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365A -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365A
KR20180061365A KR1020187013152A KR20187013152A KR20180061365A KR 20180061365 A KR20180061365 A KR 20180061365A KR 1020187013152 A KR1020187013152 A KR 1020187013152A KR 20187013152 A KR20187013152 A KR 20187013152A KR 20180061365 A KR20180061365 A KR 2018006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eature
arm
mating
ma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알 매슈스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6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3Hermaphroditic connectors, i.e. two identical plugs mating with one another, each plug having both male and female diametrically opposed engag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4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는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언래칭하도록 구성되는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를 언래칭하도록 작동되는 경우 커넥터의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 및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 둘 모두를 맞물림해제시킨다.

Description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래칭 커넥터 조립체 및 연관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로 지칭되는 한 쌍의 커넥터를 포함하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이팅 커넥터는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이팅 구성요소를 갖는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전기적 또는 광학적 연결부를 위해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구성요소와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서, 커넥터의 구성요소는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접촉부이다. 광학 커넥터에서, 커넥터의 구성요소는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광학 엘리먼트 또는 장치에 광학적으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엘리먼트 또는 광학 장치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인-라인 커넥터 조립체일 수 있으며, 커넥터 쌍의 각각의 커넥터는 케이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광학 도파관을 포함하는 케이블 또는 하나 이상의 전기 와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부착되고 그에 의해 지지되어, 커넥터 쌍의 커넥터를 메이팅하는 것이 케이블 대 케이블 연결부를 제공한다. 일부 구성에서, 커넥터 쌍의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전기 트레이스, 광학 도파관 또는 섬유 케이블이 라우팅되는 백플레인 또는 다른 회로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넥터를 메이팅하는 것은 보드 대 케이블 또는 백플레인 대 회로 보드 신호 연결부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커넥터 둘 모두는 회로 보드에 부착되어, 커넥터 쌍의 커넥터를 메이팅하는 것은 보드 대 보드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 쌍의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에는 "성별"이 할당될 수 있고, "수" 또는 "암"으로 지정될 수 있다. "암"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수" 커넥터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리셉터클이다. 자웅동체(hermaphroditic) 커넥터는 수 및 암 엘리먼트 둘 모두를 갖는 커넥터이다. 일부 자웅동체 커넥터 조립체에서,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는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는 메이팅 자웅동체 커넥터와 메이팅하도록 구성되는 자웅동체 커넥터를 수반한다. 커넥터는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언래칭하도록 구성되는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를 언래칭하도록 작동되는 경우 커넥터의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 및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 둘 모두를 맞물림해제시킨다.
일부 실시예는 커넥터에 대한 래칭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제1 보유 특징부는 커넥터의 제1 측면에 배열되고, 제2 보유 특징부는 커넥터의 제2 측면에 배열된다.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메이팅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은 제1 및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가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는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는 보유 특징부 및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커넥터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되는 상보적 보유 특징부를 포함한다.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는 메이팅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는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1 아암은 커넥터의 제1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제1 아암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제1 아암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캠을 갖는다. 연동기는 제1 아암의 제1 단부를 작동 레버의 제2 단부에 부착한다. 제2 아암은 커넥터의 제2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제2 아암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제2 아암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갖는다. 피봇 아암은 작동 레버의 제2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힌지에 의해 제2 아암의 제1 단부에 부착된다. 작동 레버의 작동은 레버의 제2 단부를 중심으로 한 레버의 제1 단부의 회전을 유발하고, 레버의 제1 단부의 회전은 피봇 아암이 받침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고, 받침대를 중심으로 한 피봇 아암의 회전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이 커넥터의 제1 및 제2 측면을 따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 아암의 모션은 제1 아암의 제2 단부의 캠이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를 메이팅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로부터 맞물림해제하게 한다. 제2 아암의 모션은 제2 아암의 제2 단부의 캠이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를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로부터 맞물림해제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는 커넥터를 메이팅 커넥터로부터 언래칭하는 방법을 수반한다. 피봇 아암, 및 제1 및 제2 측면 아암에 커플링되는 작동 레버가 이동된다. 피봇 아암은 작동 레버의 이동에 응답하여 회전된다. 제1 및 제2 측면 아암은 피봇 아암의 회전에 응답하여 반대 방향으로 병진 이동한다.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는 제2 측면 아암의 이동에 응답하여 메이팅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맞물림해제된다. 메이팅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는 제1 측면 아암의 이동에 응답하여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맞물림해제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메이팅된 위치에 있는 커넥터 조립체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c 및 도 2d는 메이팅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도 2a 및 도 2b의 커넥터 조립체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중립 위치에 있는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언래칭된 프로세스가 아닌) 광학 커넥터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각각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해제된 래치 위치에서의 도 2a 내지 도 2b의 래칭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해제된 래치 위치에서의 도 2a 및 도 2b의 래칭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5c는 작동 레버의 동작으로 인해 받침대를 중심으로 한 래칭 메커니즘의 피봇 아암의 회전에 대한 상세화된 도면을 제공한다.
도 6은 핀 및 소켓을 사용하여 달성되는 커넥터와 메이팅 커넥터의 정렬을 예시하며, 도 6의 정렬 특징부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7은 핀 중 적어도 하나가 하나 이상의 평탄부를 포함하는 경우 소켓을 포함하는 메이팅 커플링 및 핀을 포함하는 전기적 또는 광학적 커플링 장치 사이의 정렬을 도시하고, 도 7의 정렬 특징부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8a 및 도 8b는 자웅동체인 전기적 또는 광학적 커플링 장치 사이의 정렬을 예시하고, 도 8a 및 도 8b의 정렬 특징부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9a 내지 도 9d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자웅동체 정렬 특징부의 예를 제공한다.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축척으로 작성된 것은 아니다. 도면에 사용되는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시한다. 그러나, 주어진 도면에서 소정 구성요소를 지시하기 위한 도면 부호의 사용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지된 다른 도면의 그 구성요소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래칭 메커니즘을 수반한다. 래칭 메커니즘니즘은 커넥터의 구성요소와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구성요소의 우발적 디커플링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쌍의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고정되게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는 자웅동체인 커넥터를 포함하고, 메이팅 쌍의 각각의 커넥터는 동일하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 조립체의 어느 한 단부 또는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커넥터를 메이팅 커넥터로부터 언래칭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콤팩트한 단일단 래칭 메커니즘은 동일한 메이팅 커넥터로부터 메이팅, 래칭, 언래칭 및 디-메이팅할 수 있는 소형 풋프린트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래칭 메커니즘 및/또는 정렬 특징부를 갖는 커넥터는 케이블 대 케이블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인-라인 커넥터와 메이팅 및 래칭될 수 있거나, 또는 높은 신호 밀도, 높은 신호 카운트 보드 대 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중-모듈 백플레인 또는 프론트플레인 타입 캐리어의 커넥터와 메이팅 및 래칭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1) 및 메이팅 커넥터(111)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a는 메이팅 위치에 있는 커넥터(101) 및 메이팅 커넥터(111)를 도시하고, 도 1b는 메이팅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커넥터(101) 및 메이팅 커넥터(111)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101) 및 메이팅 커넥터(111)는 동일하고, "수" 및 "암" 특징부를 각각 갖는 자웅동체이다. 커넥터(101)는 하우징(102) 및 하우징(102) 내에 배치되는 커넥터 구성요소(103), 예를 들어, 전기 접촉부 또는 광학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메이팅 커넥터(111)는, 내부에 커넥터 구성요소(113)가 배치된 동일한 하우징(112)을 포함하고, 메이팅 커넥터(111)의 커넥터 구성요소(113)는 예를 들어, 전기 또는 광학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커넥터(101)의 커넥터 구성요소(103)와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101) 및 메이팅 커넥터(111)는 메이팅 동안 커넥터(101)와 메이팅 커넥터(111)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보적 정렬 특징부(107a, 107b, 117a, 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보적 정렬 특징부(107a, 107b, 117a, 117b)는, 커넥터(101)가 메이팅 축(199)을 따라 메이팅 커넥터(111)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102, 112) 및/또는 커넥터(101) 및 메이팅 커넥터(111)의 커넥터 구성요소(103, 113)와 맞물리고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101, 111) 각각은,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05a, 115a), 맞물림해제 특징부(105b, 115b) 및 보유 엘리먼트(106a, 106b, 116a, 116b)를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104, 114)을 갖는다. 커넥터 래칭 메커니즘(104)의 보유 엘리먼트(106a)는 메이팅 커넥터(111)의 래칭 메커니즘(114)의 상보적 메이팅 보유 엘리먼트(116b)와 기계적으로 맞물리고 래칭하도록 구성된다. 보유 엘리먼트(106b)는 메이팅 커넥터(111)의 상보적 메이팅 보유 엘리먼트(116a)와 기계적으로 맞물리고 래칭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101)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05a)은 인간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어, 맞물림해제 특징부(105b)가 커넥터(101)의 보유 엘리먼트(106b)를 메이팅 커넥터(111)의 보유 엘리먼트(116a)로부터 맞물림해제(언래칭)하게 하고, 메이팅 커넥터(111)의 보유 엘리먼트(116b)를 커넥터(101)의 보유 엘리먼트(106a)로부터 맞물림해제(언래칭)하게 할 수 있다. 메이팅 커넥터(111)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15a)은 인간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어, 맞물림해제 특징부(115b)가 메이팅 커넥터(111)의 보유 엘리먼트(116b)를 커넥터(101)의 보유 엘리먼트(106a)로부터 맞물림해제(언래칭)하게 하고, 커넥터(101)의 보유 엘리먼트(106b)를 메이팅 커넥터(111)의 보유 엘리먼트(116a)로부터 맞물림해제(언래칭)하게 할 수 있다. 커넥터(101)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05a) 또는 메이팅 커넥터(111)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15a)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은 커넥터의 보유 엘리먼트(106b)를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엘리먼트(116a)로부터 언래칭하고, 메이팅 커넥터(111)의 보유 엘리먼트(116b)를 커넥터(101)의 보유 엘리먼트(106a)로부터 언래칭한다. 따라서, 커넥터(101) 및 메이팅 커넥터(111)는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05a, 115a) 중 하나만을 작동시킴으로써 맞물림해제될 수 있고, 커넥터 쌍을 언래칭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05a, 115a) 둘 모두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커넥터 쌍의 어느 한 커넥터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래칭 메커니즘은 본 명세서에서 "단일단 작동식" 래칭 메커니즘으로 지칭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5c는, 단일단 작동식 래칭 메커니즘(204, 214)을 각각 갖는 커넥터(201) 및 메이팅 커넥터(211)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200)의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예시적인 커넥터 조립체(200)는, 광학 커넥터 구성요소, 예를 들어,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광 커넥터 구성요소와 광학적으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커넥터 유닛으로 또한 지칭되는 광학 페룰(ferrule)을 포함하는 광학 커넥터 조립체(200)로 예시된다. 광학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일단 작동식 래칭 메커니즘을 예시하는 것은 편의성의 문제이며, 단일단 작동식 래칭 메커니즘은 임의의 타입의 커넥터 조립체, 예를 들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 광-전자 커넥터 조립체, 및/또는 전기 및 광학 구성요소 둘 모두를 포함하고 전기 및 광학 경로 둘 모두를 연결하는 커넥터 조립체와 함께 활용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메이팅된 위치에 있는 커넥터 조립체(200)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c 및 도 2d는 메이팅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커넥터 조립체(200)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메이팅 동안, 커넥터(201)는 메이팅 축(299)을 따라 메이팅 커넥터(211)에 대해 이동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넥터(201) 및 메이팅 커넥터(211)는 동일하고, "수" 및 "암" 엘리먼트를 각각 갖는 자웅동체이다. 커넥터(201)는 하우징(202) 및 하우징(202) 내에 배치되는 광학 페룰(203)(또한 "광 커넥터 유닛"으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메이팅 커넥터(211)는 하우징(212) 내에 배치된 광학 페룰(213)을 갖는 하우징(212)을 포함한다. 커넥터(201)의 광학 페룰(203)은, 커넥터(201, 211)가 메이팅되는 경우 메이팅 커넥터(211)의 광학 페룰(213)과 광학적으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201)는,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 맞물림해제 특징부(223, 229) 및 보유 엘리먼트(206a, 206b)를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204)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은 도 3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21), 측면 아암(222), 224), 피봇 아암(225), 받침대(226), 연동기(228) 및 힌지형 조인트(227)를 포함한다. 메이팅 커넥터(211)는,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15), 맞물림해제 특징부(233, 239) 및 보유 엘리먼트(216a, 216b)를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214)을 갖는다. 커넥터 쌍(200)이 메이팅되는 경우, 커넥터 래칭 메커니즘(204)의 보유 엘리먼트(206a)는 메이팅 커넥터(211)의 래칭 메커니즘(214)의 상보적 메이팅 보유 엘리먼트(216b)와 기계적으로 맞물림하고 래칭한다. 커넥터 래칭 메커니즘(214)의 보유 엘리먼트(216a)는 커넥터(201)의 래칭 메커니즘(204)의 상보적 메이팅 보유 엘리먼트(206b)와 기계적으로 맞물리고 래칭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예에서, 보유 엘리먼트(206a, 216a)는 듀얼 캐치이고, 보유 엘리먼트(206b, 216b)는 래치이다.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커넥터(201)의 맞물림해제 특징부(229)는 커넥터(201)의 래치(206b)를 메이팅 커넥터(211)의 메이팅 캐치(216a)로부터 맞물림해제(언래칭)하도록 구성되고, 맞물림해제 특징부(223)는 메이팅 커넥터(211)의 래치(216b)를 커넥터(201)의 캐치(206a)로부터 언래칭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15)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메이팅 커넥터(211)의 맞물림해제 특징부(239)는 메이팅 커넥터(211)의 래치(216b)를 커넥터(201)의 캐치(206a)로부터 언래칭하도록 구성되고, 맞물림해제 특징부(233)는 커넥터(201)의 래치(206b)를 메이팅 커넥터(211)의 캐치(216a)로부터 언래칭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201)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 또는 메이팅 커넥터(211)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15)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것은 커넥터의 래치(206b) 및 메이팅 커넥터(211)의 래치(216b) 둘 모두를 언래칭한다. 따라서, 커넥터(201) 및 메이팅 커넥터(211)는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 215) 중 오직 하나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언래칭될 수 있고, 보유 엘리먼트(206a, 206b, 216a, 216b)를 언래칭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 215) 둘 모두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 커넥터 조립체(200)의 커넥터(201, 211) 각각은 단일단 작동식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커넥터 쌍의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는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 215) 중 하나를 동작시킴으로써 커넥터 조립체의 어느 한 단부로부터 언래칭될 수 있다. 커넥터(201)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 및 메이팅 커넥터(211)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15) 둘 모두를 동작시키는 것은 커넥터 쌍(200)을 언래칭할 필요가 없다.
도 3a 내지 도 5c는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 및 맞물림해제 특징부(223, 229)의 구성요소를 더 상세히 도시하고, 단일단 작동식 래칭 메커니즘(204)의 언래칭 동작을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중립 위치에 있는 래칭 메커니즘(204)을 갖는(래치 해제되지 않은 상태의) 광학 커넥터(201)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각각 예시한다. 래칭 메커니즘(204)은 커넥터(201)의 제1 측면(201a) 상에 배치되는 제1 보유 특징부(206a)(예를 들어, 듀얼 캐치) 및 제1 측면(201a)에 대향하는 커넥터(201)의 제2 측면(201b) 상에 배치되는 제2 보유 특징부(206b)(예를 들어, 래치)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은 제1 단부(221a) 및 제2 단부(221b)를 갖는 작동 레버(221)를 포함한다. 제1 측면 아암(222)은 하우징(201)의 제1 측면(201a)을 따라 배치된다. 제1 측면 아암은 제1 단부(222a) 및 제2 단부(222b)를 갖는다. 연동기(228)는 작동 레버(221)의 제2 단부(221b)를 제1 측면 아암의 제1 단부(222a)에 연결시킨다. 연동기(228)는 제1 아암(222)의 레버(221)에 부착된 제1 힌지 조인트(228a) 및 제1 단부(222a)에 부착된 제2 힌지 조인트(228b)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동기(228)는 제1 아암의 레버에 부착된 제1 힌지 조인트 및 제1 단부에 부착된 구부림가능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캠(223)은 제1 측면 아암(222)의 제2 단부(222b)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아암(222)은 캐치(206a)의 어느 한 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2개의 서브-아암을 포함하고, 캠(223)은 서브-아암 각각의 제2 단부에 배치된다.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은 하우징(201)의 제2 측면(201b)을 따라 배치된 제2 측면 아암(224)을 포함한다. 제2 측면 아암(224)은 제1 단부(224a) 및 제2 단부(224b)를 갖는다.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 예를 들어, 캠(229)은 제2 측면 아암(224)의 제2 단부(224b)에 배치된다. 액추에이터 메커니즘(205)은, 작동 레버(221)의 제2 단부(221b)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힌지형 조인트(227)에 의해 제2 아암(224)의 제1 단부(224a)에 부착되는 받침대(226)를 중심으로 피봇하는 피봇 아암(225)을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5c는 언래칭 동작을 더 상세히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부분적으로 해제된 래치 위치에 있는 래칭 메커니즘(204)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완전히 해제된 래치 위치에 있는 래칭 메커니즘(204)을 도시한다. 래칭 메커니즘(204)은 작동 레버(221)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커넥터(201)를 메이팅 커넥터(도 4a 내지 도 5c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됨)로부터 언래칭하도록 동작된다. 작동 레버(221)의 작동은 화살표(29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아암(222)에 연결되는 레버의 제2 단부(221b)를 중심으로 작동 레버(221)를 회전시킨다. 레버(221)의 제2 단부(221b)는 피봇 아암(225)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레버(221)의 회전은 받침대(226)를 중심으로 한 피봇 아암(225)의 회전을 초래한다. 도 5c는 작동 레버(221)의 동작으로 인해 받침대(226)를 중심으로 한 피봇 아암(225)의 회전에 대한 상세화된 도면을 제공한다. 받침대(226)를 중심으로 한 피봇 아암(225)의 회전은 제1 측면 아암(222) 및 제2 측면 아암(224)이 메이팅 축(299)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언래칭 동안, 제1 측면 아암(222)은 화살표(297)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측면 아암(224)은 화살표(296)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측면 아암(222)의 모션은 제1 측면 아암(222)의 제2 단부(222b)에 있는 캠(223)이 메이팅 축(299)에 수직인 축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201)의 제1 측면(201a)으로부터 멀리 메이팅 커넥터(211)(도 2b 및 도 2d 참조)의 래치(216b)를 이동시키게 한다. 메이팅 커넥터 래치(216b)의 이동은 래치(216b)를 캐치(206b)로부터 맞물림해제한다.
화살표(296)로 표시된 제2 측면 아암(224)의 반대 모션은 제2 측면 아암(224)의 제2 단부(224b)에 배치된 캠(229)이 래치(206b) 아래로 미끄러지게 하여, 래치(206b)를 메이팅 축(299)에 수직인 축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201)의 제2 측면(201b)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커넥터 래치(206b)의 이동은 래치(206b)를 메이팅 커넥터(211)(도 4a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됨)의 캐치(216a)로부터 맞물림해제한다.
본원에 설명된 래칭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래칭 메커니즘의 고정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로서 몰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에서, 레버, 피봇 아암, 받침대, 측면 아암, 래치 및 캠은 금속으로 제조되고, 캐치는 커넥터 하우징의 몰딩된 부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래칭 메커니즘에 추가로, 커넥터는, 커넥터가 메이팅 커넥터와 메이팅되는 경우, 커넥터 구성요소, 예를 들어, 광학 엘리먼트, 전기 접촉부, 광-전자 장치 등의 적절한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넥터를 메이팅 커넥터와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d는 본원에 설명된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구현될 수 있는 커넥터 정렬 특징부의 예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9d는 정렬 특징부의 대표적인 비제한적 세트를 예시하며, 많은 다른 타입의 정렬 특징부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개시된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d에 도시된 정렬 특징부는 개시된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도 6 내지 도 8d에서, 래칭 메커니즘은 정렬 특징부가 가시적이도록 도시되지 않는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조립체(600)의 전기 또는 광학 커플링 장치(601)와 메이팅 전기 또는 광학 커플링 장치(611) 사이의 정렬은 핀(621a, 621b) 및 소켓(622a, 622b), 예를 들어, 라운드 핀 및 라운드 소켓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핀(621a, 621b) 및 소켓(622a, 622b)의 정밀한 위치는 메이팅 동안 결합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광학 커플링 장치는 전기 및/또는 광학 페룰 또는 전기 및/또는 광학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 핀 및 소켓이 사용되는 경우, 부드러운 메이팅 및 포지셔닝 에러를 제공하기 위해 핀과 소켓 사이의 충분한 간극 사이에 절충점이 존재한다. 핀과 소켓 사이의 간극이 비교적 크면, 메이팅은 부드럽지만 커넥터 구성요소의 정렬은 덜 정밀할 수 있다. 반대로, 핀과 소켓 사이의 간극이 비교적 작은 경우, 정렬은 더 정밀하지만, 핀 및 소켓은 메이팅 동안 결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에서, 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도 7에 표시된 x 축을 따라) 평탄부 또는 다른 해제 특징부를 갖는 핀을 사용하는 것은 부드러운 메이팅 및 정밀한 정렬 둘 모두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간극을 완화시킨다. 도 7은 소켓(722a, 722b)을 포함하는 커넥터(701)와 핀(721a, 721b)을 포함하는 메이팅 커넥터(711) 사이의 정렬을 도시한다. 핀(721b)은 하나 이상의 평탄부(723)를 갖는다. 소켓(722a)에 삽입되는 경우, 라운드 핀(721a)은 커넥터의 4개의 자유도(y 축을 따른 병진, z 축을 따른 병진, y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피치), z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요(yaw)))를 제어할 수 있다. 해제된 핀(721b)은 제5 자유도(x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롤))를 제어한다. 제6 및 마지막 자유도(x 축을 따른 병진)는 커넥터(701, 711)의 마지막 메이팅 면(704, 714)에 의해 제어된다.
도 6 및 도 7은 수 및 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쌍을 예시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정렬 특징부는,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 둘 모두가 자웅동체이고 수 및 암 특징부 둘 모두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전기 또는 광학 커플링 장치(801) 및 메이팅 전기 또는 광학 커플링 장치(811)의 상면도 및 저면도이고, 여기서 장치(801, 811)는 자웅동체이다. 도 8a 및 도 8b의 정렬 특징부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커플링 장치(801, 811)는 수 및 암 정렬 구성요소 둘 모두를 포함한다. 커플링 장치(801)는 커플링 장치(811)의 소켓(822b)과 맞물리는 핀(821a)을 포함한다. 커플링 장치(801)는 또한 커플링 장치(811)의 핀(821b)과 맞물리는 소켓(822a)을 포함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은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자웅동체 정렬 특징부의 다른 예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커넥터 조립체(900)는, 이 예에서는 광학 커넥터인 커넥터(901) 및 동일한 메이팅 커넥터(911)를 포함한다. 커넥터(901, 911)는 내부에 광학 페룰(903, 913)이 배열되는 하우징(902, 912)을 포함한다. 커넥터(901)는 정렬 특징부(921a, 921b)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정렬 특징부(921a)는 "T"의 형상을 근사화한 단면인 t-포스트이고, 정렬 특징부(921b)는 메이팅 커넥터(911)의 t-포스트(922a)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되는 t-슬롯(921b)이다. 메이팅 커넥터(911)는, t-포스트(922a)를 포함하는 정렬 특징부, 및 메이팅 커넥터의 t-포스트(921a)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되는 t-슬롯(922b)을 포함하는 정렬 특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넥터(901)의 정렬 특징부(921a, 921b)는 하우징(902)의 일부이고, 커넥터(911)의 정렬 특징부(922a, 922b)는 하우징(912)의 일부이다. 이러한 예에서 설명되는 t-포스트 및 t-슬롯은 예를 들어, 이전에 논의된 라운드 핀 및 소켓에 비해,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의 감소된 풋프린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t-포스트(921a, 922a)의 측면(931, 932 941, 942) 및 t-슬롯(922a, 922b)의 측면(933, 934, 943, 944)은, t-포스트(921a, 922a)가 메이팅 동안 t-슬롯(922b, 921b)로 더 많이 삽입됨에 따라, t-포스트(921a, 922a) 및 t-슬롯(921b, 922b)이 커넥터의 메이팅 표면에서 더 커지고, t-포스트(921a, 922a)와 t-슬롯(921b, 922b) 사이의 간극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초기 메이팅 위치에 있는 커넥터(901) 및 메이팅 커넥터(911)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각각 예시한다. 도 9c 및 도 9d는, t-포스트가 t-슬롯 내로의 통로의 약 1/3 정도 삽입된 위치에서, 메이팅 동안 커넥터(901) 및 메이팅 커넥터(911)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를 각각 예시한다. 커넥터(901, 911)가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t-포스트(921a, 922a)와 t-슬롯(921b, 922b) 사이의 간극은 초기 메이팅 간극에 비해 감소된다. 예를 들어, t-포스트(921a, 922a)와 t-슬롯(921b, 922b) 사이의 간극은, 커넥터(901, 911)가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최소 값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t-포스트(921a, 922a) 및 t-슬롯(921b, 922b)의 측면(931, 932 941, 942, 933, 934, 943, 944)을 테이퍼링하는 것은 정밀 정렬을 향상시켜, 6개의 자유도 중 5개, 예를 들어, 3개의 직교 축 중 2개를 따른 병진 및 3개의 직교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제어하고, 제6 자유도는 메이팅 축(299)에 평행한 직교 축을 따른 병진이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정렬 특징부는 양호한 정밀도 및 감소된 결합 경향으로 커넥터의 양측면 상의 콤팩트한 정렬 특징부로 5개의 자유도를 제어한다. 제6 자유도(메이팅 축을 따른 병진)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의 메이팅 표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원에 논의된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 쌍, 예를 들어, 자웅동체 커넥터 쌍을 고정적으로 래칭 및 언래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조립체의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언래칭될 수 있다.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에서, 자웅동체 커넥터의 고정적 래칭은 자웅동체 커넥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요구했거나, 또는 언래칭은 메이팅 쌍의 각각의 커넥터 상에서의 작동을 요구한다.
개시된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 구성요소를 정렬시키기 위해 정렬 특징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t-슬롯 및 t-포스트 정렬 특징부의 평탄한 성질은 정밀한 정렬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을 감소시키고,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넘어 돌출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면적이 감소된다. 콤팩트한 듀얼 래칭 메커니즘은 동일한 커넥터로부터 메이팅, 래칭, 언래칭 및 디-메이팅할 수 있는 소형 풋프린트 커넥터를 허용한다. 앞서 설명된 래칭 메커니즘 및/또는 정렬 특징부를 갖는 커넥터는, 보드 인터페이스에 높은 신호 밀도, 높은 신호 카운트 보드를 제공하기 위해 멀티-모듈 백플레인 또는 프론트플레인 타입 캐리어에 플러그 인되고 래칭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래칭 메커니즘은, 2012년 10월 5일에 출원되고 공동 소유된 미국 특허 출원 제61/710,077호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광학 페룰 및 광학 커넥터와 관련하여 유용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본원에 설명된 래칭 접근법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페룰, 정렬 프레임 및 커넥터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이 공동 소유되고 동시에 출원되었으며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 미국 특허 출원들에서 제공된다: 발명의 명칭이 "Optical Ferrules"이고, 대리인 열람번호 76982US002로 식별되는 미국 특허 출원 S/N 62/240,069호; 발명의 명칭이 "Ferrules, Alignment Frames and Connectors"이고, 대리인 열람번호 75767US002로 식별되는 미국 특허 출원 S/N 62/240,066호; 발명의 명칭이 "Optical Cable Assembly with Retainer"이고, 대리인 열람번호 76662US002로 식별되는 미국 특허 출원 S/N 62/240,008호; 발명의 명칭이 "Optical Coupling Device with Waveguide Assisted Registration"이고, 대리인 열람번호 76660US002로 식별되는 미국 특허 출원 S/N 62/240,010호; 발명의 명칭이 "Optical Ferrules and Optical Ferrule Molds"이고, 대리인 열람번호 75985US002로 식별되는 미국 특허 출원 62/239,996호; 발명의 명칭이 "Optical Ferrules with Waveguide Inaccessible Space"이고, 대리인 열람번호 76778US002로 식별되는 미국 특허 출원 62/240,002호; 발명의 명칭이 "Configurable Modular Connectors"이고, 대리인 열람번호 75907US002로 식별되는 미국 특허 출원 62/104,196호; 및 발명의 명칭이 "Hybrid Connectors"이고, 대리인 열람번호 76908US002로 식별되는 미국 특허 출원 62/240,005호.
본 발명에 설명되는 항목은 다음을 포함한다:
항목 1. 장치로서,
메이팅 자웅동체 커넥터와 메이팅하도록 구성되는 자웅동체 커넥터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언래칭하도록 구성되는 래칭 메커니즘을 갖고, 커넥터의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를 언래칭하도록 작동되는 경우,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 및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 둘 모두를 맞물림해제하는, 장치.
항목 2. 항목 1의 장치로서,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인, 장치.
항목 3. 항목 1의 장치로서, 커넥터는 광학 커넥터인, 장치.
항목 4. 항목 1의 장치로서, 커넥터는 전기 및 광학 경로 둘 모두를 연결하는, 장치.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장치로서,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메커니즘을 맞물림해제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6. 항목 5의 장치로서, 래칭 메커니즘은 제1 및 제2 아암에 연결되는 피봇 아암을 포함하고, 받침대를 중심으로 한 피봇 아암의 회전은 제1 및 제2 아암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장치.
항목 7. 항목 6의 장치로서, 래칭 메커니즘은 레버에 인가된 힘이 레버를 회전시키고 피봇 아암으로 하여금 받침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피봇 아암에 커플링된 레버를 포함하는, 장치.
항목 8. 항목 7의 장치로서,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는 메이팅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캐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는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캐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장치.
항목 9. 항목 8의 장치로서,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의 래치를 메이팅 커넥터의 캐치로부터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 및 메이팅 커넥터의 래치를 커넥터의 캐치로부터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항목 10. 항목 9의 장치로서,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제2 아암의 단부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제1 아암의 단부에 배치된 듀얼 캠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11. 항목 1 또는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커넥터는 메이팅 커넥터의 상보적 정렬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항목 12. 항목 11에 있어서, 정렬 특징부는 커넥터의 제1 측면 상에 T-핀 및 커넥터의 제2 측면 상에 T-슬롯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13. 항목 12에 있어서, T-핀 및 T-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테이퍼링되는, 장치.
항목 14: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로서,
커넥터의 제1 측면에 배열되는 제1 보유 특징부;
커넥터의 제2 측면에 배열되는 제2 보유 특징부;
메이팅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 및
제1 및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의 이동이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제2 보유 특징부의 맞물림해제를 초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제1 보유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캐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16. 항목 14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보유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18. 항목 14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캠을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19. 항목 14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은 레버에 의해 동작되는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은 제1 및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의 이동을 초래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항목 20.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로서,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는 보유 특징부;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커넥터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되는 상보적 보유 특징부 -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는 메이팅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는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됨 -;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작동 레버;
커넥터의 제1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아암 - 제1 아암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제1 아암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캠을 가짐 -;
제1 아암의 제1 단부를 작동 레버의 제2 단부에 부착하는 연동기;
커넥터의 제2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아암 - 제2 아암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제2 아암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가짐 -;
작동 레버의 제2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힌지에 의해 제2 아암의 제1 단부에 부착되는 피봇 아암을 포함하고;
레버의 작동은 레버의 제2 단부를 중심으로 한 레버의 제1 단부의 회전을 초래하고, 레버의 제1 단부의 회전은 피봇 아암이 받침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고, 받침대를 중심으로 한 피봇 아암의 회전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이 커넥터의 제 1 및 제2 측면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하고, 제1 아암의 모션은 제1 아암의 제2 단부의 캠이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를 메이팅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로부터 맞물림해제하게 하고, 제2 아암의 모션은 제2 아암의 제2 단부의 캠이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를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로부터 맞물림해제하게 하는, 커넥터.
항목 21. 항목 20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캐치를 포함하고;
상보적 보유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22. 항목 20 내지 항목 2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듀얼 캐치이고, 상보적 보유 특징부는 단일 래치인, 커넥터.
항목 23. 항목 20 내지 항목 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연동기는 레버에 부착된 제1 힌지 조인트 및 제1 아암의 제1 단부에 부착된 제2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24. 항목 20 내지 항목 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연동기는 레버에 부착된 제1 힌지 조인트 및 제1 아암의 제1 단부에 부착된 구부림가능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25. 항목 20 내지 항목 2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아암의 제2 단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캠은 듀얼 캠이고, 제2 아암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캠은 단일 캠인, 커넥터.
항목 26. 항목 20 내지 항목 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아암은 2개의 서브-아암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캠은, 하나의 캠이 서브-아암 각각의 제2 단부에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2개의 캠을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27. 항목 20 또는 항목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메이팅 커넥터의 상보적 정렬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정렬 특징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28. 항목 27에 있어서, 정렬 특징부는 커넥터의 제1 측면 상에 T-핀 및 커넥터의 제2 측면 상에 T-슬롯을 포함하는, 커넥터.
항목 29. 항목 28에 있어서, T-핀 및 T-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테이퍼링되는, 커넥터.
항목 30. 커넥터를 메이팅 커넥터로부터 언래칭하는 방법으로서,
피봇 아암, 및 제1 및 제2 측면 아암에 커플링되는 작동 레버를 동작시키는 단계;
작동 레버를 동작시키는 단계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측면 아암을 반대 방향으로 병진 이동시키는 단계;
제2 측면 아암의 이동에 응답하여 메이팅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 및
제1 측면 아암의 이동에 응답하여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31. 항목 30에 있어서,
메이팅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는 메이팅 커넥터의 캐치로부터 커넥터의 래치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는 커넥터의 캐치로부터 메이팅 커넥터의 래치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특징부 크기, 양, 및 물리적 특성을 표현하는 모든 수는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전술한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수치 파라미터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를 이용하는 당업자가 얻고자 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근사치이다. 종점(endpoint)에 의한 수치 범위의 사용은 그 범위 내의 모든 수(예를 들어, 1 내지 5는 1, 1.5, 2, 2.75, 3, 3.80, 4 및 5를 포함함) 및 그 범위 내의 임의의 범위를 포함한다.
위에서 논의된 실시 형태들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독자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하나의 개시된 실시 형태의 특징이 또한 다른 모든 개시된 실시 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미국 특허, 특허 출원, 특허 출원 공보, 및 다른 특허와 비-특허 문헌이 전술한 개시 내용과 모순되지 않는 정도로 참고로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9)

  1. 메이팅 자웅동체(hermaphroditic) 커넥터와 메이팅하도록 구성되는 자웅동체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언래칭하도록 구성되는 래칭 메커니즘을 갖고, 상기 커넥터의 래칭 메커니즘은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를 언래칭하도록 작동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 둘 모두를 맞물림해제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메커니즘은,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메커니즘을 맞물림해제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래칭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및 제2 아암에 연결되는 피봇 아암을 포함하고, 받침대를 중심으로 한 상기 피봇 아암의 회전은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래칭 메커니즘은 레버에 인가된 힘이 레버를 회전시키고 피봇 아암으로 하여금 받침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피봇 아암에 커플링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는 메이팅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캐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는 상기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캐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메커니즘은 상기 커넥터의 래치를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캐치로부터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래치를 상기 커넥터의 캐치로부터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상기 제2 아암의 단부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상기 제1 아암의 단부에 배치된 듀얼 캠을 포함하는, 장치.
  3.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로서,
    커넥터의 제1 측면에 배열되는 제1 보유 특징부;
    커넥터의 제2 측면에 배열되는 제2 보유 특징부;
    메이팅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
    상기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의 이동이 상기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상기 제2 보유 특징부의 맞물림해제를 초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캐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유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캠을 포함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은 레버에 의해 동작되는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및 제2 맞물림해제 특징부의 이동을 초래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6.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로서, 상기 래칭 메커니즘은
    커넥터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는 보유 특징부;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커넥터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되는 상보적 보유 특징부 - 상기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는 메이팅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는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됨 -;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작동 레버;
    상기 커넥터의 제1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아암 - 상기 제1 아암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상기 제1 아암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캠을 가짐 -;
    상기 제1 아암의 제1 단부를 상기 작동 레버의 제2 단부에 부착하는 연동기;
    상기 커넥터의 제2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아암 - 상기 제2 아암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및 상기 제2 아암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가짐 -;
    상기 작동 레버의 제2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힌지에 의해 상기 제2 아암의 제1 단부에 부착되는 피봇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작동은 상기 레버의 제2 단부를 중심으로 한 상기 레버의 제1 단부의 회전을 초래하고, 상기 레버의 제1 단부의 회전은 상기 피봇 아암이 받침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고, 상기 받침대를 중심으로 한 피봇 아암의 회전은 상기 제1 아암 및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커넥터의 제 1 및 제2 측면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1 아암의 모션은 상기 제1 아암의 제2 단부의 캠이 상기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를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로부터 맞물림해제하게 하고, 상기 제2 아암의 모션은 상기 제2 아암의 제2 단부의 캠이 상기 커넥터의 상보적 보유 특징부를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보유 특징부로부터 맞물림해제하게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캐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보유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8. 커넥터를 메이팅 커넥터로부터 언래칭하는 방법으로서,
    피봇 아암, 및 제1 및 제2 측면 아암에 커플링되는 작동 레버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 레버를 동작시키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아암을 반대 방향으로 병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측면 아암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측면 아암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캐치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래치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제1 보유 특징부로부터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보유 특징부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캐치로부터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래치를 맞물림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13152A 2015-10-12 2016-10-03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 KR201800613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39998P 2015-10-12 2015-10-12
US62/239,998 2015-10-12
PCT/US2016/055126 WO2017066024A1 (en) 2015-10-12 2016-10-03 Connector with latching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365A true KR20180061365A (ko) 2018-06-07

Family

ID=5718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152A KR20180061365A (ko) 2015-10-12 2016-10-03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16395B2 (ko)
JP (1) JP6829521B2 (ko)
KR (1) KR20180061365A (ko)
CN (1) CN108139550B (ko)
WO (1) WO2017066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6871B2 (ja) 2015-10-12 2022-04-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導波路による位置合わせを有する光結合デバイス
KR20180064509A (ko) 2015-10-12 2018-06-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도파관 접근불가능 공간을 갖는 광학 페룰들
WO2017066139A1 (en) 2015-10-12 2017-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st mitigating optical connector
CN108463753B (zh) 2015-12-30 2021-03-02 3M创新有限公司 配有减尘盖的光学连接器
US11662528B2 (en) 2018-06-29 2023-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assembly with cassette
US11359654B2 (en) * 2019-05-04 2022-06-14 Terrell Teague Hermaphroditic latching slide connector
CN111244690B (zh) * 2020-01-08 2021-09-03 上海龙创汽车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数据传输用连接器
GB202113033D0 (en) * 2021-09-13 2021-10-27 Micromass Ltd A connector
TW202340777A (zh) * 2021-10-29 2023-10-16 美商3M新設資產公司 用於光學對準之具有支點之光學連接器
WO2023244823A2 (en) * 2022-06-17 2023-12-21 Hubbell Incorporated Connector cover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7942A (en) * 1965-03-10 1969-09-16 Amp Inc Housing member
US4431244A (en) * 1980-08-11 1984-02-14 Anhalt John W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latch
JP2682596B2 (ja) * 1993-02-01 1997-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こじり嵌合防止構造
WO1997034339A1 (en) 1996-03-15 1997-09-18 Biw Connector Systems, Inc. Improved connectors and methods
US6821146B2 (en) * 2002-01-07 2004-11-23 Bernard R. Tolmie Hybrid connector system and method
US6880979B2 (en) * 2003-02-11 2005-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assembly
WO2013180646A1 (en) * 2012-06-01 2013-12-05 Mea Technologies Pte. Ltd. Two way release hermaphroditic connectors
EP2859392A1 (en) * 2012-06-12 2015-04-15 Fci Connecto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EP2904440B1 (en) 2012-10-05 2019-03-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connector
US9146366B2 (en) * 2012-10-15 2015-09-29 Finisar Corporation Latch mechanism for communication module
JP6042168B2 (ja) * 2012-10-17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CN104714278A (zh) 2013-12-17 2015-06-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锁扣装置
WO2016115002A1 (en) 2015-01-16 2016-07-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grid actions to improve grid outcomes
WO2017066037A1 (en) 2015-10-12 2017-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errules
KR20180064509A (ko) 2015-10-12 2018-06-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도파관 접근불가능 공간을 갖는 광학 페룰들
WO2017066135A1 (en) 2015-10-12 2017-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errules and optical ferrule molds
US10459173B2 (en) 2015-10-12 2019-10-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assembly with cable retainer
US11137551B2 (en) 2015-10-12 2021-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errules, alignment frames and connectors
CN108139551B (zh) 2015-10-12 2022-05-17 3M创新有限公司 混合连接器
JP7056871B2 (ja) 2015-10-12 2022-04-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導波路による位置合わせを有する光結合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6395B2 (en) 2019-09-17
CN108139550A (zh) 2018-06-08
CN108139550B (zh) 2020-05-12
US20190377140A1 (en) 2019-12-12
JP2018536267A (ja) 2018-12-06
US20180275358A1 (en) 2018-09-27
US10795097B2 (en) 2020-10-06
WO2017066024A1 (en) 2017-04-20
JP6829521B2 (ja)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1365A (ko)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 커넥터
EP1537629B1 (en) Techniques for connecting a set of connecting elements using an improved latching apparatus
US11054588B2 (en) Optical ferrules
TWI282452B (en) Optical module with latching/delatching mechanism
US8187018B2 (en) Connector and connecting unit
US6899464B2 (en) Optical connector
JP3364838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US8684610B2 (en) Connector assemblies having actuation mechanisms for selectively moving mating connectors
US20210396937A1 (en) Ferrules, alignment frames and connectors
US8517613B2 (en) Modular opt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JPH0560939A (ja) 光学的接続手段
DE112008003858T5 (de) Optische Freiraumnahverbindung
CN105814753A (zh) 具有一体式杆锁定系统的连接器组件
US6913474B2 (en) Connector coupling mechanism, system and method
US20230161118A1 (en) Stackable optical ferrule and connector using same
WO2015050948A1 (en) Connector assembly
CN214097884U (zh) 光学子连接器
US202100136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lignment and locking of removable elements with a connector
Abendschein et al. Recent advances in fiber-optic backplane conn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