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026A -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 Google Patents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026A
KR20180059026A KR1020160158121A KR20160158121A KR20180059026A KR 20180059026 A KR20180059026 A KR 20180059026A KR 1020160158121 A KR1020160158121 A KR 1020160158121A KR 20160158121 A KR20160158121 A KR 20160158121A KR 20180059026 A KR20180059026 A KR 20180059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ght emitting
lantern
outside air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이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영 filed Critical 이종영
Priority to KR102016015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026A/ko
Publication of KR2018005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은 일측 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이고, 상기 흡입구의 테두리부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흡기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모듈과 흡기팬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흡입된 해충은 포획하는 포충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A Lantern having Insects Trapping}
본 발명은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야외 캠핑시에 주로 사용되는 랜턴의 내부에 흡기팬을 설치하여 랜턴의 발광부 주위로 유인된 모기 등의 해충을 랜턴 내부로 흡입함으로써 외부 전력을 사용하기 곤란한 야외 캠핑장에서도 야간에 조명 효과와 포충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주5일제 근무가 정착됨에 따라 가족 단위 또는 동호인 단위의 주말 여행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주말 여행의 경우 초기에는 여행자의 편의를 위하여 주로 민박, 펜션, 또는 콘도 등의 실내에서 숙박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으며, 상기 시설들의 경우 각종 질병을 매개하는 모기와 같은 해충의 공격으로부터 숙박자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훈증 매트 형태의 모기 퇴치장치나 [문헌 2]에 개시된 전기 충격에 의한 모기 퇴치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연과 동화되는 자연친화적 여행 문화가 유행함에 따라 점차 텐트 등을 이용한 야외 캠핑 문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야외 캠핑의 경우 외부 전원을 사용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하기 [문헌 1]과 [문헌 2]에 개시된 종류의 모기 퇴치장치의 사용이 불가하여 모기와 같은 해충의 공격으로부터 거의 무방비 상태가 되므로 면역력이 약한 어린 아이나 노약자들이 포함된 가족의 경우 야외 캠핑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6-0001966호(2016. 6. 9. 공개)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371249호(2014. 3. 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외 캠핑시에 주로 사용되는 랜턴의 내부에 흡기팬을 설치하여 랜턴의 발광부 주위로 유인된 모기 등의 해충을 랜턴 내부로 흡입함으로써 외부 전력을 사용하기 곤란한 야외 캠핑장에서도 야간에 조명 효과와 포충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은 일측 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이고, 상기 흡입구의 테두리부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흡기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모듈과 흡기팬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흡입된 해충은 포획하는 포충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을 보호하는 링 형상의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에는 슬릿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수평 방향의 리브가 복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의 경우 원통형의 랜턴 하우징 내부의 일측 단부 테두리에 발광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발광부 중앙의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을 설치함으로써 랜턴의 발광부 주위로 유인된 모기 등의 해충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랜턴 내부로 흡입하여 포획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 전력을 사용하기 곤란한 야외 캠핑장에서도 야간에 조명 효과와 포충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3은 도2의 A-A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은 외부 공기와 함께 모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일측 단부에 흡입구(15)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 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11)과,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일측 단부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링 형상의 플랜지(11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1a)의 상부면에는 외부로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LED 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발광모듈(12)이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11a)의 상부에는 상기 발광모듈(12)을 보호하기 위한 링 형상의 보호캡(13)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호캡(13)은 발광모듈(12)에서 조사되는 광을 외부로 방사시킬 수 있도록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11a)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리브(16)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일측 단부에 슬릿 형상의 흡입구(15)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부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흡기팬(30)과 상기 흡기팬(30)을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40)가 설치되는데, 상기 흡기팬(30)과 팬모터(40)는 상부 하우징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발광모듈(12)과 흡기팬(구체적으로는 팬모터)(30)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50)가 수용되는 배터리 홀더(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흡기팬(30)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흡입된 해충은 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측면 또는 하부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망체 형상의 포집망(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포집망은 방충망과 유사하게 메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천(또는 포)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의 외면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결합 스토퍼(11b)와, 상기 발광모듈(12)과 흡기팬(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4)는 상기 발광모듈(12) 및 팬모터(40)와 배터리(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연결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의 경우 원통형의 랜턴 하우징 내부의 일측 단부 테두리에 발광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발광부 중앙의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팬을 설치함으로써 랜턴의 발광부 주위로 유인된 모기 등의 해충을 상기 흡입구를 통해 랜턴 내부로 흡입하여 포획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 전력을 사용하기 곤란한 야외 캠핑장에서도 야간에 조명 효과와 포충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 상부 하우징 12 : 발광모듈
13 : 보호캡 14 : 스위치
15 : 흡입구 16 : 리브
20 : 하부 하우징 21 : 포충망
30 : 흡기팬 50 : 배터리

Claims (3)

  1. 일측 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이고, 상기 흡입구의 테두리부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흡기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모듈과 흡기팬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흡입된 해충은 포획하는 포충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을 보호하는 링 형상의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는 슬릿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수평 방향의 리브가 복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KR1020160158121A 2016-11-25 2016-11-25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KR20180059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21A KR20180059026A (ko) 2016-11-25 2016-11-25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21A KR20180059026A (ko) 2016-11-25 2016-11-25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26A true KR20180059026A (ko) 2018-06-04

Family

ID=6262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121A KR20180059026A (ko) 2016-11-25 2016-11-25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90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790A1 (ko) 2018-05-24 2019-11-28 Kim Tae Young 자전거 일체형 복합기능 조명 장치
CN114711206A (zh) * 2022-03-23 2022-07-08 张伟 一种基于林业防护的害虫防治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790A1 (ko) 2018-05-24 2019-11-28 Kim Tae Young 자전거 일체형 복합기능 조명 장치
CN114711206A (zh) * 2022-03-23 2022-07-08 张伟 一种基于林业防护的害虫防治设备
CN114711206B (zh) * 2022-03-23 2023-05-02 张伟 一种基于林业防护的害虫防治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843Y1 (ko) Led 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포집 장치
CN108488090B (zh) 送风机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ES2860906T3 (es) Aparato y método para atrapar plagas de insectos voladores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WO2004071188A3 (en) Light emitting insect trap
KR200440653Y1 (ko) 다기능 해충퇴치기
KR100928094B1 (ko)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CA3015261A1 (en) Multi-functional pest management device
KR20180059026A (ko) 포충 기능을 구비한 랜턴
KR101475157B1 (ko) 해충 퇴치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KR20180137876A (ko)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CA2688976A1 (en) Flying insect trap and method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CN202566068U (zh) 吸入式昆虫捕捉装置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US20040068917A1 (en) Portable insect capturing apparatus
JP2010115172A (ja) 捕虫器
KR20160002012A (ko) 해충 포획기
JPWO2011004782A1 (ja) 捕虫用照明器具
US1168798A (en) Insect-trap.
KR100895489B1 (ko) 해충 포획장치
CN103181375A (zh) 光照诱导灾害昆虫激振气吸捕集机
CN209251482U (zh) 一种农业害虫诱捕装置
JP2001155509A (ja) 捕虫機能付照明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