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072A -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072A
KR20180058072A KR1020160156727A KR20160156727A KR20180058072A KR 20180058072 A KR20180058072 A KR 20180058072A KR 1020160156727 A KR1020160156727 A KR 1020160156727A KR 20160156727 A KR20160156727 A KR 20160156727A KR 20180058072 A KR20180058072 A KR 2018005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dementia
extract
isolated therefro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국
윤요셉
김인수
박신영
조덕연
김준수
고현명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8072A/ko
Publication of KR2018005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또는 뇌기능 또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활성 억제능; DPPH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저해능; iNOS 또는 COX-2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 저해능; TNF-α, IL-6 또는 IL-1β의 유전자 발현 저해능; 또는 NF-κB 신호전달체계 차단능을 나타내므로,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고, 뇌기능 또는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or neurodegenerative disease comprising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s or scopoletin isolated therefrom}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또는 뇌기능 또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경소교세포 (microglial)는 중추신경계 (CNS)와 뇌에 존재하며 일차적인 신경세포들의 보호 및 회복에 관여한다. 하지만 활성화된 신경소교세포는 신경염증반응을 유도하고, 신경염증 반응이 다양한 신경변성질환의 원인으로 이끈다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활성화된 신경소교세포는 아질산염 (NO), 활성산소종 (ROS), 염증효소인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 (cyclooxygenase-2, COX-2) 그리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 IL-6, TNF-a 등의 활성을 유도한다 (Graeber and Streit, 2010).
이러한 물질들은 다발성경화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과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의 병리기전에 관여한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Kim and Joh, 2006; Koning et al., 2007; Krause and Muller, 2010; Moller, 2010). 그러므로 이러한 신경염증의 조절이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는 콜린성, 아드레날린성, GABA성 및 글루타메이트성신경 등 거의 모든 신경에 이상이 초래되나, 특히 콜린성 신경의 손실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콜린성 신경의 이상을 회복시키거나 개선시키는 방향으로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실험 대상 동물에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투여하여 콜린성신경계에 이상을 유발시켜 알츠하이머 질환과 유사한 상태를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지면서 인지 능력 개선 및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제 개발이 진일보하게 되었다 (Flood, J. and Cherkin, A. Scopolamine effects on memoryretention in mice, Behav. Neural. Biol. 45:169-184(1986)). 스코폴라민을 투여하면 콜린성 신경 기능의 퇴행과 기억력 상실증이 나타나는 것은 물론, 습득력, 즉각적인 대응법, 활동기억 (working memory)에 결함이 나타난다 (Smith, 1988; Giacobini, E. and Cuadra, G.(1994)). 이러한 증상은 콜린성 신경의 효능제인 아레콜린 (Arecoline) 및 옥소트레모린 (Oxotremorine)이나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시킴으로써 세포 내의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유지시키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인 타크린(Tacrine) 등의 투여에 의하여 완화되었다. 다만, 타크린이 임상에서 일부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간독성, 짧은 반감기 및 낮은 생체 내 이용률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새로운 대체 약물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물질을 탐색하던 중 율피 추출물이 유의성 있는 인지기능 개선 활성을 갖고 있음을 in vitro 실험계와 스코폴라민을 이용한 마우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율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스코폴레틴(scopoletin)이 활성화된 신경소교세포의 NK-κB경로를 통해 전염증성 매개인자를 억제하여 신경염증 억제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종래 인지 기능 장애 치료를 위한 기술 중 하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61730호 '연자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완화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율피 추출물이 기억력 개선 효과를 통해 결국 인지기능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율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스코폴레틴이 신경염증 억제 효과를 통해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에 대해서는 개시되거나 암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뇌기능 개선 또는 인지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기능 또는 인지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율피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병 (pick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dt-jakob disease),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경퇴행성질환은 다발성경화증 (multiple sclerosi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전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피질-기저핵 퇴행증(cortico basal degeneration), 및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활성 억제능; DPPH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저해능; iNOS 또는 COX-2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 저해능; TNF-α, IL-6 또는 IL-1β의 유전자 발현 저해능; 또는 NF-κB 신호전달체계 차단능을 나타내므로,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고, 뇌기능 또는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천연물 소재인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다.
도 1은 율피 추출물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AChE) 저해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율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수동 회피 실험에서 율피 추출물 처리에 따른 TLT (Transfer latency time)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데이터는 Graph pad prism v5.01 software를 이용해 Tuckey Multiple comparison test에 따라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평균 ±S.E.M. (n = 8)으로 나타냈다.
도 4(A)는 Y-미로 실험에서 율피 추출물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총 입장횟수 (Total arm entry)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변경 행동력 (Percentage alternation)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p<0.05, **p<0.01, ***p<0.001 vs. 스코폴라민 처리군 ###p<0.001 vs. 비히클 처리군). 각 데이터는 Graph pad prism v5.01 software를 이용해 Tuckey Multiple comparison test를 따라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평균 ±S.E.M. (n = 5~13)로서 나타내었다.
도 5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로 자극된 마우스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스코폴레틴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아질산염의 저해 효능으로 평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LPS로 자극된 마우스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스코폴레틴 처리에 따른 iNOS 및 COX-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LPS로 자극된 마우스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스코폴레틴 처리에 따른 TNF-α, IL-6 및 IL-1β 유전자의 발현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LPS로 자극된 마우스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스코폴레틴 처리에 따른 NF-κB 신호전달체계의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에 대한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의 활성이 보고된 바는 없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율피 추출물이 유의성 있는 인지기능 개선 활성을 갖고 있음을 in vitro 실험계와 스코폴라민을 이용한 마우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율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스코폴레틴(scopoletin)이 활성화된 신경소교세포의 NK-κB경로를 통해 전염증성 매개인자를 억제하여 신경염증 억제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활성 억제능; DPPH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저해능; iNOS 또는 COX-2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 저해능; TNF-α, IL-6 또는 IL-1β의 유전자 발현 저해능; 또는 NF-κB 신호전달체계 차단능을 나타내므로,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고, 뇌기능 또는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천연물 소재인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기능 또는 인지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된 “율피(Castanea crenata inner shell, CI)”는 일명 부(扶)라고도 하는데, 즉, 밤알의 껍질을 이르는 것으로, 이를 꿀에 잘 섞어 개어 바르면 피부가 바짝 수축하게 되어 노인 얼굴에 생긴 주름살을 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본초강목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율피는 낙엽교목인 밤나무 (Castanea crenata S.) 열매에서 과육 및 외피를 제외한 부분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밤나무에는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이 모두 포함되는 바, 율피 추출물은 천연, 잡종, 및 변종 밤나무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율피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율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율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로는 30% 내지 100%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방법으로는 교반추출, 감압고온추출, 열탕추출, 환류추출, 열수추출, 냉침추출, 상온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는 율피 중량의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방법에 따라 온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추출시간은 2시간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2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고, 3회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3) 단계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율피를 열수추출한 뒤 여과하고 진공농축 및 동결건조함으로써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스코폴레틴”은 천연물질, 바람직하게는 율피로부터 분리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의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 활성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저해 효능”이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를 억제함으로써 시냅스 내의 아세틸콜린 농도를 증가시키고, 신경보호작용 (neuroprotective effect) 및 신경손상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 질환의 경우 뇌 안에서의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축적에 의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의 수준 감소가 그 원인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저해 효능이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를 위한 핵심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란 아세틸콜린 가수분해 효소를 말한다. 뇌조직의 모든 신경세포에서 발견되는 신경전달물질로서 아세틸콜린은 시냅스와 시냅스 사이의 신경전달에 관계하는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져 있다. 뇌신경계의 특정부위에서 아세틸콜린 (ACh)이 시냅스 전 말단에서 분비되면 그것이 시냅스 후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경세포 사이의 자극을 전달한다. 그러나 제 2의 자극이 시냅스를 통해 전달하기 전에 제 1의 자극 시에 분비된 아세틸콜린(ACh)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acetylcholinesterase, AChE)에 의하여 가수분해 되어야한다. 그런데 아세틸콜린의 함량과 합성효소로서 콜린아세틸트랜스퍼라제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의 활성이 대부분의 사람 및 설치동물에서 연령과 함께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활성도 아세틸콜린와 마찬가지로 감소한다는 사실도 밝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은 스코폴라민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활성 억제능 (도 1) 또는 DPPH 라디칼 소거능 (도 2)을 나타내었고, 율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은 스코폴레틴은 LPS로 자극된 마우스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아질산염 저해능 (도 5); iNOS 또는 COX-2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 저해능 (도 6); TNF-α, IL-6 또는 IL-1β의 유전자 발현 저해능 (도 7); 또는 NF-κB 신호전달체계 차단능 (도 8)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원에서의 용어, “인지기능장애”(Cognitive impairment)“는 뇌질환, 뇌상해, 중독, 노령화 등으로 인한 정신적, 행동적 장애 및 내분비 이상 (Endocrine disorder), 대사 영양적 이상 (Metabolic or Nutritional abnormalities), 약물 등으로 인한 정신 질환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성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병 (pick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dt-jakob disease),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의 용어, “신경퇴행성질환”세포 사멸에 의해 신경 세포가 손실되는 상태 또는 질병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다발성경화증 (multiple sclerosi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전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피질-기저핵 퇴행증(cortico basal degeneration), 및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 또는 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원에서의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1회 복용량 당 율피 추출물의 중량은 100 mg 내지 5000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1회 복용량 당 율피 추출물의 중량이 100 mg 내지 500 mg으로서, 정제로 제조되는 경우, 1 내지 20정/회로 하여 아침, 낮, 저녁의 1일 3회, 식전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포당 율피 추출물의 중량이 500 mg 내지 5000 mg인 과립으로서 제조되는 경우, 1 내지 4포/회로 하여 아침, 낮, 저녁의 1일 3회, 식전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ml 제제 당 율피 추출물의 중량이 0.3 mg 내지 300 mg인 액제로서 제조되는 경우, 20 내지 500 ml/ 회로 하여 아침, 낮, 저녁의 1일 3회, 식전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 유효량은 바람직한 효과를 주기 위해 요구되는 화합물의 양이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투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고,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드링크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율피 추출물 또는 율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매실, 천마, 오미자, 감초, 결명자, 석창포, 오적골, 원지, 황기, 산조인, 시호, 창출, 당귀, 지자, 안육, 복령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식품보조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는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보조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및 스코폴레틴의 분리
율피에 열수 용매를 혼합한다. 이때, 율피와 혼합하는 열수 용매의 중량은 율피의 중량 대비 10배 중량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한 율피 100 g에 3차 증류수 1 L를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율피와 열수 용매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율피 추출액을 추출한 후 여과하고 진공 농축(50 ℃ 내지 55 ℃) 및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율피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때, 율피 추출액 추출 방법으로는 환류 추출 방법 또는 초음파 추출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율피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였을 때 평균 수득률은 10 % 이상이었다. 수득된 율피 추출물에 스코폴레틴(scopoletin)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1-2. 세포 및 시약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뱀장어에서 추출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Electric eel acetylcholinesterase), 아세틸 티오콜린 요오드화물 (Acetyl thiocholine iodide, ATCI),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DTNB), 스코폴라민 염산염, 타크린 염산염 수화물 (THA), 메틸셀룰로오스는 미국의 Sigma 사(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Tween 80은 미국의 Calbiochem 사(Gibbstown, NJ,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 BV-2 신경소교세포는 경북대학교 약리학 교실에서 제공받았으며, 스코폴레틴 (scopoletin),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 Tween-20,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3-(4,5-디메틸티아졸-2-일)-2,5- 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 (MTT)는 미국의 Sigma Chemical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6-웰, 24-웰 100mm 조직 배양 플레이트는 미국의 NUNC 사 (IL,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시약은 세포 배양 시 배지로 DMEM을 사용하였으며, 5% FBS 와 항생제로 100unit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Gibco, BRL)을 사용하였다. β-액틴과 COX-2 항체는 미국의 Santa Cruz 사에서, iNOS, IKK, IκB-α 및 p65 항체는 미국의 Cell signaling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3. 실험동물
본 발명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중앙실험 동물회사(Central Lab Animal facility, 한국)로부터 ICR계 마우스를 구입(수컷, 6주령, 25~30 g)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동물들은 건국대학교 실험동물 사육실에서 일정한 광량 조건(12/12 h 명암주기; 12시간은 밝고 12시간은 어두운 주기)과 온도조건(23℃)에서 케이지 당 4마리씩 사육되었으며, 2주 동안 실험실 환경에 적응된 후 행동 실험에 사용되었다. 모든 실험적인 절차는 NIH Guide care 지침(NIH Publication No. 85-23, 1985, revised 1996)과 건국대학교 실험동물 위원회의 동물 시험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1-4. 실험에 사용한 동물 그룹과 약물 투여 방식
마우스는 5마리씩 4개의 그룹 (1. 비히클, 2. 스코폴라민 1 mg/kg, 3. 율피 5 mg/kg, 4. 율피 10 mg/kg)으로 나누어 실험에 투입되었다. 각각의 율피는 1 %의 Tween 80이 포함된 0.5 %의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으로 용해하여 준비하였으며, 스코폴라민은 생리적 식염수로 녹여 사용하였다. 비히클 그룹을 제외한 모든 마우스는 Y-미로 실험을 시작하기 5분 전에 그리고 수동 회피 실험으로부터 30분 전에 스코폴라민 염산염 (1 mg/kg, i.p.)을 처리하였으며, 각각의 율피 용량은 스코폴라민 처리 전 7일 동안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 AChE )의 활성 측정
신경 전달 물질 중의 하나인 아세틸콜린은 시냅스와 시냅스 사이의 신경 전달에 관계하는 가장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는 아세틸콜린을 아세테이트와 콜린으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인지 기능 개선제 및 치매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품들의 표적 물질이며, 알츠하이머 질병 환자의 뇌에서 이 효소의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Ellman 법(Ellman G.L, Courtney K.D, Andres V.J, FeatherstoneR.M. A new and rapid color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7:88-95 (1961))에 기초하여 ACh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ATCI는 반응의 기질로서, DTNB는 AChE 활성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었다. 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8.0) 150 μl, 10 μl 율피 추출물, 그리고 20 μl 효소 용액(0.1 units/ml)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37℃에서 15분 동안 경과시키고, 10 mM 농도의 DTNB 10 μl와 14 mM 농도의 ATCI 10 μl을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ATCI 가수분해는 DNTB와 티오콜린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5-티오-2-니트로벤조에이트 음이온 형성을 통해 측정하였는데, 구체적으로 10분 경과 후 41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율피 추출물은 AchE 억제 활성이 있으며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의 분해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효능 측정
본 실시예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 효능 측정을 위해 난조 등의 문헌(Nanjo, F., Goto, K., Seto, R., Suzuki, M., Sakai, M., Hara, 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1; 895-902. 1996.)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기 다른 함량으로 조제된 율피 추출물 40 ul에 DPPH 40 ul (60 uM, 메탄올 용액에 용해됨)를 투입한 후 10초간 혼합하고, 100 ul 테플론 모세관으로 이동시켜 2분 후 ESR 스펙트로미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율피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효능이 증가하였으며, IC50은 1.5 μg/ml이었다.
수동 회피 실험을 통한 학습 능력 효과 측정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 회피 행동을 위한 훈련 및 시험을 위해 두 개의 동일한 명/암 정방형 상자를 가진 미국 GEMINI 사(San Diego Instruments, San Diego, CA, USA)의 수동 회피 실험 시스템(Active and passive avoidance system)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장치는 명 챔버(밝은 방)과 암 챔버(어두운 방)을 가지고 있으며, 컴퓨터로 조절되는 문에 의해 구분된다. 마우스를 밝은 방에 넣은 후 빛을 주어 어두운 방으로 가게 한 후 전류를 통하게 하여 마우스가 이를 기억하게 하였다. 즉, 마우스가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면 문이 자동으로 닫히고 5초간 0.5 mA의 전기적 발 쇼크(Electrical foot shock)를 준다. 이때, 밝은 방에서 어두운 방으로 회피하는데 걸리는 시간 TLT(Transfer latency time)을 컴퓨터를 통해 기록, 저장하였으며, 전기적 쇼크 및 문의 개폐는 부착된 장치 시스템에 의해 조절되었다. 마우스가 180초 동안 밝은 방에 머물 경우, 마우스가 1회 훈련 시도 후 수동 회피 훈련을 기억하는 것으로 하여, 수동 회피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TL는 대조군 (비히클 처리군)에서 첫 번째 시도에 비해 두 번째 시도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스코폴라민 (Scopolamine) 처리군은 첫 번째 시도에 비해 두 번째 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7일 동안 율피 추출물을 전 처리 (각각 5 및 10 mg/kg, p.o.)한 그룹에서는 첫 번째 시험의 TLT와 비교하여 두 번 째 시험에서 TLT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5 및 10 mg/kg 농도에서는 스코폴라민 처리 그룹에 비해 현저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첫 번째 시도의 TLT는 중요한 의미를 주지 않음을 나타낸다.
Y-미로실험 (Y-maze test)
Y-미로실험의 장치는 3개의 가지(각 가지를 A, B, C로 정함)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가지(arm)의 통로 길이는 40 cm, 폭은 12 cm, 높이는 30 cm이고 세 개의 가지가 인접한 가지와 접하는 각도는 120도이고 모든 실험 장치는 검은색의 폴리비닐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로의 한쪽 가지에 마우스를 조심스럽게 놓고 7분 동안 자유롭게 움직이게 한 다음 마우스가 들어간 가지를 기록하였는데, 마우스가 꼬리까지 완전히 들어갔을 경우에 한하며, 들어갔던 가지에 다시 들어간 경우에도 기록하였다. 이때, 세 개의 다른 가지에 차례로 들어간 경우 1점 (실제 변경, actual alternation)씩 부여하며, 변경 행동력 (Alternation behavior)은 다음의 수학식 1]로 계산된다.
[수학식 1]
변경 행동력 (%) = 실제변경 / 최고변경 (총 입장횟수 - 2) ×100
그 결과,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코폴라민 (1 mg/kg, i.p) 처리 30분 후 변경 행동력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자발적 변경 (spontaneous alternation assessed)은 적응 후 30분 테스트에서 변경 행동력이 감소하였으며, 율피 추출물을 전 처리 (각각 5 및 10 mg/kg, p.o.)한 마우스 그룹에서는 변경 행동력 감소가 개선되었다. 각 그룹의 마우스의 총 입장횟수(Total arm entry)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2 내지 5의 모든 실험 데이터는 Graph pad prism(version 5.01 (USA)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평균 ±SEM로 명시하였고, Tuckey Multiple comparison test에 따라 One Way ANOVA를 통해 분석되었다. 각각의 효능은 표준 마우스, 스코폴라민 및 율피 처리군을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유의성은 p<0.05을 기준으로 하였다.
6-1. 세포배양 및 세포독성검사( MTT assay)
본 실시예에서는 LPS로 자극된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LPS 및 스코폴레틴 (ST)이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먼저, 마우스 BV-2 신경소교세포를 불활성화 시킨 5% FBS와 100unit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에서 습도가 유지되는 5% CO2, 95% 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의 수는 2.5 X 105 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스포콜레틴의 처리는 배지에 희석하여 농도별 (각각 50μM, 100μM 및 200μM)로 1시간 전처리 하였다. LPS는 배지에 희석하여 200ng/㎖을 사용하였다.
스코폴레틴의 세포 독성 검사는 MTT 어세이로 확인 하였으며, MTT 어세이는 NO 어세이를 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있는 세포를 2 mg/㎖ 농도의 MTT 20㎕를 넣어 준 후, 배양기에서 1시간 반응 시켜 DMSO 400㎕로 포르마잔 결정 (formazan crystal)을 녹여 주어 96 웰에 상층액 200㎕씩 옮긴 다음 파장이 540 nm인 Vmax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MTT 측정 결과, ST 단독으로 또는 같이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 하였다(도 5(B)). 이는 ST가 세포 생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6-2. NO(nitric oxide) 어세이
ST의 항염증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동일한 신경염증 유발 인자인 LPS(200ng/㎖)로 자극된 마우스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아질산염(NO)의 저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NO의 생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마이크로플레이트 (24 웰) 어세이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세포를 1 ×105 세포/웰을 파종한 후, LPS와 스포폴레틴을 농도별 (각각 50, 100 및 200 μM)로 첨가 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기서 반응시킨 후, 상층액을 96 웰에 덜어 각각 100㎕씩 Griess 시약 (1% 설파닐아미드/0.1% N-(1-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2.5% H3PO4)와 반응 시킨 후, 파장이 550nm인 Vmax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사용하여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ST 농도에서 아질산염(NO)의 방출양이 LPS만 처리한 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하였다 (도 5(A)).
iNOS와 COX-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단계 발현 저해 작용
본 실시예에서 염증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iNOS 및 COX-2(cyclooxygenase type 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단계 발현 양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BV-2 신경소교세포에 LPS 및 ST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 X 106 세포/웰로 배양하여 6시간 후, 세포 상층액을 제거하고, 세포에서 RNA를 동정하여, iNOS 및 COX-2 유전자를 RT-PC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 X 106 세포/웰로 배양하여 18시간 후, 세포 상층액을 제거하고, 세포에서 단백질을 동정하여, iNOS 및 COX-2 단백질을 웨스턴 블랏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시예 7 및 하기 실시예 8과의 RT-PCR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BV-2 신경소교세포주의 모든 RNA 동정은 Trizol 시약 (invitrogen, CA, USA)을 이용하여 제조회사가 제시한 사용법에 따라 분리하였다. BV-2 신경소교세포주에 TRizol 시약을 1㎖를 넣어주고 클로로포름을 200㎕ 넣어준 후 잘 섞어주고 실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원심분리 (4℃, 16,000 rpm, 15분)한다. 상층액에서 500㎕를 새 튜브에 옮긴다. 동일 양의 이소프로판올 500㎕을 넣어주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 (4℃, 16000rpm, 15분)한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75% EtOH을 이용하여 2회의 세척을 하고 펠릿을 잘 건조시키고 DEPC-water로 잘 녹여준다. RT(reverse transcription) PCR은 시료를 1㎍/㎕의 농도가 되도록 하고 ReverTra Ace (TOYOBO, JAPAN)의 cDNA 합성법에 따라 cDNA를 합성 한 후, 각 PCR 반응은 cDNA 2㎕ (0.5㎍/㎕)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응 조성은 AccuPower®RocketPlex RT-PCR PreMix (BIONEER)를 사용하였으며, 주형(template) 2㎕, PreMix 2㎕, 프라이머-F 1㎕, 프라이머-R 1㎕, 증류수 16㎕를 반응조건 94℃ 5분, 94℃ 30초 - 54℃ 1분 - 72℃ 1분 25회 반복, 72℃ 5분, 4℃ 보관으로 하여 총 22㎕를 반응시켰다. 사용한 프라이머 및 이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크기
(bp)
iNOS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5′-CTTGCAAGTCCAAGTCTTGC-3′
5′-GTATGTGTCTGCAGATGTGCTG-3′
368
COX-2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5′-ACATCCCTGAGAACCTGCAGT-3′
5′-CCAGGAGGATGGAGTTGTTGT-3′
413
IL-6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5′-GGAGGCTTAATTACACATGTT-3′
5'-TGATTTCAAAGATGAATTGGAT-3'
347
IL-1β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5′-CATATGAGCTGAAAGCTCTCCA-3′
5'-GACACAGATTCCATGGTGAAGTC-3'
671
TNF-α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5′-TTCGAGTGACAAGCCTGTAGC-3′
5′-AGATTGACCTCAGCGCTGAGT-3′
369
GAPDH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5′-GCAGTGGCAAAGTGGAGATTG-3′
5′-TGCAGGATGCATTGCTGACA-3′
357
본 실시예 7 및 하기 9에서 웨스턴 블랏 분석은 다음의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단백질의 동정은 세포를 샘플 완충액 [글리세롤, 10% SDS, 0.5M Tris-Hcl]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동일량의 단백질을 10% SDS-PAGE에 전기영동 한 후, 0.2㎛ 니트로셀룰로오스 (NC: GE Healthcare Life Sciences)를 사용하여 겔에서 멤브레인에 옮겼다. 항체의 사용은 1차 항체로 항-β-액틴, 항-COX-2 (1:2000; Santa Cruz), 항-iNOS, 항-IKK, 항-IκB-α, 항-p65 (1:2000; Cell Signaling) 으로 희석하여 4℃에서 O/N (밤새) 하고 2차 항체로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Horseradish peroxidase, HRP)를 가지고 있는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ECL 키트(pierce, CA) 또는 Femto (Thermo, MA, USA)로 반응킨 후, LAS-3000(Fuji Co, Japan)를 사용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S만 처리한 군에서의 iNOS 및 COX-2의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ST를 농도별 (각각 50, 100 및 200 μM)로 처리한 군에서 iNOS 및 COX-2의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은 LPS만 처리한 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iNOS 및 COX-2의 유전자 (도 6(A) 및 6(C))와 단백질 발현량 (도 6(B) 및 6(D))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전염증성 매개체인 TNF -α, IL-6 및 IL- 1β의 유전자 단계에서의 ST 농도에 따른 저해 효능
본 실시예에서는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및 IL-1β 유전자의 발현 양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 X 105 세포/웰로 배양하여 6시간 후, 세포 상층액을 제거 하고 세포에서 RNA를 동정하여, TNF-α, IL-6, IL-1β 유전자를 RT-PC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RT-PCR은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TNF-α, IL-6 및 IL-1β 유전자의 발현량이 거의 없음을 확인 하였으며 LPS (200ng/㎖)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TNF-α, IL-6 및 IL-1β 유전자의 발현량이 확연히 증가하였고, ST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발현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GAPDH는 유전자 정량 분석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염증성 경로인 NF - κB 활성화에 대한 ST의 억제 효능
LPS는 NF-κB 활성화를 통해 iNOS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ST가 NF-κB 신호전달체계의 활성화를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ST가 LPS에 의해 활성화된 BV-2 세포에서, 세포질의 IKK 인산화, IκB-α 분해 그리고 p65의 인산화 및 핵이동에 대해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 X 105cell/㎖로 12시간 배양하고, ST를 농도별로 1시간 전 처리 후, LPS (200ng/㎖)로 세포에 자극 하였다. 실험 30분 후, 세포에서 단백질을 동정하여 웨스턴 블랏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웨스턴 블랏 분석은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질에서 LPS에 의해 유발된 IKK의 인산화 및 IκB-α의 분해를 억제하였고 (도 8(A) 및 8(B)), 핵에서 인산화된 p65 서브유닛의 양을 감소시켰다 (도 8(C)). 이러한 실험결과는 활성화된 BV-2 신경소교세포에서, ST에 의해 NO 생성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 NF-κB 신호전달체계의 차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예상하게 한다.
실험 결과의 재현성 확인을 위하여 실시예 6 내지 9의 모든 실험 데이터는 평균값 ±표준편차로 표기 하였으며, 각 실험은 3회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의 통계분석은 Graphpad Prism V5.01. software 를 사용하여 Tukey method에 따라 One-way ANOVA를 하였다.
<110> Konkuk University Glocal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or neurodegenerative disease comprising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s or scopoletin isolated therefrom <130> 1061741 <160> 1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 forward primer <400> 1 cttgcaagtc caagtcttgc 20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 reverse primer <400> 2 gtatgtgtct gcagatgtgc tg 22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2 forward primer <400> 3 acatccctga gaacctgcag t 21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2 reverse primer <400> 4 ccaggaggat ggagttgttg t 21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forward primer <400> 5 ggaggcttaa ttacacatgt t 21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reverse primer <400> 6 tgatttcaaa gatgaattgg at 22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beta forward primer <400> 7 catatgagct gaaagctctc ca 22 <210> 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beta reverse primer <400> 8 gacacagatt ccatggtgaa gtc 23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forward primer <400> 9 ttcgagtgac aagcctgtag c 21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reverse primer <400> 10 agattgacct cagcgctgag t 21 <210> 1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11 gcagtggcaa agtggagatt g 21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12 tgcaggatgc attgctgaca 20

Claims (7)

  1.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병 (pick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dt-jakob disease),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질환은 다발성경화증 (multiple sclerosi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전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피질-기저핵 퇴행증(cortico basal degeneration), 및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병 (pick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dt-jakob disease),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질환은 다발성경화증 (multiple sclerosi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전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피질-기저핵 퇴행증(cortico basal degeneration), 및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기능 또는 인지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60156727A 2016-11-23 2016-11-23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58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27A KR20180058072A (ko) 2016-11-23 2016-11-23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27A KR20180058072A (ko) 2016-11-23 2016-11-23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072A true KR20180058072A (ko) 2018-05-31

Family

ID=6245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727A KR20180058072A (ko) 2016-11-23 2016-11-23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80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845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파미니티 실크 펩타이드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21143144A (ja) * 2020-03-11 2021-09-24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845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파미니티 실크 펩타이드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21143144A (ja) * 2020-03-11 2021-09-24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JP6989976B2 (ja) 2020-03-11 2022-01-12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943B1 (ko)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26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1286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peel extract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CN108472325B (zh) 包含蜂斗菜叶提取物的用于改善记忆力的组合物
KR102607602B1 (ko) 골관절염에 대한 상승적인 조성물
KR101755097B1 (ko)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80058072A (ko)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45757A (ko)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1164A (ko) 강황, 모과 및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9370542B2 (en) Med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KR20200046772A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0157A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US6737087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siasari Radix extracts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KR101815573B1 (ko) 채송화(Portulaca grandiflora Hook.)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090003632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야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8186705A1 (ko)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101468288B1 (ko) 두충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00994B1 (ko)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49776B1 (ko) 백출 및 수영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1398B1 (ko) 쇠꼬리산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조성물
KR101887585B1 (ko) 암브로시아 아르테미시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신경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52067B1 (ko)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