104),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1)로부터 자연 기화되어 출력되는 자연기화가스(BOG: Boil Off Gas)에 포함된 미스트를 분리/제거하는 제 2 미스트 분리유닛(102), 제 1 미스트 분리유닛(104), 제 2 미스트 분리유닛(102) 등을 거친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을 압축한 후, 압축 완료된 가스를 가스공급라인(114)을 통해, 이중연료엔진(109) 측으로 출력/공급하는 컴프레셔(105), 이중연료엔진(109)의 연료필요량이 자연기화가스의 발생 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자연기화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유닛(106)(GCU: Gas Combustion Unit), 가솔린, 디젤 등과 같은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액체연료 저장탱크(111), 가스공급라인(114) 상에 배치되면서, 일련의 열림 동작 또는 닫힘 동작 등을 통해 상기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이 이중연료엔진(109) 측으로 공급되는 흐름을 통제하는 밸브(112), 액체연료 공급라인(115) 상에 배치되면서, 액체연료(예컨대, 가솔린, 디젤 등)가 이중연료엔진(109) 측으로 공급되는 흐름을 통제하는 밸브(113), 가스공급라인(114) 상에 배치된 밸브(112)를 수용하는 밸브 룸(107), 밸브 룸(107)에 인접 배치되면서, 이중연료엔진(109)을 수용하는 엔진 룸(108)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환경 하에서, 이중연료엔진(109) 측에서는 가스공급라인(114), 액체연료 공급라인(115) 등을 통해,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 액체연료(예컨대, 가솔린, 디젤 등)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은 후, 이들을 자신의 연료로 병행 사용하면서, 발전기(110)를 가동시키는 일련의 발전기 가동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필요 처(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에 필요한 전력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연료엔진(109) 측에서는 가스공급라인(114)과 연결된 파이프(120)(예컨대, 연결파이프, 메인 피드 파이프, 분배 파이프 등)를 매개로 하여,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를 공급받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이중연료엔진(109)은 밀폐된 엔진 룸(108)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파이프(120)를 통해, 이중연료엔진(109) 측으로 공급되던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가 누출될 경우, 폭발 등의 심각한 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누출가스 감지센서를 통행로(150)의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예컨대, 1.8M~2M) 이격된 상 측 부위에 위치시켜 설치하였지만, 이 경우, 운영주체 측에서는 누출가스 감지센서의 통행로 상향 설치에 따른 각종 진동 취약성 문제점은 물론, 지지구조물의 공간점유 및 추가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통행로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자재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지지구조물 자체의 용량/중량이 과도해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이 이중연료엔진(109) 측 파이프(120)에 부속된 부속구조물, 예컨대, 가스 배기 밸브(121)와 연결된 상태로, 타 단이 상기 이중연료엔진(109)이 설치된 통행로(150) 측으로 하향 인출되면서, 부속구조물(예컨대, 가스 배기 밸브(121))로부터 누출된 누출가스를 상기 통행로(150) 방향으로 하향 가이드 할 수 있는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통행로(150)에 배치되면서,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를 통해 유입되는 누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누출가스 포집챔버(202)>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하는 본 발명 고유의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200)를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물론, 이 경우, 이중연료엔진(109) 측으로 공급되던 가스(누출가스)(예컨대, 자연기화가스, 강제기화가스 등)는 공기보다 가벼운 자신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의 강제유인에 의해 누출가스 포집챔버 측으로 하향 포집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러한 조치 하에서, 누출가스 감지센서(203) 측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출가스 포집챔버(202)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출가스 포집챔버(202)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누출가스 포집챔버의 내부에 누출가스가 포집되어 있는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환경 하에서(즉, 누출가스 감지 포인트가 통행로(150)의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예컨대, 1.8M~2M) 이격된 상 측 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통행로(150) 레벨에 배치된 누출가스 포집챔버(20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누출가스 감지센서(203) 측에서는 진동에 취약한 통행로 상 측 부위에 위치하지 않고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누출가스 감지역할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각종 진동에 기인한 문제점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누출가스 감지센서(203)가 통행로(150) 레벨에 배치된 누출가스 포집챔버(202)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이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구조물은 그 배치를 자연스럽게 생략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자신과 관련된 각종 문제점을 전혀 야기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 단이 이중연료엔진(109) 측 파이프(120)에 부속된 부속구조물과 연결된 상태로, 타 단이 상기 이중연료엔진(109)이 설치된 통행로(150) 측으로 하향 인출되면서, 부속구조물로부터 누출된 누출가스를 상기 통행로(150) 방향으로 하향 가이드 할 수 있는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통행로(150)에 배치되면서,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를 통해 유입되는 누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누출가스 포집챔버(202)> 등을 추가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누출가스 감지센서(203) 측에서는 통행로 레벨에 하향 위치한 상태에서도, 상기 누출가스 포집챔버(202)와의 연계 하에, 자신에게 주어진 누출가스 감지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누출가스 감지센서(203)의 통행로 상향 설치에 따른 각종 진동 취약성 문제점은 물론, 지지구조물의 공간점유 및 추가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통행로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자재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지지구조물 자체의 용량/중량이 과도해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를 탄력적인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유연성 재질, 예컨대, 고무 재질,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선택하는 조취를 취하게 된다.
물론,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가 예컨대, 고무 재질, 스테인레스 재질 등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운영주체(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운영주체, 이중연료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이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201)를 피거나, 구부려,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는 적절한 위치에 거치 시키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200)를 좀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스누출의 감지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01: 액체천연가스 저장탱크
2,102: 제 2 미스트 분리유닛
3,103: 강제기화유닛
4,104: 제 1 미스트 분리유닛
5,105: 컴프레셔
6,106: 가스연소유닛
7,107: 밸브 룸
8,108: 엔진 룸
9,109: 이중연료엔진
10,110: 발전기
11,111: 액체연료 저장탱크
12,13,112,113: 밸브
14,114: 가스공급라인
15,115: 액체연료 공급라인
20,120: 파이프
21,121: 가스 배기 밸브
30,203: 누출가스 감지센서
40: 지지구조물
50,150: 통행로
200: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
201: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
202: 누출가스 포집챔버

Claims (3)

  1. 이중연료엔진과;
    상기 이중연료엔진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라인과;
    상기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연료엔진 가스누출 감지부는,
    일단이 상기 가스공급라인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이중연료엔진이 설치된 통행로 측으로 하향되게 설치되어, 누출가스를 하향 가이드 하는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와;
    상기 누출가스를 포집하는 누출가스 포집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누출 감지부는 상기 누출가스 포집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누출가스 포집챔버의 내부에 상기 누출가스가 포집되어 있는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누출가스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가스 흐름 가이드 튜브는 유연성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KR1020160160936A 2016-11-30 2016-11-30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KR20180061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36A KR20180061596A (ko) 2016-11-30 2016-11-30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36A KR20180061596A (ko) 2016-11-30 2016-11-30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96A true KR20180061596A (ko) 2018-06-08

Family

ID=6259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936A KR20180061596A (ko) 2016-11-30 2016-11-30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5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457A (ko) 2018-07-13 2020-01-22 금오기전 주식회사 이중 연료 엔진 연료분사장치의 구동 제어를 위한 장치
CN113624412A (zh) * 2021-06-24 2021-11-09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船用发电机可燃气体泄漏识别系统及船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93B1 (ko) 2005-10-18 2007-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개선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이중 연료 엔진의연료공급장치
KR100748734B1 (ko) 2006-08-10 2007-08-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 연료 사용 엔진이 장착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20150030482A (ko) 2013-09-12 2015-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연료엔진의 잔류가스 제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93B1 (ko) 2005-10-18 2007-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개선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이중 연료 엔진의연료공급장치
KR100748734B1 (ko) 2006-08-10 2007-08-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 연료 사용 엔진이 장착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20150030482A (ko) 2013-09-12 2015-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연료엔진의 잔류가스 제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457A (ko) 2018-07-13 2020-01-22 금오기전 주식회사 이중 연료 엔진 연료분사장치의 구동 제어를 위한 장치
CN113624412A (zh) * 2021-06-24 2021-11-09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船用发电机可燃气体泄漏识别系统及船舶
CN113624412B (zh) * 2021-06-24 2024-05-17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船用发电机可燃气体泄漏识别系统及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1582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crankcase of a dual-fuel engine
JP6262076B2 (ja) メタノールを燃料とする船舶
US10344714B2 (en) System for delivering a fluid stored in liquefied form to an end user in gaseous form
RU2727773C2 (ru) Комплект для раздачи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KR20180061596A (ko) 이중연료엔진 연료공급시스템
RU2013121597A (ru) Способ снабж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мощностью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й 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ой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20180017819A (ko) 질소 퍼징 방법 및 시스템
JP7016978B2 (ja) 船舶
CN108271366B (zh) 气体管道系统和包括气体管道系统的船舶
KR20110078197A (ko) Lng 탱크의 lng 누출물 배출 장치
KR2019001254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가스치환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0986276B1 (ko) 엘엔지 선박의 고압 연료 공급관
KR20130049086A (ko)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CA3088257A1 (en) Leak detection in a hydrogen fuelled vehicle
KR101407720B1 (ko) Lng용 이중 배관의 성능평가 장치
KR102261772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JP2013087848A (ja) 低温タンクのガス検知システム
KR102095689B1 (ko) 가스 엔진 파워 플랜트의 배기 연료 처리 조립체 및 가스 엔진 파워 플랜트로부터 배기 연료 가스를 회수하는 방법
US9850864B2 (en) Fue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iston engine
KR20100047387A (ko) 증발가스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101642860B1 (ko) 엘피지 운반선의 환기 시스템
KR20140073044A (ko)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EP2503128B1 (en) Fuel supply system for boats fuelled by alternative fuels and relative boats
KR20100034891A (ko) Lng 차량의 연료장치
KR20180134613A (ko) 연료 공급 시스템과 이를 구비하는 선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