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558A - 토출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토출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558A
KR20180061558A KR1020160160790A KR20160160790A KR20180061558A KR 20180061558 A KR20180061558 A KR 20180061558A KR 1020160160790 A KR1020160160790 A KR 1020160160790A KR 20160160790 A KR20160160790 A KR 20160160790A KR 20180061558 A KR20180061558 A KR 20180061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charge port
main body
open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진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16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558A/ko
Publication of KR2018006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토출구 개폐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토출구 개폐장치는: 본체에 구비되는 토출구와,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다.

Description

토출구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ENT HOLE}
본 발명은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부를 힌지구조로 회전하여 토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므로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토출장치는 흡입된 공기를 정화, 냉각, 가열, 가습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 후, 토출구를 통해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장치이다.
공기토출장치에는 공기청정기, 가습기, 가습공기청정기, 제습기, 에어컨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치가 있으며, 이 중 공기청정기는 공기 속의 먼지나 세균 따위를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이고, 제습기는 실내가 건조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증기를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며, 가습공기청정기는 공기 청정 기능과 공기 가습기능을 겸비하는 장치이다.
공기토출장치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처리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토출구는 상측으로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토출장치에서 토출구가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 대기 중으로 떠다니는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이 토출구의 그릴 사이로 낙하하여 본체 내부에 축적되므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건강을 심각하게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5336호(2007.10.02, 발명의 명칭: 공기청정기의 토출구 개폐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커버부를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펼치거나 접어서 토출구를 개폐하므로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힌지부의 삽입홈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므로 접어진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두께를 보상하여 연결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버를 본체에 연결하는 힌지부의 장착홈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므로 접어진 제1,제2커버가 함께 회동하여 안착홈부에 안착시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두께를 보상하여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커버를 착탈부를 이용하여 본체에 착탈함으로써, 접이식 또는 슬라이드식 커버의 노출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커버를 커버가이드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본체에 구비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를 덮어주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토출구의 일부를 덮어주는 제1커버; 상기 토출구의 다른 일부을 덮어주는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를 상기 제2커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상기 토출구의 반을 각각 커버하고,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힌지부는,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의 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 또는 상기 제1커버의 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커버가 상기 제2커버에 덮일 때 적층 두께를 보상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연결힌지부에 의해 접혀진 상기 제1,제2커버가 상기 힌지부에 대해 회전하여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커버 또는 상기 본체의 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힌지돌부; 및 상기 힌지돌부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커버; 및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대응하는 분리그릴을 갖는 분리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커버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본체에서 착탈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 또는 상기 분리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는 착탈홈부; 및 상기 착탈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분리커버의 하측 또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착탈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커버부를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펼치거나 접어서 토출구를 개폐하므로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힌지부의 삽입홈을 를 장공 형태로 형성하므로 접어진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두께를 보상하여 연결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버를 본체에 연결하는 힌지부의 장착홈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므로 접어진 제1,제2커버가 함께 회동하여 안착홈부에 안착시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두께를 보상하여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커버를 착탈부를 이용하여 본체에 착탈함으로써, 접이식 커버 및 슬라이드식 커버의 노출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커버를 커버가이드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제1,제2커버가 펼쳐진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제1커버가 제2커버에 접어진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제1,제2커버가 함께 접어진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제1커버가 제2커버에 접어질 때 연결힌지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커버부 페쇄 상태에서 개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슬라이드커버 개방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제1,제2커버가 펼쳐진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제1커버가 제2커버에 접어진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제1,제2커버가 함께 접어진 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제1커버가 제2커버에 접어질 때 연결힌지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커버부 페쇄 상태에서 개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토출구(100) 및 개폐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냉각, 가열, 가습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 후, 본체(20)에 구비된 토출구(100)를 통해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장치이다. 공기토출장치(10)에는 공기청정기, 가습기, 가습공기청정기, 제습기, 에어컨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치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공기토출장치(10)는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토출구(100)는 공기토출장치(10)의 본체(20)에 구비된다. 토출구(200)는 본체(20)의 저면, 앙면 또는 상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본체(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개폐부(200)는 토출구(100)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개폐부(200)는 접이개폐방식, 회전개폐방식, 슬라이드개폐방식 및 기타 개폐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개폐부(200)는 토출구(100)를 덮어주는 커버부(210)와, 커버부(210)를 본체(20)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250)를 포함한다.
커버부(210)는 토출구(100)의 일부를 덮어주는 제1커버(220)와, 토출구(100)의 다른 일부을 덮어주는 제2커버(230)와, 제1커버(220)를 제2커버(230)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힌지부(240)를 포함한다.
제1커버(220)와 제2커버(230)는 토출구(100)의 반을 각각 커버하고,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220)는 토출구(100)의 전측부위를 커버하고, 제2커버(230)는 토출구(100)의 후측부위를 커버한다.
연결힌지부(240)는 제1커버(220) 또는 제2커버(230)의 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부(242)와, 돌기부(242)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홈(246)이 형성되고, 제2커버(230) 또는 제1커버(220)의 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설치부(244)를 포함한다.
삽입홈(246)은 제1커버(220)가 제2커버(230)에 덮일 때 적층 두께를 보상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홈(246)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삽입홈(246)은 제1커버(220)와 제2커버(230)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돌기부(242)는 제1커버(220)가 제2커버(200)에 덮일 때 제1커버(220)의 두께에 대응하는 이동거리를 가질 수 있다.
설치부(244)의 외형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설치부(244)의 외형은 삽입홈(246)의 형상에 대응된다. 이로써, 설치부(244)는 타원형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커버(220,230)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돌기부(242)는 설치부(244)의 삽입홈(246)의 하측부위에 접촉되어 있다가, 도 5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220)가 회동하여 제2커버(23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 돌기부(242)는 제1커버(220) 또는 제2커버(230)의 두께만큼 상측으로 이동하여 삽입홈(246)의 상측부위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도 5의 두 번째 도면에서, 제1커버(220)가 제2커버(2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1차 접이시 제1커버(220)가 제2커버(2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접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삽입홈(246)은 제2커버(230)의 전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체(20)에는 연결힌지부(240)에 의해 접혀진 제1,제2커버(220,230)가 힌지부(250)에 대해 회전하여 안착되는 안착홈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부(260)는 제1커버(220)와 커버(230)의 두께 합의 깊이 이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안착홈부(260)의 깊이는 제1커버(220)와 커버(230)의 두께의 합에 대응하는 것이 유리하다.
힌지부(250)는 제2커버(220) 또는 본체(20)의 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힌지돌부(252)와, 힌지돌부(252)가 삽입되는 장착홈(256)이 형성되고, 본체(20) 또는 제2커버(230)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254)를 포함한다.
장착홈(256)은 상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이다. 장착홈(256)은 제1커버(220)와 제2커버(230)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힌지돌부(252)는 제1,제2커버(220,230)가 후측으로 젖혀질 때 제1커버(220) 또는 제2커버(230)의 두께에 대응하는 이동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도 6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커버(220,230)가 완전펼쳐진 상태이거나 제1커버(220)가 제2커버(230)에만 접힌 상태에서는 힌지돌부(252)는 힌지고정부(254)의 장착홈(256) 하측부위에 접촉되어 있다가, 도 6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커버(220,230)가 함께 회동하여 안착홈부(260)에 안착하는 경우, 힌지돌부(252)는 제1커버(220) 또는 제2커버(230)의 두께만큼 상측으로 이동하여 장착홈(256)의 상측부위에 접촉하게 된다.
즉, 상측에 있던 제1커버(220)가 안착홈부(260)에 안착되면서 하측 위치로 반전되므로 힌지돌부(252)의 상측 이동거리는 제1커버(220)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이다. 한편, 도 6의 두 번째 도면에서, 제1커버(220)가 제2커버(2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1차 접이시 제1커버(220)를 제2커버(2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접어줄 수도 있다.
제1,제2커버(220,230)는 토출구(100)의 상면에 약간 이격되거나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제2커버(220,230)가 토출구(100)의 상면에 약간 이격되는 상태로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설치부(244)의 외형은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커버(230)의 하측부위가 토출구(100)에서 약간 이격되도록 설치부(244)가 제2커버(230)의 저면으로부터 약간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제1,제2커버(220,230)가 완전히 펼쳐질 때, 제2커버(230)와 연접해 있는 제1커버(220)의 전측부위는 자중에 의해 토출구(100) 상면에 닿아 경사지게 지지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높이를 보상하는 간격유지돌부(270)가 제1커버(220)의 전측부위 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돌부(270)는 제1커버(220)가 제2커버(230)와 같이 동일한 수평을 유지하게 해준다. 간격유지돌부(270)는 제1커버(220)가 제2커버(230)에 덮인 경우와, 제1,제2커버(220,230)가 함께 회동하여 안착홈부(260)에 안착한 경우 모두 다른 부재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간격유지돌(270)의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본체(20) 상측에 설치되고, 토출구(100)에 대응하는 분리그릴(352))을 갖는 분리커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커버(350))는 착탈부(400)에 의해 본체(20)에서 착탈될 수 있다.
착탈부(400)는 본체(20)의 상측 또는 분리커버(350)의 하측에 구비되는 착탈홈부(410)와, 착탈홈부(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분리커버(350)의 하측 또는 본체(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착탈후크(420)를 포함한다.
착탈홈부(410)는 본체(20)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수용공간부(430)에 형성될 수 있다.
분리커버(350)에는 손으로 잡기 위한 그립홈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립홈부(440)는 분리커버(350)의 양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다. 그립홈부(440)는 분리커버(350)의 양측 중심부위에서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에서, 분리커버(350)의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분리커버(350)의 그립홈부(440)를 손으로 잡고 분리커버(350)의 착탈후크(420)를 착탈홈부(410)에서 강제 분리시킨다. 이때, 커버부(210)를 힌지부(250) 기준으로 접거나 펼쳐 토출구(100)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그리고, 분리커버(35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분리된 분리커버(350)의 착탈후크(420)를 착탈홈부(410)에 걸어줌으로써 분리커버(350)를 조립하고, 공기토출장치(10)를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슬라이드커버 개방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토출구(100) 및 개폐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와 일부의 구성이 유사하므로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하겠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개폐부(300)는 토출구(100)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커버(310)와, 슬라이드커버(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커버(3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가이드(32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커버(310)의 상측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되거나 함몰된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커버(310)는 토출구(100)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가이드(320)는 본체(20) 상측에서 슬라이드커버(3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하측으로 슬라이드커버(310)가 이동할 수 있는 틈새를 갖는 레일(rail)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슬라이드방식의 개폐부(30)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본다. 도 9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310)는 토출구(100)를 개방하도록 후측으로 밀어주면, 슬라이드커버(310)가 커버가이드(32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100)를 개방하므로 청정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9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장치(10) 사용이 완료된 후, 분리커버(350)의 그립홈부(440)를 손으로 잡고 분리커버(350)의 착탈후크(420)를 착탈홈부(410)에서 강제 분리시킨 후, 슬라이드커버(310)를 전측으로 당겨 커버가이드(320)를 따라 이동시켜 토출구(100)를 차단한다, 그리고, 분리된 분리커버(350)의 착탈후크(420)를 착탈홈부(410)에 걸어줌으로써 분리커버(350)를 조립하고, 공기토출장치(10)를 보관할 수 있다. 이로써, 개폐부(300)를 이용하여 토출구(200)를 개방하거나 토출구(100)를 차단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커버부를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펼치거나 접어서 토출구를 개폐하므로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힌지부의 삽입홈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므로 접어진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두께를 보상하여 연결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버를 본체에 연결하는 힌지부의 장착홈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므로 접어진 제1,제2커버가 함께 회동하여 안착홈부에 안착시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두께를 보상하여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커버를 착탈부를 이용하여 본체에 착탈함으로써, 접이식 커버 및 슬라이드식 커버의 노출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커버를 커버가이드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본체 100 : 토출구
200 : 개폐부 210 : 커버부
220 : 제1커버 230 : 제2커버
240 : 연결힌지부 242 : 돌기부
244 : 설치부 246 : 삽입홈 :
250 : 힌지부 252 : 힌지돌부
254 : 힌지고정부 256 : 장착홈
300 : 개폐부 310 : 슬라이드커버
320 : 가이드커버 350 : 분리커버
400 : 착탈부 410 : 착탈홈부
420 : 착탈후크 430 : 수용공간부
440 : 그림홈부 10 : 공기토출장치

Claims (11)

  1. 본체에 구비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를 덮어주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토출구의 일부를 덮어주는 제1커버;
    상기 토출구의 다른 일부을 덮어주는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를 상기 제2커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상기 토출구의 반을 각각 커버하고,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힌지부는,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의 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 또는 상기 제1커버의 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커버가 상기 제2커버에 덮일 때 적층 두께를 보상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연결힌지부에 의해 접혀진 상기 제1,제2커버가 상기 힌지부에 대해 회전하여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커버 또는 상기 본체의 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힌지돌부; 및
    상기 힌지돌부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커버; 및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대응하는 분리그릴을 갖는 분리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커버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본체에서 착탈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 또는 상기 분리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는 착탈홈부; 및
    상기 착탈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분리커버의 하측 또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착탈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개폐장치.
KR1020160160790A 2016-11-29 2016-11-29 토출구 개폐장치 KR20180061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790A KR20180061558A (ko) 2016-11-29 2016-11-29 토출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790A KR20180061558A (ko) 2016-11-29 2016-11-29 토출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58A true KR20180061558A (ko) 2018-06-08

Family

ID=6260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790A KR20180061558A (ko) 2016-11-29 2016-11-29 토출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5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5136A (zh) * 2018-06-28 2018-12-14 芜湖中科智捷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环保的伺服节能式注塑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5136A (zh) * 2018-06-28 2018-12-14 芜湖中科智捷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环保的伺服节能式注塑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3971B2 (en) Tray table with electronic device support for vehicles
KR101631818B1 (ko) 트리밍 박스
US20070151067A1 (en) Negative pressure tabletop dust collecting machine
KR20180061558A (ko) 토출구 개폐장치
US20030159597A1 (en) Filtering device for smoke produced by a cooker
USD518158S1 (en) Air cleaner
KR20160003293U (ko) 슬라이드 방식을 가지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후드 커버 및 그 후드 커버가 구비된 후드
KR20170002046A (ko) 전자레인지
KR101679918B1 (ko) 양봉용 화분채취기
EP3522761A1 (en) Stick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filter
JP2007056511A (ja) 洗濯機用防水パン
JP2003130440A (ja)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US8870022B2 (en) Diaper and wipe dispensing system
JP2004245569A (ja) 冷凍機内蔵型ショーケース
US20150144635A1 (en) Cover for holding tray
JP6406997B2 (ja) 顔面付着異物除去装置
USD963970S1 (en) Indoor wall for the built-in home appliances
JP5948122B2 (ja) 浴室戸
ITMI20000259A1 (it) Coppa di aspirazione dei vapori per l'installazione in un armadietto pensile di cucina
JP2000253769A (ja) 動物用塵埃飛散防止型可動作業台
KR2018000245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흡입구
JP6611670B2 (ja) 壁掛型暖房機
KR100500986B1 (ko) 공기조화기
USD586774S1 (en) Handset
JP2009279256A (ja) 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