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717B1 -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에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717B1
KR102451717B1 KR1020220054992A KR20220054992A KR102451717B1 KR 102451717 B1 KR102451717 B1 KR 102451717B1 KR 1020220054992 A KR1020220054992 A KR 1020220054992A KR 20220054992 A KR20220054992 A KR 20220054992A KR 102451717 B1 KR102451717 B1 KR 10245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re body
disposed
filter media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2005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717B1/ko
Priority to KR1020220125584A priority patent/KR20230155339A/ko
Priority to KR1020220125578A priority patent/KR2023015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edge filter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46/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edge filter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of helically or spirally woun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중공(15)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중공(15)에 배치되는 코어바디(20); 상기 하우징(10) 또는 코어바디(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필터미디어(100); 상기 필터미디어(100)를 상기 코어바디(20) 또는 하우징(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 에어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터미디어가 코어바디를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나선형 유로를 따라 유동되거나 필터미디어를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은 저항으로도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필터{Air filter}
본 발명은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에어필터는 처리방식에 따라 건식 및 습식으로 나뉘고, 필터 미디어와 이를 일정한 형태로 지탱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필터미디어는 부직포, 건식종이 또는 습식종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프레임은 사출성형, 철판프레임 또는 우레탄포밍(foaming)등의 성형방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필터는 공기가 필터미디어를 관통하여 유동되는 과정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이 여과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저항이 크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공기의 높은 유동압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5849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32623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27081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163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의 작은 유동압력에서도 원활하게 여과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에어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중공(15)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중공(15)에 배치되는 코어바디(20); 상기 하우징(10) 또는 코어바디(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필터미디어(100); 상기 필터미디어(100)를 상기 코어바디(20) 또는 하우징(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 에어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제 1 개구면(1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제 2 개구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구면(11) 및 제 2 개구면(12)이 상기 중공(15)의 일측 및 타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주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상기 코어바디(20) 측에 밀착되는 내측단(101);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외측단(102); 상기 내측단(101) 및 외측단(102)의 중간(D)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단(101)에 가깝게 배치되는 지지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미디어(100)를 따라 나선유로(120)가 형성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필터미디어가 코어바디를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나선형 유로를 따라 유동되거나 필터미디어를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은 저항으로도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지지부재가 필터미디어의 내측단에 가깝게 배치되어 내측단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필터미디어의 내측단이 코어바디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공기가 나선유로를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이물질들이 필터미디어의 주름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필터미디어의 내측단이 이너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필터미디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필터미디어의 외측단이 아우터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필터미디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이너고정부재가 이너자기력부재를 통해 코어바디에 고정되기 때문에 탈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아우터고정부재가 아우터자기력부재를 통해 하우징에 고정되기 때문에 탈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미디어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미디어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이너고정부재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이너고정부재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아우터고정부재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아우터고정부재의 타측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미디어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미디어의 일부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15)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중공(15)에 배치되는 코어바디(20)와, 상기 하우징(10) 또는 코어바디(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필터미디어(100)와, 상기 필터미디어(100)를 상기 코어바디(20) 또는 하우징(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10)은 길이방향으로 축중심(C)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된 일측을 제 1 개구면(11)이라 하고, 개구된 타측을 제 2 개구면(12)이라 한다.
상기 에어필터는 상기 제 1 개구면(11)을 커버하고, 상기 코어바디(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커버(30)와, 상기 제 2 개구면(12)을 커버하고, 상기 코어바디(2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15)의 일측에 상기 제 1 개구면(11)이 배치되고, 타측에 제 2 개구면(12)이 배치된다.
상기 코어바디(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축중심(C)에 배치된다. 상기 코어바디(20)의 양단은 막힌 형태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 및 코어바디(20)는 동심원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 및 코어바디(20)의 축중심(C)이 일치된다.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매끈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상기 코어바디(2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코어바디(2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내측단이 상기 결합부재(200)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코어바디(20)의 외주면(21)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200)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00)의 일측면이 상기 코어바디(20)의 외주면(21)에 접착되고, 타측면이 상기 필터미디어(100)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상기 코어바디(20) 측에 밀착되는 내측단(101)과,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외측단(102)과, 상기 내측단(101) 및 외측단(102)의 중간(D)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단(101)에 가깝게 배치되는 지지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10)가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10)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 접지되어 공기의 유동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내측단이 신장되는 것을 차단/억제한다.
내측단(101) 및 외측단(102) 사이의 폭(W)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재(110)는 1/10 내지 3/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단(101)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내측단(101) 측이 상기 지지부재(110)에 의해 결속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외측단(102)만 확장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필터미디어(100)가 나선형으로 배치될 때, 상기 타측단(102)이 확장되면서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다.
에어필터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으로 잘랐을 때, 상기 내측단(101) 측에 배치된 산들의 간격이 더 좁고, 외측단(102) 측에 배치된 산들의 간격이 더 넓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개구면(11) 측에 배치된 필터미디어(100)를 제 1 층(111)이라 하고, 상기 제 1 층(111) 보다 제 2 개구면(12) 측에 배치된 필터미디어(100)를 제 2 층이라 하고, 상기 제 2 층(112) 보다 제 2 개구면(12) 측에 배치된 필터미디어(100)를 제 3 층(113)이라 하며, 상기 에어필터의 길이 및 필터미디어(100)의 길이에 따라 각 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층들 사이에 나선유로(120)가 형성되고, 공기는 상기 나선유로(120)를 따라 유동될 수도 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제 1 층(111) 및 제 2 층(112) 사이를 제 1 나선유로(121)라 하고, 제 2 층(112) 및 제 3 층(113) 사이를 제 2 나선유로(122)라 한다.
상기 제 1 개구면(11)을 통해 공기가 공급될 경우, 공급된 공기 일부는 상기 제 1 나선유로(121) 및 제 2 나선유로(122)를 통해 제 2 개구면(1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급된 공기 일부는 상기 나선유로(120)를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가 여과 또는 탈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구면(11)을 통해 공기가 공급될 경우, 공급된 공기 중 나머지는 상기 제 1 층(111), 제 2 층(112) 또는 제 3 층(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개구면(1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급된 공기 나머지는 상기 필터미디어(100)를 관통하여 유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관통되는 공기가 필터미디어(100)에 의해 여과 또는 탈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는 공기가 반드시 필터미디어(100)를 관통하지 않고, 일부는 나선유로(120)를 따라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풍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커버(30) 및 제 2 커버(40)는 상하 대칭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30)는, 하우징(10)의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게 형성되는 제 1 커버보더(31)와, 상기 제 1 커버보더(31)의 내측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개구면(11)과 연통되는 제 1 커버개구면(35)과, 상기 제 1 커버개구면(35)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바디(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커버코어(32)와, 상기 제 1 커버보더(31) 및 제 1 커버코어(32)를 연결하는 제 1 커버브릿지(33)와, 상기 제 1 커버코어(32)에서 상기 코어바디(20)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코어바디(20)에 삽입되는 제 1 커버축(3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커버브릿지(33)는 상기 제 1 커버코어(3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커버브릿지(33)는 상기 축중심(C)방향에 대해 에어 포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개구면(11)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개구면(35)은 제 1 개구면(11)과 1:1로 대응되는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바디(20)의 하중은 상기 제 1 커버코어(3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축(36)이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바디(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축홀(2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축(36)이 영구자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홀(22)에 상기 제 1 커버축(36)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시키는 강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축(36) 및 제 1 축홀(22)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30)가 상기 제 1 커버축(3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브릿지(33)가 제 1 커버코어(3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커버브릿지(33)가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커버브릿지(33)가 에어포일 형상의 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커버개구면(35)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강할 경우, 상기 제 1 커버(30)가 상기 제 1 커버브릿지(33)의 에어포일 형상을 통해 양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공기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40)는 상기 제 1 커버(3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40)는, 하우징(10)의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게 형성되는 제 2 커버보더(41)와, 상기 제 2 커버보더(41)의 내측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면(12)과 연통되는 제 2 커버개구면(45)과, 상기 제 2 커버개구면(45)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바디(2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커버코어(42)와, 상기 제 2 커버보더(41) 및 제 2 커버코어(42)를 연결하는 제 2 커버브릿지(43)와, 상기 제 2 커버코어(42)에서 상기 코어바디(20)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코어바디(20)에 삽입되는 제 2 커버축(46)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커버축(46)이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바디9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 2 축홀(2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축(46)이 영구자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홀(24)에 상기 제 2 커버축(46)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시키는 강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축(46) 및 제 2 축홀(24)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 2 커버(4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커버(40)가 상기 제 2 커버축(4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브릿지(43)가 제 2 커버코어(4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커버브릿지(43)가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커버브릿지(43)가 에어포일 형상의 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커버개구면(45)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강할 경우, 상기 제 2 커버(40)가 상기 제 2 커버브릿지(43)의 에어포일 형상을 통해 양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공기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이너고정부재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이너고정부재의 타측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아우터고정부재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아우터고정부재의 타측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내측단(101)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이너고정부재(130)와,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외측단(102)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아우터고정부재(140)와, 상기 이너고정부재(130) 및 코어바디(20)를 자기력을 통해 결합시키는 이너자기력부재와, 상기 아우터고정부재(140) 및 하우징(10)를 자기력을 통해 결합시키는 아우터자기력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너고정부재(130)에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내측단(101)이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고정부재(140)에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외측단(102)이 삽입된다.
상기 이너고정부재(130)는, 상기 코어바디(2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이너베이스(135)와, 상기 이너베이스(135)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10b)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이너돌출부(131)와, 상기 이너베이스(135)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10b)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이너돌출부(132)와, 상기 제 1 이너돌출부(131), 제 2 이너돌출부(132) 및 이너베이스(135)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이너홈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베이스(135)는 상기 코어바디(20)의 외측면(21)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너베이스(135)의 곡률중심이 상기 축중심(C)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이너돌출부(131) 및 제 2 이너돌출부(132)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기 이너베이스(135) 및 제 1 이너돌출부(131)는 45도 이상 90도 미만의 사이각(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이스(135) 및 제 2 이너돌출부(132)는 90도 초과 135 미만의 사이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베이스(135) 및 제 1 이너돌출부(131)는 직교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이너베이스(135) 및 제 2 이너돌출부(132)도 직교하게 않게 배치된다.
이는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필터미디어(100)의 설치각도를 고려한 설계이다. 상기 제 1 이너돌출부(131) 및 제 2 이너돌출부(132)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필터미디어(100)가 이너홈부(133)에 삽입될 때, 구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베이스(135) 및 코어바디(20)에 각각 자기력부재(150)(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베이스(135)에 배치된 것을 제 1 자기력부재(150)라 하고, 상기 코어바디(20)에 배치된 것을 제 2 자기력부재(160)라 한다.
상기 제 1 자기력부재(150) 및 제 2 자기력부재(160)는 영구자석 또는 네오디움일 수 있다.
상기 제 1 자기력부재(150)는 상기 이너베이스(135)의 코어바디(20)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너베이스(135)가 상기 코어바디(20)의 외측면(21)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제 1 자기력부재(150)도 노출되는 면이 코어바디(20)의 외측면(21)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자기력부재(160)는 오목한 제 1 자기력부재(150)에 대응되도록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자기력부재(160)의 외측면은 상기 코어바디(20)의 외측면(21)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자기력부재(160)가 상기 제 1 자기력부재(150)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이너고정부재(130)를 보다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고정부재(140)는 상기 이너고정부재(13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아우터고정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아우터베이스(145)와, 상기 아우터베이스(145)에서 상기 코어바디(20)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아우터돌출부(141)와, 상기 아우터베이스(145)에서 상기 코어바디(20)를 향해 돌출되는 제 2 아우터돌출부(142)와, 상기 제 1 아우터돌출부(141), 제 2 아우터돌출부(142) 및 아우터베이스(145)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아우터홈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베이스(135)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10b)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베이스(145)의 곡률중심이 상기 축중심(C)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돌출부(141) 및 제 2 아우터돌출부(142)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기 아우터베이스(145) 및 제 1 아우터돌출부(141)는 직교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베이스(145) 및 제 2 아우터돌출부(142)도 직교하게 않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이너베이스(135) 및 코어바디(20)에 각각 아우터자기력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자기력부재는 상기 이너자기력부재와 동일한 구성이고, 배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아우터베이스(145)에 제 1 자기력부재(150)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제 2 자기력부재(16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자기력부재(150) 및 제 2 자기력부재(160)는 영구자석 또는 네오디움일 수 있다.
상기 제 1 자기력부재(150) 및 제 2 자기력부재(160)가 맞닿는 면이 곡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미디어(100)는 결합부재(200)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10) 및 코어바디(20) 사이에 필터미디어(100)를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이너자기력부재 또는 아우터자기력부재를 통해 상기 필터미디어(10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는 접착제와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필터미디어(100)를 분리한 후, 세척 또는 청소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 2 자기력부재(160)에 홀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홀센서를 통해 제 1 자기력부재(150)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필터미디어(100)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필터미디어(100)에 배치된 제 1 자기력부재(150)가 제 2 자기력부재(160)와 분리될 경우, 상기 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필터미디어(100)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하우징 15 : 중공
20 : 코어바디 30 : 제 1 커버
40 : 제 2 커버 100 : 필터미디어
110 : 지지부재 200 : 결합부재

Claims (2)

  1. 에어필터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중공(15)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중공(15)에 배치되는 코어바디(20); 및
    상기 하우징(10) 또는 코어바디(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필터미디어(100);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제 1 개구면(1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제 2 개구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구면(11) 및 제 2 개구면(12)이 상기 중공(15)의 일측 및 타측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미디어(100)는,
    상기 코어바디(20) 측에 밀착되는 내측단(101);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외측단(102); 상기 내측단(101) 및 외측단(102)의 중간(D)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단(101)에 가깝게 배치되는 지지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미디어(100)를 따라 나선유로(12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필터는,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내측단(101)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이너고정부재(130)와,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외측단(102)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아우터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고정부재(130)는, 상기 코어바디(2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이너베이스(135)와, 상기 이너베이스(135)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10b)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이너돌출부(131)와, 상기 이너베이스(135)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10b)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이너돌출부(132)와, 상기 제 1 이너돌출부(131), 상기 제 2 이너돌출부(132) 및 상기 이너베이스(135)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이너홈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홈부(133)에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내측단(101)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고,
    상기 이너베이스(135)에는 제 1 자기력부재(150)가 배치되고,
    상기 코어바디(20)에는 제 2 자기력부재(160)가 배치되고,
    상기 이너베이스(135)에 배치된 제 1 자기력부재(150) 및 상기 코어바디(20)에 배치된 제 2 자기력부재(160)의 자기력을 통해, 상기 이너고정부재(130) 및 상기 코어바디(20)가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고정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아우터베이스(145)와, 상기 아우터베이스(145)에서 상기 코어바디(20)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아우터돌출부(141)와, 상기 아우터베이스(145)에서 상기 코어바디(20)를 향해 돌출되는 제 2 아우터돌출부(142)와, 상기 제 1 아우터돌출부(141), 상기 제 2 아우터돌출부(142) 및 상기 아우터베이스(145)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아우터홈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홈부(143)에 상기 필터미디어(100)의 외측단(102)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고,
    상기 아우터베이스(145)에 제 1 자기력부재(150)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제 2 자기력부재(160)가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베이스(145)에 배치된 제 1 자기력부재(150) 및 상기 하우징(10)에 배치된 제 2 자기력부재(160)의 자기력을 통해, 상기 이너고정부재(130) 및 상기 코어바디(20)가 결합되는 것인, 에어필터.
  2. 삭제
KR1020220054992A 2022-05-03 2022-05-03 에어필터 KR10245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92A KR102451717B1 (ko) 2022-05-03 2022-05-03 에어필터
KR1020220125584A KR20230155339A (ko) 2022-05-03 2022-09-30 에어필터
KR1020220125578A KR20230155338A (ko) 2022-05-03 2022-09-30 에어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92A KR102451717B1 (ko) 2022-05-03 2022-05-03 에어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578A Division KR20230155338A (ko) 2022-05-03 2022-09-30 에어필터
KR1020220125584A Division KR20230155339A (ko) 2022-05-03 2022-09-30 에어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717B1 true KR102451717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2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992A KR102451717B1 (ko) 2022-05-03 2022-05-03 에어필터
KR1020220125584A KR20230155339A (ko) 2022-05-03 2022-09-30 에어필터
KR1020220125578A KR20230155338A (ko) 2022-05-03 2022-09-30 에어필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584A KR20230155339A (ko) 2022-05-03 2022-09-30 에어필터
KR1020220125578A KR20230155338A (ko) 2022-05-03 2022-09-30 에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5171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265A (ko) * 1991-06-20 1993-01-15 야마지 게이조 플렉소인쇄장치 및 박막의 형성방법
KR940000465U (ko) * 1992-06-02 1994-01-03 우병철 캣취볼 놀이용 캣취글러브
KR100270818B1 (ko) 1997-07-30 2000-11-01 안종길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KR200231637Y1 (ko) 2001-03-09 2001-07-19 황범수 에어필터
KR20120032623A (ko)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베스코 에어 클리닝시스템용 에어필터
KR20180058496A (ko) 2016-11-24 2018-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KR102117668B1 (ko) * 2020-02-25 2020-06-02 주식회사 티아이이엔지 나선식 공기 필터링 시스템
KR102184425B1 (ko) * 2019-03-21 2020-11-30 유건렬 미세입자제거 스크류형 필터장치
KR102286123B1 (ko) * 2021-04-09 2021-08-06 주식회사 현진기업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265A (ko) * 1991-06-20 1993-01-15 야마지 게이조 플렉소인쇄장치 및 박막의 형성방법
KR940000465U (ko) * 1992-06-02 1994-01-03 우병철 캣취볼 놀이용 캣취글러브
KR100270818B1 (ko) 1997-07-30 2000-11-01 안종길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KR200231637Y1 (ko) 2001-03-09 2001-07-19 황범수 에어필터
KR20120032623A (ko)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베스코 에어 클리닝시스템용 에어필터
KR20180058496A (ko) 2016-11-24 2018-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나선형 원통 필터 및 필터가 회전하는 에어클리너
KR102184425B1 (ko) * 2019-03-21 2020-11-30 유건렬 미세입자제거 스크류형 필터장치
KR102117668B1 (ko) * 2020-02-25 2020-06-02 주식회사 티아이이엔지 나선식 공기 필터링 시스템
KR102286123B1 (ko) * 2021-04-09 2021-08-06 주식회사 현진기업 탑 형상의 미세먼지, 악취제거 및 바이러스 살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338A (ko) 2023-11-10
KR20230155339A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420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システム
US8172920B2 (en) Filter and method
CN104363964B (zh) 呼吸用保护用具
US7648545B2 (en) Filter sealing system
US7267706B2 (en) Air filter
US20030146149A1 (en) Filter element suitable for filtering liquids
US7429284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BR102016007420B1 (pt) Elemento de filtração e disposição de elemento de filtração
US10105630B2 (en) Hollow filter element of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filter, filter housing, and seal of a hollow filter element
US20020036165A1 (en) Filter element for filtering liquid or gaseous media
CN105964076A (zh) 具有平衡密封的空气过滤器
US20060174597A1 (en)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2010540235A (ja) Vシールを備えたフィルタエレメント
KR102451717B1 (ko) 에어필터
US7678170B2 (en) Filter system
JPH09168703A (ja) フィルター
KR19990087294A (ko) 보호 시일드를 갖는 필터
US20140230385A1 (en) Pleated filter with automatic lower end hold down
CN102015063A (zh) 具有手柄的过滤部件
CN104162322B (zh) 用于从气流中分离出液体的分离元件
WO2012067133A1 (ja) エアクリーナ
CN107847833B (zh) 包括支撑件的水分离元件
US20130167490A1 (en) Filter assembly
CN108993055B (zh) 滤芯组件
JP2000279711A (ja) 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