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057A -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057A
KR20180060057A KR1020160159095A KR20160159095A KR20180060057A KR 20180060057 A KR20180060057 A KR 20180060057A KR 1020160159095 A KR1020160159095 A KR 1020160159095A KR 20160159095 A KR20160159095 A KR 20160159095A KR 20180060057 A KR20180060057 A KR 20180060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tent
sides
opened
c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925B1 (ko
Inventor
채규만
Original Assignee
(주)비젼텔리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젼텔리넷 filed Critical (주)비젼텔리넷
Priority to KR102016015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38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expansible, e.g. extensible in a fan type m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자전거로부터 분리하여 텐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후방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후방 하부 양측에 각각 휠이 축 결합되고, 상부 연결부재를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편,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두 면에는 열었을 때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전후방 베드가 형성되는 전후방 케이스;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내부 외곽에서 펼쳐지고 접히도록 하면서 출입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절첩식 텐트; 및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상부에 탈부착되면서 자전거와 연결하기 위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자전거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건거로부터 분리 후 간편하게 펼쳐 텐트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Tent carrier for bicycle-camping}
본 발명은 자전거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자전거로부터 분리하여 텐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 정보통신 기술을 비롯한 과학기술의 발달은 생활수준의 전반적 향상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여가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의 삶 속에서 여가는 인간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자연생활을 경험하고 자연교육과 체력을 단련하며 자연 속에서 동반자와의 활동과 휴식을 통해 관계를 증진시켜주는 캠핑이 국내 여가문화의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상기 캠핑은 크게 백패킹(Backpacking), 오토캠핑(Auto-Camping), 알브이 캠핑(RV Camping) 및 자전거 캠핑(Bicycle-Camping)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중에서 자전거 캠핑은 텐트를 포함하여 야영에 필요한 갖가지 장비를 자전거에 싣고 여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자전거 캠핑의 경우 오토캠핑이나 알브이 캠핑에 비하여 야영에 필요한 장비를 적재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야영시 텐트를 펼치고 접어야 하는 불편함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1640호(2014.11.14. 공개)에는 자전거 여행 과정에 있어 배낭 등과 같은 휴대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침대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자전거 캠핑용 트레일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트레일러프레임, 상기 트레일러프레임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메인바퀴, 상기 메인바퀴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지지바퀴, 상기 트레일러프레임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자전거의 뒷 바퀴축에 장착되는 자전거장착부, 트레이러프레임을 감싸게 구비되는 방풍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일러프레임은 수면시 그 길이를 늘일 수 있게 중앙부분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내관과 슬라이딩 내관과 상기 슬라이딩 내관이 결합되는 슬라이딩 외관, 상기 슬라이딩 내관에 탄성돌출되게 구비된 위치고정버튼 및 상기 위치고정버튼이 길이 조절에 따라 걸림 구속되게 구비되는 위치고정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트레일러는 상기 트레일러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상기 트레일러프레임의 길이를 조절 시 방풍커버나 트레일러프레임 사이의 바닥이 동시에 늘어나거나 줄어들어야 하는 등 불편함은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방풍커버나 바닥이 늘어나고 줄었을 때 처짐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전거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건거로부터 분리 후 간편하게 펼쳐 텐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는 전후방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후방 하부 양측에 각각 휠이 축 결합되고, 상부 연결부재를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편,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두 면에는 열었을 때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전후방 베드가 형성되는 전후방 케이스;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내부 외곽에서 펼쳐지고 접히도록 하면서 내부에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절첩식 텐트; 및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상부에 탈부착되면서 자전거와 연결하기 위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 케이스는 전면 또는 후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나사식 체결되면서 회전 방향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전후방 베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레벨 풋;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상부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는 전후방 연결축; 및 상기 양측의 전후방 연결축을 연결하되, 일단부에는 원형의 제1 축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장방향의 제2 축공이 형성된 링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케이스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해 열었을 때 상기 후방 케이스의 상부 양측을 받치도록 형성된 브래킷; 및 상기 양측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케이스를 열었을 때 휠의 높이와 대응하여 수평을 맞추도록 절곡 형성된 크랭크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후방 케이스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텐트는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내부 양측을 통해 각각 축 결합되면서 부챗살 형태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다수개의 간살; 및 상기 각 간살을 연결하면서 상기 실내 공간을 커버하는 보호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드는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로드의 타측 단부를 탈부착하도록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에 의하면 자전거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건거로부터 분리 후 간편하게 펼쳐 텐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를 도시한 닫힌 상태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를 도시한 열린 상태의 외형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의 로드 분리 상태들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의 연결부재 및 로드를 도시한 사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의 레벨 풋을 도시한 사용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의 텐트를 도시한 사용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의 텐트를 도시한 수납상태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후방 하부 양측에 각각 휠이 축 결합되고, 상부 연결부재를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편,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두 면에는 열었을 때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전후방 베드가 형성되는 전후방 케이스(100a, 100b),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내부 외곽에서 펼쳐지고 접히도록 하면서 출입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절첩식 텐트(200a, 200b) 및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상부에 탈부착되면서 자전거와 연결하기 위한 로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전후방, 양측 및 상하부는 도 1과 같이 캐리어를 자전거에 연결하여 세운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고, 여기서 설명하는 방향이 실제로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는 전후방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후방 하부 양측에 각각 휠(110)이 축 결합되고, 상부 연결부재(120)를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편,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두 면에는 열었을 때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전후방 베드(130a, 130b)가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는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얇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두껍게 형성하면서 내부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거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주머니 등의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는 텐트로 사용시 안정성을 고려하여 테두리와 내부를 경량 프레임으로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는 전후면이 평평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펼쳤을 때 상기 전후방 베드(130a, 130b)가 평평하게 수평이 맞춰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는 실시 예로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또는 후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나사식 체결되면서 회전 방향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전후방 베드(130a, 130b)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레벨 풋(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레벨 풋(140)이 전방 케이스(100a)의 하부 양측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후술하는 크랭크 바(160)에 의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휠(110)은 자전거의 속도와 주행로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크기 및 형태를 달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가 열리고 닫히는 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계에 따라 힌지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실시 예로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의 상부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는 전후방 연결축(121a, 121b) 및 상기 양측의 전후방 연결축을 연결하되, 일단부에는 상기 전후방 연결축(121a, 121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원형의 제1 축공(122b)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전후방 연결축(121a, 121b)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장방향의 제2 축공(122a)이 형성된 링크(1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부재(120) 구성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축공에 의해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를 간편하게 열고 닫을 뿐 아니라,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를 열었을 때 벌어진 틈을 간편하게 좁혀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 예로서 예시된 연결부재(120)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를 열었을 때 전방 케이스(100a)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브래킷(150)을 이용하여 후방 케이스의 상부 양측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상기 크랭크 바(160)를 이용하여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를 열었을 때 중간 부분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앞서 설명한 레벨 풋(140)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브래킷(150)과 크랭크 바(160)를 이용하여 한 번에 수평을 맞춰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150)은 상기 전방 케이스(100a)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120)를 이용해 열었을 때 상기 후방 케이스(100b)의 상부 양측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크랭크 바(160)는 상기 양측 브래킷(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케이스(100a)를 열었을 때 휠(110)의 높이와 대응하여 수평을 맞추도록 절곡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0)를 이용하여 전방 케이스를 열고 밀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연결 부분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래킷(150)에는 걸림턱(15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후방 케이스(100b)의 상부에는 걸림홈(152)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시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의 연결부분이 쉽게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20)가 형성되는 반대편인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중 전후방 케이스(100a, 100b)가 열리지 않도록 잠그기 위한 클램프나 후크 등의 잠금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베드(130)는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를 펼쳤을 때 누워서 자거나 쉴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목재나 합성수지재 패널 또는 스펀지나 라텍스와 같은 쿠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텐트(200)는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의 내부 외곽에서 펼쳐지고 접히도록 하면서 내부에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텐트(200)는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를 엶과 동시에 펼쳐지고 닫음과 동시에 접히도록 하거나,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를 연 상태에서 간편하게 펼치거나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텐트(200a, 200b)는 실시 예로서 도 3 및 도 4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의 내부 양측을 통해 각각 축 결합되면서 부챗살 형태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다수개의 간살(210) 및 상기 각 간살을 연결하면서 상기 실내 공간을 커버하는 보호천(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간살(2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형태로 절곡되면서 그 양측 끝단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의 내부 양측면에 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의 외곽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간살(121)과 보호천(2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데, 상기 공간은 베드(130a, 130b)의 양측 또는 하부에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텐트(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형태의 1~2인용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로드(300)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의 상부에 탈부착되면서 자전거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전거로 견인할 경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와 자전거의 프레임에 간편하게 연결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로 사용할 경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드(300)는 실시 예로서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로드의 타측 단부를 탈부착하도록 형성된 홀더(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드(300)와 홀더(310)는 클립이나 핀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결합/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텐트(200a, 200b)를 전후방 케이스(100a, 100b)에 간편하게 수납한 상태로 휠(110)과 로드(300)를 이용하여 자전거로 간편하게 견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텐트(200a, 200b)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전후방 케이스(100a, 100b)를 엶과 동시에 그 위에 간편하게 펼쳐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100a, 100b: 전후방 케이스 110: 휠
120: 연결부재 121a, 121b: 전후방 연결축
122: 링크 122a: 제1 축공
122b: 제2 축공 130a, 130b: 베드
140: 레벨 풋 150: 브래킷
151: 걸림턱 152: 걸림홈
160: 크랭크 바
200a, 200b: 텐트 210: 간살
220: 보호천
300: 로드 310: 홀더

Claims (7)

  1. 전후방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후방 하부 양측에 각각 휠이 축 결합되고, 상부 연결부재를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편,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두 면에는 열었을 때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전후방 베드가 형성되는 전후방 케이스;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내부 외곽에서 펼쳐지고 접히도록 하면서 내부에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절첩식 텐트; 및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상부에 탈부착되면서 자전거와 연결하기 위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케이스는,
    전면 또는 후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나사식 체결되면서 회전 방향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전후방 베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레벨 풋;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상부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는 전후방 연결축; 및
    상기 양측의 전후방 연결축을 연결하되, 일단부에는 원형의 제1 축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장방향의 제2 축공이 형성된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 케이스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해 열었을 때 상기 후방 케이스의 상부 양측을 받치도록 형성된 브래킷; 및
    상기 양측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케이스를 열었을 때 휠의 높이와 대응하여 수평을 맞추도록 절곡 형성된 크랭크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후방 케이스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상기 전후방 케이스의 내부 양측을 통해 각각 축 결합되면서 부챗살 형태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다수개의 간살; 및
    상기 각 간살을 연결하면서 상기 실내 공간을 커버하는 보호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로드의 타측 단부를 탈부착하도록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KR1020160159095A 2016-11-28 2016-11-28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KR10189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95A KR101896925B1 (ko) 2016-11-28 2016-11-28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95A KR101896925B1 (ko) 2016-11-28 2016-11-28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57A true KR20180060057A (ko) 2018-06-07
KR101896925B1 KR101896925B1 (ko) 2018-09-10

Family

ID=6262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095A KR101896925B1 (ko) 2016-11-28 2016-11-28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851A (ja) * 1991-10-09 1993-04-20 Koji Sakata 車両搭載用テント
JP2011194909A (ja) * 2010-03-17 2011-10-06 Kenichi Noshita 自転車、オートバイ等にて牽引されるキャンピングテント付き超軽量折り畳みトレーラー
KR101353408B1 (ko) * 2012-07-13 2014-01-20 최대석 다목적 트레일러
KR20150098923A (ko) * 2014-02-21 2015-08-31 배재원 자전거용 캠핑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851A (ja) * 1991-10-09 1993-04-20 Koji Sakata 車両搭載用テント
JP2011194909A (ja) * 2010-03-17 2011-10-06 Kenichi Noshita 自転車、オートバイ等にて牽引されるキャンピングテント付き超軽量折り畳みトレーラー
KR101353408B1 (ko) * 2012-07-13 2014-01-20 최대석 다목적 트레일러
KR20150098923A (ko) * 2014-02-21 2015-08-31 배재원 자전거용 캠핑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925B1 (ko) 201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0059B2 (ja) 折り畳み式ワゴン
US8011686B2 (en) Folding wagon
US8925618B2 (en) Collapsible sunshade
KR101491427B1 (ko) 캐노피를 갖는 폴딩 왜건
US9944233B2 (en) Roof rack assembly and a vehicle
US8388015B2 (en) Folding wagon with seats
US10864934B2 (en) Passenger transport carriers
US20110146737A1 (en) Collapsible Shade Device
US20150367717A1 (en) Shelt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200110666A (ko) 덮인 골프 카트를 위한 비 및 태양 실드
GB2516481A (en) Multi function collapsible trolley for transferring heavy loads across rough terrain which can also be used as a chair or camp bed or reclined lounger
CA2410117A1 (en) Cargo management system
KR102154295B1 (ko) 차량 트렁크와 연계된 접철식 휴대용 자동 텐트
KR101896925B1 (ko)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US20210345779A1 (en) Portable and foldable chair
US8632119B2 (en) Fold out camping trailer
US5061006A (en) Method for expandable sleeping compartments for vehicles
GB2428235A (en) Suitcase
JP4490360B2 (ja) 携帯バッグとして使用可能な車内装備ネット
US10383415B1 (en) Travel bag assembly with a removable clothing rack
JP2000192693A (ja) 自動車の後部延長構造
CN220243276U (zh) 野营折叠车
KR20130042299A (ko) 차량용 루프탑텐트
ES1300131U (es) Conjunto de maletas de transporte convertibles en somier
KR20230105370A (ko) 형태 변형을 통한 다용도 이동형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