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283A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283A
KR20180058283A KR1020160156872A KR20160156872A KR20180058283A KR 20180058283 A KR20180058283 A KR 20180058283A KR 1020160156872 A KR1020160156872 A KR 1020160156872A KR 20160156872 A KR20160156872 A KR 20160156872A KR 20180058283 A KR20180058283 A KR 20180058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cover layer
display panel
plane portion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467B1 (ko
Inventor
신명아
박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4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보호 필름, 및 커버층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제1 평면부, 제2 평면부, 및 제1 평면부와 제2 평면부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된 곡면부를 포함한다. 보호 필름은 제1 평면부에서 표시패널 위에 배치된다. 커버층은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표시패널 위에 배치된다. 커버층과 인접한 보호 필름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직선인 경우 직선과 보호 필름의 상면이 이루는 열각(劣角)은 예각이고, 커버층과 인접한 보호 필름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곡선인 경우, 곡선 상의 한 점에 대한 접선과 보호 필름의 상면이 이루는 열각은 예각이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낮고, 더 얇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대화면 양산 기술 수준까지 공정 기술이 발전되어 액정표시장치와 경쟁하면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재료의 종류, 발광방식, 발광구조, 구동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방식에 따라 형광발광, 인광발광으로 나뉠 수 있고, 발광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 Emission) 구조와 배면발광 (Bottom Emission) 구조로 나뉘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구동방식에 따라 PMOLED(Passive Matrix OLED)와 AMOLED(Active Matrix OLED)로 나뉘어질 수 있다.
최근,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상용화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 폴더블(Folderable) 표시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 커브드(curved) 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필름의 형태를 달리하여, 제품 수율 및 제품 안정성을 확보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보호 필름, 및 커버층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제1 평면부, 제2 평면부, 및 제1 평면부와 제2 평면부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된 곡면부를 포함한다. 보호 필름은 제1 평면부에서 표시패널 위에 배치된다. 커버층은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표시패널 위에 배치된다. 커버층과 인접한 보호 필름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직선인 경우 직선과 보호 필름의 상면이 이루는 열각(劣角)은 예각이고, 커버층과 인접한 보호 필름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곡선인 경우, 곡선 상의 한 점에 대한 접선과 보호 필름의 상면이 이루는 열각은 예각이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신규한 형태의 보호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커버층이 보호 필름의 상면에까지 연장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호 필름의 상면에 이물 및 점착제 잔여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 필름의 상면에 미리 부착된 이형 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제품 수율, 제품 신뢰성, 및 제품 안정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제1 예시도이다.
도 3은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제2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커버층을 형성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서두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Display),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가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애노드인 제1 전극과 캐소드인 제2 전극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전극으로부터 공급받는 정공과 제2 전극으로부터 공급받는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는 자발광 표시장치이다.
도 1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제1 예시도이다. 도 3은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제2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영상 처리부(10), 타이밍 제어부(20), 데이터 구동부(30), 게이트 구동부(40) 및 표시패널(PNL)을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영상 처리부(10)는 시스템 회로기판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
타이밍 제어부(20)는 영상 처리부(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부(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20)는 제어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기판 상에 IC 형태로 부착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게이트라인들(GL1 ~ GLm)을 통해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게이트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패널(PNL)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표시패널(PNL)은 데이터 구동부(30) 및 게이트 구동부(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PNL)은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픽셀들(S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 픽셀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보상회로(CC)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 게이트 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가 커패시터에 데이터 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고전위 전원라인(VDD)과 저전위 전원라인(GND)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SW)나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연결된 커패시터는 보상회로(CC) 내부로 위치할 수 있다.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경우 서브 픽셀에는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함과 더불어 특정 신호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과 전원라인 등이 더 포함된다. 추가된 신호라인은 서브 픽셀에 포함된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1-2 게이트 라인(GL1b)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된 전원라인은 서브 픽셀의 특정 노드를 특정 전압으로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 전원라인(INIT)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하나의 서브 픽셀에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하지만, 보상의 주체가 데이터 구동부(30) 등과 같이 서브 픽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보상회로(CC)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서브 픽셀은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되지만,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6T2C, 7T2C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보상회로(CC)가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구동 트랜지스터(DR)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동 트랜지스터(DR)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이에도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보상회로(CC)의 위치와 구조는 도 2와 도 3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SUB) 및 회로 소자(LF)를 포함한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의 외측에 정의된 패드부(PA)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복수의 서브픽셀들이 배치된다. 서브 픽셀은 표시 영역(AA) 내에서, R(red), G(green), B(blue) 또는 R, G, B, W(white) 방식으로 배열되어 풀 컬러를 구현한다. 서브 픽셀은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회로 소자(LF)는 범프(bump)(또는, 단자(terminal))들을 포함한다. 회로 소자(LF)의 범프는 이방성 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통해 패드부(PA)의 패드들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회로 소자(LF)는 구동 IC(Integrated Circuit)가 연성 필름에 실장된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일 수 있다. 또한, 회로 소자(LF)는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공정으로 기판 상에서 직접 패드들에 접합되는 COG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회로 소자(LF)는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와 같은 연성 회로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회로 소자(LF)의 일 예로서 칩 온 필름을 중심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로 소자(LF)를 통해 공급받은 구동 신호들 예를 들어,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 등은, 라우팅 라인(RL)들을 통해 표시 영역(AA)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 영역(AA) 외에 패드부(PA), 및 회로 소자(LF) 등이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은 베젤 영역(bezel area)에 해당하며, 베젤 영역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인지되어, 심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SUB)의 일측 가장자리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배면(背面) 방향으로 벤딩된다. 상기 기판(SUB)의 일측 가장자리는, 표시 영역(AA)의 외측에 해당하며, 패드부(PA)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기판(SUB)이 구부러짐에 따라, 패드부(PA)는 표시 영역(AA)의 배면 방향에서 표시 영역(AA)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전면에서 인지되는 베젤 영역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기판(SUB)은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PI(Polyimide)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우팅 라인(RL)은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팅 라인(RL)은 메탈 나노 와이어(metal nano wire), 메탈 메시(metal mesh), 탄소나노튜브(CNT)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라우팅 라인(RL)들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연장되어 벤딩 영역에 배치된다. 즉, 라우팅 라인(RL)은 벤딩 영역에서 기판(SUB)의 외주연을 따라 연장된다. 라우팅 라인(RL)들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된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벤딩 시 작용하는 응력(stress)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오픈(open)되기 쉽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판(SUB)의 일측 가장자리를 벤딩시키는 경우, 벤딩 영역에서 중립면(neutral plane)은 기판(SUB)에 위치하게 된다. 중립면(NP)은 벤딩 시 응력 상태가 0이 되는 면으로,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가 가해질 때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고 본래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벤딩되는 면을 의미한다. 벤딩 시, 구부러지는 곡률의 안쪽에서는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이 작용하고 바깥쪽에서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작용하게 되는데, 인장 응력이 작용하는 영역에 배치된 소자는, 압축 응력이 작용하는 영역에 배치된 소자에 비해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즉, 소자들은 벤딩 시 압축 응력을 받는 경우에 비해 인장 응력을 받는 경우 크랙 발생에 더욱 취약하다. 기판(SUB)의 가장자리가 벤딩되는 구조에서, 라우팅 라인(RL)들은 벤딩 시 인장 응력을 받기 때문에, 벤딩 영역에서 크랙 등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PNL), 회로 소자(LF), 보호 필름(PF), 커버층(CL)을 포함한다.
표시패널(PNL)은 제1 평면부(FP1), 제2 평면부(FP2) 및 제1 평면부(FP1)와 제2 평면부(FP2) 사이에 위치하는 곡면부(BP)를 포함한다. 제1 평면부(FP1)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갖는 표시 영역과 대응되며,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제2 평면부(FP2)는 회로 소자(LF)와 접합되는 패드들을 갖는 패드부와 대응되며, 플랫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곡면부(BP)는 표시 영역과 패드부를 연결하는 라우팅 라인들이 구비되는 영역과 대응되며, 소정의 곡률로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일 예로, 곡면부(BP)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곡면부(BP)는 제1 평면부(FP1)로부터 연장되어 배면 방향으로 180˚ 벤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곡면부(BP)로부터 연장된 제2 평면부(FP2)는 제1 평면부(FP1)의 배면 방향에서 제1 평면부(FP1)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평면부(FP2)에서 표시패널(PNL)에 접합된 회로 소자(LF)는, 제1 평면부(FP1)의 표시패널(PNL)의 배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 필름(PF)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최상층에 위치한다. 보호 필름(PF)은 커버 글라스와 직접 접촉하는 층일 수 있다. 커버 글라스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전면을 덮도록 구비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 필름(PF)은 제1 평면부(FP1)의 표시패널(PNL) 상에 배치되어, 표시패널(PNL)을 보호하고, 표시패널(PNL)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개선시키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 필름(PF)은 편광 필름과 같은 광학 필름일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의 반사를 줄임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은,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투과시키고 그 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역할을 하여, 표시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커버층(CL)은 표시패널(PNL)의 곡면부(BP) 상에 위치한다. 커버층(CL)은 점착성을 갖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층(CL)은 곡면부(BP)를 커버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커버층(CL)을 더 포함함으로써 중립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커버층(CL)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라우팅 라인 상에 중립면이 위치하도록 또는, 인장 응력이 제공되는 영역에 라우팅 라인이 위치할 수 있도록 중립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커버층(CL)은 곡면부(BP)의 기판 상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라우팅 라인 등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CL)은 라우팅 라인들과 외부 구조체와의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표시패널(PNL)의 상부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TNL)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 필름(PF)은 터치 스크린 패널(TNL)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TNL)을 포함하는 경우, 커버층(CL)은 터치 스크린 패널(TNL)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TNL)은 복수의 터치 센서들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는 표시패널(PNL)의 표시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상호 용량 센서, 및 자기 용량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용량 센서는 두 터치 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상호 용량을 포함한다. 상호 용량 센싱 회로는 두 전극들 중 어느 하나에 구동신호(또는 자극신호)를 인가하고 다른 전극을 통해 상호 용량의 전하 변화량을 바탕으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상호 용량에 도전체가 가까이 접근하면 상호 용량의 전하량이 감소되어 터치 입력이나 제스쳐가 감지될 수 있다.
자기 용량 센서는 센서 전극 각각에 형성되는 자기 용량을 포함한다. 자기 용량 센싱 회로는 센서 전극 각각에 전하를 공급하고 자기 용량의 전하 변화량을 바탕으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자기 용량에 도전체가 가까이 접근하면, 센서의 용량에 그 도전체로 인한 용량이 병렬 연결되어 용량 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자기 용량의 경우에 터치 입력이 감지될 때 센서의 용량 값이 증가한다.
표시패널(PNL)의 하부에는, 백 플레이트(BPT1, BPT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BPT1, BPT2)는 표시패널(PNL)의 하부에서 표시패널(PNL)의 배면을 지지한다. 백 플레이트(BPT1, BPT2)는 기판의 하부에 이물(異物)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BPT1, BPT2)는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PEN(poly ethylene naphthalate)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백 플레이트(BPT1, BPT2)는 제1 평면부(FP1)와 제2 평면부(FP2)의 배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BPT1) 및 제2 플레이트(BPT2)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BPT1)는 제1 평면부(FP1)의 강성을 보강하여, 제1 평면부(FP1)가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플레이트(BPT2)는 제2 평면부(FP2)의 강성을 보강하여, 제2 평면부(FP2)가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곡면부(BP)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커버층(CL)을 이용한 중립면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백 플레이트(BPT1, BPT2)는 곡면부(BP)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커버층을 형성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곡면부(BP)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층(CL)은 곡면부(BP)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만, 커버층(CL)의 재료인 수지는,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기 설정된 영역에, 기 설정된 두께로 커버층(CL)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즉, 공정 조건을 제어하여, 커버층(CL)을 원하는 영역 및 두께로 형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전술한 어려움에 기인하여, 커버층(CL)은 보호 필름(PF)의 측면은 물론 상면에까지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층(CL)의 점착성으로 인해 보호 필름(PF)의 상면에 이물이 붙게 되고, 이물에 의해 보호 필름(PF)의 본연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공정 계속 중 외부 환경에 기인하여 보호 필름(PF)에 불량(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필름(PF)의 상면에는 이형 필름(HF)이 부착되어 제공된다. 이형 필름(HF)은, 표시패널(PNL)에 회로 소자(LF)를 접합시키는 공정, 표시패널(PNL)의 곡면부(BP)를 벤딩시키는 공정, 및 커버층(CL)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최종적으로 제거된다. 이후, 이형 필름(HF)이 제거된 보호 필름(PF)의 상면에는 커버 글라스(CG)가 합착된다(도 9).
이때, 커버층(CL)이 이형 필름(HF)이 제거되지 않은 보호 필름(PF)의 상면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면, 이형 필름(HF)은 보호 필름(PF)의 상면에서 원활하게 박리되지 않는다(도 10). 이 경우, 이형 필름(HF)을 박리하기 위한 불필요한 추가 공정이 요구되거나, 이형 필름(HF)을 분리하기 위해 제공된 외력에 의해 커버층(CL)이 곡면부(BP)로부터 분리되는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커버층(CL)이 이형 필름(HF)이 제거되지 않은 보호 필름(PF)의 상면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면, 이형 필름(HF)의 보호 필름(PF)으로부터 박리되더라도 이형 필름(HF)의 점착제의 잔여물이나 이형 필름(HF)의 상면에 위치하던 커버층(CL)의 점착제 잔여물이 보호 필름(PF)의 상면에 잔류할 수 있다. 보호필름의 상면에 잔류하는 점착제 잔여물은 다른 기구물들과의 간섭을 야기할 수 있고, 점착제 잔여물에 이물이 부착되어 보호 필름(PF)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PF)은 상면(US) 및 커버층(CL)과 인접한 측면(SS)을 포함한다. 커버층(CL)과 인접한 측면(SS) 중 적어도 일부와, 상면(US)이 이루는 열각(α)은 예각이다. 다시 말해, 커버층(CL)과 인접한 보호 필름(PF)의 측면(SS)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직선인 경우, 상기 직선과 보호 필름(PF)의 상면(US)이 이루는 열각(α)은, 예각이다. 열각(α)은, 30˚<α<6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예로, 측면(SS)의 단면 형상은, 직선으로, 역 사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선과 상면(US)이 이루는 열각(α)은 예각이다(도 11의 (a)).
다른 예로, 측면(SS)의 단면 형상 중 적어도 일부는, 직선으로, 역 사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선과 상면(US)이 이루는 열각(α)은 예각이다(도 11의 (b)).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커버층(CL)과 인접한 측면(SS)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곡선 상의 한 점에 대한 접선(TL)과 상기 상면(US)이 이루는 열각(β)은 예각이다. 다시 말해, 커버층(CL)과 인접한 보호 필름(PF)의 측면(SS) 중 적어도 일 부분이 곡선인 경우, 상기 곡선 상의 한 점에 대한 접선(TL)과 보호 필름(PF)의 상면(US)이 이루는 열각은 예각이다. 열각(β)은, 30˚<β<6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SS)의 단면 형상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곡선 상의 한 점에 대한 가상의 접선(TL)을 가정할 때, 상기 접선(TL)과 상면(US)이 이루는 열각(β)은 예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PF)은, 커버층(CL)과 인접한 측면(SS)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포함한다. 보호 필름(PF)의 타측면은 커버층(CL)과 인접한 측면(SS)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이는, 커버층(CL)과 인접하지 않은 타측면이 커버층(CL)과 인접한 측면(SS)과는 달리 일반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조건 하에 형성된 보호 필름(PF)은, 그 측면(SS)이 내측으로 일부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함몰된 보호 필름(PF)의 측면(SS)에는 커버층(CL)을 향하여 개방된 내부 공간(DP)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커버층(CL)은 보호 필름(PF)의 측면(SS)을 따라 상면(US)에까지 연장되지 못하고, 보호 필름(PF)의 측면(SS)에 마련된 내부 공간(DP)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층(CL)을 향하여 돌출된 보호 필름(PF)의 상단은, 보호 필름(PF)의 상면(US)으로 커버층(CL)이 연장되는 것을 막는 배리어로써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PF)은, 종래와 다른 신규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커버층(CL)이 보호 필름(PF)의 측면(SS)을 타고 상면(US)에까지 연장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보호 필름(PF)의 상면(US)에 이물 및 점착제 잔여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 필름(PF)의 상면(US)에 미리 부착된 이형 필름(HF, 도 9)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스쳐(gesture) 입력, 포스쳐(posture)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TS)가, 보호 필름(PF) 하부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구조 대비 표시패널(PNL)과 보호 필름(PF) 상면 사이의 간격(L)이 줄어든다. 따라서, 도 13과 같은 구조는, 도 12와 같은 구조 대비 표시장치의 슬림화/박형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나, 커버층(CL)이 보호 필름(PF) 상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기 쉽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보호 필름(PF)의 측면(SS)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커버층(CL)이 보호 필름(PF)의 상면에까지 연장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PNL : 표시패널 FP1 : 제1 평면부
FP2 : 제2 평면부 BP : 곡면부
PF : 보호 필름 US : 보호 필름의 상면
SS : 보호 필름의 측면 CL : 커버층
BP1, BP2 : 백 플레이트 TNL : 터치 스크린 패널
LF : 회로 소자

Claims (10)

  1. 제1 평면부, 제2 평면부 및 상기 제1 평면부와 상기 제2 평면부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된 곡면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평면부에서,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및
    상기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는 커버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과 인접한 상기 보호 필름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직선인 경우, 상기 직선과 상기 보호 필름의 상면이 이루는 열각(劣角)은 예각이고,
    상기 커버층과 인접한 상기 보호 필름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곡선인 경우, 상기 곡선 상의 한 점에 대한 접선과 상기 보호 필름의 상면이 이루는 열각은 예각인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각(α)은,
    30˚< α <60˚ 인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편광 필름인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배치되며, 터치 센서들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평면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평면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부에서, 상기 표시패널에 접합된 회로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제1 평면부의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수지(resin)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커버층과 인접한 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타측면은,
    상기 커버층과 인접한 상기 측면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하부에 직접 형성된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60156872A 2016-11-23 2016-11-23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9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72A KR102496467B1 (ko) 2016-11-23 2016-11-23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72A KR102496467B1 (ko) 2016-11-23 2016-11-23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283A true KR20180058283A (ko) 2018-06-01
KR102496467B1 KR102496467B1 (ko) 2023-02-06

Family

ID=6263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872A KR102496467B1 (ko) 2016-11-23 2016-11-23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4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372A (ko) * 2018-07-13 2020-01-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62693A (ko) * 2018-11-27 2020-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183672B2 (en) 2019-02-27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adhesive portions
US11594155B2 (en) 2019-11-14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5830A1 (en) * 2011-11-16 2013-05-30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01576A (ko) * 2012-06-27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118676A (ko) * 2013-03-27 2014-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릿코터 및 이의 구동방법,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21167A (ko) * 2013-08-19 2015-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50059887A (ko) * 2013-11-25 2015-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557307B1 (ko) * 2015-03-16 2015-10-05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
KR20150117958A (ko) * 2014-04-11 2015-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17843A (ko) * 2014-08-06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064466A1 (en) * 2014-08-31 2016-03-03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icro Cov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60063964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6499A (ko) * 2015-01-09 2016-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60088487A (ko) * 2015-01-15 2016-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89583A (ko) * 2015-01-19 2016-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103681A (ko) * 2015-02-25 2016-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폴더블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5830A1 (en) * 2011-11-16 2013-05-30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01576A (ko) * 2012-06-27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118676A (ko) * 2013-03-27 2014-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릿코터 및 이의 구동방법,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21167A (ko) * 2013-08-19 2015-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50059887A (ko) * 2013-11-25 2015-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117958A (ko) * 2014-04-11 2015-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17843A (ko) * 2014-08-06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064466A1 (en) * 2014-08-31 2016-03-03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icro Cov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60063964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6499A (ko) * 2015-01-09 2016-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60088487A (ko) * 2015-01-15 2016-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89583A (ko) * 2015-01-19 2016-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103681A (ko) * 2015-02-25 2016-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폴더블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KR101557307B1 (ko) * 2015-03-16 2015-10-05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372A (ko) * 2018-07-13 2020-01-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62693A (ko) * 2018-11-27 2020-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183672B2 (en) 2019-02-27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adhesive portions
US11594155B2 (en) 2019-11-14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467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294B2 (en) Display device
TWI715552B (zh) 顯示裝置及可攜式終端機
US1032610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858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16353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36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412625B2 (en) Display device
KR10261597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EP29503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47242A (ko) 벤더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벤더블 표시장치
US9576520B2 (en) Display device with groove in a non-display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75403B2 (en) Display device
KR102496467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88256B1 (ko) 타일드 디스플레이
CN111128012B (zh) 显示装置
KR10258990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873816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20039976A (ko) 표시 장치
KR102522946B1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20180078413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20077283A (ko) 표시 장치
KR20200131365A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20230284491A1 (en) Display device
KR102478673B1 (ko) 케이블 및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202400914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