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163A -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 Google Patents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163A
KR20180058163A KR1020170021266A KR20170021266A KR20180058163A KR 20180058163 A KR20180058163 A KR 20180058163A KR 1020170021266 A KR1020170021266 A KR 1020170021266A KR 20170021266 A KR20170021266 A KR 20170021266A KR 20180058163 A KR20180058163 A KR 20180058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gate
switch circuit
resisto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491B1 (ko
Inventor
장우진
임종원
강동민
김동영
김성일
김해천
도재원
민병규
신민정
안호균
윤형섭
이상흥
이종민
장성재
장유진
정현욱
조규준
지홍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654,79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56811B2/en
Publication of KR2018005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567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ore than one type of semiconductor device, e.g. BIMOS, composite devices such as IGB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3K17/162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163Soft switching
    • H03K17/164Soft switching using parallel switc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 레벨 쉬프터, 버퍼, 제 1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은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서 캐스코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레벨 쉬프터는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달할 수 있다. 버퍼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지연하고, 상기 지연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저항은 상기 레벨 쉬프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CASCODE SWITCH CIRCUIT INCLUDING LEVEL SHIFTER}
본 발명은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력전자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위치 회로는 높은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 통상 오프(normally off)의 동작 특성, 낮은 온(on) 저항, 높은 전류 특성, 및 고속 스위칭 특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낮은 항복 전압과 통상 오프의 동작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 및 높은 항복 전압과 통상 온(normally on)의 동작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스위치 회로가 연구되고 있다.
스위치 회로는 캐스코드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회로에서 각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는 시점이 상이한 경우, 스위치 회로에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회로는 고속에서 동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 온의 동작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 제약으로 인해 스위치 회로에 흐를 수 있는 전류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류량이 제한되면, 스위치 회로가 고전력 동작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 레벨 쉬프터, 버퍼, 제 1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은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서 캐스코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레벨 쉬프터는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달할 수 있다. 버퍼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지연하고, 상기 지연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저항은 상기 레벨 쉬프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는 레벨 쉬프터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는 드레인 단자에서 소스 단자로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켜 고속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는 스위칭 시 발생하는 리플을 개선할 수 있다. 리플 개선으로 인해,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전압 대 전류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턴 온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턴 오프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턴 온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턴 오프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는 제 1 트랜지스터(transistor, 110), 제 2 트랜지스터(120),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 130), 버퍼(buffer, 140), 및 제 1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는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를 연결하거나 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게이트 단자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는 턴 온(turn on)될 수 있다. 게이트 단자에 저전압이 인가되면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는 턴 오프(turn off)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전압은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보다 높은 전압이고, 저전압은 문턱전압보다 낮은 전압이다. 문턱전압은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110)는 게이트(gate, G1), 드레인(drain, D1), 및 소스(source, 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110)는 높은 항복 전압 및 통상 온(normally on)의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트랜지스터(120)는 게이트(G2), 드레인(D2), 및 소스(S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트랜지스터(110)와 달리, 제 2 트랜지스터(120)는 낮은 항복 전압 및 통상 오프(normally off)의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트랜지스터(110)는 질화갈륨(GaN), 실리콘카바이드(SiC) 등을 포함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일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120)는 실리콘(Si)을 포함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2 트랜지스터(120)는 금속 산화물 트랜지스터(MOSFET)일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110) 및 제 2 트랜지스터(120)는 캐스코드(cascode)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위치 회로(100)는 제 1 트랜지스터(110)의 높은 항복 전압 특성 및 제 2 트랜지스터(120)의 통상 오프의 동작 특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S1)와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1)은 드레인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S2)는 소스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2)는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게이트 단자 및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 사이에는 레벨 쉬프터(130) 및 제 1 저항(R1)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단자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2) 사이에는 버퍼(140)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는 레벨 쉬프터(130) 및 제 1 저항(R1)을 거쳐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인가될 수 있다.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는 버퍼(140)를 거쳐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2)에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제어 신호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의 턴 온 또는 턴 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 신호를 나타낸다.
레벨 쉬프터(130)는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레벨 쉬프터(130)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낮출 수 있다. 레벨 쉬프터(130)는 변경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전달할 수 있다. 레벨 쉬프터(130)에 의해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므로,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스위치 회로(100)가 레벨 쉬프터(1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스위치 회로(100)가 레벨 쉬프터(1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2)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120)를 턴 온 시키기 위해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2)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동시에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도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전압은 6V 내지 10V일 수 있다. 인가된 고전압으로 인해,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는 터지거나 붕괴할 수 있다. 특히, 고전압과 저전압이 반복적으로 빠르게 인가되는 경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는 좀 더 쉽게 터지거나 붕괴할 수 있다. 여기서, 저전압은 제 2 트랜지스터(120)를 턴 오프 시키기 위한 전압을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저전압은 0V일 수 있다. 스위치 회로(100)가 레벨 쉬프터(130)를 포함하면,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인가되는 전압은 레벨 쉬프터(130)가 없는 경우보다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레벨 쉬프터(130)는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벨 쉬프터(130)는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VGS1)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전류(드레인에서 소스로 흐르는 전류)는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 그리고 드레인 및 소스 사이의 전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이 클수록, 트랜지스터의 전류는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레벨 쉬프터(130)는 변경된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0V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정리하면, 레벨 쉬프터(130)는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낮추되,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VGS1) 레벨을 0V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버퍼(140)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지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버퍼(140)에 의한 지연 시간은 레벨 쉬프터(130)에 의한 지연 시간과 일치할 수 있다. 레벨 쉬프터(130)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므로, 버퍼(140)는 레벨 쉬프터(130)의 변경 시간(또는 지연 시간)만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지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버퍼(140)는 레벨 쉬프터(130)의 변경 시간과 후술할 제 1 저항(R1)으로 인한 지연 시간을 합한 만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지연할 수 있다. 즉, 버퍼(140)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2)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일치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가 버퍼(140)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 1 트랜지스터(110)의 동작 시점과 제 2 트랜지스터(120)의 동작 시점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시점은 트랜지스터의 턴 온 시점 또는 턴 오프 시점을 나타낸다. 동작 시점의 차이로 인해, 리플(ripple)이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의 출력 결과(예를 들면,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의 전압(VDS), 드레인 단자에서 소스 단자로 흐르는 전류(IDS))에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칭 제어 신호는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2)에 동시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110, 120)은 동시에 턴 온 되거나 동시에 턴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리플은 개선될 수 있다.
제 1 저항(R1)은 레벨 쉬프터(130)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저항(R1)의 일단은 레벨 쉬프터(130)의 출력과 연결될 수 있고, 제 1 저항(R1)의 타단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대로, 제 1 트랜지스터(110)는 높은 항복 전압 및 통상 온의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제 2 트랜지스터(120)는 낮은 항복 전압 및 통상 오프의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스위칭 전이 시간은 제 2 트랜지스터(120)의 스위칭 전이 시간에 비해 짧을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전이 시간은 드레인에서 소스를 통과하는 신호의 상승 시간(rising time) 및 하강 시간(falling time)을 나타낸다. 제 1 저항(R1)은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스위칭 전이 시간과 제 2 트랜지스터(120)의 스위칭 전이 시간을 서로 일치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저항(R1)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상승 시간 또는 하강 시간을 지연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시상수(time constant)는 제 1 저항(R1)의 크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레벨 쉬프터(130) 출력의 커패시턴스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 1 저항(R1)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시상수도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시상수는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스위칭 전이 시간과 제 2 트랜지스터(120)의 스위칭 전이 시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저항(R1)의 크기는 상술한 시상수를 달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버퍼(140)에 의해 제 1 트랜지스터(110)의 동작 시점과 제 2 트랜지스터(120)의 동작 시점은 서로 일치할 수 있고, 제 1 저항(R1)에 의해 제 1 트랜지스터(110)의 스위칭 전이 시간과 제 2 트랜지스터(120)의 스위칭 전이 시간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는 스위칭 시 발생할 수 있는 리플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는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 단자, 드레인 단자 및 소스 단자 각각은 패키지의 핀들(pins) 또는 볼들(balls)과 연결되거나, 드라이버(driver, 미도시)를 통해 패키지의 핀들 또는 볼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를 포함하는 패키지는 상술한 핀들 또는 볼들을 통해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200)는 제 1 트랜지스터(210), 제 2 트랜지스터(220), 레벨 쉬프터(230), 버퍼(240), 및 제 1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210), 제 2 트랜지스터(220), 레벨 쉬프터(230), 버퍼(240), 및 제 1 저항(R1)은 도 1에서 설명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이하, 도 1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와 도 2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200)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의 버퍼(140)와 도 2의 버퍼(240)를 비교하면, 버퍼(240)는 버퍼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버퍼(240)는 버퍼 제어 신호에 따라 지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버퍼(240)는 게이트 단자, 드레인 단자, 소스 단자가 아닌 다른 단자를 통해 버퍼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버퍼 제어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거나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PVT(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변화에 따라 레벨 쉬프터(230)의 지연 시간에 변동이 있어도, 버퍼(240)는 변동되는 레벨 쉬프터(230)의 지연 시간만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지연할 수 있다.
도 1의 제 1 저항(R1)과 도 2의 제 1 저항(R1')을 비교하면, 도 2의 제 1 저항(R1')은 가변 저항일 수 있고, 저항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버퍼 제어 신호와 유사하게, 저항 제어 신호는 게이트 단자, 드레인 단자, 소스 단자와 또 다른 단자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저항(R1')은 저항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저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저항 제어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거나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제 1 저항(R1')의 크기는 제 1 트랜지스터(210)의 스위칭 전이 시간과 제 2 트랜지스터(220)의 스위칭 전이 시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300)는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 레벨 쉬프터(330), 버퍼(340), 및 제 1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311), 제 2 트랜지스터(321), 레벨 쉬프터(330), 버퍼(340), 및 제 1 저항(R1)은 도 1에서 설명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이하, 도 1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와 도 3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300)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의 모든 게이트들은 제 1 저항(R1)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의 모든 드레인들은 드레인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의 모든 소스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의 개수는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의 모든 게이트들은 버퍼(3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의 모든 소스들은 소스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의 모든 드레인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의 모든 드레인들과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의 모든 소스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300)는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의 모든 드레인들과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의 모든 소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와 달리, 도 3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300)는 제 1 트랜지스터들(312~313) 및 제 2 트랜지스터들(322~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트랜지스터들(311~313)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제 2 트랜지스터들(321~323)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m, n이 증가하면, 드레인 단자에서 소스 단자로 흐를 수 있는 전류는 증가할 수 있다. 즉,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300)의 전류(즉, 드레인 단자에서 소스 단자로 흐르는 전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의 전류보다 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400)는 제 1 트랜지스터(410), 제 2 트랜지스터(420), 레벨 쉬프터(430), 버퍼(440), 제 1 저항(R1), 제 1 클램프 회로(clamp circuit, 450), 및 제 2 클램프 회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410), 제 2 트랜지스터(420), 레벨 쉬프터(430), 버퍼(440), 및 제 1 저항(R1)은 도 1에서 설명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이하, 도 1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와 도 4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400)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와 달리, 도 4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400)는 제 1 클램프 회로(450) 및 제 2 클램프 회로(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클램프 회로(450)는 제 2 저항(R2), 제 1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ZD1), 및 제 2 제너 다이오드(Z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저항(R2)의 일단은 제 1 저항(R1) 및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저항(R2)의 타단은 제 1 제너 다이오드(ZD1)의 애노드(ano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제너 다이오드(ZD1)의 캐소드(cathode)와 제 2 제너 다이오드(ZD2)의 캐소드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제너 다이오드(ZD2)의 애노드는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S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클램프 회로(460)는 제 3 저항(R3), 제 3 제너 다이오드(ZD3), 및 제 4 제너 다이오드(ZD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저항(R3)의 일단은 버퍼(440)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G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저항(R3)의 타단은 제 3 제너 다이오드(ZD3)의 애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제너 다이오드(ZD3)의 캐소드와 제 4 제너 다이오드(ZD4)의 캐소드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4 제너 다이오드(ZD4)의 애노드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S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저항(R2)은 제 1 제너 다이오드(ZD1) 및 제 2 제너 다이오드(ZD2)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3 저항(R3)은 제 3 제너 다이오드(ZD3) 및 제 4 제너 다이오드(ZD4)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저항들(R2, R3)은 제 1 내지 제 4 제너 다이오드들(ZD1~ZD4)이 과전류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제너 다이오드(ZD1) 및 제 2 제너 다이오드(ZD2)는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VGS1)의 절대값을 제너 전압(zener voltage)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3 제너 다이오드(ZD3) 및 제 4 제너 다이오드(ZD4)는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VGS2)의 절대값을 제너 전압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 1 클램프 회로(450)는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VGS1)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클램프 회로(460)는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VGS2)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클램프 회로들(450, 460)은 게이트 단자, 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를 통해 인가될 수 있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로부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410, 42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클램프 회로들(450, 460)은 서지 전압(surge voltage) 또는 서지 전류(surge current)로부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410, 42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500)는 제 1 트랜지스터들(511~513), 제 2 트랜지스터들(521~523), 레벨 쉬프터(530), 버퍼(540), 제 1 저항(R1), 제 1 클램프 회로(550), 및 제 2 클램프 회로(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들(511~513), 제 2 트랜지스터들(521~523), 레벨 쉬프터(530), 버퍼(540), 제 1 저항(R1), 제 1 클램프 회로(550), 및 제 2 클램프 회로(56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전술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클램프 회로들(550, 560)의 제 2 및 제 3 저항들(R2, R3), 제 1 내지 제 4 제너 다이오드들(ZD1~ZD4)은 도 4에서 전술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이하, 도 4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400)와 도 5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500)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4의 제 1 클램프 회로(450)와 달리, 제 1 클램프 회로(550)는 제 1 트랜지스터들(511~513)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클램프 회로(560)는 제 2 트랜지스터들(521~523)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 1 트랜지스터들(511~513) 각각은 제 1 클램프 회로(550)를 공유할 수 있고, 제 2 트랜지스터들(521~523) 각각은 제 2 클램프 회로(560)를 공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600)는 제 1 트랜지스터들(611~613), 제 2 트랜지스터들(621~623), 레벨 쉬프터(630), 버퍼(640), 제 1 저항(R1), 제 1 클램프 회로들(651~653), 및 제 2 클램프 회로들(661~6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들(611~613), 제 2 트랜지스터들(621~623), 레벨 쉬프터(630), 버퍼(640), 제 1 저항(R1), 제 1 클램프 회로(651), 및 제 2 클램프 회로(661)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이하, 도 5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500)와 도 6의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600)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5에서 전술한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500)와 비교하면,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600)는 제 1 클램프 회로들(652~653), 및 제 2 클램프 회로들(662~6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클램프 회로들(651~653)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제 2 클램프 회로들(661~663) 각각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 1 클램프 회로들(651~653)은 제 1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제 2 클램프 회로들(661~663)은 제 2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도 7은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전압 대 전류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에서 가로축은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의 전압(VDS)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드레인 단자에서 소스 단자로 흐르는 전류(IDS)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소스 사이의 전압(VGS1)이 증가할수록(-1V, 0V, 1V), IDS는 증가할 수 있다. IDS가 증가할수록,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는 고속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에서는 소스 단자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연결되므로, VGS1는 0V 이상으로 증가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는 레벨 쉬프터(130)에 의해 VGS1가 0V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의 전류(IDS)는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전류보다 클 수 있다.
도 8은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턴 온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턴 오프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턴 온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턴 오프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의 전압(VDS) 및 드레인 단자에서 소스 단자로 흐르는 전류(IDS)를 나타낸다. 여기서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회로(100)와 달리 레벨 쉬프터(130), 버퍼(140), 및 제 1 저항(R1)을 포함하지 않은 스위치 회로를 나타낸다.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가 턴 온 되면, VDS는 200V에서 약 0V로 감소하고, IDS는 약 6A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가 턴 오프 되면, VDS는 0V에서 약 200V로 증가하고, IDS는 약 0A가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비교하면,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전압 리플은 최대 96V이고, 전류 리플은 최대 8A로 나타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의 전압 리플은 최대 30V이고, 전류 리플은 최대 7A로 나타난다.
도 9 및 도 11을 비교하면, 일반적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의 전압 리플은 최대 52V이고, 전류 리플은 최대 0.5A로 나타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100)의 전압 리플은 최대 42V이고, 전류 리플은 최대 0.4A로 나타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는 스위칭 시 발생되는 전압 리플 또는 전류 리플을 개선할 수 있다. 전압 리플 또는 전류 리플의 감소로 인해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110, 120)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므로,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110, 120)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들이다.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술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앞으로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110, 210, 311~313, 410, 511~513, 611~613: 제 1 트랜지스터
120, 220, 321~323, 420, 521~523, 621~623: 제 2 트랜지스터
130, 230, 330, 430, 530, 630: 레벨 쉬프터
140, 240, 340, 440, 540, 640: 버퍼
450, 550, 651~653: 제 1 클램프 회로
460, 560, 661~663: 제 2 클램프 회로
R1~R3: 제 1 내지 제 3 저항
ZD1~ZD4: 제 1 내지 제 4 제너 다이오드

Claims (14)

  1.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서 캐스코드(cascode) 형태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달하는 레벨 쉬프터;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지연하고, 상기 지연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달하는 버퍼; 및
    상기 레벨 쉬프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저항을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상기 소스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서로 연결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쉬프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을 0V 이상으로 설정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레벨 쉬프터의 변경 시간만큼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지연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제 1 저항으로 인한 지연 시간을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더 지연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지연 시간은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의 크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전이 시간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전이 시간이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은 가변 저항인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제한하는 제 1 클램프 회로;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제한하는 제 2 클램프 회로를 더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프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연결되는 제 2 저항;
    제 1 애노드(anode) 및 제 1 캐소드(cathode)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애노드가 상기 제 2 저항과 연결되는 제 1 제너 다이오드; 및
    제 2 애노드 및 제 2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애노드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캐소드는 상기 제 1 캐소드와 연결되는 제 2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클램프 회로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연결되는 제 3 저항;
    제 3 애노드 및 제 3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애노드가 상기 제 3 저항과 연결되는 제 3 제너 다이오드; 및
    제 4 애노드 및 제 4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애노드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 4 캐소드는 상기 제 3 캐소드와 연결되는 제 4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클램프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클램프 회로를 더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질화갈륨(GaN) 또는 실리콘카바이드(Si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실리콘(Si)을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KR1020170021266A 2016-11-22 2017-02-16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KR102094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54,792 US10256811B2 (en) 2016-11-22 2017-07-20 Cascode switch circuit including level shif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6016 2016-11-22
KR1020160156016 201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163A true KR20180058163A (ko) 2018-05-31
KR102094491B1 KR102094491B1 (ko) 2020-03-30

Family

ID=6245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266A KR102094491B1 (ko) 2016-11-22 2017-02-16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8115A1 (de) 2017-05-23 2019-01-17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es Bremssystem
WO2021246641A1 (ko) * 2020-06-05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 모드 로직 회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8869B2 (en) * 2010-03-25 2012-06-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function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operating as amplifier switch
US20120262220A1 (en) * 2011-04-13 2012-10-18 Semisouth Laboratories, Inc. Cascode switches including normally-off and normally-on devices and circuits comprising the switches
JP2014187726A (ja) * 2013-03-21 2014-10-0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US20150162832A1 (en) * 2013-12-09 2015-06-11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Group III-V Voltage Converter with Monolithically Integrated Level Shifter, High Side Driver, and High Side Power Switch
US20160247792A1 (en) * 2015-02-25 2016-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witch circuit of cascode type having high speed switching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8869B2 (en) * 2010-03-25 2012-06-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function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operating as amplifier switch
US20120262220A1 (en) * 2011-04-13 2012-10-18 Semisouth Laboratories, Inc. Cascode switches including normally-off and normally-on devices and circuits comprising the switches
JP2014187726A (ja) * 2013-03-21 2014-10-0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US20150357321A1 (en) * 2013-03-21 2015-12-10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US20150162832A1 (en) * 2013-12-09 2015-06-11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Group III-V Voltage Converter with Monolithically Integrated Level Shifter, High Side Driver, and High Side Power Switch
JP2015115953A (ja) * 2013-12-09 2015-06-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レクティファイアー・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モノリシック集積ハイサイドブロックおよび電圧変換器
US20160247792A1 (en) * 2015-02-25 2016-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witch circuit of cascode type having high speed switching perform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8115A1 (de) 2017-05-23 2019-01-17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es Bremssystem
DE102018208115B4 (de) 2017-05-23 2023-11-09 Hl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es Bremssystem
WO2021246641A1 (ko) * 2020-06-05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 모드 로직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491B1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6811B2 (en) Cascode switch circuit including level shifter
EP3243276B1 (en) High voltage switch
US97556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circuit having a driver and rectifier
US7324315B2 (en) Protection device
US9455697B2 (en) Switch circuit with a first transistor device and a second transistor device connected in series
US10651839B2 (en) Power switching apparatus
US8289669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 having gate discharge circuit operated based on temperature and voltage as to output transistor
CN106972836B (zh) 半导体器件和电路保护方法
US7208974B1 (en) Rail-to-rail source followers
US11088688B2 (en) Configurations of composite devices comprising of a normally-on FET and a normally-off FET
CN110138211B (zh) 转换电路
US8299842B2 (en) Bidirectional switch
US11545972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element turned on and off based on control voltage
US10784768B2 (en) Conversion circuit and conversion circuitry
KR102094491B1 (ko)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US10367501B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24014878A (ja) 半導体装置
US54125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breakdown capability of a switching circuit
KR20070026612A (ko) 높고 그리고 넓은 동작 전압 범위를 위한 바이어스 회로를구비한 게이트 드라이버 출력 단
US20230412167A1 (en) Power Electronic Module Comprising a Gate-Source Control Unit
US11258439B2 (en) High-voltage fast switching devices
US20230198515A1 (en) Switch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US10454473B2 (en) Optical-control driving circuit for high utility power
KR102661973B1 (ko)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US20230412154A1 (en) Gate drive circuit, and semiconductor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