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488A - 피크 검출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피크 검출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488A
KR20180057488A KR1020170062561A KR20170062561A KR20180057488A KR 20180057488 A KR20180057488 A KR 20180057488A KR 1020170062561 A KR1020170062561 A KR 1020170062561A KR 20170062561 A KR20170062561 A KR 20170062561A KR 20180057488 A KR20180057488 A KR 2018005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il
camera module
drive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최우영
김상훈
고주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5/701,57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54875B2/en
Priority to CN201711159221.3A priority patent/CN108089390B/zh
Publication of KR2018005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2007/1684Armature position measurement using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에 배치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대향 배치되는 코일;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구동기; 상기 코일의 코일신호에 기초된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기; 및 상기 검출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상기 피크치에 기초해서 상기 자성체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를 제공하는 피크 검출기;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크 검출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CAMERA MODULE USING PEAK DETEC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경우 보다 슬림하면서 고성능의 이미지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개구율이 높은 렌즈의 장착, 자동 초점(Auto-focus) 및 OIS (Optical Image Stabilizer) 등의 기능이 필요하다. 그런데, 자동 초점 또는 OIS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위치 값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과 정확한 위치를 판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 기술로는, 홀(Hall) 센서와 위치 센싱용 마그네트(Magnet)를 이용해서 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기존 홀(Hall)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마그네트(magnet)가 필요할 수 있고, 이 경우 홀(Hall) 센서의 위치에 대한 기준값이 온도나 기타 외부 사항에 따라 변화될 수 있어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Auto Gain Control AMP), 차동-싱글 증폭기(Differential to single Amplifier) 또는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등의 추가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 홀(Hall)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홀 센서 구동을 위해 바이어스(Bias) 전류(예, 수mA)가 소모될 수 있고, 또한 각종 증폭기(AMP) 등에 의한 전류가 추가로 소모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인 설계 제약, 추가적인 소모 전류, 그리고 재료비 상승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홀(Hall) 센서를 채용하지 않고, 위치 검출 및 위치 제어를 할 수 있는 해결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8308호
본 발명의 과제는 홀 센서 등과 같은 별도의 센싱 수단을 채용하지 않고, 하나의 코일을 통해 렌즈 배럴의 구동 및 센싱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에 배치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대향 배치되는 코일;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구동기; 상기 코일의 코일신호에 기초된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기; 및 상기 검출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상기 피크치에 기초해서 상기 자성체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를 제공하는 피크 검출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에 배치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대향 배치되는 코일;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구동기; 상기 코일의 코일신호에 기초된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기; 및 상기 검출 신호의 최대치와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의 임피던스의 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코일의 임피던스의 크기에 기초해 상기 자성체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를 제공하는 피크 검출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홀 센서 등과 같은 별도의 센싱 수단을 채용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간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코일을 통해 구동뿐만 아니라 센싱을 수행할 수 있고, 하나의 코일을 통해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센싱 방식을 이용하여 폐루프 위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밀한 위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제조상 발생 가능한 불량 요소와 공정 과정이 간소화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효과 외에 부가적인 효과도 달성 가능하게 되며, 별도의 센싱 수단이 없는 구조이므로 자동 초점(AF) 액추에이터뿐만 아니라 OIS (Optical Image Stabilizer) 액추에이터 또는 광학식 줌(zoom) 기능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의 개념도 이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동기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구동기의 다른 일 예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구동 스위치 회로의 일 동작 예시도이고, 도 6의 (b)은 도 5의 구동 스위치 회로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의 파형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구동 스위치 회로의 다른 일 동작 예시도이고, 도 6의 (b)은 도 5의 구동 스위치 회로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의 파형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구동신호 생성회로의 일 예시도이다.
도 9의 (a), (b), (c) 및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에 대한 자성체의 상대적 위치 예시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구동 신호 및 위치 확인용 신호의 일 예시도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검출신호 및 제2 검출신호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크 검출기의 일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피크 검출기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의 파형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크 검출기의 다른 일 예시도이다.
도 14의 (a)는 피크 검출기의 샘플/홀드 회로(420)의 샘플링 동작 설명도이고, 도 14의 (b)는 피크 검출기의 샘플/홀드 회로(420)의 홀드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케이스(110), 하우징(120), 렌즈 배럴(130), 기판(140), 코일(150) 및 자성체(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볼 베어링(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볼 베어링을 채용한 볼 베어링 타입의 카메라 모듈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 예로 스프링 타입의 카메라 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렌즈 배럴(13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렌즈 배럴(130)의 내부에 렌즈가 광축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광축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배럴(130)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렌즈 배럴(130)은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우징(120)과 결합되어, 오토 포커싱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OIS (Optical Image Stabilizer)를 위하여 광축에 수직인 방향(예,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렌즈 배럴(130)이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렌즈 배럴(130)을 수용할 수 있다.
렌즈 배럴(130)이 하우징(120)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 배럴(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렌즈 배럴(130)에는 광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볼 베어링(135)이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볼 베어링(135)은 렌즈 배럴(130)과 하우징(120) 사이에, 렌즈 배럴(130)의 일면과 하우징(120)의 일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구름 운동을 통해 렌즈 배럴(130)을 지지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1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우징(120)과 결합하여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우징(120)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우징(120)과 결합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거나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하우징(120)의 하부에 장착되는 기판의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자성체(160)는 렌즈 배럴(13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코일(150)은 하우징(120)에 장착되는 기판(140)의 일면에 배치되어 자성체(160)와 대향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성체(160)는 마그네트 성질을 띠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마그네트가 될 수 있고, 또는 도체가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스(110)와 렌즈 배럴(130)의 사이에는 스토퍼가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렌즈 배럴(1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기판(140)의 타면에 장착되는 요크를 더 포함하여, 자성체(160)와 코일(150) 간에 발생하는 자속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위치 확인용 신호로서 교류의 전류를 이용하고 검출 신호로서 검출 전압을 이용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 확인용 신호로서 교류의 전압을 이용하고 검출 신호로서 교류의 전류를 이용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본 서류의 각 도면에서는,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는 가능한 차이점에 대한 사항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는, 코일(150), 자성체(160), 구동기(200), 신호 추출기(300) 및 피크 검출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는, 제어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일(150)은 하우징(120, 도 1)에 장착되는 기판(140, 도 1)의 일면에 배치되어 자성체(160)와 대향할 수 있고, 자성체(160)에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성체(160)와 이격되어 있다. 일 예로, 도 3에서, 코일(150)은 저항 성분(Rs) 및 인덕턴스 성분(Lx)으로 모델링되어 도시되어 있다.
자성체(160)는 렌즈 배럴(13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코일(150)에 의한 구동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동기(200)는 상기 코일(150)에 위치 확인용 신호(im)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는 코일(150)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포함하는 교류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은 렌즈 배럴(130)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코일(150)의 임피던스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로서, 일 예로, 가청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기(200)는 구동 신호(Idrv)와 독립적으로 위치 확인용 신호(im)를 상기 코일(15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폐루프 위치 제어를 위해서는, 구동기(200)는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와 구동 신호(Idrv)가 중첩된 코일 신호(IDRV)를 상기 코일(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포함하는 교류 신호로서, 예를 들어, 정현파(sinusoidal wave) 신호, 삼각파(triangle wave) 신호, 톱니파(sawtooth wave) 신호 또는 구형파(square wave)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 각 실시 예에서, 위치 확인용 신호(im)는 상기 예시한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교류 신호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구동기(200)는, 구동신호 생성회로(210) 및 구동 스위치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 생성회로(210)는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4)를 생성하고,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4)중 액티브 레벨을 갖는 하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에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를 중첩시켜 중첩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레벨은, 해당 구동 스위치인 트랜지스터에 전류가 흐르도록, 해당 트랜지스터를 액티브 상태로 만드는 직류 전압 레벨이다. 일 예로 액티브 레벨은, 영전압 보다는 높거나 전원전압의 레벨보다는 낮을 수 있다. 상기 액티브 레벨이 조절되는 경우, 해당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DC 전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치 회로(220)는 상기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4) 및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에 따라 상기 구동 신호(Idrv) 및 위치 확인용 신호(im)를 포함하는 코일 신호(IDRV)를 생성하여 상기 코일(15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200)가 코일(150)에 구동 신호(Idrv)를 인가하면, 상기 코일(150)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 전자기력에 의해 자성체(160)에 구동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구동기(200)는 코일(150)에 구동 신호(Idrv)를 인가하여 자성체(160)에 구동력을 제공할 있다. 일 예로, 구동기(200)가 구동 신호(Idrv)를 코일(150)에 인가하면 코일(150)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코일(15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자성체(160)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렌즈 배럴(130)을 광축 방향(또는 광축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력에 의해 렌즈 배럴(130)은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기(200)는 자성체(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드라이버 IC(Driver IC: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코일 신호(IDRV)가 코일 전류인 경우, 상기 구동 신호(Idrv)는 제어기(500,도 2)의 제어에 따라 렌즈 배럴(130)을 광축 또는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구동기(200)에 의해 생성되는 직류(DC) 전류일 수 있다.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는 렌즈 배럴(130)의 위치 확인을 위해 상기 구동기(200)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갖는 교류(AC) 전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 신호(IDRV)가 코일 전류인 경우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Idrv는 구동 신호에 대응되는 직류의 구동 전류이고, im은 위치 확인용 신호에 대응되는 교류의 위치 확인용 전류로서, 상기 k*sin(2*π*Fmod*t)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k는 위치 확인용 전류의 진폭이다.
위치 확인용 신호(im)의 크기(k)와 주파수(Fmod)는 렌즈 배럴(130)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코일(150)의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범위일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확인용 신호(im)의 크기(k)는 렌즈 배럴(130)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구동 신호의 크기에 비해 작고, 위치 확인용 신호(im)의 주파수(Fmod)는 렌즈 배럴(130)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는데, 여기서,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은 렌즈 배럴의 움직임 또는 공진을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의 크기(k)는 상기 구동 신호의 크기보다 작고, 위치 확인용 신호(im)의 주파수(Fmod)는 가청 주파수보다 높다. 일 예로 구동 신호의 크기가 100mA일 경우,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의 크기(k)는 5mA일 수 있고, 위치 확인용 신호(im)의 주파수(Fmod)는 100kHz일 수 있다.
신호 추출기(300)는 상기 코일(150)의 코일 신호(IDRV)에 기초해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Vd)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추출기(300)는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포함하는 교류의 검출 신호(Vd)를 추출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신호(IDRV)는 중첩 전류 또는 중첩 전압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코일 신호(IDRV)가 코일 전류인 경우, 코일 전류(IDRV)가 코일(150)에 흐르면, 신호 추출기(300)는 코일(150)의 양단 전압(VD)중에서 교류의 검출 전압(Vd)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150)의 양단 전압(VD)은 코일 신호(IDRV)에 의한 전압으로, 구동 신호(Idrv)에 의한 전압(Vdrv, 도 10의 (b))과 위치 확인용 신호(im)에 의한 검출 전압(V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신호(Vd)는 상기 코일(150)의 양단 전압에서 추출되는 신호로서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갖는 교류(AC) 전압일 수 있다.
피크 검출기(400)는 상기 검출 신호(Vd)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신호(Vd)의 피크치에 기초해서 상기 자성체(160)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Sp)를 제공할 수 있다.
피크 검출기(400)는, 상기 검출 신호(Vd)의 피크치와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150)의 임피던스(ZL)를 검출하고, 상기 코일(150)의 임피던스에 기초해 상기 자성체(160)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Sp)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피크 검출기(400)는 자성체(160)의 이동에 따라 변동하는 코일(150)의 임피던스에 따라 자성체(16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검출 신호(Vd)가 검출 전압이고, 위치 확인용 신호(im)가 위치 확인용 전류인 경우, 검출 전압(Vd)과 위치 확인용 전류(im)의 비율로 코일(150)의 임피던스를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크 검출기(400)는 구동기(200)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렌즈 배럴(130), 구체적으로, 렌즈 배럴(130)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자성체(16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피크 검출기(400)는 검출된 자성체(160)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Sp)를 제어기(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피크 검출기(400)는 검출 전압의 피크치에 따라 코일(150)의 임피던스의 크기를 산출하여 렌즈 배럴(13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피크 검출기(400)는, 하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기(500)는, 상기 피크 검출기(400)로부터의 상기 위치 신호(Sp)와 위치 기준 신호(Sref)에 기초한 위치 오차를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Sf)를 상기 구동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기준 신호(Sref)는 목표(Target)가 되는 기준 위치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카메라 모듈의 외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신호(Sf)는 제어기(500)에서 생성되어 구동기(200)에 전달되는 위치 피드백 신호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500)는 피크 검출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신호(Sp)와 위치 기준 신호(Sref)를 비교하여, 위치 신호(Sp)와 위치 기준 신호(Sref) 간의 차이에 대응되는 위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Sf)를 상기 구동기(200)에 제공하여, 자성체(160)의 위치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기(200), 신호 추출기(300), 피크 검출기(400) 및 제어기(500)는 기판(140)에 장착될 수 있고, 기판(140)과 별도의 특정 기판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140) 또는 특정 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될 수 있고, 기판(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렌즈 배럴(130)의 내측 중공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기판은 특별히 배치되는 위치가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카메라 모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200), 신호 추출기(300), 피크 검출기(400) 및 제어기(500)는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집적회로(IC)로 구현되어 하나의 기판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집적회로로 구현되어 하나 기판 또는 2개 이상의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적회로는 특정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구동기(200)는 제어기(500)로부터 제공받은 피드백 신호(Sf)에 따라 구동용 게이트 신호를 조정하여, 구동 신호(Idrv)를 보정할 수 있고, 보정된 구동 신호(Idrv)가 코일(150)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동기(200)는 코일(15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자성체(160, 도 2)에 전자기력에 대응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배럴(130)의 위치가 상기 코일(150)과 자성체(160)간에 작용하는 구동력에 따라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서, 코일(150)은 하기와 같이, 구동기에 의해, 보이스 구동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하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동기(200)의 구동 스위치 회로는 기준 지점에서 일방향으로 코일 구동이 가능한 하프 브리지(Half Bridge) 또는 기준 지점에서 양방향으로 코일 구동이 가능한 풀 브리지(Full Bridg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이스 구동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방식으로 코일을 구동할 수 있는 한, 코일 구동 방식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도 3의 구동기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구동기(200)는 구동신호 생성회로(210) 및 구동 스위치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 생성회로(210)는, 제1 및 제2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2)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2)중 하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 또는 SG2)에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를 중첩시켜 중첩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치 회로(220)는, 전원전압(VDD) 단자와 상기 코일(150)의 일단(N1) 사이에 접속된 제1 구동 스위치(SH1)와, 상기 코일(150)의 타단(N2)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2 구동 스위치(SL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스위치(SH1,SL1)는 제1 및 제2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2) 및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에 따라 상기 구동 신호(Idrv) 및 위치 확인용 신호(im)를 포함하는 코일 신호(IDRV)를 생성하여 상기 코일(15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구동기의 다른 일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구동기(200)는 구동신호 생성회로(210) 및 구동 스위치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 생성회로(210)는,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4)를 생성하고,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4)중 액티브 레벨을 갖는 하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에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를 중첩시켜 중첩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치 회로(220)는, 전원전압(VDD) 단자와 상기 코일(150)의 일단(N1) 및 상기 코일(150)의 타단(N2)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 스위치(SH1,SH2,SL1,SL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스위치(SH1,SH2,SL1,SL2)는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SG4) 및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에 따라 상기 구동 신호(Idrv) 및 위치 확인용 신호(im)를 포함하는 코일 신호(IDRV)를 생성하여 상기 코일(1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치 회로(220)는, 전원전압(VDD) 단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구동 스위치(SH1) 및 제2 구동 스위치(SL1)를 포함하는 제1 레그(LG1)와, 상기 전원전압(VDD) 단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3 구동 스위치(SH2) 및 제4 구동 스위치(SL2)를 포함하는 제2 레그(LG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 스위치(SH1) 및 제2 구동 스위치(SL1)간의 제1 노드(N1)와 제3 구동 스위치(SH2) 및 제4 구동 스위치(SL2)간의 제2 노드(N2) 사이에 코일(150)이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노드(N1)는 코일(150)의 일단에 해당되고, 제2 노드(N2)는 코일(150)의 타단에 해당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스위치 회로는 구동용 게이트 신호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구동 전류를 조절하는 선형 구동 방식 또는 구동용 게이트 신호의 펄스폭을 이용하여 구동 전류를 조절하는 펄스폭 변조(PWM)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형 구동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이것이 선형 구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6의 (a)는 도 5의 구동 스위치 회로의 일 동작 예시도이고, 도 6의 (b)은 도 5의 구동 스위치 회로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의 파형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의 (a)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 스위치(SH1) 및 제4 구동 스위치(SL2)가 액티브 상태(Active state)이고, 상기 제2 구동 스위치(SL1) 및 제3 구동 스위치(SH2)가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코일(150)에 코일 신호(IDRV)가 상기 제1 구동 스위치(SH1) 및 제4 구동 스위치(SL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 스위치(SH1)에는 온레벨의 제1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가 제공되고, 제4 구동 스위치(SL2)에는 액티브 레벨의 제4 구동용 게이트 신호(SG4) 및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가 중첩된 중첩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용 게이트 신호(SG2)는 오프레벨(예, 로우레벨)이고, 제3 구동용 게이트 신호(SG3)는 오프레벨(예, 하이레벨)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 게이트 신호(SG4)에 의해 구동 신호(Idrv)가 조절될 수 있고,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에 의해 위치 확인용 신호(im)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는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주파수는 렌즈 배럴의 정확한 위치 검출을 위해서는 고정된 주파수일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는 상기 제1 게이트 신호(SG1)와 중첩되어 제1 구동 스위치(SH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의 (a)는 도 5의 구동 스위치 회로의 다른 일 동작 예시도이고, 도 6의 (b)은 도 5의 구동 스위치 회로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의 파형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7의 (a)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 스위치(SH1) 및 제4 구동 스위치(SL2)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 구동 스위치(SL1) 및 제3 구동 스위치(SH2)가 액티브 상태(Active state)인 경우에는, 상기 코일(150)에 코일 신호(IDRV)가 상기 제3 구동 스위치(SH2) 및 제2 구동 스위치(SL1)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5 및 도 7의 (b)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구동 스위치(SH2)에는 온레벨의 제3 게이트 신호(SG3)가 제공되고, 제2 구동 스위치(SL1)에는 액티브 레벨의 제2 게이트 신호(SG2) 및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가 중첩된 중첩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용 게이트 신호(SG1)는 오프레벨(예, 하이레벨)이고, 제4 구동용 게이트 신호(SG4)는 오프레벨(예, 로우레벨)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게이트 신호(SG2)에 의해 구동 신호(Idrv)가 조절될 수 있고,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에 의해 위치 확인용 신호(im)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는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주파수는 렌즈 배럴의 정확한 위치 검출을 위해서는 가청 주파수를 초과하는 주파수중에서 고정된 주파수일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는 상기 제3 게이트 신호(SG3)와 중첩되어 제3 구동 스위치(SH2)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코일(150)에는 양방향으로 코일 신호(IDRV)가 인가될 수 있고, 이러한 양방향의 코일 신호(IDRV)에 따라 코일(150)에 의한 구동력도 양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일(150)에 의한 양방향 구동력에 따라 렌즈 배럴이 광축 방향을 따라 제1 방향(예, 전진) 또는 제2 방향(예, 후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하나의 광축에 대한 설명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원리는 광축의 수직 방향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가 교류의 위치 확인용 전류이고, 상기 검출 신호(Vd)가 교류의 검출 전압인 경우, 구동기(200)가 교류의 위치 확인용 전류(AC current)를 코일(150)에 인가하면, 코일(150) 양단의 교류의 검출 전압(Vd)이 측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확인용 전류(AC current) 및 교류의 검출 전압(Vd)에 기초해 코일(150)의 임피던스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어, 전류 인가->전압 센싱의 구조이지만, ‘전압 인가->전류 센싱’의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구동신호 생성회로의 일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구동기(200)의 구동신호 생성회로(210)는 정전류 회로(2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전류 회로(212)는 구동 목표값에 기초해 구동 신호를 조절하기 위해, 연산증폭기(OP1) 및 저항(Rsen)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정전류 회로(212)는 이득 조절부(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정전류 회로(212)에서, 상기 연산증폭기(OP1)는 제4 구동용 게이트 신호(SG4)와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Sm)가 중첩된 신호를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제4 구동 스위치(SL2)에 접속된 출력단과, 상기 저항(Rsen)에 의한 검출 전압을 이득 조절부(G)를 통해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Rsen)은 상기 제4 구동 스위치(SL2)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코일(15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된 전압을 상기 이득 조절부(G)를 통해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반전 입력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산증폭기(OP1)는 비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신호와, 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4 구동 스위치(SL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 구동용 게이트 신호(SG4)는 상기 피드백 신호(Sf)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전압은 저항(Rsen)에 의한 전압과 이득 조절부(G)의 이득의 곱셈으로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이득 조절부(G)의 이득은 1이 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정전류 회로(212)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구동기의 게이트신호 생성회로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검출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구동시 기본적으로 코일(150) 및 자성체(160)는 정적(static)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교류의 위치 확인용 신호(im)를 코일에 인가하게 되면 자기장이 동적(dynamic) 자기장으로 변화되며, 위와 같이 동적 자기장에 의해 자성체(160)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된다.
여기서, 와전류(Eddy current)(또는 맴돌이 전류)는 시간에 대해 변화하는 자기장이 도체를 관통 할 때 생기고, 자기장이 변화할 때 도체 안에서 전자의 순환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 순환 전류를 와전류(eddy current)라고 한다. 이러한 와전류(Eddy current)는 자성체에 통과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을 가진다. 와전류(Eddy current)는 자기장 내에서 자성체(또는 도체)가 움직이거나 정적인 도체 위에 변하는 자기장이 관통할 때 생긴다. 또한, 변하는 자기장에서 자성체(또는 도체)가 움직일 때도 나타난다. 즉, 자기장의 세기나 방향의 변화가 있을 때 자기장 내 자성체(또는 도체)의 경계점을 제외한 어느 부분에서도 와전류(eddy current)가 생길 수 있다.
이어서, 코일(150)과 자성체(160) 사이의 간격 또는 오버랩 되는 면적 등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자성체(160)에서의 와전류(eddy current)가 변화하고, 이 와전류(eddy current)의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가 코일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코일의 임피던스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일 예로, 교류의 위치 확인용 신호로 인해 생기는 자성체의 와전류(eddy current) 및 그 자기장의 변화가 코일과 자성체와의 상대적 위치(예, 간격 또는 면적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데, 이 변화는 코일의 임피던스에 반영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150)과 자성체(160)의 간격 및 오버랩(overlap) 면적 등의 변화로 자기장 변화 또는 와전류 변화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량이 발생된다.
상기 코일(150)과 자성체(160)간의 오버랩(overlap) 면적에 대한 예를 도 9의 (a), (b), (c) 및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 (b), (c) 및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및 자성체에 대한 축 방향 예시도 및 위치 예시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과 자성체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예시도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에 대한 자성체가 정 위치 예시도이고, 도 9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에 대하여 자성체가 Z축 방향으로 상승 이동한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9의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에 대하여 자성체가 Z축 방향으로 하강 이동한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50)과 자성체(160)가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Z축은 광축 방향이고, X축 및 Y축은 광축에 수식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자성체(160)는 사전에 설정된 디폴트 값(default value)에 해당되는 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상기 코일과 자성체간의 오버랩 면적은 면적 A1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성체(160)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코일(150)을 기준으로 Z축은 광축중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의 (c)에 도시된 자성체(160)는 코일(150)의 제1 방향의 구동신호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승 이동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코일(150)과 자성체(160) 간의 전자기장 세기를 결정하는 상기 코일과 자성체간의 오버랩 면적은 변경되어 상기 면적 A1보다 좁은 면적 A2가 될 수 있다.
도 9의 (d)에 도시된 자성체(160)는 코일(150)의 제2 방향의 구동신호에 의해 Z축 방향으로 하강 이동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코일(150)과 자성체(160) 간의 전자기장 세기를 결정하는 상기 코일과 자성체간의 오버랩 면적은 변경되어 상기 면적 A1보다 좁은 면적 A3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체(160)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코일(150)과의 오버랩되는 면적이 A1, A2 또는 A3 등으로 변하므로 코일(150)과 자성체(160) 간의 전자기장 세기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코일(150)의 인덕턴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150)에 코일 신호에 포함된 교류의 위치 확인용 전류가 공급되는 동안에, 코일(150)의 임피던스가 변경되면, 이 코일(150)의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코일(150)의 양단의 교류 전압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구동 신호(Idrv1,Idrv2) 및 위치 확인용 신호(im1,im2)의 일 예시도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검출신호(Vd1) 및 제2 검출신호(Vd2)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IDRV1은 제1 코일 신호이고, IDRV2는 제2 코일 신호이고, Idrv1은 제1 구동 신호이고 Idrv2는 제2 구동 신호이고, im1은 제1 구동 신호(Idrv1)에 중첩되는 위치 확인용 신호이고, im2는 제2 구동 신호(Idrv2)에 중첩되는 위치 확인용 신호이다. 여기서, 상기 두 위치 확인용 신호(im1,im2)는 진폭 및 주파수가 동일한 신호이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VD1은 코일(150)의 제1 양단 전압이고, VD2는 코일(150)의 제2 양단 전압이고, Vd1은 제1 구동 신호(Idrv1)에 대응하여, 코일(150)의 양단 전압(VD)으로부터 신호 추출기(300)에서 추출되는 제1 검출 전압이고, Vd2는 제2 구동 신호(Idrv2)에 대응하여, 코일(150)의 양단 전압(VD)에서 신호 추출기(300)에서 추출되는 제2 검출 전압이다.
여기서, 상기 제1 검출 전압(Vd1)은 제1 구동 신호(Idrv1)에 의해 나타나는 검출전압이고, 상기 제2 검출 전압(Vd2)은 제1 구동 신호(Idrv1)에 의해 나타나는 검출전압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전압(Vd1,Vd2)은 서로 크기가 다르다.
일 예로, 렌즈 배럴(130)의 제1 위치에서 코일(150)의 양단에 나타나는 교류의 제1 검출 전압(Vd1)과, 이후 제1 위치에서 이동된 렌즈 배럴(130)의 제2 위치에서 코일(150) 양단에 나타나는 교류의 제2 검출 전압(Vd2)은 서로 다르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150)의 양단에 나타나는 교류의 검출 전압(Vd1 또는 Vd2)의 최대치를 검출함으로써 렌즈 배럴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해 낼 수 있다.
부연하면, 위치 조절을 위해 구동용 게이트 신호가 조절되면, 코일의 구동 전류가 조절되고, 구동 전류가 변경되면 코일의 자기장이 변화되어 코일과 자성체간의 전자기력에 대응되는 구동력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자성체가 장착된 렌즈배럴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어서, 코일과 자성체간의 상대적 위치 변경으로 인해, 교류의 위치 확인용 전류에 의해 자성체에 발생되는 와전류가 변화하고, 이 와전류(eddy current)의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가 코일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가 생긴다.
이에 따라, 교류의 위치 확인용 신호에 의해 자성체에 생기는 와전류(eddy current)가 코일과 자성체간 상대적 위치 변경(예, 간격 또는 면적 등)에 따라 변화되고, 이 와전류 변화에 따라 코일과 자성체간의 자기장 변화를 발생시키고, 이 자기장의 변화가 코일의 임피던스에 반영된다. 이러한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에 의하여, 위치 확인용 전류는 변동하지 않아도(도 10, im1=im2) 측정되는 코일의 양단 전압중 교류의 검출 전압이 변경(도 10, Vd1->Vd2)될 수 있다.
또한, 코일(150)과 자성체(160)의 간격 및 오버랩(overlap) 면적 등의 변화로 인한 자기장 변화 및 와전류 변화에 의해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량이 발생되고, 이는 검출 신호의 진폭, 피크치, 위상, 또는 제곱평균 제곱근(RMS : Root mean square) 등의 차이로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크 검출기(400)는 신호 추출기(300)에 의해 추출된 검출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이 피크치에 기초해 위치 인식을 위한 상기 코일(150)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체(160)의 위치 이동에 따른 코일(150)의 인덕턴스의 변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자성체(160)와 코일(150) 사이에 투자율이 높은 자성체 및 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료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코일(150)의 코일 신호(IDRV)가 코일 전류인 경우, 신호 추출기(300)는 상기 코일(150)의 코일 전류(IDRV)에 의한 코일(150)의 양단 전압인 코일 전압(VD)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성분(Fmod)을 포함하는 검출 전압(Vd)을 추출하여 피크 검출기(4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크 검출기(400)는 코일 전류(IDRV)에 포함된 위치 확인용 전류(im) 및 상기 검출 전압(Vd)을 이용하여 코일(150)의 임피던스(ZL) 크기(|ZL|)를 검출할 수 있고, 코일(150)의 임피던스(ZL)의 크기(|ZL|)를 이용하여 자성체(160)의 위치, 즉 렌즈 배럴(13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서, 상기 검출 신호(Vd)의 피크치와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im)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150)의 임피던스(ZL)의 크기(|ZL|)가 검출될 수 있고, 상기 코일(150)의 임피던스의 크기(|ZL|)에 기초해 상기 자성체(160)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Sp)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임피던스 크기(|ZL|)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VD은 코일 양단 전압이고, IDRV는 코일에 흐르는 코일 전류이고, |ZL|은 코일의 임피던스 크기이다.
또한, 상기 코일(150)의 임피던스의 크기(|ZL|)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Rs는 코일(150)의 저항 성분에 해당하고, Lx는 코일(150)의 인덕턴스 성분이고, Fmod는 특정 주파수 성분으로 이 Fmod는 가청 주파수 이상일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피크 검출기(400)는 코일(150)의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극히 미세하므로,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증폭하는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피크 검출기(400)에 대한 예시들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크 검출기의 일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피크 검출기(400)는 정류회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크 검출기(400)는 상기 정류회로(4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입력버퍼(410-B1) 및 출력버퍼(410-B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류회로(410)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 각 1개 포함할 수 있다. 교류의 입력신호가 다이오드를 거치며 입력신호의 상승구간이 커패시터에 저장이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결국 정류회로에 의해 피크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류회로(410)는 상기 검출 신호(Vd)를 정류하여 정류된 신호의 피크치를 상기 위치 신호(Sp)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피크 검출기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의 파형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피크 검출기(400)의 입력신호는 교류의 검출 신호(Vd)에 대한 파형이고, 피크 검출기(400)의 출력신호는 상기 교류의 검출 신호(Vd)가 정류된 피크치 전압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크 검출기의 다른 일 예시도이고, 도 14의 (a)는 피크 검출기의 샘플/홀드 회로(420)의 샘플링 동작 설명도이고, 도 14의 (b)는 피크 검출기의 샘플/홀드 회로(420)의 홀드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 도 1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피크 검출기(400)는, 샘플/홀드 회로(420)와 최대치 검출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크 검출기(400)는 상기 샘플/홀드 회로(420)의 입력단에 연결된 입력버퍼(420-B1)와, 상기 최대치 검출기(430)의 출력단에 연결된 출력버퍼(430-B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샘플/홀드 회로(420)는 상기 검출 신호(Vd)를 샘플링 및 홀드하여 최대치 검출기(4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샘플/홀드 회로(420)는 스위치(예, Mosfet)와 커패시터 각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샘플/홀드 회로(420)는 클럭(CLK)(Clock)이 온(On)이 됐을 때 입력신호를 커패시터로 전달되고, 클럭(CLK)이 오프(Off) 됐을 때, 입력신호를 전달하지 않으며, 이 경우 커패시터의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며,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입력신호의 레벨이 샘플링되어 홀드될 수 있다.
상기 최대치 검출기(430)는 상기 샘플/홀드 회로(420)에 의해 샘플링 및 홀드된 신호중에서 최대치를 검출하고, 상기 최대치를 상기 위치 신호(Sp)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카메라 모듈
130; 렌즈 배럴
150: 코일
160: 자성체
200: 구동기
300: 신호 추출기
400: 피크 검출기
SG1~SG4: 제1~제4 구동용 게이트 신호
Sm: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
Fmod: 특정 주파수 성분
IDRV: 코일 신호
Idrv: 구동 신호
im: 위치 확인용 신호
Vd: 검출 신호
Sp: 위치 신호

Claims (15)

  1.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에 배치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대향 배치되는 코일;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구동기;
    상기 코일의 코일신호에 기초된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기; 및
    상기 검출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상기 피크치에 기초해서 상기 자성체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를 제공하는 피크 검출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와 구동 신호가 중첩된 코일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검출기는,
    상기 검출 신호의 피크치와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상기 코일의 임피던스에 기초해 상기 자성체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를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중 액티브 레벨을 갖는 하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에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를 중첩시켜 중첩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신호 생성회로; 및
    전원전압 단자와 상기 코일의 일단 및 상기 코일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스위치는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 및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에 따라 구동 신호 및 위치 확인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구동 스위치 회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직류 전류이고,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는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갖는 교류 전류이고,
    상기 검출 신호는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갖는 교류직류 전압인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는
    상기 피크 검출기로부터의 상기 위치 신호와 위치 기준 신호에 기초한 위치 오차를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구동기에 제공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검출기는,
    상기 검출 신호를 정류하여 정류된 신호를 상기 위치 신호로서 제공하는 정류회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검출기는,
    상기 검출 신호를 샘플링 및 홀드하는 샘플/홀드 회로; 및
    상기 샘플/홀드 회로에 의해 샘플링 및 홀드된 신호중에서 최대치를 검출하고, 상기 최대치를 상기 위치 신호로서 제공하는 최대치 검출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9.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에 배치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대향 배치되는 코일;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용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구동기;
    상기 코일의 코일신호에 기초된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기; 및
    상기 검출 신호의 최대치와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의 임피던스의 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코일의 임피던스의 크기에 기초해 상기 자성체의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를 제공하는 피크 검출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와 구동 신호가 중첩된 코일 신호를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중 액티브 레벨을 갖는 하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에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를 중첩시켜 중첩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회로; 및
    전원전압 단자와 상기 코일의 일단 및 상기 코일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스위치는 복수의 구동용 게이트 신호 및 위치 확인용 게이트 신호에 따라 구동 신호 및 위치 확인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코일에 제공하는 구동 스위치 회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직류 전류이고,
    상기 위치 확인용 신호는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갖는 교류 전류이고,
    상기 검출 신호는 상기 특정 주파수 성분을 갖는 교류직류 전압인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는
    상기 피크 검출기로부터의 상기 위치 신호와 위치 기준 신호에 기초한 위치 오차를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구동기에 제공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검출기는,
    상기 검출 신호를 정류하여 정류된 신호를 상기 위치 신호로서 제공하는 정류회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검출기는,
    상기 검출 신호를 샘플링 및 홀드하는 샘플/홀드 회로; 및
    상기 샘플/홀드 회로에 의해 샘플링 및 홀드된 신호중에서 최대치를 검출하고, 상기 최대치를 상기 위치 신호로서 제공하는 최대치 검출기;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KR1020170062561A 2016-11-21 2017-05-19 피크 검출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KR20180057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01,576 US10554875B2 (en) 2016-11-21 2017-09-12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camera module using peak detection
CN201711159221.3A CN108089390B (zh) 2016-11-21 2017-11-20 利用峰值检测控制相机模块的位置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05 2016-11-21
KR20160154705 2016-11-21
KR1020170018737 2017-02-10
KR20170018737 2017-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488A true KR20180057488A (ko) 2018-05-30

Family

ID=623000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151A KR102218898B1 (ko) 2016-11-21 2017-04-03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KR1020170062561A KR20180057488A (ko) 2016-11-21 2017-05-19 피크 검출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151A KR102218898B1 (ko) 2016-11-21 2017-04-03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8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449A (ko) * 2018-07-10 2020-0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416B1 (ko) * 2018-08-13 2020-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981A (ko) * 2001-06-29 2004-02-18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센서
JP2010151986A (ja) * 2008-12-24 2010-07-08 Fujinon Corp レンズ位置検出装置及びレンズ装置
JP2014191092A (ja) * 2013-03-26 2014-10-06 Ps-Tokki Inc センサレスリニアモータ及び手振れ補正ユニット
KR20140142189A (ko) * 2014-10-27 2014-12-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WO2015001852A1 (ja) * 2013-07-04 2015-01-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8910A (en) * 1995-12-22 1997-12-1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position sensor
KR101166418B1 (ko) * 2011-08-24 2012-07-19 김영준 이동단말기의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용 렌즈 액츄에이터의 변위 및 진동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2076575B1 (ko) 2013-01-02 2020-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69957B1 (ko) * 2014-02-19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EP2908428B1 (en) * 2014-02-13 2019-04-10 Nxp B.V. Voice coil motor sensor and controller
KR20160110032A (ko) * 2015-03-13 2016-09-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981A (ko) * 2001-06-29 2004-02-18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센서
JP2010151986A (ja) * 2008-12-24 2010-07-08 Fujinon Corp レンズ位置検出装置及びレンズ装置
JP2014191092A (ja) * 2013-03-26 2014-10-06 Ps-Tokki Inc センサレスリニアモータ及び手振れ補正ユニット
WO2015001852A1 (ja) * 2013-07-04 2015-01-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KR20140142189A (ko) * 2014-10-27 2014-12-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449A (ko) * 2018-07-10 2020-0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156800B2 (en) 2018-07-10 2021-10-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481A (ko) 2018-05-30
KR102218898B1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89390B (zh) 利用峰值检测控制相机模块的位置的装置
CN107347131B (zh) 双相机模块及其控制方法
CN108781256B (zh) 控制相机模块的自动聚焦的装置和方法
EP3097452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KR102169957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US7598981B2 (en) Anti-shake apparatus
US7502051B2 (en) Anti-shake apparatus
US20050265705A1 (en) Anti-shake apparatus
US1085589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camera module
KR20150119759A (ko)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US20150229814A1 (en) Voice coil motor sensor and controller
JP2005331400A (ja) 位置検出装置、手振れ補正機構、および撮像装置
US10951799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00018895A (ko) 카메라 모듈
KR20190076541A (ko) 카메라 장치의 액추에이터
KR20180057488A (ko) 피크 검출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위치 제어 장치
KR20080036127A (ko) 촬상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단말 장치
US7440686B2 (en) Anti-shake apparatus
KR20190092719A (ko) 카메라 모듈
KR20170105234A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331401A (ja) 位置検出装置、手振れ補正機構及び撮像装置
KR20170126760A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KR102516770B1 (ko) 전압/주파수 변환 기법을 이용한 vcm의 위치 제어 장치
KR102071249B1 (ko) 홀센서의 출력전압을 교정하여 렌즈위치를 검출하는 렌즈위치 검출장치
US10554163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voice coil motor using voltage/frequency conversion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