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067A -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 - Google Patents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067A
KR20180060067A KR1020160159117A KR20160159117A KR20180060067A KR 20180060067 A KR20180060067 A KR 20180060067A KR 1020160159117 A KR1020160159117 A KR 1020160159117A KR 20160159117 A KR20160159117 A KR 20160159117A KR 20180060067 A KR20180060067 A KR 2018006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shaft
unit
flange
engin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손정호
김훈석
정대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067A/ko
Publication of KR2018006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2001/0471Assembled cam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의 특성에 따라 착화순서를 달리하도록 구성된 조립식 캠샤프트를 조립할 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하며 엔진의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를 개폐하는 캠샤프트로서, 각 실린더별 장착된 밸브들을 개폐하는 단위 캠샤프트들과, 각 단위 캠샤프트에 형성된 캠들이 엔진 실린더별 점화순서에 따라 정렬되도록 한 단위 캠샤프트의 일면과 그에 접하는 다른 단위 캠샤프트의 일면 또는 단위 캠샤프트들 사이에 위치한 베어링 디스크의 일면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돌기와, 돌기와 정합할 수 있게 다른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홈 및, 돌기와 홈이 정합된 상태에서 인접한 단위 캠샤프트들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Cam Shaft to Prevent Assembly Error}
본 발명은 캠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의 특성에 따라 착화순서를 달리하도록 구성된 조립식 캠샤프트를 조립할 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오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4행정 엔진의 사이클은 흡기(피스톤의 하강), 압축(피스톤의 상승), 연소 팽창(피스톤의 하강), 배기(피스톤의 상승)라는 네 가지 피스톤 행정(行程)을 1사이클이라고 하며, 크랭크 샤프트가 2회전 하는 사이에 1회의 사이클이 완료되는 기관의 형식이다.
선박의 엔진은 실린더별 4행정 사이클의 시차를 두어 각 실린더에서 연소 팽창 시에 발생하는 동력으로 크랭크 샤프트가 연속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 구성되며, 실린더에서 발생한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은 크랭크 샤프트에는 메인 추진 프로펠러가 장착되어 선박이 운항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면에서, 도 1은 크랭크 샤프트와 캠샤프트의 동력 전달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캠샤프트에 의한 밸브의 개폐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캠샤프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조립식 캠샤프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0)에는 각 실린더 별 흡기밸브(13I)와 배기밸브(13E)가 장착되며, 밸브(13I,13E)의 개폐는 크랭크 샤프트(15)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샤프트(19)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실린더의 4행정 사이클 작동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15)와 캠샤프트(19)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밸브(13I,13E)가 적합하게 개폐되면서 연속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각 실린더별 착화순서는 엔진에 작용하는 운전 중의 동적 작용력을 변화시키며 그에 따라 크랭크 스로우(15T)의 배치 설계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설계대로 크랭크 샤프트(15)를 제작하여 선박에 탑재한 상태에서 착화순서가 변경될 경우에는 크랭크 샤프트(15)의 크랭크 스로우(15T)의 각도를 착화순서의 변경에 따라 조정하여 재조립하여야 한다.
하지만, 크랭크 샤프트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축으로서 동력이 필요한 여러 설비로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의 구조를 변경하기에는 다른 여러 설비에 의해 해결하기에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다.
한편, 4행정 엔진의 경우 요구 출력대에 따라 실린더의 수를 설정하는데, 그 일예로서 한 엔진의 출력이 실린더당 500KW일 경우 3MW의 엔진을 탑재하고자 할 경우 6개의 실린더 엔진이 탑재되어 3MW의 출력을 만족시킨다.
하지만 각 엔진의 특성에 따라 착화순서(점화순서)가 결정되고, 결정된 점화순서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 및 캠샤프트의 형상이 달라진다.
특히 캠샤프트의 경우 1개의 실린더에 맞춰 설계된 캠샤프트들을 실린더의 위치에 따라 조립되어 제작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19)는 실린더 별로 대응하는 단위 캠샤프트(19U)들이 연결된 구조로서, 단위 캠샤프트(19U)에는 캠(19C)들이 형성되며, 캠(19C)의 외면에는 푸시로드(도 2의 21)의 태핏(도 2의 23)이 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크랭크 샤프트(도 1의 15)와 함께 캠샤프트(19)가 회전하면 캠(19C)에 의해 푸시로드(21)가 상하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로커 암(도 2의 25)의 선회에 의해 밸브(13I, 13E)가 상하 이동하며 개폐된다.
선박의 엔진은 복수의 실린더가 일렬로 연장된 구조로서, 캠샤프트(19)에는 각 실린더별 대응하는 단위 캠샤프트(19U)가 설정되며, 단위 캠샤프트(19U)에 형성된 캠(19C)은 해당 실린더의 밸브(13I, 13E)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 캠샤프트(19U)들이 실린더별 위치에 따라 상호 연결한 상태로 캠샤프트(19)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 단위 캠샤프트(19U)의 양단은 플랜지(19F)가 형성되고, 다른 단위 캠샤프트(19U)와 접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어 단위 캠샤프트(19U)들이 일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캠샤프트(19)는 선박의 엔진에 탑재되어 크랭크 샤프트(15)와 연동하며 실린더 헤드(10)의 장착된 흡기 밸브(13I)와 배기밸브(13E)를 개폐하는데, 선박의 건조 시에 오차 또는 진동에 따른 변위 등에 의해 실린더별 설계된 착화순서가 변하게 된다.
이 경우 단위 캠샤프트(19U)의 위치 변경 또는 단위 캠샤프트(19U)의 회전에 의해 착화순서의 변화에 대응하여 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단위 캠샤프트(19U)들은 볼트 체결됨으로써, 볼트를 해체하고 착화순서를 변경하고자 하는 실린더들에 대응하는 단위 캠샤프트(19U)들을 상호 교환하여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캠샤프트는 설계, 가공, 조립의 순으로 완성됨에 따라 설계와 가공이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 완성되었다고 하더라도 작업자가 자칫 조립 과정에서 조립 오류가 발생하고 이를 확인하지 못하고 엔진에 탑재하여 가동할 경우 밸브 스핀들과 피스톤의 충돌 등에 의해 큰 재산적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6455호(공개일; 2007년08월27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각 실린더의 특성에 따라 설계 제작된 단위 캠샤프트를 조립함에 있어 조립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 캠샤프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하며 엔진의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를 개폐하는 캠샤프트로서, 각 실린더별 장착된 밸브들을 개폐하는 단위 캠샤프트들과, 각 단위 캠샤프트에 형성된 캠들이 엔진 실린더별 점화순서에 따라 정렬되도록 한 단위 캠샤프트의 일면과 그에 접하는 다른 단위 캠샤프트의 일면 또는 단위 캠샤프트들 사이에 위치한 베어링 디스크의 일면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돌기와, 돌기와 정합할 수 있게 다른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홈 및, 돌기와 홈이 정합된 상태에서 인접한 단위 캠샤프트들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캠샤프트의 일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의 일면에는 돌기와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다른 단위 캠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의 일면에는 돌기와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캠샤프트의 일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마주하는 인접한 단위 캠샤프트의 플랜지들 사이에 베어링 디스크가 위치하며, 양측 플랜지를 관통한 볼트가 베어링 디스크를 관통한 상태로 볼트 체결되며, 플랜지의 일면에는 돌기와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베어링 디스크의 일면에는 돌기와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는 단위 캠샤프트의 플랜지의 일면과 이에 접하는 베어링 디스크의 일면 또는 다른 단위 캠샤프트의 플랜지의 일면에 상호 정합하는 핀과 핀홀을 구성하여 설계된 단위 캠샤프트의 정렬 상태와 동일하게 조립될 수밖에 없도록 구성됨으로써, 비숙련자가 단위 캠샤프트를 조립하더라도 조립 오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조립 오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종래 캠샤프트의 조립 오류에 따른 밸브 스핀들과 피스톤의 충돌 등의 사고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크랭크 샤프트와 캠샤프트의 동력 전달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캠샤프트에 의한 밸브의 개폐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캠샤프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조립식 캠샤프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캠샤프트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캠샤프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단위 캠샤프트와 단위 캠샤프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캠샤프트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캠샤프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단위 캠샤프트와 단위 캠샤프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캠샤프트는 그 용량에 따라 단위 캠샤프트들 사이에 베어링 디스크를 개재하여 캠샤프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용량 캠샤프트와 단위 캠샤프트를 상호 연결한 소용량 캠샤프트로 구분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캠샤프트는 베어링 디스크(110)가 개재된 대용량 캠샤프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단위 캠샤프트(100U)를 조립한 소용량 캠샤프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100)는 단위 캠샤프트(100U)들이 연결되며, 캠샤프트(100)들의 사이에는 베어링 디스크(110)가 개재된다.
베어링 디스크(110)는 캠샤프트(100)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미도시)과 접한 상태로 캠샤프트(100)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베어링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실린더별로 대응하는 단위 캠샤프트(100U)는 그 길이방향으로 캠(100C)들이 형성되고, 캠샤프트(100)의 양단에는 플랜지(100F)가 형성되며, 플랜지(100F)에는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볼트 홀(101)이 형성된다.
또한 단위 캠샤프트(100U)의 플랜지(100F)와 접하는 베어링 디스크(110)에는 볼트 홀(101)과 대응하여 관통홀(110H)이 형성된다.
플랜지(100F)에는 핀(121P)이 고정되고, 베어링 디스크(110)의 일면에는 핀(121P)이 정합하는 핀홀(122P)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핀(121P)이 핀홀(122P)에 정합할 경우, 단위 캠샤프트(100U)와 베어링 디스크(110)는 중심선에 정렬된 상태로 플랜지(100F)의 볼트 홀(101)과 베어링 디스크(110)의 관통홀(110H)은 연통되며, 단위 캠샤프트(100U)에 형성된 캠(100C)들은 실린더의 점화 순서에 맞춰 설계된 구조로 정렬된다.
즉 점화순서에 맞게 캠샤프트(100)를 설계함에 있어 실린더별 해당 단위 캠샤프트(100U)의 캠(100C)의 정렬을 고려하여 플랜지(100F)의 일면에 핀(121P)을 형성하고 베어링 디스크(110)에 핀홀(122P)을 형성함으로써, 핀(121P)과 핀홀(122P)의 정합을 통해 단위 캠샤프트(100U)가 설계된 형태로 정렬된다.
이와 같이 단위 캠샤프트(100U)의 핀(121P)이 플랜지(100F)에 접하는 베어링 디스크(110)의 일면에 형성된 핀홀(122P)에 정합하여 정렬됨에 따라 비숙련자라도 베어링 디스크(110)를 단위 캠샤프트(100U)에 정합함에 수월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핀(121P)을 핀홀(122P)에 삽입하지 않고서는 조립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조립에 따른 오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 캠샤프트(100U)의 플랜지(100F) 일면에 핀(121P)을 형성하고, 단위 캠샤프트(100U)들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디스크(110)의 양면에 각각 핀홀(122P)을 형성함으로써, 캠샤프트(100)를 구성하는 단위 캠샤프트(100U)의 정렬을 설계된 대로 맞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캠샤프트(100)에는 플랜지(100F)에 핀(121P)이 형성되고, 베어링 디스크(110)에 핀홀(122P)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대로 베어링 디스크(110)의 양면에 핀(121P)이 형성되고 플랜지(100F)에 핀홀(122P)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핀(121P)과 핀홀(122P)은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단위 캠샤프트(100U)의 정렬을 위해 핀(121P)과 핀홀(122P)을 대신하여 보다 넓은 의미로서 돌기(121)와 상기 돌기(121)에 정합하는 홈(122)으로 대신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캠샤프트(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어링 디스크가 제외된 구조로서, 단위 플랜지(100F)와 단위 플랜지(100F)가 상호 볼트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단위 플랜지(100F)들의 한 쪽 플랜지(100F)와 접하는 단위 플랜지(100F)의 다른 쪽 플랜지(100F)에 상호 정합하는 돌기(121)와 홈(122)이 대응하게 형성됨으로써, 돌기(121)와 홈(122)의 정합으로 단위 캠샤프트(100U)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접해 위치하는 플랜지(100F)들의 볼트 홀(101)에 볼트(131)를 삽입하고 볼트(131)에 너트(132)를 체결함으로써, 단위 캠샤프트(100U)들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100 : 캠샤프트
100U : 단위 캠샤프트
100C : 캠
100F : 플랜지
110 : 베어링 디스크
110H : 관통홀
121 : 돌기
121P : 핀
122 : 홈
122P : 핀홀
131 : 볼트
132 : 너트

Claims (3)

  1. 엔진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 샤프트(15)와 연동되어 회전하며 엔진의 흡기밸브(12I) 및 배기밸브(13E)를 개폐하는 캠샤프트로서,
    각 실린더별 장착된 밸브들을 개폐하는 단위 캠샤프트(100U)들과,
    각 단위 캠샤프트(100U)에 형성된 캠(100C)들이 엔진 실린더별 점화순서에 따라 정렬되도록 한 단위 캠샤프트(100U)의 일면과 그에 접하는 다른 단위 캠샤프트(100U)의 일면 또는 단위 캠샤프트(100U)들 사이에 위치한 베어링 디스크(110)의 일면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돌기(121)와,
    돌기(121)와 정합할 수 있게 다른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홈(122) 및,
    돌기(121)와 홈(122)이 정합된 상태에서 인접한 단위 캠샤프트(100U)들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샤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단위 캠샤프트(100U)의 일단에는 플랜지(100F)가 형성되고, 플랜지(100F)의 일면에는 돌기(121)와 홈(122)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다른 단위 캠샤프트(100U)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100F)의 일면에는 돌기(121)와 홈(122)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샤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단위 캠샤프트(100U)의 일단에는 플랜지(100F)가 형성되며, 마주하는 인접한 단위 캠샤프트(100U)의 플랜지(100F)들 사이에 베어링 디스크(110)가 위치하며, 양측 플랜지(100F)를 관통한 볼트(131)가 베어링 디스크(110)를 관통한 상태로 볼트 체결되며,
    플랜지(100F)의 일면에는 돌기(121)와 홈(122)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베어링 디스크(110)의 일면에는 돌기(121)와 홈(122)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샤프트.
KR1020160159117A 2016-11-28 2016-11-28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 KR20180060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117A KR20180060067A (ko) 2016-11-28 2016-11-28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117A KR20180060067A (ko) 2016-11-28 2016-11-28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67A true KR20180060067A (ko) 2018-06-07

Family

ID=6262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117A KR20180060067A (ko) 2016-11-28 2016-11-28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0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81A (ko) 2018-09-06 2020-03-16 김명구 캠샤프트 조립장치
WO2021197563A1 (en) * 2020-03-30 2021-10-07 Wärtsilä Finland Oy A camshaft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amshaft assembly into an engine blo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6455A (ko) 2004-12-23 2007-08-27 쉐플러 카게 내연기관용 캠샤프트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6455A (ko) 2004-12-23 2007-08-27 쉐플러 카게 내연기관용 캠샤프트 조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81A (ko) 2018-09-06 2020-03-16 김명구 캠샤프트 조립장치
WO2021197563A1 (en) * 2020-03-30 2021-10-07 Wärtsilä Finland Oy A camshaft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amshaft assembly into an engine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229B1 (ko) 내연 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
EP2505795B1 (en) Variable valve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00288217A1 (en) Valve drive train arrangement
EP1136721A2 (en) Balancer shaf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80060067A (ko) 조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캠샤프트
EP2655814A2 (en) Anti-rotation roller valve lifter
EP0686230B1 (en) Cam lobe with offset angular movement
JP2011144746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9540193A (ja) 内燃機関
US6615781B2 (en) Overhead camshaft type valve trai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394683A (en) Opposed piston engine
EP1635044B1 (en) Engine
TWI605189B (zh) 引擎
KR20180004909A (ko) 착화순서 변경을 위한 단위 캠축들로 연결된 캠축
WO2022030219A1 (ja) 内燃機関
JP5392496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7239496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ヘッド
JP6686417B2 (ja) エンジン
US2571198A (en) Engine
JP2022181005A (ja) 内燃機関
WO2016072385A1 (ja) 内燃機関
CA2637148A1 (en) Dual valve lifter assembly
JP2008051084A (ja)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JP2004218438A (ja) 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燃焼室構造
KR19980022677A (ko)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