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166A - Dryer - Google Patents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166A
KR20180059166A KR1020160158404A KR20160158404A KR20180059166A KR 20180059166 A KR20180059166 A KR 20180059166A KR 1020160158404 A KR1020160158404 A KR 1020160158404A KR 20160158404 A KR20160158404 A KR 20160158404A KR 20180059166 A KR20180059166 A KR 20180059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moving members
drying
hot ai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호
박원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5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166A/en
Publication of KR2018005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1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er comprises: a drying oven providing a drying space; a transfer unit to transfer a film in the drying space; at least one nozzle injecting a hot wind toward the film within the drying oven, and provided to change a flow rate at the same flow velocity when the hot wind is injected; an air blowing fan generating the flow of the hot wind in the nozzle; and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air blowing fan.

Description

건조장치{Dryer}Dryer {Dryer}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건조장치(1)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ying apparatus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건조장치(1)는 건조 오븐(10)과 건조 오븐(10) 내에 마련되어 토출구(21)를 통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노즐(20)을 포함한다. 또한, 건조장치(1)는 열풍 토출을 위한 송풍팬(30) 및 송풍팬(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송풍팬(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열풍 노즐(20)에서 토출되는 유속을 조절할 수도 있다.1 and 2, a conventional drying apparatus 1 includes a drying oven 10 and a hot air nozzle 20 provided in a drying oven 10 to supply hot air through a discharge port 21. [ The drying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blowing fan 30 for blowing hot air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blowing fan 30. The controller 40 may control the flow velocity of the hot air nozzle 20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30.

일반적인 필름(F) 건조는 이송 중인 필름(F)에 열풍을 이용하여 필름(F) 표면에 있는 용매를 증발시키는 방식을 이용하며, 열풍 노즐(21)은 필름(F)의 이송방향(MD)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또한, 열풍 노즐(20)의 토출구(21)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다.In general, drying of the film (F) uses a method of evaporating the solvent on the surface of the film (F) by using hot air on the film (F) being transported. The hot air nozzle (21) As shown in FIG.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21 of the hot air nozzle 20 is fixed.

이러한 노즐(20)의 배치 구조는 필름(F) 상부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름 표면에서 발생한 증발 용매가 확산되어 이동하는데 방해가 되며, 이러한 증발 용매의 흐름에 따라 건조 속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유기 용매 사용시 오븐(10) 내부 배기 가스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열풍 노즐(20)에서 토출되는 유량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송풍팬(3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토출되는 열풍의 유속을 증가시키면, 필름(F) 표면에 손상이 발생한다.Sinc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nozzles 20 uses the upper space of the film F, the evaporation solvent generated on the film surface is prevented from diffusing and moving, and the drying speed is decreas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evaporation solvent do. Particularly, when the organic solvent is used,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hot air nozzle 20 must be increased to reduce the exhaust gas concentration in the oven 10.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rat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30 is increased, The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film F occurs.

본 발명은 유기 용매 사용시 건조 오븐 내부 배기 가스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exhaust gas in a drying oven when an organic solvent is used.

또한, 본 발명은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유속을 변경시키지 않고, 유량만을 조절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only the flow rate without changing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필름 표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열풍 토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ot air discharge flow rate without damaging the surface of the film.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조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 오븐과, 건조 공간에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건조 오븐 내에서 필름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고, 열풍 분사 시, 동일한 유속에서 유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노즐과, 노즐 내 열풍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 및 송풍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을 포함하는 건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ying apparatus for drying a film, comprising: a drying oven for providing a drying space;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film in a drying space; hot air blowing toward the film in a drying oven; There is provided a drying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nozzle provided so as to change the flow rate at the same flow r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ing fan and the blowing fan to generate the hot air flow in the nozzle.

또한, 상기 노즐은, 건조 오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각각 장착되며, 토출구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이동부재 및 각각의 이동부재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nozzle includes a base portion fixed to the drying oven and at least two moving members each mounted on the base portion and forming a discharge port and a connecting portion movably connecting each mov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

또한, 적어도 2개의 이동 부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토출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at least two moving members.

또한, 각각의 이동 부재는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Further, each moving member may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또한, 베이스부는 건조 오븐에 고정된 고정 단부 측에서 이동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단부 측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에서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t least in part from the fixed end side fixed to the drying oven toward the connection end side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또한, 베이스부는 연결 단부에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at the connection end portion.

또한, 각각의 이동부재는 경사부에 장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각각의 이동부재는 경사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Further, each moving member can be mounted on the inclined portion, and specifically, each moving member can be slidably mounted on the inclined portion.

또한, 각각의 이동부재가 베이스부의 고정 단부 측으로 이동하면, 토출구가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Further, when each moving member moves toward the fixed end side of the base portion,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to increase.

반대로, 각각의 이동부재가 베이스부의 고정 단부 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토출구가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each of the moving members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xed end side of the base portion,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so as to decrease.

또한, 토출구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의 크기가 증가한 경우, 유속은 변하지 않고, 유량만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토출구의 크기가 감소한 경우, 유속은 변하지 않고, 유량만 감소할 수 있다.Further, even whe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increases or decreases, the control unit can maintain the rotating speed of the blowing fan constant.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is increased, the flow rate does not change and only the flow rate can be increased. Conversely, whe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is reduced, the flow rate does not change, and only the flow rate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이동부재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는 베이스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과, 이동부재에 제1 가이드 홈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을 통과하여 제1 가이드 홈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예를 들어, 볼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연결부는, 이동부재와 베이스부가 맞물리기 위한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동부재의 이동은 모터 등의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move the moving member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guide groove formed in the base portion,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in a position overlapping the first guide groove on the moving member, and a second guide groove (E. G., Bolts, etc.). ≪ / RTI > Alternatively,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guide rail and a guide projection for engaging the moving member and the base portion,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유기 용매 사용시 건조 오븐 내부 배기 가스 농도를 신속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유속을 변경시키지 않고, 유량만을 조절할 수 있고, 특히, 필름 표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열풍 토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 속도 및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using an organic solvent, the exhaust gas concentration in the drying oven can be rapidly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only the flow rate without changing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nozzle, and in particular, the hot air discharge flow rate can be adjusted without damaging the film surface, thereby improving the drying speed and drying performance.

도 1은 종래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건조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4 및 도 5는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ying apparatus.
Figures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for illustrating one operating state of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necting por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r reduced .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건조 장치(100)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고, 도 4 및 도 5는 연결부(23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FIGS.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one operation state of the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schematic diagrams for illustrating the connection unit 230.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건조장치(100)는 건조오븐(110)과 노즐(200)과 송풍팬(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장치(100)는 건조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 오븐(110)과, 건조 공간(110)에서 필름(F)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도시되지 않음)와, 건조 오븐(110) 내에서 필름(F)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고, 열풍 분사 시, 동일한 유속에서 유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노즐(200)과, 노즐(200) 내 열풍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130) 및 송풍팬(1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dry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rying oven 110, a nozzle 200, a blowing fan 130, and a control unit 140. Specifically, the dry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rying oven 110 for providing a drying space, a transfer unit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film F in the drying space 110, One or more nozzles 200 arranged to blow hot air toward the film F and change the flow rate at the same flow rate in hot air blowing, a blowing fan 130 for generating a hot air flow in the nozzle 200, And a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fan 130.

건조장치(100)는 제품(F)(예를 들어, 필름)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및 제품의 이송과정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복수 개의 노즐(200)을 포함한다.The drying apparatus 100 includes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roduct F (for example, a film) and a plurality of nozzles 20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so as to be dri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product do.

상기 이송부는 제품을 주행시키며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송부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송부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ing unit may be provided to run and move the product. Specifically, the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conveyor, and the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belt conveyor, for example.

또한, 본 문서에서, 건조 대상인 제품은 다양한 용매, 예를 들어, 물, 오일, NMP 등을 포함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예를 들어, 폴리머, 합성 과정의 고분자 화합물, 또는 배터리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소정의 건조 공정조건에 따른 건조 공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건조 공정조건은 열풍 온도, 및/또는 열풍 속도, 오븐 내부 배기가스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공정 중에, 상기 제품의 함수율을 미리 정해진 함수율에 맞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따라서, 건조 공정 중인 제품으로부터 측정된 함수율에 따라 건조 공정조건이 변경되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Further, in this document, the product to be dried may be in a state containing various solvents such as water, oil, NMP and the like. The product can be, for example, a polymer, a polymer compound in a synthetic process, or a battery electrode. The product is subjected to a drying proces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rying process condition, and the drying process condition may include a hot air temperature and / or a hot air speed, an exhaust gas concentration in the oven, and the like. Also, during the drying process, the water content of the product should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water content. Thus, there may be a need to change the drying process conditions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measured from the product undergoing the drying process.

또한, 제어부(140)는 건조 중 실시간으로 제품(F)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송풍팬(1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노즐(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열풍 유속을 증가시킬 수도 있고, 송풍팬(13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열풍 유속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product F in real time during dryi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adjust the flow speed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nozzle 200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130. For exampl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ir blowing fan 130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hot air flow rate, 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ir blowing fan 130 may be decreased to reduce the hot air flow rate.

또한, 제어부(140)는 건조 중 오븐(110) 내부 배기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r more sensors for measuring the exhaust gas concentration in the oven 110 during drying.

또한, 제어부(140)는 측정된 제품의 함수율 및/또는 내부 배기 가스 농도에 기초하여 송풍팬(130)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adjust the blowing fan 130 based on the water content of the measured product and / or the internal exhaust gas concentration.

상기 노즐(200)(이하, '열풍 노즐'이라고도 함)은 하나 이상의 토출구(221)를 통해 필름(F) 표면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노즐(200)은 열풍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열풍의 온도, 열풍의 토출 속도(유속), 열풍의 분사 유량은 제어부(1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노즐(200)은 대류 방식을 통해 제품(F) 표면에 열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노즐(200)은 제품(F)의 이송방향(MD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열될 수 있다.The nozzles 20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hot air nozzles) are provided to supply hot air to the surface of the film F through one or more discharge ports 221. The nozzle 200 may be connected to a hot air supply unit. Further, the temperature of hot air, the discharge speed of hot air (flow velocity), and the flow rate of hot air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140. The nozzle 200 is provided to supply heat 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F through a convection metho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nozzles 200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eeding direction (MD direction) of the product F.

또한, 상기 노즐(200)은, 건조 오븐(11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0) 와 베이스부(210)에 각각 장착되며, 토출구(221)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이동부재(220) 및 각각의 이동부재(220)를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The nozzle 200 includes a base portion 210 fixed to the drying oven 110 and at least two moving members 220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ase portion 210 and form a discharge port 221, And a connecting portion 230 for movably connecting the moving member 220 of the base unit 210 to the base unit 210.

또한, 상기 노즐(200)은 적어도 2개의 이동 부재(230) 사이의 간격에 따라 토출구(221)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zzle 200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221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at least two moving members 230.

또한, 각각의 이동 부재(220)는 베이스부(2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moving members 220 may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base 210.

또한, 베이스부(210)는 건조 오븐(110)에 고정된 고정 단부(211) 측에서 이동 부재(220)와 연결되는 연결 단부(213) 측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에서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210)는 연결 단부(213)에 경사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21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base 210 decreases at least partially from the fixed end 211 fixed to the drying oven 110 to the connection end 213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220 . To this end, the base portion 210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15 at the connection end portion 213.

이때, 각각의 이동부재(220)는 경사부(215)에 장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각각의 이동부재(220)는 경사부(21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shifting member 220 can be mounted on the slope portion 215, and specifically, each shifting member 220 can be slidably mounted on the slope portion 215.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이동부재(220)가 베이스부(210)의 고정 단부(211) 측으로 이동하면, 토출구(221)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2, when each of the moving members 220 moves toward the fixed end 211 of the base 210, the size of the ejection opening 221 may be increased.

반대로,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이동부재(220)가 베이스부(210)의 고정 단부(211) 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토출구(221)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3, when the movable member 220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xed end 211 of the base 210,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221 may be reduced.

또한, 토출구(221)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송풍팬(130)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221)의 크기가 증가한 경우, 토출되는 열풍의 유속은 변하지 않고, 유량만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토출구(221)의 크기가 감소한 경우, 토출되는 열풍의 유속은 변하지 않고, 유량만 감소할 수 있다.Further, even whe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221 increases or decreases, the controller 140 can mainta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130 constant.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221 is increased, the flow rate of the hot air to be discharged does not change but the flow rate can be increased. On the contrary, when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221 is reduced, the flow rate of hot air to be discharged is not changed but only the flow rate can be reduc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230)는, 이동부재(220)를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230)는 베이스부(21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도시되지 않음)과, 이동부재(220)에 제1 가이드 홈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232) 및 제2 가이드 홈(232)을 통과하여 제1 가이드 홈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예를 들어, 볼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onnection portion 230 is provided to allow the moving member 220 to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210. 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230 includes a first guide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base 210, a second guide groove 232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first guide groove on the moving member 220 And a fixing member (for example, a bolt or the like) fixed to the first guide groove through the second guide groove 232.

따라서, 토출구(221)의 크기를 고려하여 이동부재(220)를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이동시킨 후, 해당 위치에서 고정부재를 통해 이동부재(220)를 베이스부(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moving member 220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210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221 and then the moving member 220 may be fixed to the base portion 210 through the fixing member have.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건조장치
110: 건조 오븐
130: 송풍팬
140: 제어부
200: 노즐
210: 베이스부
220: 이동부재
221: 토출구
230: 연결부
100: Drying device
110: Drying oven
130: blowing fan
140:
200: nozzle
210: Base portion
220: moving member
221: Outlet
230: Connection

Claims (11)

건조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 오븐;
건조 공간에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
건조 오븐 내에서 필름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고, 열풍 분사 시, 동일한 유속에서 유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노즐;
노즐 내 열풍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 및
송풍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A drying oven providing a drying space;
A conveying part for conveying the film in the drying space;
One or more nozzles arranged to blow hot air toward the film in the drying oven and change the flow rate at the same flow rate in hot air blowing;
A blowing fan for generating a hot air flow in the nozz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ing f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건조 오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각각 장착되며, 토출구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이동부재; 및
각각의 이동부재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The ink jet recording head according to claim 1,
A base portion fixed to the drying oven;
At least two moving member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base portion and forming a discharge port;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movably connecting each of the moving members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이동 부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토출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건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at least two moving members.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 부재는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건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each of the moving members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건조 오븐에 고정된 고정 단부 측에서 이동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단부 측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에서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된 건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t least in part from the fixed end side fixed to the drying oven toward the connection end side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연결 단부에 경사부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base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at the connecting end.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부재는 경사부에 장착된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each of the moving members is mounted on the inclined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부재가 베이스부의 고정 단부 측으로 이동하면, 토출구가 증가하도록 마련된 건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when the respective moving members move toward the fixed end side of the base portion, the discharge port is increased.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부재가 베이스부의 고정 단부 측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토출구가 감소하도록 마련된 건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discharge port is reduced when each of the moving members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xed end side of the base portion.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건조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And the control unit keep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constant.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베이스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이동부재에 제1 가이드 홈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을 통과하여 제1 가이드 홈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guide groove formed in the base portion;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guide groove on the moving member; And
And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guide groove through the second guide groove.
KR1020160158404A 2016-11-25 2016-11-25 Dryer KR201800591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04A KR20180059166A (en) 2016-11-25 2016-11-25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04A KR20180059166A (en) 2016-11-25 2016-11-25 D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66A true KR20180059166A (en) 2018-06-04

Family

ID=6262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04A KR20180059166A (en) 2016-11-25 2016-11-25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916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349A (en) * 2018-08-29 2020-03-11 김영호 A apparatus for drying the coated film
KR102399283B1 (en) * 2021-11-01 2022-05-19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Nozzle apparatus and nozzle system for heat air supplying of film streching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349A (en) * 2018-08-29 2020-03-11 김영호 A apparatus for drying the coated film
KR102399283B1 (en) * 2021-11-01 2022-05-19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Nozzle apparatus and nozzle system for heat air supplying of film strech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0093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KR20180059166A (en) Dryer
SE461921B (en) PROCEDURE AND DEVICE FOR CUTTING A APPLICATION TAPE FOR A PAPER COAT
MY125404A (en)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noodles by hot air
CA3089828A1 (en) Dual path kiln and method of operating a dual path kiln to continuously dry lumber
CN107538933A (en) Printing equipment
JP5387817B2 (en) Drying equipment
KR102146530B1 (en) Dryer
CN107230775B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20180079782A (en) Dryer
US11320201B2 (en) Web drying apparatus and web drying method
JP6853577B2 (en) Drying device
JP4382725B2 (en) Food heating equipment
JPH0310870B2 (en)
JP2018162121A (en) Conveyance device for strip--like material capable of correcting meander
JP2007186732A (en) Cooling apparatus and cooling method
US11590775B2 (e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recording medium
KR20100048176A (en) Device for drying dipping solution of sheet type rubber
JP6709258B2 (en) Dryer
JP2012143989A (en) Casting apparatus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JP2009092352A (en) Heating furnace system
CN107225717B (en) Solution film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7016598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149682A (en) Movable web slot
US20190375532A1 (en) Heat shrinking apparatus in shrink packag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