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055A -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055A
KR20180058055A KR1020160156696A KR20160156696A KR20180058055A KR 20180058055 A KR20180058055 A KR 20180058055A KR 1020160156696 A KR1020160156696 A KR 1020160156696A KR 20160156696 A KR20160156696 A KR 20160156696A KR 20180058055 A KR20180058055 A KR 2018005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ing unit
predetermined
unit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863B1 (ko
Inventor
이동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5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5Control systems based on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1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parameters specified by a numeric value or mathematical formula, e.g. ratios, sizes or concent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팩이 저온상태인 경우, 발열부를 구동하고 구동된 발열부의 온도에 의하여 각기 다른 듀티비를 가진 PWM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부를 제어함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하게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TEMPERATURE OF A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팩이 저온상태인 경우, 발열부를 구동하고 구동된 발열부의 온도에 의하여 각기 다른 듀티비를 가진 PWM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부를 제어함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하게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배터리 팩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차전지는 단위 셀(cell)이 복수 개 구성되는 어셈블리(assembly)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셀은 양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알루미늄 박막층 등으로 구성되며, 배터리 팩의 충/방전은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배터리는 주변 온도 조건 환경에 영향을 받게 된다.
만약 저온상태에서 충/방전이 진행되게 되면 상기 전해액의 점도는 높아져 내부저항이 증가되고 충/방전 시 이동하는 리튬의 이온의 움직임이 느려짐에 따라 배터리 팩의 수명이나 안정성, 구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 팩의 내부 온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Li-ion 배터리 팩에 발열부품을 부착하여 배터리 팩의 내부 온도를 증가시켜 왔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발열부품을 배터리 팩에 부착하여 발열부품의 온도가 적정온도이상 값으로 증가된 경우, 배터리 팩의 온도는 소정의 적정구동온도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발열부품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작게는 배터리 팩의 성능이 저하되고, 크게는 폭발 및 발화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저온 상태에서 발열부품 구동 시 발열부품의 발열이 소정범위의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저온에서도 안전하고 안정적인 배터리 팩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KR 2012-0032218 A
본 발명은 저온 시 구동되는 발열부품의 발열을 제어하여 안전하고 안정적인 배터리 팩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제어 방법은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터리 셀 온도 측정단계,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발열부가 구동되도록 발열부 스위치를 온 시키는 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 상기 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에서 발열부가 구동된 후, 발열부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발열부의 스위치를 소정 주기로 온/오프 시키는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 및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발열부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발열부 스위치 오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는, 상기 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에서 온 제어된 스위치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발열부 온도 측정단계,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발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과 비교하는 발열부 온도 비교단계 및 상기 발열부 온도 비교단계의 비교결과로 상기 측정된 발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초기 듀티비를 가지는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를 상기 발열부 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펄스변조(PWM) 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의 소정의 초기 듀티비는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에 의하여 정해진다.
상기 펄스변조(PWM) 신호 출력단계에서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고 발열부 온도측정 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 기 출력된 펄스변조(PWM) 신호의 듀티비 또는 주기를 감소시킨 보정 펄스변조(PWM) 신호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팩의 온도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감싸도록 형성된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전류 공급을 온/오프 하는 발열부 스위치부 및 상기 발열부의 온도에 따라 발열부 스위치가 온/오프 제어되도록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는 BM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BMS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발열부 온도 측정부,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및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를 각각의 기준온도 값과 비교하는 온도 비교부 및 상기 온도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각각의 소정의 듀티비를 가진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변조(PWM) 신호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펄스변조(PWM) 신호출력부는,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발열부 스위치를 온 시키는 소정의 제1 듀티비를 가진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발열부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소정의 제2 듀티비를 가진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BMS는, 상기 발열부 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신호 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펄스변조(PWM) 신호출력부는,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발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초기 듀티비를 가지는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를 상기 발열부 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의 소정의 초기 듀티비는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에 의하여 정해진다.
상기 BMS는, BMS 내 소자들의 온도를 측정하는 BMS 온도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 및 장치는 배터리 팩에 부착된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소정의 듀티비를 가진 PWM 신호를 출력시켜 배터리 팩의 온도를 안정적이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 중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의 수행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장치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식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실시 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은 배터리 셀이 저온상태인 경우, PWM 신호를 이용하여 발열부의 발열을 제어하며 구동시킴에 따라 배터리 팩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은 주기적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여(배터리 셀 온도 측정단계: S110)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발열부가 구동되도록 발열부 스위치를 온 시킨다(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 S120).
상기 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S120)에서 구동된 발열부의 온도에 따라 각각의 듀티비를 가진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킨다(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 S130).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S130)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S140), 상기 발열부 스위치를 오프 시키고(발열부 스위치 오프단계: S150),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S130)에서 가열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인 경우(S140)에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으로 될 때까지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S130)를 반복한다.
여기서, 충전 시 배터리 셀의 적정 구동온도는 0~45℃이고, 방전 시 배터리 셀의 적정 구동온도는 -20~60℃이며 배터리 셀은 이러한 적정 구동온도를 유지해야 된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은 배터리 셀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적정의 최저온도로써, 일 실시 예로 충전 시에는 5℃로 설정하고 방전 시에는 -10℃로 설정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은 일 실시 예로써, 충전 시 20℃로 방전 시 10℃로 설정하여 충전 및 방전이 효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S130)는 도 2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 중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S120)에서 온 제어된 스위치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발열부 온도 측정단계: S131),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단계(S131)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과 비교한다(발열부 온도 비교단계: S132).
상기 발열부 온도 비교단계(S132)의 비교결과로 상기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초기 듀티비를 가지는 초기 PWM 신호를 상기 발열부 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PWM 신호 출력단계: S133).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이 68℃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 팩은 부풀림 현상이 발생되며 배터리 팩의 온도가 177℃인 경우에는 폭발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은 일 실시 예로써, 55℃로 설정하여 발열부의 열로 인하여 배터리 팩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폭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초기 PWM 신호의 소정의 초기 듀티비는 기 설정된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으로써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값이 50℃보다 큰 경우, 배터리 팩의 부풀림 현상의 위험이 커지므로 소정의 초기 듀티비 값을 작은 값(대략10~15%)으로 설정하여 PWM 신호를 출력한다. 만약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값이 50℃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 팩의 부풀림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적으므로 상기 소정의 초기 듀티비 값은 중간 값(대략40~50%)로 설정하여 상기 배터리 팩을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PWM 신호 출력단계(S133)에서 초기 PWM 신호를 출력하고 발열부 온도측정 시 측정된 온도가 여전히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 기 출력된 PWM 신호의 듀티비 또는 주기를 감소시킨 보정 PWM 신호 출력하여 발열부의 열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감소되는 듀티비는 일 실시 예로써, 5%씩 감소되고, 주기는 일 실시 예로써, 5ms씩 감소되는 것으로 설정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듀티비 또는 주기의 감소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만약 듀티비가 40%로 설정하여 출력한다면,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이고 발열부의 온도가 여전히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 40%에서 35%로 감소시켜 PWM 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측정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이고 발열부의 온도가 여전히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에는 35%에서 30%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5%씩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
주기도 마찬가지로, 만약 주기가 40ms로 시작한다면,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이고 발열부의 온도가 여전히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 40ms에서 35ms로 감소시키고, 다시 측정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이고 발열부의 온도가 여전히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에는 35ms에서 30ms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5ms씩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정 PWM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감소시키면서 배터리 셀의 온도는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아래에서 배터리 셀의 온도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의 수행을 도 3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방법의 수행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구간은 제1기준온도 값보다 아래인 구간으로써, 배터리 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구간이므로 발열부의 구동이 필요하다.
2구간 및 3구간은 배터리 셀이 정상 구동되는 구간이다.
(1) 만약 배터리 셀의 온도가 ①인 경우, 발열부는 구동되고, 구동된 발열부로 인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가 ②로 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발열부를 구동시킨다.
구동된 발열부로 인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가 ③으로 된 경우, 배터리 셀의 온도가 정상온도이므로 구동된 발열부를 중단시킨다.
(2) 만약 발열부 구동이 중단된 후,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④ 및 ⑤인 경우,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는 정상온도이므로 발열부 구동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1 기준온도 값과 제2 기준온도 값을 이용하면 배터리 팩이 저온상태인 경우, 발열부의 지속적인 구동 없이도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전체전류가 발열부에 흐르도록 하여 빠르게 배터리 팩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도중에 발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에 도달한 경우, 전류를 감소시켜 발열부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면서 여전히 배터리 팩에 열이 가해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발열부에 갑작스러운 온도상승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발열부의 온도감소가 빠르게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처음부터 제어된 열을 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서서히 배터리 셀의 온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소정의 초기 듀티비를 가지는 초기 PWM 신호를 발열부를 구동시키는 발열부 스위치의 스위칭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여기서 소정의 초기 듀티비는 일 실시 예로써, 10%로 설정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여전히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된 발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초기 PWM 신호의 듀티비 또는 주기를 증가시킨 보정 PWM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배터리 셀이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이거나 상기 발열부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이 될 때가지 상기의 배터리 셀 및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듀티비 또는 주기가 증가된 보정 PWM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을 반복한다.
만약 여기서 배터리 셀의 온도는 여전히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이지만 발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이 되는 경우, PWM 신호출력을 중지시켜 발열부의 구동을 중단되도록 하여 처음부터 다시 발열부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이 68℃를 초과 시 부풀림 현상이 발생되므로 일 실시 예로써, 45℃로 설정하여 상기의 실시 예보다 안전하게 배터리 셀의 온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류를 높이기 위해서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증가시키거나 주기를 증가시켜야 되므로 듀티비는 일 실시 예로써, 3%씩 증가되고, 주기는 일 실시 예로써, 3ms씩 증가되는 것으로 설정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듀티비 또는 주기의 증가는 점진적으로 이뤄지는데, 예를 들어, 만약 듀티비가 10%로 시작한다면, 여전히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이고 발열부의 온도가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 10%에서 13%로 증가시키고, 다시 측정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이고 발열부의 온도가 여전히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에는 13%에서 16%로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3%씩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주기도 마찬가지로, 만약 주기가 10ms로 시작한다면, 여전히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이고 발열부의 온도가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 10ms에서 13ms로 증가시키고, 다시 측정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 미만이고 발열부의 온도가 여전히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에는 13ms에서 16ms로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3ms씩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실시 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는 배터리 팩 저온 시 부착된 발열부가 온/오프 되도록 스위칭 제어하는 PWM 신호를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배터리 팩의 온도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온도 제어장치(30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20)로 구성되어 이러한 배터리 셀(320)을 감싸도록 형성된 발열부(330), 발열부(330)에 전류 공급을 온/오프 하는 발열부 스위치(340) 및 발열부의 온도에 따라 발열부 스위치(340)가 온/오프 제어되도록 PWM 신호를 출력하는 BMS(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330)는 패드, 열선, 액체 히터 또는 금속 히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320)의 상부, 하부, 상하부 또는 셀 측면에 둘러싸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330) 구동을 제어하는 BMS(310)에 대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BMS(310)는 상기 배터리 셀(320)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 상기 발열부(330)의 온도를 측정하는 발열부 온도 측정부(312),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에서 측정된 온도 및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부(312)에서 측정된 온도를 각기 다른 기준 온도 값과 비교하는 온도 비교부(313) 및 온도 비교부(313)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각각의 듀티비를 가진 PWM 신호를 출력하는 PWM 신호출력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 및 발열부 온도 측정부(312)는 엄밀하게 말하자면 각각의 구성에서 온도가 측정될 수 있도록 명령하는 구성이다.
상기 배터리 셀(320)과 발열부(330)는 온도센서를 각각 부착하여 각 온도 측정부의 명령에 따라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해당 온도 측정부에 전송한다.
또한, BMS(310)는 내부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BMS(310) 내에 있는 소자들의 온도도 감지될 수 있도록 하는 BMS 온도 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를 대신하거나 기존 구성에 추가되어 배터리 팩 온도제어의 정확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좀 더 상세하게 상기 PWM 신호출력부(314)는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발열부 스위치(340)를 온 시키는 소정의 제1 듀티비를 가진 PWM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발열부 스위치(340)를 오프 시키는 소정의 제2 듀티비를 가진 PWM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제1 듀티비는 일 실시 예로 100%로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제2 듀티비는 0%로 설정하여 PWM 신호출력부(314)를 통해 상기 발열부(330)의 구동 및 중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330)의 온/오프만 제어할 수 있도록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별도의 온/오프 신호 출력부를 추가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충전 시 배터리 셀의 적정 구동온도는 0~45℃이고, 방전 시 배터리 셀의 적정 구동온도는 -20~60℃이며 배터리 셀은 이러한 적정 구동온도를 유지해야 된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은 배터리 셀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적정의 최저온도로써, 일 실시 예로 충전 시에는 5℃로 설정하고 방전 시에는 -10℃로 설정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은 일 실시 예로써, 충전 시 20℃로 방전 시 10℃로 설정하여 충전 및 방전이 효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PWM 신호출력부(314)는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부(312)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초기 듀티비를 가지는 초기 PWM 신호를 상기 발열부 스위치(340)의 제어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이 68℃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 팩은 부풀림 현상이 발생되며 배터리 팩의 온도가 177℃인 경우에는 폭발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은 일 실시 예로써, 55℃로 설정하여 발열부의 열로 인하여 배터리 팩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폭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초기PWM 신호의 소정의 초기 듀티비는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에 정해지는 것으로써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값이 50℃보다 큰 경우, 배터리 팩의 부풀림 현상의 위험이 커지므로 소정의 초기 듀티비 값을 작은 값(대략10~15%)으로 설정하여 PWM 신호를 출력한다. 만약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값이 50℃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 팩의 부풀림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적으므로 상기 소정의 초기 듀티비 값은 중간 값(대략40~50%)로 설정하여 상기 배터리 팩을 발열부(330)에서 발생된 열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하기에서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300)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300)는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를 통해 주기적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PWM 신호출력부(314) 또는 별도의 온/오프 신호출력부(미도시)를 통해 발열부(330)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열부 스위치(340)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온 제어를 통해 구동된 상기 발열부(330)는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시간마다 발열부 온도 측정부(312)를 통해 온도가 측정되고, 측정된 발열부(330)의 온도는 온도 비교부(313)를 통해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이 되는지 확인된다.
만약 상기 발열부(33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이 된 경우, PWM 신호 출력부(314)는 소정의 초기 듀티비를 가진 초기 PWM 신호를 발열부 스위치(340)로 출력한다.
발열부 온도 재측정 시 PWM 신호를 통해 제어된 상기 발열부(330)의 온도가 여전히 한계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PWM 신호 출력부(314)는 기 출력된 PWM 신호의 듀티비 또는 주기를 감소시킨 보정 PWM신호를 출력하여 발열부의 열을 감소시키며 배터리 셀(320)이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가 반복되어 상기 배터리 셀(32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PWM 신호출력부(314) 또는 별도의 온/오프 신호출력부(미도시)는 상기 발열부 스위치(340)가 오프 제어될 수 있도록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배터리 셀이 저온상태가 되면, 상기 실시 예와 달리 처음부터 제어된 듀티비를 가진 PWM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부의 온도가 서서히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발열부의 갑작스러운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발열부의 온도변화를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는 주기적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에는 PWM 신호출력부(314)를 통해 발열부(330)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열부 스위치(340)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전히 배터리 셀(32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이며 발열부(33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미만인 경우, PWM 신호출력부(314)는 기 출력된 PWM 신호의 듀티비 또는 주가를 증가시킨 보정 PWM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PWM 신호출력부(314)의 보정 PWM 신호 출력은 상기 배터리 셀(32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이상이 될 때까지 반복하며, 만약 구동 중에 상기 발열부(33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인 된 경우에는 PWM 신호출력을 중지시켜 발열부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그런 후,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311)는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배터리 셀(320) 온도가 아직 제2 기준온도 값에 이르지 않았으므로 재구동을 시작하여 PWM 신호 출력부(314)는 상기 발열부 스위치(340)에 낮은 듀티비를 가진 PWM 신호를 출력하여 가열된 발열부(330)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서술한 특허청구범위 기술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300: 배터리 팩 온도 제어장치
310: BMS
311: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
312: 발열부 온도 측정부
313: 온도 비교부
314: PWM 신호 출력부
320: 배터리 셀
330: 발열부
340: 발열부 스위치

Claims (11)

  1.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터리 셀 온도 측정단계;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발열부가 구동되도록 발열부 스위치를 온 시키는 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
    상기 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에서 발열부가 구동된 후, 발열부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발열부의 스위치를 소정 주기로 온/오프 시키는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 및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발열부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발열부 스위치 오프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유지단계는,
    상기 발열부 스위치 온 단계에서 온 제어된 스위치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발열부 온도 측정단계;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발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과 비교하는 발열부 온도 비교단계; 및
    상기 발열부 온도 비교단계의 비교결과로 상기 측정된 발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초기 듀티비를 가지는 초기 펄스변조(PWM)신호를 상기 발열부 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펄스변조(PWM) 신호 출력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의 소정의 초기 듀티비는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펄스변조(PWM) 신호 출력단계에서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고 발열부 온도측정 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인 경우, 기 출력된 펄스변조(PWM) 신호의 듀티비 또는 주기를 감소시킨 보정 펄스변조(PWM) 신호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방법.
  5. 복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팩의 온도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감싸도록 형성된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전류 공급을 온/오프 하는 발열부 스위치부; 및
    상기 발열부의 온도에 따라 발열부 스위치가 온/오프 제어되도록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는 BMS;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발열부 온도 측정부;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및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를 각각의 기준온도 값과 비교하는 온도 비교부; 및
    상기 온도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각각의 소정의 듀티비를 가진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는 펄스변조(PWM) 신호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펄스변조(PWM) 신호출력부는,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온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발열부 스위치를 온 시키는 소정의 제1 듀티비를 가진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셀 온도 측정부에서 배터리 셀의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발열부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소정의 제2 듀티비를 가진 펄스변조(PWM)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발열부 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신호 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펄스변조(PWM) 신호출력부는,
    상기 발열부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발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초기 듀티비를 가지는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를 상기 발열부 스위치의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초기 펄스변조(PWM) 신호의 소정의 초기 듀티비는 기 설정된 제3 기준온도 값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BMS는, BMS 내 소자들의 온도를 측정하는 BMS 온도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온도제어 장치.

KR1020160156696A 2016-11-23 2016-11-23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4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696A KR102248863B1 (ko) 2016-11-23 2016-11-23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696A KR102248863B1 (ko) 2016-11-23 2016-11-23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055A true KR20180058055A (ko) 2018-05-31
KR102248863B1 KR102248863B1 (ko) 2021-05-06

Family

ID=6245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696A KR102248863B1 (ko) 2016-11-23 2016-11-23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8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0976A (zh) * 2020-09-16 2020-12-11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动力电池的加热方法、装置和车辆
WO2021261831A1 (ko)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ms 온도 센서를 활용한 배터리 셀의 온도 이상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14388938A (zh) * 2020-10-21 2022-04-22 航天科工惯性技术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温度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2511A (ja) * 2009-02-04 2010-08-19 Toyota Motor Corp 昇温システム
KR20120032218A (ko)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온 환경의 성능 개선을 위한 배터리팩 제어장치
KR101297005B1 (ko) * 2010-12-16 2013-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45624A (ko) * 2012-10-08 2014-04-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보온장치 및 보온방법
KR20160014167A (ko) * 2014-07-28 2016-0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ms 온도 조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b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2511A (ja) * 2009-02-04 2010-08-19 Toyota Motor Corp 昇温システム
KR20120032218A (ko)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온 환경의 성능 개선을 위한 배터리팩 제어장치
KR101297005B1 (ko) * 2010-12-16 2013-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45624A (ko) * 2012-10-08 2014-04-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보온장치 및 보온방법
KR20160014167A (ko) * 2014-07-28 2016-0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ms 온도 조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b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31A1 (ko)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ms 온도 센서를 활용한 배터리 셀의 온도 이상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12060976A (zh) * 2020-09-16 2020-12-11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动力电池的加热方法、装置和车辆
CN114388938A (zh) * 2020-10-21 2022-04-22 航天科工惯性技术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温度控制系统
CN114388938B (zh) * 2020-10-21 2023-10-17 航天科工惯性技术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温度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863B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265B1 (ko)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4660523B2 (ja) 電池セルの表面温度で充電制御する充電システム
US11919415B2 (en)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control method
JP6208213B2 (ja) 二次電池の充電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電池パック
US599066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terminal voltage of battery
JP6195310B2 (ja) 電池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池パック
KR102119154B1 (ko) 배터리 팩
EP1349230B1 (en) Power supply unit
JP2007244142A (ja) 電池群制御装置及び電池電源システム
EP2131470A2 (en) Battery Pack and Charging Method
US9570923B2 (en) Adjusting device, battery pack, and adjusting method
KR20180058055A (ko) 배터리 팩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EP2244349A1 (en) Battery charger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CA2740221A1 (en) Fuel cell with low-efficiency operation
JP2009105041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パルス充電方法、及びパルス充電制御装置
JP2009178040A (ja) 電池群制御装置及び電池電源システム
EP2565661B1 (en) Motor device and power tool
EP2311167A2 (en) Charging system and battery pack
JP4248854B2 (ja) 電池管理システム、及び電池パック
US20150077061A1 (en) Regulating device, battery assembly device and regulating method
JPWO2011102241A1 (ja) セル容量調整装置
US11152634B2 (en) Voltag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fuel cell
JP2002199605A (ja) 充電方法および充電装置
KR20120060505A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4171323A (ja) セルバラ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