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365A -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365A
KR20200131365A KR1020190055457A KR20190055457A KR20200131365A KR 20200131365 A KR20200131365 A KR 20200131365A KR 1020190055457 A KR1020190055457 A KR 1020190055457A KR 20190055457 A KR20190055457 A KR 20190055457A KR 20200131365 A KR20200131365 A KR 2020013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axis
corner
window member
adjacen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250B1 (ko
Inventor
이정규
조승환
최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250B1/ko
Priority to CN202010160199.XA priority patent/CN111933815A/zh
Priority to US16/826,266 priority patent/US11450832B2/en
Publication of KR2020013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02F2001/13333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는 메인면, 상기 메인면의 제1 측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면, 상기 메인면의 상기 제1 측과 교차하는 제2 측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면,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4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과 인접한 제1 모서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과 상기 제2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이 이루는 제1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이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과 상기 제4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4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4 라인이 이루는 제2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WINDOW MEMBER AND DISPLAY DEVICE WITH WINDOW MEMBER}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또는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들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갖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강화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시영역의 엣지 부분들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시키는 표시장치들이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표시영역의 엣지 부분들을 커버할 수 있는 윈도우 부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는 메인면, 상기 메인면의 제1 측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면, 상기 메인면의 상기 제1 측과 교차하는 제2 측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면,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4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과 인접한 제1 모서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과 상기 제2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이 이루는 제1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이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과 상기 제4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4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4 라인이 이루는 제2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메인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5 면, 상기 제5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6 면, 및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5 면과 인접한 제2 모서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7 면, 상기 제7 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8 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7 면과 인접한 제3 모서리면, 및 상기 제5 면 및 상기 제7 면과 인접한 제4 모서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서리면의 엣지는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모서리면의 엣지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1 벤딩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2 벤딩축이 정의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면,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1 모서리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벤딩축 및 상기 제2 벤딩축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모서리면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메인면과 상기 제1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1 벤딩축이 정의되고, 상기 메인면과 상기 제3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2 벤딩축이 정의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벤딩축 및 상기 제2 벤딩축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모서리면과 중첩할 수 있다.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모서리의 호의 길이는 1mm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부재는 메인면, 상기 메인면의 제1 측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면, 상기 메인면의 상기 제1 측과 교차하는 제2 측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면,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4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과 인접한 제1 모서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과 상기 제2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이 이루는 제1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이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과 상기 제4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4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4 라인이 이루는 제2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의 형상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서리면의 엣지는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모서리면의 엣지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메인면, 상기 제1 내지 제4 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1 벤딩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2 벤딩축이 정의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벤딩축 및 상기 제2 벤딩축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모서리면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메인면과 상기 제1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1 벤딩축이 정의되고, 상기 메인면과 상기 제3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2 벤딩축이 정의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벤딩축 및 상기 제2 벤딩축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모서리면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윈도우 부재는 모서리의 일부분이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모서리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충격이 윈도우 부재로 전달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모서리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윈도우 부재가 파손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부재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II-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III-I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IV-IV'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V-V'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리지드 표시장치(D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장치를 비롯하여,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 및 케이스 부재(C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에는 표시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은 영상(IM)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은 주표시영역(DA0) 및 주표시영역(DA0)과 인접한 제1 내지 제4 부표시영역(DA1, DA2, DA3, DA4)을 포함할 수 있다.
주표시영역(DA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주표시영역(DA0)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일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주표시영역(DA0)은 전면을 통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표시영역(DA0)은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창 및 아이콘들이 도시되었다.
한편,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을 평면이라 정의하고, "평면 상에서 보았다"는 것은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부표시영역(DA1)은 주표시영역(DA0)의 일측에서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부표시영역(DA1)은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DR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표시영역(DA0) 및 제1 부표시영역(DA1)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일 경우, 상기 교차하는 방향은 제1 방향(DR1)일 수 있다. 제2 부표시영역(DA2)은 주표시영역(DA0)의 일측에서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2 부표시영역(DA2)은 제3 방향(DR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표시영역(DA0) 및 제2 부표시영역(DA2)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일 경우, 상기 교차하는 방향은 제2 방향(DR2)일 수 있다. 제3 부표시영역(DA3)은 주표시영역(DA0)의 일측에서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3 부표시영역(DA3)은 제3 방향(DR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표시영역(DA0) 및 제3 부표시영역(DA3)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일 경우, 상기 교차하는 방향은 제1 방향(DR1)일 수 있다. 제4 부표시영역(DA4)은 주표시영역(DA0)의 일측에서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4 부표시영역(DA4)은 제3 방향(DR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표시영역(DA0) 및 제4 부표시영역(DA4)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일 경우, 상기 교차하는 방향은 제2 방향(DR2)일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입력감지패널(ISP), 접착부재(ADH), 및 윈도우 부재(W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형 표시패널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패널(DP)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입력감지패널(ISP)은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패널(ISP)은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접착부재에 의해 표시패널(DP)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패널(ISP)은 외부의 물체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정전용량 방식 입력감지패널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패널(ISP)은 외부의 물체에 의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감압식 입력감지패널로 지칭될 수 있다
접착부재(ADH)는 윈도우 부재(WM) 및 입력감지패널(I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ADH)는 윈도우 부재(WM) 및 입력감지패널(ISP)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ADH)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ADH)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착부재(ADH)은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접착부재(ADH)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패널(DP)을 커버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형상은 윈도우 부재(WM)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DP)을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패널(DP)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표시모듈(DM)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표시장치(DD)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내부에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벽에 의해서 정의된 내부 공간에 전자모듈(미도시)들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모듈들은 예를 들어, 카메라, 플래시, 지문 센서, 배터리, 및 기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센서는 근접 센서, 색 농도 검출 센서, 조도 센서, 모션 센서, 또는 심장 박동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기능 센서가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카메라, 플래시, 지문 센서, 배터리, 및 기능 센서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고, 다른 전자모듈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표시모듈(DM)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CA)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표시장치(DD)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WM)는 모서리의 일부분이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의 상기 생략된 모서리의 일부분에는 케이스 부재(CA)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윈도우 부재(WM)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는 상기 모서리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윈도우 부재(WM)가 파손될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부재(WM)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WM)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BS), 회로소자층(ML), 표시소자층(IML), 및 박막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 상에 회로소자층(ML), 표시소자층(IML), 및 박막봉지층(TFE)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제조 시에 이용되는 작업기판 상에 합성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합성수지층 상에 도전층 및 절연층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작업기판이 제거되면 합성수지층은 베이스층(BS)에 대응될 수 있다. 합성수지층은 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합성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밖에 베이스층(BS)은 유기/무기 복합재료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소자층(ML)은 무기막인 버퍼막(BFL), 제1 중간무기막(10), 및 제2 중간무기막(20)을 포함하고, 유기막인 중간유기막(30)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 및 유기막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버퍼막(BFL)은 선택적으로 배치/생략될 수 있다.
버퍼막(BFL) 상에 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패널(OSP1)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패턴(OSP1)은 아몰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반도체패턴(OSP1) 상에 제1 중간무기막(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중간무기막(10) 상에는 트랜지스터(T1)의 제어전극(G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중간무기막(10) 상에는 제어전극(GE1)을 커버하는 제2 중간무기막(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중간무기막(20) 상에 트랜지스터(T1)의 입력전극(DE1) 및 출력전극(SE1)이 배치될 수 있다.
입력전극(DE1)과 출력전극(SE1)은 제1 중간무기막(10) 및 제2 중간무기막(20)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 및 제2 관통홀(CH2)을 통해 반도체패턴(OSP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T1)은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중간무기막(20) 상에 입력전극(DE1) 및 출력전극(SE1)을 커버하는 중간유기막(30)이 배치될 수 있다. 중간유기막(30)은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유기막(30) 상에는 표시소자층(IML)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소자층(IML)은 화소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PDL)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유기막(30)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중간유기막(30)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을 통해 출력전극(SE1)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소정의막(PDL)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트랜지스터(T1)와 중첩할 수 있다.
정공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소정의 유색 컬러광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제어층(ECL)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제어층(ECL)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 상에 박막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제2 전극(CE)을 커버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과 제2 전극(CE) 사이에는 제2 전극(CE)을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박막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WM)는 메인면(TA0), 제1 내지 제8 면(TA1, TA2, TA3, TA4, TA5, TA6, TA7, TA8) 및 제1 내지 제4 모서리면(EG1, EG2, EG3, EG4)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면(TA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메인면(TA0)는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CM1), 제1 측(CM1)과 교차하고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CM2), 제2 측(CM2)과 교차하고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측(CM3), 및 제3 측(CM3)과 교차하고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측(CM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CM1)은 제3 측(CM3)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측(CM2)은 제4 측(CM4)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면(TA1)은 제1 측(CM1)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2 면(TA2)은 제1 면(TA1)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3 면(TA3)은 제2 측(CM2)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4 면(TA4)은 제3 면(TA3)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5 면(TA5)은 제3 측(CM3)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5 면(TA5)은 메인면(TA0)을 사이에 두고 제1 면(TA1)과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6 면(TA6)은 제5 면(TA5)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7 면(TA7)은 제4 측(CM4)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7 면(TA7)은 메인면(TA0)을 사이에 두고 제3 면(TA3)과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8 면(TA8)은 제7 면(TA7)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은 제1 면(TA1) 및 제3 면(TA3)과 인접하는 면일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은 제1 면(TA1) 및 제3 면(TA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은 제3 면(TA3) 및 제5 면(TA5)과 인접하는 면일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은 제3 면(TA3) 및 제5 면(TA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은 제1 면(TA1) 및 제7 면(TA7)과 인접하는 면일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은 제1 면(TA1) 및 제7 면(TA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은 제5 면(TA5) 및 제7 면(TA7)과 인접하는 면일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은 제5 면(TA5) 및 제7 면(TA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면(TA0), 제1 면(TA1), 제3 면(TA3), 제5 면(TA5), 및 제7 면(TA7)은 동일한 평면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벤딩축(BX1-1)은 평면 상에서 제1 면(TA1) 및 제2 면(TA2)의 경계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벤딩축(BX1-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벤딩축(BX2-1)은 평면 상에서 제3 면(TA3) 및 제4 면(TA4)의 경계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벤딩축(BX2-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벤딩축(BX1-2)은 평면 상에서 제5 면(TA5) 및 제6 면(TA6)의 경계와 중첩할 수 있다. 제3 벤딩축(BX1-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벤딩축(BX2-2)은 평면 상에서 제7 면(TA7) 및 제8 면(TA8)의 경계와 중첩할 수 있다. 제4 벤딩축(BX2-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모서리면(EG1)은 제1 벤딩축(BX1-1) 및 제2 벤딩축(BX2-1)이 교차하는 지점과 비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모서리면(EG2)은 제3 벤딩축(BX1-2) 및 제2 벤딩축(BX2-1)이 교차하는 지점과 비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3 모서리면(EG3)은 제1 벤딩축(BX1-1) 및 제4 벤딩축(BX2-2)이 교차하는 지점과 비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4 모서리면(EG4)은 제3 벤딩축(BX1-2) 및 제4 벤딩축(BX2-2)이 교차하는 지점과 비중첩할 수 있다.
표시패널(DP, 도 2 참조)은 메인면(TA0), 제1 내지 제8 면(TA1, TA2, TA3, TA4, TA5, TA6, TA7, TA8) 및 제1 내지 제4 모서리면(EG1, EG2, EG3, EG4)을 통해 영상(IM, 도 1 참조)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면(TA2)은 제1 면(TA1)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4 면(TA4)은 제3 면(TA3)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6 면(TA6)은 제5 면(TA5)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8 면(TA8)은 제7 면(TA7)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벤딩된 제2 면(TA2) 및 벤딩된 제4 면(TA4)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의 제2 면(TA2) 및 제4 면(TA4) 사이의 일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벤딩된 제4 면(TA4) 및 벤딩된 제6 면(TA6)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의 제4 면(TA4) 및 제6 면(TA6) 사이의 일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벤딩된 제6 면(TA6) 및 벤딩된 제8 면(TA8)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의 제6 면(TA6) 및 제8 면(TA8) 사이의 일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일부분들은 윈도우 부재(WM)의 모서리들에 대응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상기 모서리들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외부 충격이 윈도우 부재(WM)로 전달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들에 가해지는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해 윈도우 부재(WM)가 파손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WM)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DD, 도 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면(TA0) 및 제1 면(TA1)은 제2 면(TA2)과 소정의 제1 각도(AG1-1)를 가질 수 있다. 제1 각도(AG1-1)는 메인면(TA0)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IL1-1) 및 제2 면(TA2)의 단부에서 제2 면(TA2)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IL2-1)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1 각도(AG1-1)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AG1-1)가 90도일 때,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면(TA2)은 제1 벤딩축(BX1-1)을 기준으로 제1 면(TA1)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2 면(TA2)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메인면(TA0) 및 제5 면(TA5)은 제6 면(TA6)과 소정의 제2 각도(AG1-2)를 가질 수 있다. 제2 각도(AG1-2)는 메인면(TA0)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IL1-2) 및 제6 면(TA6)의 단부에서 제6 면(TA6)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4 라인(IL2-2)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2 각도(AG1-2)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AG1-2)가 90도일 때,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6 면(TA6)은 제3 벤딩축(BX1-2)을 기준으로 제5 면(TA5)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6 면(TA6)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II-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면(TA0) 및 제3 면(TA3)은 제4 면(TA4)과 소정의 제3 각도(AG2-1)를 가질 수 있다. 제3 각도(AG2-1)는 메인면(TA0)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IL3-1) 및 제4 면(TA4)의 단부에서 제4 면(TA4)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IL4-1)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3 각도(AG2-1)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각도(AG2-1)이 90도일 때,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4 면(TA4)은 제2 벤딩축(BX2-1)을 기준으로 제3 면(TA3)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4 면(TA4)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메인면(TA0) 및 제7 면(TA7)은 제8 면(TA8)과 소정의 제4 각도(AG2-2)를 가질 수 있다. 제4 각도(AG2-2)는 메인면(TA0)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IL3-2) 및 제8 면(TA8)의 단부에서 제8 면(TA8)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4 라인(IL4-2)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4 각도(AG2-2)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각도(AG2-2)가 90도일 때,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8 면(TA8)은 제4 벤딩축(BX2-2)을 기준으로 제7 면(TA7)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8 면(TA8)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모서리면(EG1-1)은 제1 면(TA1) 및 제3 면(TA3)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1)은 제1 면(TA1) 및 제3 면(TA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1)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1)은 제3 면(TA3) 및 제5 면(TA5)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1)은 제3 면(TA3) 및 제5 면(TA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1)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1)은 제1 면(TA1) 및 제7 면(TA7)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1)은 제1 면(TA1) 및 제7 면(TA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1)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1)은 제5 면(TA5) 및 제7 면(TA7)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1)은 제5 면(TA5) 및 제7 면(TA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1)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윈도우 부재(WM-1)는 모서리의 엣지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모서리에는 케이스 부재(CA, 도 1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 도 1 참조)는 윈도우 부재(WM-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상기 모서리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외부 충격이 윈도우 부재(WM-1)로 전달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윈도우 부재(WM-1)가 파손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WM-1)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DD, 도 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WM-2)는 메인면(TA0-2), 제1 내지 제8 면(TA1-2, TA2-2, TA3-2, TA4-2, TA5-2, TA6-2, TA7-2, TA8-2) 및 제1 내지 제4 모서리면(EG1-2, EG2-2, EG3-2, EG4-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면(TA0-2)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메인면(TA0-2)는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CM1-2), 제1 측(CM1-2)과 교차하고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CM2-2), 제2 측(CM2-2)과 교차하고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측(CM3-2), 및 제3 측(CM3-2)과 교차하고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측(CM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CM1-2)은 제3 측(CM3-2)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측(CM2-2)은 제4 측(CM4-2)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면(TA1-2)은 메인면(TA0-2)의 제1 측(CM1-2)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2 면(TA2-2)은 제1 면(TA1-2)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3 면(TA3-2)은 제2 측(CM2-2)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4 면(TA4-2)은 제3 면(TA3)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5 면(TA5-2)은 제3 측(CM3-2)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5 면(TA5-2)은 메인면(TA0-2)을 사이에 두고 제1 면(TA1-2)과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6 면(TA6-2)은 제5 면(TA5-2)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7 면(TA7-2)은 제4 측(CM4-2)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7 면(TA7-2)은 메인면(TA0-2)을 사이에 두고 제3 면(TA3-2)과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8 면(TA8-2)은 제7 면(TA7-2)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2)는 제1 면(TA1-2) 및 제3 면(TA3-2)과 인접하는 면일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2)는 제1 면(TA1-2) 및 제3 면(TA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2)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2)는 제3 면(TA3-2) 및 제5 면(TA5-2)과 인접하는 면일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2)는 제3 면(TA3-2) 및 제5 면(TA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2)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2)는 제1 면(TA1-2) 및 제7 면(TA7-2)과 인접하는 면일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2)는 제1 면(TA1-2) 및 제7 면(TA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2)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2)는 제5 면(TA5-2) 및 제7 면(TA7-2)과 인접하는 면일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2)는 제5 면(TA5-2) 및 제7 면(TA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2)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벤딩축(BX3-1)은 평면 상에서 메인면(TA0-2) 및 제1 면(TA1-2)의 경계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벤딩축(BX3-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벤딩축(BX4-1)은 평면 상에서 메인면(TA0-2) 및 제3 면(TA3-2)의 경계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벤딩축(BX4-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벤딩축(BX3-2)은 평면 상에서 메인면(TA0-2) 및 제5 면(TA5-2)의 경계와 중첩할 수 있다. 제3 벤딩축(BX3-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벤딩축(BX4-2)은 평면 상에서 메인면(TA0-2) 및 제7 면(TA7-2)의 경계와 중첩할 수 있다. 제4 벤딩축(BX4-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모서리면(EG1-2)은 제1 벤딩축(BX3-1) 및 제2 벤딩축(BX4-1)이 교차하는 지점과 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모서리면(EG2-2)은 제2 벤딩축(BX4-1) 및 제3 벤딩축(BX3-2)이 교차하는 지점과 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3 모서리면(EG3-2)은 제1 벤딩축(BX3-1) 및 제4 벤딩축(BX4-2)이 교차하는 지점과 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4 모서리면(EG4-2)은 제3 벤딩축(BX3-2) 및 제4 벤딩축(BX4-2)이 교차하는 지점과 중첩할 수 있다.
표시패널(DP, 도 2 참조)은 메인면(TA0-2), 제1 내지 제8 면(TA1-2, TA2-2, TA3-2, TA4-2, TA5-2, TA6-2, TA7-2, TA8-2) 및 제1 내지 제4 모서리면(EG1-2, EG2-2, EG3-2, EG4-2)을 통해 영상(IM, 도 1 참조)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면(TA1-2) 및 제2 면(TA2-2)은 메인면(TA0-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3 면(TA3-2) 및 제4 면(TA4-2)은 메인면(TA0-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5 면(TA5-2) 및 제6 면(TA6-2)은 메인면(TA0-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7 면(TA7-2) 및 제8 면(TA8-2)은 메인면(TA0-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벤딩된 제2 면(TA2-2) 및 벤딩된 제4 면(TA4-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2)의 제2 면(TA2-2) 및 제4 면(TA4-2) 사이의 일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벤딩된 제4 면(TA4-2) 및 벤딩된 제6 면(TA6-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2)의 제4 면(TA4-2) 및 제6 면(TA6-2) 사이의 일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벤딩된 제6 면(TA6-2) 및 벤딩된 제8 면(TA8-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2)의 제6 면(TA6-2) 및 제8 면(TA8-2) 사이의 일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일부분들 및 제1 내지 제4 모서리면들(EG1-2, EG2-2, EG3-2, EG4-2)은 윈도우 부재(WM-2)의 모서리들에 대응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2)는 상기 모서리들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외부 충격이 윈도우 부재(WM-2)로 전달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들에 가해지는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해 윈도우 부재(WM-2)가 파손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2)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WM-2)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DD, 도 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III-I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면(TA0-2)은 제1 면(TA1-2) 및 제2 면(TA2-2)과 소정의 제1 각도(AG3-1)를 가질 수 있다. 제1 각도(AG3-1)는 메인면(TA0-2)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IL5-1) 및 제2 면(TA2-2)의 단부에서 제2 면(TA2-2)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IL6-1)을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1 각도(AG3-1)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각도(AG3-1)가 90도일 때,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면(TA1-2) 및 제2 면(TA2-2)은 제1 벤딩축(BX3-1)을 기준으로 메인면(TA0-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1 면(TA1-2) 및 제2 면(TA2-2)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메인면(TA0-2)은 제5 면(TA5-2) 및 제6 면(TA6-2)과 소정의 제2 각도(AG3-2)를 가질 수 있다. 제2 각도(AG3-2)는 메인면(TA0-2)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IL5-2) 및 제6 면(TA6-2)의 단부에서 제6 면(TA6-2)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4 라인(IL6-2)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2 각도(AG3-2)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AG3-2)가 90도일 때,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5 면(TA5-2) 및 제6 면(TA6-2)은 제3 벤딩축(BX3-2)을 기준으로 메인면(TA0-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5 면(TA5-2) 및 제6 면(TA6-2)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IV-IV'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면(TA0-2)은 제3 면(TA3-2) 및 제4 면(TA4-2)과 소정의 제3 각도(AG4-1)를 가질 수 있다. 제3 각도(AG4-1)는 메인면(TA0-2)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IL7-1) 및 제4 면(TA4-2)의 단부에서 제4 면(TA4-2)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IL8-1)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3 각도(AG4-1)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각도(AG4-1)가 90도일 때,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3 면(TA3-2) 및 제4 면(TA4-2)은 제2 벤딩축(BX4-1)을 기준으로 메인면(TA0-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3 면(TA3-2) 및 제4 면(TA4-2)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메인면(TA0-2)은 제7 면(TA7-2) 및 제8 면(TA8-2)과 소정의 제4 각도(AG4-2)를 가질 수 있다. 제4 각도(AG4-2)는 메인면(TA0-2)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IL7-2) 및 제8 면(TA8-2)의 단부에서 제8 면(TA8-2)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상의 제4 라인(IL8-2)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4 각도(AG4-2)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각도(AG4-2)가 90도일 때,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7 면(TA7-2) 및 제8 면(TA8-2)은 제4 벤딩축(BX4-2)을 기준으로 메인면(TA0-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7 면(TA7-2) 및 제8 면(TA8-2)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V-V'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모서리면(EG1-2)은 벤딩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모서리면(EG1-2)은 제2 내지 제4 모서리면들(EG2-2, EG3-2, EG4-2) 각각일 수 있다.
제1 길이(MR-1)는 단면 상에서 제5 면(TA5-2) 및 제6 면(TA6-2)의 길이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길이(MR-1)는 제1 면(TA1-2) 및 제2 면(TA2-2)의 길이, 제3 면(TA3-2) 및 제4 면(TA4-2)의 길이, 또는 제7 면(TA7-2) 및 제8 면(TA8-2)의 길이일 수 있다. 제2 길이(MR-2)는 단면 상에서 제1 모서리면(EG1-2)의 호의 길이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2 길이(MR-2)는 제2 내지 제4 모서리면들(EG2-2, EG3-2, EG4-2)의 호의 길이일 수 있다. 제2 길이(MR-2)는 1mm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길이(MR-1)는 제2 길이(MR-2)보다 길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9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모서리면(EG1-3)은 제1 면(TA1-2) 및 제3 면(TA3-2)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3)은 제1 면(TA1-2) 및 제3 면(TA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서리면(EG1-3)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3)은 제3 면(TA3-2) 및 제5 면(TA5-2)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3)은 제3 면(TA3-2) 및 제5 면(TA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서리면(EG2-3)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3)은 제1 면(TA1-2) 및 제7 면(TA7-2)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3)은 제1 면(TA1-2) 및 제7 면(TA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서리면(EG3-3)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3)은 제5 면(TA5-2) 및 제7 면(TA7-2)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3)은 제5 면(TA5-2) 및 제7 면(TA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모서리면(EG4-3)의 엣지는 평면 상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윈도우 부재(WM-3)는 모서리의 엣지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모서리에는 케이스 부재(CA, 도 1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부재(CA, 도 1 참조)는 윈도우 부재(WM-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상기 모서리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외부 충격에 의해 윈도우 부재(WM-3)로 전달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윈도우 부재(WM-3)가 파손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WM-3)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DD, 도 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WM: 윈도우 부재 TA0: 메인면
TA1: 제1 면 TA2: 제2 면
TA3: 제3 면 TA4: 제4 면
EG1: 제1 모서리면 AG1-1: 제1 각도
AG1-2: 제2 각도 BX1-1: 제1 벤딩축
BX2-1: 제2 벤딩축

Claims (20)

  1. 메인면;
    상기 메인면의 제1 측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면;
    상기 메인면의 상기 제1 측과 교차하는 제2 측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면;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4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과 인접한 제1 모서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과 상기 제2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이 이루는 제1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이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과 상기 제4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4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4 라인이 이루는 제2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인 윈도우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5 면;
    상기 제5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6 면; 및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5 면과 인접한 제2 모서리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7 면;
    상기 제7 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8 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7 면과 인접한 제3 모서리면; 및
    상기 제5 면 및 상기 제7 면과 인접한 제4 모서리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면의 엣지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윈도우 부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면의 엣지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윈도우 부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1 벤딩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2 벤딩축이 정의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윈도우 부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면,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1 모서리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서 제공되는 윈도우 부재.
  8. 제6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벤딩축 및 상기 제2 벤딩축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모서리면과 비중첩하는 윈도우 부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면과 상기 제1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1 벤딩축이 정의되고, 상기 메인면과 상기 제3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2 벤딩축이 정의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윈도우 부재.
  10. 제9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벤딩축 및 상기 제2 벤딩축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모서리면과 중첩하는 윈도우 부재.
  11. 제9 항에 있어서,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모서리의 호의 길이는 1mm보다 작거나 같은 윈도우 부재.
  12.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부재는,
    메인면;
    상기 메인면의 제1 측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면;
    상기 메인면의 상기 제1 측과 교차하는 제2 측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면;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4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과 인접한 제1 모서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 라인과 상기 제2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2 라인이 이루는 제1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이고,
    상기 메인면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3 라인과 상기 제4 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4 면의 상기 단부의 기울기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4 라인이 이루는 제2 각도는 60도 이상 120도 이하인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형상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면의 엣지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면의 엣지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메인면, 상기 제1 내지 제4 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1 벤딩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2 벤딩축이 정의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벤딩축 및 상기 제2 벤딩축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모서리면과 비중첩하는 표시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면과 상기 제1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1 벤딩축이 정의되고, 상기 메인면과 상기 제3 면의 경계와 중첩하는 제2 벤딩축이 정의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표시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벤딩축 및 상기 제2 벤딩축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모서리면과 중첩하는 표시장치.
KR1020190055457A 2019-05-13 2019-05-13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61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57A KR102618250B1 (ko) 2019-05-13 2019-05-13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N202010160199.XA CN111933815A (zh) 2019-05-13 2020-03-10 窗构件和具有窗构件的显示设备
US16/826,266 US11450832B2 (en) 2019-05-13 2020-03-22 Window member and display device with window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57A KR102618250B1 (ko) 2019-05-13 2019-05-13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365A true KR20200131365A (ko) 2020-11-24
KR102618250B1 KR102618250B1 (ko) 2023-12-29

Family

ID=7323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457A KR102618250B1 (ko) 2019-05-13 2019-05-13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50832B2 (ko)
KR (1) KR102618250B1 (ko)
CN (1) CN1119338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3366B (zh) * 2021-03-12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662A (ko) * 2015-12-15 2017-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20180065722A (ko) * 2016-12-08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430180B2 (en) *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2246118B1 (ko) 2014-05-27 2021-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491287B1 (ko) 2016-01-14 202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59524B1 (ko) * 2018-07-16 2023-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662A (ko) * 2015-12-15 2017-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20180065722A (ko) * 2016-12-08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33815A (zh) 2020-11-13
US11450832B2 (en) 2022-09-20
US20200365821A1 (en) 2020-11-19
KR102618250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68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249588B2 (en) Display apparatus
CN109271063B (zh) 显示装置
US11880519B2 (en) Display module
KR10262528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535837B2 (en) Display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731061A1 (en) Display device
US9690329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183543B2 (en) Display device
KR102545020B1 (ko) 표시 장치
KR20210018720A (ko) 표시 장치
KR20200133871A (ko) 표시 장치
US11735121B2 (en) Display apparatus
KR20200087917A (ko) 보호 필름,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35524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49975A (ko) 표시 장치
KR102618250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151017B1 (ko) 표시장치
KR20200106014A (ko) 표시장치
CN113270452A (zh) 显示装置
KR20210018562A (ko) 표시 부품,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