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151A -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151A
KR20180060151A KR1020160159295A KR20160159295A KR20180060151A KR 20180060151 A KR20180060151 A KR 20180060151A KR 1020160159295 A KR1020160159295 A KR 1020160159295A KR 20160159295 A KR20160159295 A KR 20160159295A KR 20180060151 A KR20180060151 A KR 2018006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gid body
tuned
mass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693B1 (ko
Inventor
문병욱
길용식
조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진동흡진기는, 배관에 발생하는 진동에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분은 상기 배관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배관을 구속하지 않는 자유부를 이루는 강성체;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을 동조 질량 조절에 의해 억제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동조 질량체; 및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의 고유진동수에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질량 선택이 가능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강성 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동조 질량체가 상기 강성체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게 하는 위치 조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진동흡진기를 이용하면, 배관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될 수 있는 질량 및 강성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Vibration control device for pip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용 진동흡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배관용 진동흡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플랜트(plant) 등에는 유체 또는 기체가 지나가는 배관(100)이 매우 복잡하게 설치되며, 그 길이도 매우 길다. 상기한 배관(100)을 지나는 유체 또는 기체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은 플랜트 뿐만 아니라, 일반 대형 건물이나 주거지 등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상기 배관(100)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지 않고 그대로 두면,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진동으로 인해 상기 배관(100)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배관(100)이 파손될 수 있다. 대형 플랜트 등과 같이 고온, 고압의 유체가 배관(100)을 지나는 경우에는 상기 배관(100)에 발생되는 진동이 더욱이 커서 그 위험도 또한 매우 높다.
따라서, 플랜트 등에서는 배관(100)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긴 배관에(100) 강재 등으로 만든 서포트(110)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복잡한 배관(100)에 서포트(110)를 설치하는 것은 공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100)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고, 배관(100)의 크기 등도 다양하며, 배관(100)을 지나는 유체 또는 기체 또한 다양하고 그 흐름 또한 균일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므로, 배관(100)에 발생되는 모든 진동을 저감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725호(공개일자; 2013년 12월 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배관에 발생되는 고유진동수와 동조될 수 있도록 동조 질량 및 강성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는, 배관에 발생하는 진동에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분은 상기 배관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배관을 구속하지 않는 자유부를 이루는 강성체;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을 동조 질량 조절에 의해 억제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동조 질량체; 및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의 고유진동수에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질량 선택이 가능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강성 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동조 질량체가 상기 강성체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게 하는 위치 조절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체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쪽 끝부분 중 어느 한쪽 끝부분이 상기 구속부를 이루고, 나머지는 자유부를 이루는 캔틸레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성체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지점이 상기 구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성체의 구속부는 적어도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쪽 끝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조 질량체는 상기 강성체의 외측에 끼워지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조 질량체는 복수 개가 하나의 강성체에 함께 조합되는 경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동조 질량체는 복수 개가 하나의 강성체에 함께 조합되는 경우, 동심원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동조 질량체는 서로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과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 결합부는 나사 체결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강성체의 외주면과 상기 동조 질량체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강성체의 나사산은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성체와 동조 질량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닛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유닛들은 하나로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 가능토록 착탈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의 시공방법은, 상기 강성체를 상기 배관의 외측에 끼우고 상기 강성체의 구속부를 상기 배관에 구속시키는 단계; 상기 강성체와 함께 질량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될 수 있도록 여러 질량의 동조 질량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동조 질량체를 선택하여 상기 강성체의 외측에 나사 체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강성체에 나사 체결된 동조 질량체를 돌려 가면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동조 질량체의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착탈이 용이하게 가능하기 때문에 동조 질량체의 총 질량을 늘리거나 줄여 각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에 대응하여 동조 질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강성체와 동조 질량체의 나사체결방식을 이용하여 배관 길이방향을 따라 동조 질량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에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각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은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비용적으로도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에 대한 조립 및 분리 과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체 및 동조 질량체가 규격화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체 및 동조 질량체가 둘레방향을 따라 분할될 수 있는 복수개의 유닛들로 구성되는 경우, 그 장착 및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랜트에 시공되는 배관 및 서포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용 진동흡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 중 배관과 강성체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20)는, 배관(10)에 발생되는 고유진동수에 동조되어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강성 및 질량 모두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이 가능토록 강성체(22)와, 동조 질량체(24)와, 위치 조절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체(22)는 상기 배관(10)의 일부분을 구속하여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진동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강성이 큰 소재라면 강재 등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강성체(22)는 상기 배관(10)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링(r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관(10)의 원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10)을 균일하게 구속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10)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상기 강성체(22)는 강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부분은 상기 배관(10)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배관(10)을 구속하지 않는 자유부(22b)를 이룬다.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는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진동 크기, 종류 등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는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끝부분 중 어느 한쪽 끝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강성체(22)의 나머지 부분이 모두 자유부(22b)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강성체(22)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22a) 내경은 상기 배관(1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고, 상기 강성체(22)의 자유부(22b) 내경은 상기 배관(10)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상기 배관(10)과 일정 간격을 둘 수 있다.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22a)는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쪽 끝부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22a)는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지점을 구속토록 셋 이상일 수도 있고, 하나이든 복수개이든 상관없이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쪽 끝부분이 아닌 내측 부분에만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질량 및 그 결합위치 조절에 의해 강성 및 동조 질량의 정밀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강성체(22)는 베이스(base)로서 규격화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이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는 상기 강성체(22)가 상기 배관(10)에 결합되는 위치 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배관(10)에 나사 체결될 수도 있고, 용접이나 접합 방식으로 상기 배관(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동조 질량체(24)는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진동을 동조 질량 조절에 의해 억제하기 위해 상기 강성체(22)와 함께 본 발명의 진동흡진기(20)가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고유진동수와 동조될 수 있는 질량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배관(10)을 구속하는 강성체(22)에 질량을 부가하는 것이다. 상기 동조 질량체(24)는 상기 각 배관(10)에 발생되는 고유진동수에 맞춰 질량 선택이 가능토록 다양한 질량으로 규격화될 수 있다. 상기 동조 질량체(24)는 상기 강성체(22)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조절 결합부에 의해 상기 강성체(22)와 용이하고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배관(10)의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동조 질량체(24)의 링 크기, 두께, 길이 등은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질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동조 질량체(24)의 외경 및 내경은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규격화를 위해 일정할 수 있다. 상기한 동조 질량체(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강성체(22)에 하나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조 질량체(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강성체(22)에 둘 이상의 복수개가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그 질량 및 길이, 두께 등이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서로 동심원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복수개의 동조 질량체(24)가 동심원 구조로 결합되는 경우, 질량 조절 등을 위해 서로 간 착탈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가능토록 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즉 동심원 구조의 결합의 경우, 상기 각각의 동조 질량체(24)의 내주면과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동조 질량체(24) 간 나사 체결을 위한 제1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동심원 구조의 결합의 경우, 상기 복수개의 동조 질량체(24) 간 결합 위치 조절에 의해서도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진동에 대한 강성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제1나사산은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조 질량체(24)는 복수개가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각각 상기 강성체(22)의 외측면에 끼워질 수 있다. 도 5와 같이 일렬 구조의 결합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동조 질량체(24)의 질량 및 크기 등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으며, 다만 상기 복수 개의 동조 질량체(24)의 내경은 모두 상기 강성체(2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도 5와 같이 일렬 구조의 결합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동조 질량체(24)는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밀착될 수도 있고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조절 결합부는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진동의 고유진동수에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질량 선택이 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강성 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동조 질량체(24)가 상기 강성체(22)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게 한다. 상기 위치 조절 결합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위치 조절 결합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강성체(22)와 상기 동조 질량체(24)가 서로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강성체(22)의 외주면에는 상기 동조 질량체(24)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22c)이 형성되고,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성체(22)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제2나사산(24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조절 결합부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추가되는 것도 아니고, 상기 강성체(22) 및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크기 등이 커지는 것도 아니므로, 구조적으로나 비용적으로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정밀하고 용이한 결합 위치 조절을 위해 상기 강성체(22)의 나사산(22c)은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제2나사산(24a)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성체(22)의 나사산(22c)은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22a)든 자유부(22b)든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좀 더 여유롭게 상기 강성체(22)의 자유부(2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20)의 시공방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배관(10)의 진동 저감이 필요한 지점 외측에 상기 강성체(22)를 끼워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가 상기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한 후, 압입, 용접, 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강성체(22)의 구속부를 상기 배관(10)에 고정시켜 상기 배관(10)의 진동 저감이 필요한 지점을 구속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배관용 진동흡진가가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고유진동수와 동조될 수 있도록, 여러 질량의 동조 질량체(24)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동조 질량체(24)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동조 질량체(24)를 상기 강성체(22)의 외측에 돌려 끼우면서 나사 체결시킨다. 아울러 상기 배관(10)의 고유진동수는 실제 설치된 환경에 따라 설계, 해석값과 다른 경우가 다반사이므로 불확실한 배관(10)의 고유진동수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강성체(22)에 나사 체결된 동조 질량체(24)를 돌려 가면서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결합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에 설치되는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질량을 선택하여 상기 배관(10)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될 수 있는 동조 질량을 조절하고, 상기 강성체(22)에 대한 상기 동조 질량체(24)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배관(10)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될 수 있는 강성을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관(10)에 발생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체(22)와, 동조 질량체(24)와, 위치 조절 결합부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강성체(22)와 동조 질량체(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닛(22u,24u)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강성체(22)는 한 쌍의 유닛(22u)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유닛(22u)들은 서로 다른 비율로 분할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비율, 즉 1/2비율로 분할된 반원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성체(22)의 유닛(22u)들은 서로 하나로 결합되어 링형의 강성체(22)를 구성하며 또한 분리 또한 가능토록, 서로 착탈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강성체(22)의 각 유닛(22u)들의 둘레방향 끝단에는 그 바깥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태로 돌출된 플랜지(22d)가 각각 구비되어 이웃한 유닛의 플랜지(22d)와 서로 맞접되며, 상기 각각의 플랜지(22d)에는 볼트(B)&너트(N)에 의해 착탈될 수 있도록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강성체(22)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원의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플랜지(22d)는 상기 강성체(22)의 외경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링형 강성체(22)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플랜지(22d) 측 부분이 평면으로 절삭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22d)가 상기 강성체(22)의 외경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강성체(22)의 외경까지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동조 질량체(24) 또한 상기 강성체(22)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유닛(24u)들로 구성되며, 플랜지(24d)가 형성되고, 그 유닛(24u)들이 볼트(B)&너트(N)에 의해 착탈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를 이용하면, 배관(10)에 대한 착탈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매우 긴 배관(10)에 본 발명의 배관용 진동흡진기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상기 강성체(22) 및 동조 질량체(24)를 배관(10)의 끝부분에 끼워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쭉 밀어 넣거나, 배관(10)의 끝부분으로 밀어 빼낼 필요가 없다. 즉 배관(10)에 배관용 진동흡진기를 장착할 경우에는, 배관(10)의 진동흡진기 장착 지점에 먼저 상기 강성체(22)의 유닛(22u)들을 하나씩 배관(10)에 붙여 링형을 만든 다음, 볼트(B)&너트(N)를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동조 질량체(24)도 상기 강성체(22)와 마찬가지로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배관 20; 진동흡진기
22; 강성체 22a; 구속부
22b; 자유부 24; 동조 질량체
24a; 제2나사산

Claims (11)

  1. 배관에 발생하는 진동에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분은 상기 배관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배관을 구속하지 않는 자유부를 이루는 강성체;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을 동조 질량 조절에 의해 억제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동조 질량체; 및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의 고유진동수에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질량 선택이 가능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강성 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동조 질량체가 상기 강성체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게 하는 위치 조절 결합부;
    를 포함하는 배관용 진동흡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성체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쪽 끝부분 중 어느 한쪽 끝부분이 상기 구속부를 이루고, 나머지는 자유부를 이루는 캔틸레버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관용 진동흡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성체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지점이 상기 구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성체의 구속부는 적어도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는, 배관용 진동흡진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조 질량체는 상기 강성체의 외측에 끼워지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배관용 진동흡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조 질량체는 복수 개가 하나의 강성체에 함께 조합되는 경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배관용 진동흡진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조 질량체는 복수 개가 하나의 강성체에 함께 조합되는 경우, 동심원 구조로 배열되는 배관용 진동흡진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동조 질량체는 서로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과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배관용 진동흡진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결합부는 나사 체결을 위해 상기 강성체의 외주면과 상기 동조 질량체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배관용 진동 흡진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강성체의 나사산은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나사산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배관용 진동 흡진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체와 동조 질량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닛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유닛들은 하나로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 가능토록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는, 배관용 진동 흡진기.
  11. 청구항 8에 따른 배관용 진동흡진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성체를 상기 배관의 외측에 끼우고 상기 강성체의 구속부를 상기 배관에 구속시키는 단계;
    상기 강성체와 함께 질량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될 수 있도록 여러 질량의 동조 질량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동조 질량체를 선택하여 상기 강성체의 외측에 나사 체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강성체에 나사 체결된 동조 질량체를 돌려 가면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동조 질량체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용 진동흡진기의 시공방법.
KR1020160159295A 2016-11-28 2016-11-28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 KR10188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295A KR101885693B1 (ko) 2016-11-28 2016-11-28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295A KR101885693B1 (ko) 2016-11-28 2016-11-28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151A true KR20180060151A (ko) 2018-06-07
KR101885693B1 KR101885693B1 (ko) 2018-08-06

Family

ID=6262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295A KR101885693B1 (ko) 2016-11-28 2016-11-28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6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482A (ja) * 1996-09-09 1998-03-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制振装置
JP2004116725A (ja) * 2002-09-27 2004-04-15 Tokai Rubber Ind Ltd 回転軸用振動低減装置
JP2008032121A (ja) * 2006-07-28 2008-02-14 Tokai Rubber Ind Ltd 筒状制振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筒状制振装置を備えた装着構造体
KR101342725B1 (ko) 2012-02-02 2013-12-19 한국원자력연구원 배관 진동 저감 장치
KR101598923B1 (ko) * 2014-10-16 2016-03-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질량체를 이용한 온도계 보호관 진동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482A (ja) * 1996-09-09 1998-03-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制振装置
JP2004116725A (ja) * 2002-09-27 2004-04-15 Tokai Rubber Ind Ltd 回転軸用振動低減装置
JP2008032121A (ja) * 2006-07-28 2008-02-14 Tokai Rubber Ind Ltd 筒状制振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筒状制振装置を備えた装着構造体
KR101342725B1 (ko) 2012-02-02 2013-12-19 한국원자력연구원 배관 진동 저감 장치
KR101598923B1 (ko) * 2014-10-16 2016-03-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질량체를 이용한 온도계 보호관 진동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693B1 (ko) 201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3016B1 (en) Noise-attenuation apparatus for pressure regulators
US9903517B2 (en) Flange coupling part reinforcing jig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EP3037706A1 (en) Dual p-clamp assembly
CN204437495U (zh) 一种抗震支架
US9739408B2 (en) Noise attenuation apparatus for fluid devices
US10386065B2 (en) Concentric resonators for machines
US20150300525A1 (en) Sound treatment assembly for a fluid transmission line
US20080315580A1 (en) Coupling with crossable means for couplings to connect endportions of pipes and valves
KR101885693B1 (ko) 배관용 진동흡진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42524A (ko) 가스 정압기용 소음기
KR101271366B1 (ko) 산업용 고무 익스펜션 조인트
JP6105958B2 (ja) 組立式吊りバンド及び立てバンド
KR200474699Y1 (ko)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JP2016176287A (ja) アルミ製パイプサポート
KR20180094649A (ko) 내진용 입상배관 지지장치
JP2003343645A (ja) 小規模建築物用制振装置
US10156278B2 (en) Dynamic damper apparatus with retaining structure
KR200477564Y1 (ko) 파이프 어셈블리
JP2021173339A (ja) 管継手及び管継手構造
GB2507432A (en) Flue Enclosure support
KR20140003848U (ko) 파이프의 면간거리 차단부재
JP7105480B2 (ja) 減圧弁ユニット
JP7254015B2 (ja) 配管固定具及びそれに用いる取付けプレート
CN101802333A (zh) 用于将配件固定在空心型材上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