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372A -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372A
KR20180060372A KR1020160159801A KR20160159801A KR20180060372A KR 20180060372 A KR20180060372 A KR 20180060372A KR 1020160159801 A KR1020160159801 A KR 1020160159801A KR 20160159801 A KR20160159801 A KR 20160159801A KR 20180060372 A KR20180060372 A KR 20180060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hift
speed
driv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975B1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9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에 따른 변속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속감 및 변속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중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크거나 잦을 때, 변속기 클러치의 유압 반응성 부족을 감안하여 모터토크를 PID 제어하여 변속기 클러치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변속기 클러치 체결시 이질감 저감 및 변속시간 단축, 클러치 슬립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ANSMISSION OF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의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에 따른 변속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속감 및 변속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차량 중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뿐만 아니라 모터를 동력원으로 채택하여, 배기가스 저감 및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으로서, 엔진 또는 모터 동력을 별로도 주행 휠로 전달하거나, 엔진 및 모터 동력을 함께 주행 휠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 시스템은 그 일례로서,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렬로 배열되는 엔진(10) 및 모터(12), 엔진(10) 및 모터(12) 사이에 배열되어 엔진 동력을 전달 또는 단절시키는 엔진클러치(13)와, 모터 또는 모터 및 엔진 동력을 주행 휠로 변속하여 출력하는 자동변속기(14)와, 엔진의 크랭크 풀리와 연결되어 엔진시동 및 배터리 발전을 하는 일종의 모터인 HSG(16, Hybrid Starter Generator)와, 모터 제어 및 발전 제어를 위한 인버터(18)와, 모터(12) 등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인버터와 충방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전압 배터리(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 시스템은 모터가 자동변속기쪽에 붙어 있는 타입으로서,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 방식이라 불리우며, 모터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electric vehicle)모드와, 엔진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를 보조동력으로 이용하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모드와, 차량의 제동 혹은 관성에 의한 주행시 차량의 제동 및 관성 에너지를 상기 모터에서 발전을 통하여 회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회생제동(RB: Regenerative Braking)모드 등의 주행모드를 제공한다.
상기 HEV 모드시에는 엔진클러치의 접합(lock-up)과 동시에 엔진과 모터 출력토크의 합으로 차량이 주행하고, EV 모드시에는 엔진클러치의 접합 해제(open)와 동시에 모터의 출력토크에 의해서만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EV 모드 또는 HEV 모드 주행시, 자동변속기에서는 운전자 요구토크에 따른 변속 제어로서, 변속기 내의 단수별 클러치가 접합됨으로써, 운전자 요구토크에 따른 출력이 주행휠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중, 즉 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접합 제어 중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에 따른 변속기 입력토크 변동 시, 변속기 클러치 작동 유압을 피드백 제어하여 단수별 변속기 클러치가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크면, 변속기 클러치의 유압 반응성 부족으로 토크 변동을 추종하지 못하여, 결국 변속기 클러치의 체결 시 체결 이질감 및 변속지연, 나아가 변속기 입력속도의 발산으로 인하여 변속기 클러치의 슬립 과대에 의한 변속기 소손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중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크거나 잦을 때, 변속기 클러치의 유압 반응성 부족을 감안하여 모터토크를 PID 제어하여 변속기 클러치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변속기 클러치 체결시 이질감 저감 및 변속시간 단축, 클러치 슬립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D단 상태에서, 원하는 단수로의 변속을 위한 실변속구간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기준치(A)보다 크거나, 또는 변속기 입력속도인 터빈속도의 순간변화량이 기준치(B) 보다 크면, 상기 실변속구간에서의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로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크면 클수록 변속기 클러치 체결압력을 증가시키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하고, 동시에 터빈속도의 순간변화량이 크면 클수록 모터토크를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가 종료된 후,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의 차이가 기준치(C)와 비교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해당 단수에서의 변속기 클러치가 체결 완료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변속기의 D단 상태가 아니거나, 운전자에 의한 가속페달 밟음량에 따른 APS 감지량이 과대하여 현재 변속단이 아닌 다른 변속단으로의 변속패턴이 요구되거나,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 터빈속도 간의 차이가 기준치(B) 이내이면, 상기 실변속구간에서의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는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크면, 변속기 클러치의 결합을 위한 유압 반응성 부족을 감안하여 변속기 입력속도인 현재 터빈속도를 결정하는 모터토크를 PID 제어를 통해 감소시키는 제어를 함으로써, 해당 단수에서의 변속기 클러치 접합이 변속설정 시간내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변속기 클러치 체결시 이질감 저감 및 변속시간 단축, 변속기 클러치의 슬립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계통도,
도 2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종래 변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자동변속기 실변속구간에 대한 기존 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다이아프램으로서, 자동변속기의 실변속구간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다.
도 2에서, 현재터빈속도는 현재 변속기 입력속도를 나타내고, APS(Accel Position Sensor)는 가속페달 밟음량을 측정하는 센서 신호를 나타내며,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은 실변속구간에서의 운전자 요구토크가 순간 증가하는 변화치를 말하며 실변속구간에서 가속페달을 밟음에 따라 APS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실변속구간(ⓐ)은 자동변속기의 변속기 클러치 접합을 위한 변속제어구간이면서 클러치가 완전하게 접합되기 전의 클러치 슬립 구간으로서, 이 구간에서 터빈속도(변속기 입력속도) 거동이 비정상적으로 변화하면, 변속감과 변속기 내구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순간 발생하면, 즉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 변화량(ⓑ)이 소정 수준 이상 발생하도록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조작하였을 때, 해당 단수의 변속기 클러치의 접합을 위한 유압제어량(유압 피드백 제어)이 운전자 요크토크 순간변화량을 추종하지 못함으로써, 변속기 입력측 속도인 현재 터빈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차량의 EV 모드 또는 HEV 모드 주행시, 도 1에서 보듯이 자동변속기의 해당 단수별 클러치를 접합시키기 위한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증가 발생하면, 이를 반영하고자 모터토크 피드백 제어에 의한 모터토크도 순간적으로 증가하며, 결국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변속기의 변속기 입력속도인 터빈속도의 순간변화량(ⓒ)이 순간 급증하여 현재 터빈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반영된 후, 모터토크가 감소하는 동시에 현재 터빈속도가 목표터빈속도에 근접하면 변속기 클러치 접합을 위한 유입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해당 단수의 변속기 클러치가 최종 결합된다(도 1의 ⓓ로 지시).
이와 같이, 상기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발생하면, 변속기 클러치의 유압 반응성 부족으로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을 추종하지 못하여, 결국 변속기 클러치의 접합 시 이질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해당 단수로의 변속지연, 나아가 변속기 입력속도인 터빈속도의 발산으로 인하여 변속기 클러치의 슬립 과대에 의한 변속기 소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이브리드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실변속구간 중,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크거나 잦을 때, 변속기 클러치의 유압 반응성 부족을 감안하여, 모터토크를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 간의 차이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PID 제어하여 변속기 클러치가 체결되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그 순서도를 나타낸다.
먼저, 하이브리드 차량의 EV 모드 또는 HEV 모드 주행 중, 자동변속기의 변속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즉, 자동변속기의 D단 상태에서 원하는 단수로의 변속을 위한 실변속구간인지를 판정한다(S101).
예를 들어, 자동변속기 제어기에서 실변속구간임을 알리는 신호를 하이브리드 차량의 상위제어기(HCU, Hybrid Contro Unit)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변동이 있는지를 판정한다(S102).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기준치(A) 보다 크거나, 또는 변속기 입력속도인 터빈속도의 순간 변화량이 기준치(B) 보다 큰 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기준치(A) 보다 크거나, 또는 변속기 입력속도인 터빈속도의 순간변화량(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 간의 차이)이 기준치(B) 보다 크면, 상위제어기에서 자동변속기 제어기 및 모터 제어기에 운전자 요구를 반영하는 변속제어 명령을 내린다.
따라서,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로서, 자동변속기 제어기에서 변속기 클러치 체결압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하고, 동시에 모터 제어기에서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모터토크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로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크면 클수록 자동변속기 제어기에서 변속기 클러치 체결압력을 증가시키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하고(S103-1), 이와 동시에 터빈속도의 순간변화량이 크면 클수록 모터 제어기에서 피드백 제어의 일종인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제어를 통하여 모터토크를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하게 된다(S103-2).
이때, 상기 현재 터빈속도는 모터와 연결된 변속기 입력속도로서, 모터토크 감소시 함께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순간 발생하더라도, 해당 단수의 변속기 클러치의 접합을 위한 유압제어량(유압 피드백 제어)을 증가시켜 변속기 클러치 체결압력이 증가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모터토크를 감소시켜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간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단수에서의 변속기 클러치 접합이 변속설정 시간내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제어로서, 상기한 S103-1 및 S103-2가 종료되면, 터빈속도 순간 변화량 즉,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간의 차이가 감소한 상태이므로,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의 차이가 기준치(C)와 비교하여(S104), 기준치 이하이면 해당 단수에서의 변속기 클러치가 체결 완료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자동변속기의 D단 상태가 아니거나(예, P 또는 N 단), 운전자에 의한 가속페달 밟음량에 따른 APS 감지량이 과대하여 현재(해당) 변속단이 아닌 다른 변속단으로의 변속패턴(예, 변속 중 변속)이 요구되거나,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 터빈속도 간의 차이가 기준치(B) 이내 등과 같은 중지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한 실변속구간에서의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는 중지된다.
다시 말해서, 자동변속기의 D단 상태가 아니거나(예, P 또는 N 단), 운전자에 의한 가속페달 밟음량에 따른 APS 감지량이 과대하여 현재(해당) 변속단이 아닌 다른 변속단으로의 변속패턴(예, 변속 중 변속)이 요구되거나,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 터빈속도 간의 차이가 기준치(B) 이내이면, 상기한 실변속구간에서의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로서 상기 S103-1 및 S103-2 단계가 진행되지 않고, 기존의 변속기 클러치 유압 제어(피드백 제어)를 통해 변속기 클러치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변화량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크거나 잦을 때, 변속기 클러치의 결합을 위한 유압 반응성 부족을 감안하여 변속기 입력속도인 현재 터빈속도를 결정하는 모터토크를 PID 제어를 통해 감소시키는 제어를 함으로써, 해당 단수에서의 변속기 클러치 접합이 변속설정 시간내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변속기 클러치 체결시 이질감 저감 및 변속시간 단축, 변속기 클러치의 슬립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10 : 엔진
12 : 모터
13 : 엔진클러치
14 : 자동변속기
16 : HSG
18 : 인버터
20 : 배터리

Claims (4)

  1.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D단 상태에서, 원하는 단수로의 변속을 위한 실변속구간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기준치(A)보다 크거나, 또는 변속기 입력속도인 터빈속도의 순간변화량이 기준치(B) 보다 크면, 상기 실변속구간에서의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로서, 운전자 요구토크 순간변화량이 크면 클수록 변속기 클러치 체결압력을 증가시키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하고, 동시에 터빈속도의 순간변화량이 크면 클수록 모터토크를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변속구간에서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가 종료된 후,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터빈속도의 차이가 기준치(C)와 비교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해당 단수에서의 변속기 클러치가 체결 완료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기의 D단 상태가 아니거나, 운전자에 의한 가속페달 밟음량에 따른 APS 감지량이 과대하여 현재 변속단이 아닌 다른 변속단으로의 변속패턴이 요구되거나, 현재 터빈속도와 목표 터빈속도 간의 차이가 기준치(B) 이내이면, 상기 실변속구간에서의 운전자 요구토크를 반영하는 변속 제어는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20160159801A 2016-11-29 2016-11-29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2370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01A KR102370975B1 (ko) 2016-11-29 2016-11-29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01A KR102370975B1 (ko) 2016-11-29 2016-11-29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372A true KR20180060372A (ko) 2018-06-07
KR102370975B1 KR102370975B1 (ko) 2022-03-04

Family

ID=6262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801A KR102370975B1 (ko) 2016-11-29 2016-11-29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4236A (zh) * 2019-09-19 2021-03-1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变速控制装置
KR20230081866A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기 라인압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138A (ja) * 1989-02-01 1990-08-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KR20110011440A (ko) * 2009-07-28 2011-02-0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모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20130059183A (ko) * 2011-11-28 2013-06-0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해방측 요소 유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58813A (ko) * 2012-11-07 2014-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제어방법
KR20140073980A (ko) * 2012-12-07 2014-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구동모터의 속도 제어를 수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138A (ja) * 1989-02-01 1990-08-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KR20110011440A (ko) * 2009-07-28 2011-02-0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모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20130059183A (ko) * 2011-11-28 2013-06-0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해방측 요소 유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58813A (ko) * 2012-11-07 2014-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제어방법
KR20140073980A (ko) * 2012-12-07 2014-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구동모터의 속도 제어를 수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4236A (zh) * 2019-09-19 2021-03-1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变速控制装置
KR20230081866A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기 라인압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975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46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클러치의 토크전달 시작점 학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777067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arallel hybrid powertrain of a vehicle with at least o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t least one electric motor
US7691027B2 (en) Idle speed control of a hybrid electric vehicle
US764520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arallel hybrid powertrain
US10703215B2 (en) Hybrid powertrain speed control
US10220833B2 (en) Hybrid powertrain speed control
CN106043291B (zh) 再生制动期间用于变速器换挡控制的输入扭矩修整
WO2006046351A1 (ja) ハイブリッド車用駆動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WO2012053508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WO2015092518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190034730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20180060372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US11518365B2 (en) Hybrid vehicle control system
JP528782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アイドル制御装置
JP2004215402A (ja) 車輌の制御装置
US10486678B2 (en) Engine torque estimate correction
KR102323959B1 (ko) P2 타입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클러치 가변 유압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450785B1 (ko) P2 타입 병렬형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클러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5806246B2 (ja) 車両の制御装置
WO2020021941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N107914710B (zh) 用于车辆推进系统控制的系统和方法
JP2010208407A (ja) 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2005344933A (ja) 自動クラッチを制御する方法
JP741871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US11358582B2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