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234A -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234A
KR20170105234A KR1020160028174A KR20160028174A KR20170105234A KR 20170105234 A KR20170105234 A KR 20170105234A KR 1020160028174 A KR1020160028174 A KR 1020160028174A KR 20160028174 A KR20160028174 A KR 20160028174A KR 20170105234 A KR20170105234 A KR 20170105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image
time zon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090B1 (ko
Inventor
권영만
이자용
조택일
지석만
홍삼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090B1/ko
Priority to US15/455,040 priority patent/US9942462B2/en
Priority to CN201780015400.1A priority patent/CN108781256B/zh
Priority to US15/455,018 priority patent/US9883098B2/en
Priority to US15/455,060 priority patent/US9930223B2/en
Priority to PCT/KR2017/002591 priority patent/WO2017155341A1/en
Priority to EP17763601.6A priority patent/EP3427471B1/en
Publication of KR20170105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1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04N5/2321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보이스 코일 모터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 1 센싱부와,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와, 제 2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와, 제 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하는 포커스 위치 산출부와,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에 따라,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이스 코일 모터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수반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고밀도로 집약시킨 멀티 기능의 이동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기능의 복잡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이동 환경에 적합하도록 이동 단말기들이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역시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경향으로 소형화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에서는, 피사체가 되는 대상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오토 포커스 기능은, 렌즈 모듈을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의 성능은, 렌즈 모듈을 이송시키는 액츄에이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액츄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액츄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스(MEMS) 액츄에이터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스 코일 모터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고정부에 영구 자석을 위치시키고, 구동할 렌즈 모듈에 코일을 부착하여, 자기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코일에 흐르는 로렌쯔 힘에 의해, 렌즈 모듈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카메라 모듈은, 코일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코일 센서로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렌즈 모듈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기존의 홀 센서 적용 기술에 비해, 홀 센서, 마그넷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료비 절감과 생산 공정 단순화 및 제품 소형화에 큰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보이스 코일 방식의 카메라 모듈은, 코일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이므로, 이미지 센서에서는, 전자기 유도의 영향으로 센싱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영상에 발생되는 노이즈로 인하여, 렌즈 모듈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는,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 1 센싱부와,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와, 제 2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와, 제 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하는 포커스 위치 산출부와,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에 따라,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은, 렌즈부에 인가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구동 신호 중,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렌즈부에 인가하여,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렌즈부의 이동에 따라,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고, 센싱부와 렌즈부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으로부터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으로,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제 1 센싱부의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의 검출부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9는 도 1의 스프링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스프링의 댐퍼 적용 전후에 대한 고유진동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는, 제 1 센싱부(도시하지 않음), 제 2 센싱부(510), 이미지 신호 처리부(520), 포커스 위치 산출부(530) 및 구동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싱부는, 카메라 모듈(100)에서, 렌즈부(도시하지 않음)의 이동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센싱부는, 렌즈부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는 코일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제 1 센싱부는, 렌즈부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렌즈부의 이동 방향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센싱부(510)는,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센싱부(510)는,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제 2 센싱부(510)는, 제 1 센싱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센싱부(510)는, 스프링(350)으로 고정부에 연결되어 오토 포커싱 이동되는 이동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센싱한다.
그리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520)는, 제 2 센싱부(510)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한다.
이어, 포커스 위치 산출부(530)는, 제 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520)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포커스 위치 산출부(530)는, 검출부와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는, 제 1 센싱부로부터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부는, 제 1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반파 신호로 정류하는 반파 정류부, 반파 정류부로부터 수신되는 반파 신호를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그리고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주파수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토대로,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 구동 제어부(540)는,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에 따라,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540)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약 100kHZ - 약 5MHz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렌즈부를 이동하므로, 고주파 영향에 의해, 촬영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고주파 신호는,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할 때,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출력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54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540)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540)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540)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54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 1, 제 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540)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54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540)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100)은, 관통 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관통 홀 내측면에 배치되는 자석,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고정부의 관통 홀 내에서 선형 이동하는 렌즈부, 그리고 렌즈부의 외면을 감싸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의 권선수는, 제 1 센싱부에 포함되는 코일의 권선수와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코일의 권선수는, 제 1 센싱부에 포함되는 코일의 권선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고정부와 렌즈부 사이에 연결되어, 렌즈부의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과 고정부 사이에는, 댐퍼(damper)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는, 스프링과 고정부의 연결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렌즈부를 이동하므로, 고주파 영향에 의해, 촬영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고주파 신호는,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할 때,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출력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2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와도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 1, 제 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도 있고, OIS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와도 동기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제 4 실시예의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 중 적어도 어느 한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때, 영상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를 진폭 A 크기로 인가하다가, 영상에 노이즈가 검출되는 시점에서,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를 진폭 B 크기로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때, 영상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자석(110)과 제 1 센싱부(120)의 코일이 배치되는 고정부(100)와, 렌즈(210)와 이동 코일(220)이 배치되는 이동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0)는, 중앙 영역에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석(110)은, 고정부(100)의 관통 홀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자석(110)은, 한 개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수 개일 수도 있다.
자석(110)이 다수 개인 경우, 다수의 자석(110)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수의 자석(110)들은, 고정부(100)의 관통 홀 중심을 지나는 좌표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자석(110)들을, 고정부(100)의 관통 홀 중심을 지나는 좌표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하는 이유는, 렌즈 모듈인 이동부(200)의 이동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외부의 영향 없이,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동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210)를 포함하고, 고정부(100)의 관통 홀 내에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200)는, 렌즈(210)들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일 수 있다.
이어, 이동 코일(220)은, 이동부(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이동부(2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코일(220)과 자석(110)은, 이동부(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로서, 이동부(200)가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이동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음, 제 1 센싱부(120)는, 고정부(100)에 배치되어, 이동 코일(220)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이동 코일(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센싱부(120)는, 렌즈부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는 코일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싱부(120)는, 이동부(10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이동부(100)의 이동 방향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센싱부(120)의 코일과 이동 코일(220)은, 전자기 상호 유도 현상에 의해, 전류 또는 전압이 이동 코일(220)로부터 제 1 센싱부(120)로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값은, 제 1 센싱부(120)의 코일과 이동 코일(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제 1 센싱부(120)에 유도된 전류 또는 전압값은, 제 1 센싱부(120)의 코일과 이동 코일(220)과의 수직간 거리에 따라 변하며, 이 변위값을 이용하여, 이동부(200)의 렌즈 모듈의 위치값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된 렌즈 모듈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을 찾아내고, 렌즈 모듈의 실제 위치값을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부(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싱부(120)의 코일 권선수와 이동 코일(220)의 권선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센싱부(120)의 코일 권선수는, 이동 코일(220)의 권선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싱부(120)의 코일 권선수가, 이동 코일(220)의 권선수보다 더 적은 이유는,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제 1 센싱부(120)에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제 1 센싱부(120)의 코일 권선수와 이동 코일(220)의 권선수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코일(220)은, 저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실린 구동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 신호를 제 1 센싱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부(200)의 이동 코일(2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저주파의 구동 신호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센싱부(120)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이동 코일(220)로부터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는, 저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저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동 코일(220)에 인가하는 이유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제 1 센싱부(120)에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크게 함으로써,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쉽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고정부(100)와 이동부(20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부(200)의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350)과 고정부(100) 사이에는, 댐퍼(damper)(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는, 스프링(350)과 고정부(100)의 연결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댐퍼를 형성하는 이유는, 스프링(350)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것으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제 1 센싱부(120)로부터 수신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포커스 위치 산출부의 검출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부는, 제 1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반파 신호로 정류하는 반파 정류부와, 반파 정류부로부터 수신되는 반파 신호를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주파수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인 이동부(200)의 오토 포커싱을 제어하는 오토 포커싱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오토 포커싱 장치는, 제 2 센서부(510)인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신호 처리부, 포커스 위치 산출부, 그리고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센서부(510)인 이미지 센서는, 이동부(200)의 렌즈(210)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도시하지 않음)는, 이미지 센서(510)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 포커스 위치 산출부(도시하지 않음)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고정부에 배치된 제 1 센싱부(120)로부터 수신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토대로, 최적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구동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산출된 최적의 포커스 위치값으로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약 100kHZ - 약 5MHz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렌즈부를 이동하므로, 고주파 영향에 의해, 촬영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고주파 신호는,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할 때,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출력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 1, 제 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제 1 센싱부의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의 이동 코일은, 저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실린 구동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 신호를 고정 코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부의 이동 코일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저주파의 구동 신호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코일은,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이동 코일로부터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는, 저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코일에 수신되는 전자기 유도 고주파 응답 신호는,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거리가 근접할수록 커진다.
이처럼,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고정 코일에 수신되는 전자기 유도 고주파 응답 신호가 달라지므로, 검출부는, 고정 코일에 수신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고, 오토 포커싱 제어부는, 이 변위값을 이용하여, 이동부(200)의 렌즈 모듈의 위치값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오토 포커싱 제어부는, 예측된 렌즈 모듈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을 찾아내고, 렌즈 모듈의 실제 위치값을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약 100kHZ - 약 5MHz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렌즈부를 이동하므로, 고주파 영향에 의해, 촬영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고주파 신호는,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할 때,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출력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 1, 제 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의 검출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고정부(100)에 영구 자석(110)이 배치되고, 이동부(200)에 이동 코일(220)이 배치되어, 자기 회로를 구성한 것으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로렌쯔 힘에 의해, 렌즈 모듈인 이동부(200)가 구동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의 제 1 센싱부(120)는, 고정부(100)에 배치되어, 이동 코일(220)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이동 코일(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싱부(120)는, 이동부(10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이동부(100)의 이동 방향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센싱부(120)의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220)은, 전자기 상호 유도 현상에 의해, 전류 또는 전압이 이동 코일(220)로부터 제 1 센싱부(120)의 고정 코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값은,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제 1 센싱부(120)의 고정 코일에 유도된 전류 또는 전압값은,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220)과의 수직간 거리에 따라 변하며, 이 변위값을 이용하여, 이동부(200)의 렌즈 모듈의 위치값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검출부(400)는, 제 1 센싱부(120)의 고정 코일로부터 수신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부(400)는, 반파 정류부(422), 변환부(424), 증폭부(426), 그리고 피크(peak) 검출부(428)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검출부(400)의 반파 정류부(422)는, 제 1 센싱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반파 신호로 정류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400)의 변환부(424)는, 반파 정류부(422)로부터 수신되는 반파 신호를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어, 검출부(400)의 증폭부(426)는, 변환부(424)로부터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다음, 검출부(400)의 피크 검출부(428)는, 증폭부(426)로부터 증폭된 주파수 신호의 피크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반파 정류부(422)는, 고정 코일(120)에 전류가 유도되면, 유도 전류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반파 신호로 정류한다.
그리고, 변환부(424)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 회로로서, 반파 신호로 정류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어, 증폭부(426)는, 변환된 전압을 증폭시킨다.
다음, 피크 검출부(428)는, 증폭된 전압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검출된 피크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부(400)는, 제 1 센싱부(120)로부터 수신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고, 렌즈 모듈인 이동부(200)의 오토 포커싱을 제어하는 오토 포커싱 제어부는, 이 변위값을 이용하여, 이동부(200)의 렌즈 모듈의 위치값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오토 포커싱 제어부는, 예측된 렌즈 모듈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을 찾아내고, 렌즈 모듈의 실제 위치값을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부(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약 100kHZ - 약 5MHz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렌즈부를 이동하므로, 고주파 영향에 의해, 촬영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고주파 신호는,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할 때,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출력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 1, 제 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스프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50)은, 고정부(100)와 이동부(20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부(200)의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350)은, 이동부(200)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350a)와, 고정부(100)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3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350)은,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데,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에 의해, 이동부(200)는, 이동 후, 안정화될 때까지 소정 시간 기다려야 하는 시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350)과 고정부(100) 사이에는, 댐퍼(damper)(360)를 배치함으로써,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댐퍼(360)의 위치는, 스프링(350)과 고정부(100) 사이 중, 모든 영역에 배치 가능하다.
일 예로, 댐퍼(360)는, 스프링(350)과 고정부(100)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350b)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350)과 고정부(100) 사이에, 댐퍼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350)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키고,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스프링의 댐퍼 적용 전후에 대한 고유진동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에 댐퍼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이동부가 이동한 후, 이동부가 안정화될 때까지, 긴 시간이 걸리므로, 불필요한 시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에 댐퍼를 적용하면, 이동부가 이동한 후, 이동부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안정화되므로, 이동부가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불필요한 시간 손실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에 댐퍼를 적용함으로써,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키고,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S10)
그리고,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한다.(S20)
이때,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S21)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S22)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3과 같이, 구동 제어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S23)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S24)
여기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도 14와 같이, 구동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S25)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S26) 생성된 제 1, 제 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S27)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15와 같이,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고,(S20)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하며,(S28)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S29)
즉, 구동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어, 구동 제어부는,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렌즈부에 인가하여, 렌즈부를 이동시킨다.(S30)
다음, 구동 제어부는, 렌즈부의 이동에 따라,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고, 센싱부와 렌즈부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한다.(S40)
여기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코일과 고정 코일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부의 반파 정류부는, 고정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반파 신호로 정류한다.(S42)
그리고, 검출부의 변환부는, 정류된 반파 신호를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한 다음(S44), 검출부의 증폭부는,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한다.(S46)
이어, 검출부의 피크 검출부는, 증폭된 주파수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함으로써,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S48)
그리고, 구동 제어부는,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고,(S50)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으로부터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한다.(S60)
이어, 구동 제어부는,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으로, 렌즈부를 이동시키고,(S70) 포커스 제어 종료인지를 확인하며,(S80) 포커스 제어 종료이면, 모든 포커스 제어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고정부 110 : 자석
120 : 제 1 센싱부 200 : 이동부
210 : 렌즈 220 : 이동 코일
350 : 스프링 400 : 검출부

Claims (10)

  1. 렌즈부를 이동시켜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 1 센싱부;
    상기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
    상기 제 2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
    상기 제 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하는 포커스 위치 산출부; 그리고,
    상기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에 따라, 상기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상기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상기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이고, 상기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 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1, 제 2 동기 신호를 토대로, 상기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상기 OSI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부는,
    상기 렌즈부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는 코일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부는,
    상기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관통 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관통 홀 내측면에 배치되는 자석;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 홀 내에서 선형 이동하는 렌즈부; 그리고,
    상기 렌즈부의 외면을 감싸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10.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 이동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에 인가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구동 신호 중, 상기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렌즈부에 인가하여, 상기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렌즈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부와 상기 렌즈부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상기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으로부터 상기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으로, 상기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
KR1020160028174A 2016-03-09 2016-03-09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28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174A KR102628090B1 (ko) 2016-03-09 2016-03-09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US15/455,040 US9942462B2 (en) 2016-03-09 2017-03-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CN201780015400.1A CN108781256B (zh) 2016-03-09 2017-03-09 控制相机模块的自动聚焦的装置和方法
US15/455,018 US9883098B2 (en) 2016-03-09 2017-03-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US15/455,060 US9930223B2 (en) 2016-03-09 2017-03-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PCT/KR2017/002591 WO2017155341A1 (en) 2016-03-09 2017-03-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EP17763601.6A EP3427471B1 (en) 2016-03-09 2017-03-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174A KR102628090B1 (ko) 2016-03-09 2016-03-09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34A true KR20170105234A (ko) 2017-09-19
KR102628090B1 KR102628090B1 (ko) 2024-01-23

Family

ID=6003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174A KR102628090B1 (ko) 2016-03-09 2016-03-09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0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4265A1 (en) * 2017-10-24 2019-04-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for camera module
KR20190048540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20190060264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20190060263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WO2019151772A1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792A (ja) * 1995-07-21 1997-02-07 Sony Corp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50097998A (ko) * 2014-02-19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792A (ja) * 1995-07-21 1997-02-07 Sony Corp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50097998A (ko) * 2014-02-19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4265A1 (en) * 2017-10-24 2019-04-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for camera module
US10834322B2 (en) * 2017-10-24 2020-11-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actuator and lens module position detection
KR20190048540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20190060264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20190060263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US10768019B2 (en) 2017-11-24 2020-09-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10859793B2 (en) 2017-11-24 2020-12-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for a camera module
WO2019151772A1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1936928A (zh) * 2018-01-31 2020-11-13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US11586007B2 (en) 2018-01-31 2023-02-2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090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385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CN108781256B (zh) 控制相机模块的自动聚焦的装置和方法
US9983380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KR102169957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KR20170105234A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63416B1 (ko)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258929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EP3244529B1 (en)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CN109154711B (zh) 相机模块和及其自动对焦的方法
KR101887068B1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14441B1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0550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1819518B1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96923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2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JP2008292902A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2022004551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20090303333A1 (en) Camera and image detecting modul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