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496A -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496A
KR20180058496A KR1020160157529A KR20160157529A KR20180058496A KR 20180058496 A KR20180058496 A KR 20180058496A KR 1020160157529 A KR1020160157529 A KR 1020160157529A KR 20160157529 A KR20160157529 A KR 20160157529A KR 20180058496 A KR20180058496 A KR 20180058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upper frame
fram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499B1 (ko
Inventor
정두석
이주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4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5Pleated, folded, corrugated filter elements, e.g.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83Cylindrical, conical, oval, spherical or the like filter elements; wounded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엘리먼트의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에어클리너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데드존(dead zone)이 축소되도록 한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원통 필터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31)과,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1)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32)과,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판상의 여과재를 서로 다른 방향을 반복하여 접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1)과 상기 하부 프레임(32)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 엘리먼트(33)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33)는 상기 여과재를 접어 형성되는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0)과, 둘레가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체결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20)과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상기 원통 필터(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SPIRAL TYPE CYLINDRICAL AIR FILTER AND AIR CLEANER HAVING ROTATABLE AIR FILTER}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이를 포함한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 엘리먼트의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에어클리너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데드존(dead zone)이 축소되도록 한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룸에는 엔진의 연소를 위해 도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클리너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에어클리너를 살펴보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 사이에 원통 필터(130)가 장착된다. 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원통 필터(130)를 관통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구(112)로 배출된다. 이러한 에어클리너(100)에서는 그 내부에 설치된 원통 필터(130)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배출구(112)가 대칭구조가 아니면 일부 영역으로 공기의 흐름이 집중되고, 또 다른 영역으로는 공기의 흐름이 약해지는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한다(도 2 참조).
상기 에어클리너(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 필터(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2)의 사이에 종이,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는 필터 엘리먼트(133)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 엘리먼트(133)는 좁은 면적에서 많은 양의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접힌 상태로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원통 필터(130)에서는 상기 필터 엘리먼트(133)가 접혀서 생긴 주름이 상기 원통 필터(130)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리너(100)를 공기가 통과하는 동안 상기 원통 필터(130)는 장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에어클리너(100)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이 한 쪽으로 편중되어 데드존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원통 필터(130)는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데드존의 해소에 기여하지 못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과 배출이 대칭되면 데드존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 4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과 배출이 대칭되지 않거나, 도 4의 (d)와 같이, 원통 필터(130)의 일측이 포밍(forming)가공되거나, 도 4의 (e)와 같이, 원통 필터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한 쪽으로 공기의 흐름이 편중되어 데드존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4의 (f)와 가 유입과 배출이 대칭되더라도,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중력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아래 부분에 집중적으로 포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작업성이 개선된 에어클리너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6-010749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공기가 원통 필터를 계속해서 통과하면 상기 공기의 흐름에 의해 원통 필터가 회전할 수 있는 나선형 원통 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설치된 원통 필터가 회전하면서, 공기가 에어클리너를 통과하는 동안 회전하는 원통 필터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에어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원통 필터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과,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판상의 여과재를 서로 다른 방향을 반복하여 접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여과재를 접어 형성되는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베어링과 인접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버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베어링의 사이에는 링형태의 제1러버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둘레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는 링형태의 제2러버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둘레보다 중앙 부분이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둘레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체결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 및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판상의 여과재를 서로 다른 방향을 반복하여 접어 형성되되 상기 여과재를 접어 형성된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 엘리먼트를 구비한 원통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정해진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상기 원통 필터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측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측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버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베어링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시키는 링형태의 제1러버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둘레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시키는 링형태의 제2러버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둘레보다 중앙 부분이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단차진 부위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필터 락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원통 필터에 따르면, 필터 엘리먼트가 접혀서 생기는 주름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가 통과하는 동안 회전하면서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게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에서는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를 포함하고 있어서, 공기가 통과하는 동안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가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공기가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에어클리너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공기의 흐름이 편중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클리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에어클리너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에어클리너의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 필터의 정면도.
도 4는 에어클리너에서 유입과 배출위치에 따른 데드존 발생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원통 필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에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원통 필터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31)과,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1)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32)과,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판상의 여과재를 서로 다른 방향을 반복하여 접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1)과 상기 하부 프레임(32)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 엘리먼트(33)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31)은 경질의 재료, 예컨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31)에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게 연결부(31a)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1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30)를 에어클리너(1)의 내부에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1a)를 통하여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30)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된다.
하부 프레임(32)은 상기 상부 프레임(31)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32)도 경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32)의 외경은 상기 상부 프레임(31)의 외경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33)는 상기 상부 프레임(31)과 상기 하부 프레임(32)의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필터 엘리먼트(33)는 다공질의 재질, 예컨대 종이나 부직포와 같은 여과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복하여 접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엘리먼트(33)는 상기 여과재를 접어서 형성되는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板狀)의 여과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복하여 접어서 형성되는 주름이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30)의 축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 엘리먼트(33)의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엔진 작동시 공기가 상기 필터 엘리먼트(33)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필터 엘리먼트(33)를 회전시켜, 에어클리너(1) 내부의 데드존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30)는 에어클리너(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해야 하는 바, 상기 연결부(31a)에는 베어링(41)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1a)의 둘레를 따라 베어링, 예컨대 볼베어링(41)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30)의 회전시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32)은 중앙이 둘레보다 더 돌출되게 단차지게 형성성된다. 단차진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30)는 하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30)의 회전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러버씰(42)(43)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다. 상기 러버씰(42)(43)은 상기 상부 프레임(31)에서 상기 베어링(41)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1a)와 상기 베어링(41)의 사이에 제1러버씰(42)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1)에서 상기 베어링(41)과 상기 상부 프레임(31)의 둘레 사이에 제2러버씰(43)이 장착된다. 상기 제1러버씰(42)과 상기 제2러버씰(43)을 고무를 재질로 하여, 링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나선형 원통 필터(30)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0)과, 둘레가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체결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20)과, 앞서 살펴본 나선형 원통 필터(30)가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는 내부에 상기 원통 필터(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둘레가 체결된다. 예컨대, 클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에는 상기 에어클리너(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와 상기 에어클리너(1)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리너(1)에서 상기 원통 필터(30)는 상기 상부 프레임(31)이 상기 하부 프레임(32)보다 높게 위치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10)에 배출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 필터(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31)의 연결부(31a)가 상기 배출구(11)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31a)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배출구(11)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통 필터(30)는 상단이 상기 배출구(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31a)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구(11)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베어링(41)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41)에 의해 상기 연결부(31a)와 상기 배출구(11)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여 상기 원통 필터(30)의 회전이 용이해진다.
상기 원통 필터(30)의 하단을 하부 하우징(20)이 중심이 둘레부분이 상기 원통 필터(30)의 하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진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락커(44)가 상기 상부 하우징(10)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설치됨으로써, 회전가능한 구조가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 필터(30)의 하부 프레임(32)은 중앙부분이 둘레부분보다 상기 원통 필터(30)의 하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차진 부분을 지지하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필터 락커(44)가 상기 상부 하우징(10)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20)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원통 필터(30)의 하단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상기 필터 락커(44)는 상기 하부 프레임(3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환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21)를 통하여 상기 에어클리너(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에어클리너(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원통 필터(30)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33)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된다. 이렇게 여과된 공기는 상기 원통 필터(3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부(31a)로 유동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0)에 형성된 배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가 상기 필터 엘리먼트(33)를 통과할 때, 상기 필터 엘리먼트(33)가 경사지게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 필터(30)의 상부와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출구(11)가 비대칭하게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원통 필터(30)는 회전된다. 즉,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클리너(1)의 둘레를 순환하면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33)를 통과하게 되는 바, 상기 원통 필터(30)가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 엘리먼트(33)에 형성된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주름이 일자로 형성된 예에 비하여 회전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 필터(30)의 상단에는 상기 베어링(41)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은 상기 필터 락커(44)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엔진 시동시에는 상기 원통 필터(30)가 정지된 상태이지만, 엔진이 작동하는 중에는 계속해서 공기가 상기 에어클리너(1)를 통과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통 필터(3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러버씰(42)과 상기 제2러버씰(43)에 의해 이중으로 실링되므로, 상기 원통 필터(30)가 회전하더라도, 충분히 씰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1 : 에어클리너 10 : 상부 하우징
11 : 배출구 20 : 하부 하우징
21 : 유입구 30 : 원통 필터
31 : 상부 프레임 31a : 연결부
32 : 하부 프레임 33 : 필터 엘리먼트
41 : 베어링 42 : 제1러버씰
43 : 제2러버씰 44 : 필터 락커
100 : 에어클리너 110 : 상부 하우징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20 : 하부 하우징 130 : 원통 필터
131 : 상부 프레임 132 : 하부 프레임
133 : 필터 엘리먼트

Claims (12)

  1.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과,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판상의 여과재를 서로 다른 방향을 반복하여 접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여과재를 접어 형성되는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원통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원통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베어링과 인접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버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원통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베어링의 사이에는 링형태의 제1러버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원통 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둘레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는 링형태의 제2러버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원통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둘레보다 중앙 부분이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원통 필터.
  7.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둘레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체결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 및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판상의 여과재를 서로 다른 방향을 반복하여 접어 형성되되 상기 여과재를 접어 형성된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필터 엘리먼트를 구비한 원통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정해진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상기 원통 필터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측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측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버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베어링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시키는 링형태의 제1러버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둘레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시키는 링형태의 제2러버씰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둘레보다 중앙 부분이 돌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단차진 부위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필터 락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KR1020160157529A 2016-11-24 2016-11-24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KR10244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29A KR102440499B1 (ko) 2016-11-24 2016-11-24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29A KR102440499B1 (ko) 2016-11-24 2016-11-24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496A true KR20180058496A (ko) 2018-06-01
KR102440499B1 KR102440499B1 (ko) 2022-09-06

Family

ID=6263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529A KR102440499B1 (ko) 2016-11-24 2016-11-24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4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305A (zh) * 2019-09-06 2019-12-03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空滤
KR20200058693A (ko) 2018-11-20 2020-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클리너
CN111779601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风沙环境使用的空滤装置
KR102451717B1 (ko) 2022-05-03 2022-10-07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US11918945B2 (en) 2019-01-16 2024-03-05 Volvo Truck Corporation Air filter housing arrang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864A (ja) * 1989-06-22 1991-02-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エアクリーナ
KR19980036736U (ko) * 1996-12-16 1998-09-15 김영귀 이물질 포집 장치가 구비된 사이클론 에어 클리너
JP2002106425A (ja) * 2000-09-29 2002-04-10 ▲高▼橋 利安 エンジン用エアクリーナー・カバー
KR20060057682A (ko) * 2004-11-24 2006-05-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클리너
KR20160107497A (ko) 2015-03-04 201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작업성이 개선된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864A (ja) * 1989-06-22 1991-02-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エアクリーナ
KR19980036736U (ko) * 1996-12-16 1998-09-15 김영귀 이물질 포집 장치가 구비된 사이클론 에어 클리너
JP2002106425A (ja) * 2000-09-29 2002-04-10 ▲高▼橋 利安 エンジン用エアクリーナー・カバー
KR20060057682A (ko) * 2004-11-24 2006-05-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클리너
KR20160107497A (ko) 2015-03-04 201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작업성이 개선된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93A (ko) 2018-11-20 2020-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클리너
US11918945B2 (en) 2019-01-16 2024-03-05 Volvo Truck Corporation Air filter housing arrangement
CN110529305A (zh) * 2019-09-06 2019-12-03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空滤
CN111779602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用的空滤
CN111779601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风沙环境使用的空滤装置
CN111779600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空滤设备
CN111779602B (zh) * 2019-09-06 2021-05-25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用的空滤
KR102451717B1 (ko) 2022-05-03 2022-10-07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KR20230155338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KR20230155339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499B1 (ko)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496A (ko)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JP5415426B2 (ja) 鋸歯状シールを備えた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システム
JP2010540235A (ja) Vシールを備えたフィルタエレメント
US9410510B2 (en) Air cleaner arrangement
JP2009513877A5 (ko)
JP2008540088A5 (ko)
AU2014302665B2 (en) Air filter and inlet tube assembly
EP3352883B1 (en) Utilizing a mechanical seal between a filter media and an end cap of a rotating filter cartridge
US8741138B2 (en) Filter with end cap features
KR101925711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정수장치
JP2007000866A (ja) ガス分離装置、その前壁及び分離ロータ
US20080173362A1 (en) Hydraulic reservoir with baffle
US10662798B2 (en) Dry gas sealing system, and turbomachine comprising a dry gas sealing system
JP5869623B2 (ja) ストレーナーアセンブリ
JPS5912327B2 (ja) 流体濾過器
JP2010185452A (ja) 内燃機関における空気フィルタ
JP2019077439A (ja) ブロワモータ組立体
JP2007064486A (ja) 封止構造
US6793615B2 (en) Internal seal for a disposable centrifuge
JP2015155700A (ja) 燃料供給装置
CN112696818A (zh) 空调过滤网组件
JP2014104465A (ja) 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寸法補正器
JP4570215B2 (ja) 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用ロール状濾材製造方法
WO2022195683A1 (ja) ろ過装置
US9975074B2 (en) Filtering device, particularly for filtering air contaminated by oily mists, vapors, aerosol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