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068B1 -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068B1
KR101887068B1 KR1020180003409A KR20180003409A KR101887068B1 KR 101887068 B1 KR101887068 B1 KR 101887068B1 KR 1020180003409 A KR1020180003409 A KR 1020180003409A KR 20180003409 A KR20180003409 A KR 20180003409A KR 101887068 B1 KR101887068 B1 KR 10188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ing
signal
lens unit
tim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983A (ko
Inventor
박해진
권영만
권성두
홍삼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0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1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04N5/23287
    • H04N5/335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보이스 코일 모터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1 센싱부와,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제2 센싱부와, 제2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와, 제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하는 포커스 위치 산출부와,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에 따라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특정 시간대에만 수신하고,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상기 제1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이스 코일 모터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수반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고밀도로 집약시킨 멀티 기능의 이동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기능의 복잡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이동 환경에 적합하도록 이동 단말기들이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역시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경향으로 소형화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에서는, 피사체가 되는 대상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오토 포커스 기능은, 렌즈 모듈을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의 성능은, 렌즈 모듈을 이송시키는 액츄에이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액츄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액츄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스(MEMS) 액츄에이터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스 코일 모터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고정부에 영구 자석을 위치시키고, 구동할 렌즈 모듈에 코일을 부착하여, 자기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코일에 흐르는 로렌쯔 힘에 의해, 렌즈 모듈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카메라 모듈은, 코일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코일 센서로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렌즈 모듈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기존의 홀 센서 적용 기술에 비해, 홀 센서, 마그넷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재료비 절감과 생산 공정 단순화 및 제품 소형화에 큰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보이스 코일 방식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수신할 때, 손떨림 보정을 위한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 렌즈 모듈의 이동을 위한 구동 신호 등의 영향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어, 렌즈 모듈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센싱 신호에 발생되는 노이즈로 인하여, 렌즈 모듈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스위칭부를 배치하여,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OIS 신호에 의한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센싱 신호가 차단되는 시간대에, OIS 신호 생성 및 센싱부의 온도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센싱부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과 렌즈부 사이에 댐퍼를 배치하여,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시간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는,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1 센싱부와,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제2 센싱부와, 제2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와, 제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하는 포커스 위치 산출부와,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에 따라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특정 시간대에만 수신하고,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상기 제1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은, 렌즈부에 인가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구동 신호를 렌즈부에 인가하여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센싱 신호가 생성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센싱 신호가 생성되면 특정 시간대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특정 시간대이면 생성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센싱 신호를 토대로 센싱부와 렌즈부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고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으로부터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으로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위칭부를 배치하여,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OIS 신호에 의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오토 포커스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싱 신호가 차단되는 시간대에, OIS 신호 생성 및 센싱부의 온도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센싱부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프링과 렌즈부 사이에 댐퍼를 배치하여,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센싱부의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포커스 위치 산출부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검출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신호의 노이즈 차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온도 변화에 따른 코일 센서의 저항 및 출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코일 센서의 온도 측정 시간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스프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스프링의 댐퍼 적용 전후에 대한 고유진동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8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는, 제1, 제2 센싱부(200, 300), 이미지 신호 처리부(400), 포커스 위치 산출부(500), 제어부(600), 그리고 스위칭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싱부(200)는, 카메라 모듈(100)의 렌즈부(110) 이동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싱부(200)는, 렌즈부(110)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는 코일 센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센싱부(200)는, 렌즈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렌즈부(110)의 이동 방향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싱부(300)는, 렌즈부(110)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센싱부(300)는, 렌즈부(110)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10)는, 스프링(150)으로 고정부에 연결되어, 오토 포커스 수행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데, 제2 센싱부(300)는, 이동하는 렌즈부(110)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센싱부(200, 300)는, 효율적인 공간 배치 등과 같이, 카메라 설계 편의에 따라, 렌즈부(110)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렌즈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400)는, 제2 센싱부(300)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어, 포커스 위치 산출부(500)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500)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포커스 위치 산출부(500)는, 검출부와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는, 제1 센싱부(200)로부터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부는, 제1 센싱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반파 신호로 정류하는 반파 정류부, 반파 정류부로부터 수신되는 반파 신호를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그리고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주파수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토대로, 렌즈부(110)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600)는,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에 따라, 렌즈부(1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렌즈부(1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특정 시간대에만 수신하고,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OIS 신호 입력에 따른 노이즈가, 센싱 신호 내에 포함되므로,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OIS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대에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센싱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OIS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특정 시간대에만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 시간대에서는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는 최적의 센싱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어,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 센싱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OIS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대에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00)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특정 시간대를, 렌즈부(1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와 동기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렌즈부(1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에만, 제1 센싱부(20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위칭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부(700)는, 제1 센싱부(200) 및 포커스 위치 산출부(500)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특정 시간대에만,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가 포커스 위치 산출부(500)로 인가되도록, 스위칭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제1 센싱부(2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1 센싱부(200)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센싱부(2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때, 제1 센싱부(200)에 전류를 인가하기 때문이다.
다음, 제어부(600)는,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에 따라,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렌즈부(1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신호는, 렌즈부(110)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110)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약 100kHZ - 약 5MHz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어부(600)는, 렌즈부(1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400)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렌즈부(110)를 이동하므로, 고주파 영향에 의해, 촬영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고주파 신호는,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할 때,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출력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400)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IS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IS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IS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400)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IS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1, 제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IS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IS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400)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100)은, 관통 홀이 형성되는 고정부(130), 고정부(130)의 관통 홀 내측면에 배치되는 자석(140),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고정부(130)의 관통 홀 내에서 선형 이동하는 렌즈부(110), 그리고 렌즈부(110)의 외면을 감싸는 이동 코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코일(120)의 권선수는, 제1 센싱부(200)에 포함되는 고정 코일의 권선수와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코일(120)의 권선수는, 제1 센싱부(200)에 포함되는 고정 코일의 권선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고정부(130)와 렌즈부(110) 사이에 연결되어, 렌즈부(110)의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50)과 고정부(130) 사이에는, 댐퍼(damper)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는, 스프링(150)과 고정부(130)의 연결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댐퍼를 형성하는 이유는,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것으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위칭부(700)를 배치하여,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OIS 신호에 의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오토 포커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 신호가 차단되는 시간대에, OIS 신호 생성 및 제1 센서부(200)의 온도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센싱부(2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렌즈부(110)의 포커스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제1 센싱부(200)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150)과 렌즈부(110) 사이에 댐퍼를 배치하여, 스프링(150)의 고유 진동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자석(110)과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이 배치되는 고정부(130)와, 렌즈(112)와 이동 코일(120)이 배치되는 렌즈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30)는, 중앙 영역에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석(140)은, 고정부(130)의 관통 홀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자석(140)은, 한 개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수 개일 수도 있다.
자석(140)이 다수 개인 경우, 다수의 자석(140)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수의 자석(140)들은, 고정부(130)의 관통 홀 중심을 지나는 좌표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자석(140)들을, 고정부(130)의 관통 홀 중심을 지나는 좌표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하는 이유는, 렌즈부(110)의 이동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외부의 영향 없이,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렌즈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12)를 포함하고, 고정부(130)의 관통 홀 내에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이어, 이동 코일(120)은, 렌즈부(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렌즈부(1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코일(120)과 자석(140)은, 렌즈부(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로서, 렌즈부(110)가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렌즈부(1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센싱부(200)는, 고정부(130)에 배치되어, 이동 코일(120)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이동 코일(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싱부(200)는, 렌즈부(110)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는 코일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싱부(200)는, 렌즈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렌즈부(110)의 이동 방향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120)은, 전자기 상호 유도 현상에 의해, 전류 또는 전압이 이동 코일(120)로부터 제1 센싱부(200)로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값은,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1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제1 센싱부(200)에 유도된 전류 또는 전압값은,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120)과의 수직간 거리에 따라 변하며, 이 변위값을 이용하여, 렌즈부(110)의 위치값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된 렌즈부(110)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을 찾아내고, 렌즈부(110)의 실제 위치값을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 권선수와 이동 코일(120)의 권선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 권선수는, 이동 코일(120)의 권선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 권선수가, 이동 코일(120)의 권선수보다 더 적은 이유는,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제1 센싱부(200)에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 권선수와 이동 코일(120)의 권선수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코일(120)은, 구동 신호인 저주파 신호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제1 센싱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렌즈부(110)의 이동 코일(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저주파의 구동 신호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싱부(200)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이동 코일(120)로부터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는, 저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저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동 코일(120)에 인가하는 이유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제1 센싱부(200)에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크게 함으로써,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쉽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고정부(130)와 렌즈부(110) 사이에 연결되어, 렌즈부(110)의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150)과 고정부(130) 사이에는, 댐퍼(damper)(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는, 스프링(150)과 고정부(130)의 연결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댐퍼를 형성하는 이유는, 스프링(150)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것으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손떨림에 의한 렌즈부(110)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스프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 1 센싱부의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의 이동 코일은, 저주파 신호인 구동 신호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인가받아, 상응하는 신호를 센싱부의 고정 코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렌즈부의 이동 코일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저주파의 구동 신호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의 고정 코일은,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이동 코일로부터 유도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는, 저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코일에 수신되는 전자기 유도 고주파 응답 신호는,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거리가 근접할수록 커진다.
이처럼, 고정 코일과 이동 코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고정 코일에 수신되는 전자기 유도 고주파 응답 신호가 달라지므로, 포커스 위치 산출부는, 센싱부의 고정 코일에 수신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고, 제어부는, 이 변위값을 이용하여, 렌즈부의 위치값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예측된 렌즈부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을 찾아내고, 렌즈부의 실제 위치값을 최적의 오토 포커스 위치값으로 이동하도록,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포커스 위치 산출부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검출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위치 산출부(500)는,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포커스 위치 산출부(500)는, 검출부(510)와 산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510)는, 센싱부로부터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부(510)는, 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반파 신호로 정류하는 반파 정류부(512), 반파 정류부(512)로부터 수신되는 반파 신호를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514), 변환부(514)로부터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516), 그리고 증폭부(516)로부터 증폭된 주파수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5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부(520)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검출부(510)로부터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토대로,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신호의 노이즈 차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도 1의 스위칭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8은 센싱 신호의 노이즈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며, 도 9는 센싱 신호의 노이즈 차단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특정 시간대에만 수신하고,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시간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일 수 있다.
이처럼,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차단하는 이유는, OIS 신호 입력에 따른 노이즈가, 센싱 신호 내에 포함되어,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OIS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대에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센싱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OIS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특정 시간대에만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 시간대에서는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는 최적의 센싱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어,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 센싱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OIS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대에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스위칭부(700)는, 제1 센싱부(200)와 포커스 위치 산출부(미도시)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렌즈부의 이동 코일(1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에만, 제1 센싱부(200)의 고정 코일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위칭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특정 시간대를, 렌즈부의 이동 코일(1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와 동기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특정 시간대에만,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가 포커스 위치 산출부로 인가되도록, 스위칭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tpulse)와 제1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대는, 서로 동기될 수 있다.
여기서, OIS 신호가 인가될 경우, 제1 센싱부의 고정 코일에 노이즈가 유입되고, 고정 코일의 인덕턴스 성분으로 인하여, 노이즈가 상쇄되기까지는 tnoise 만큼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센싱부의 고정 코일에 OIS 신호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OIS 신호가 오프되는 시간대(tPWM_OFF)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tpulse)와 노이즈가 상쇄되는 시간대(tnoise)를 합친 만큼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즉, 구동 신호의 입력 주기와 OIS 신호의 입력 주기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pulse = tPWM_ON + (tpulse + tnoise)
여기서, Tpulse는 구동 신호의 입력 주기, tPWM_ON는 OIS 신호가 오프되는 시간대, tpulse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 tnoise는 노이즈가 상쇄되는 시간대이다.
따라서, 현재의 구동 신호의 입력 주기는, OIS 신호의 영향으로 인하여, 센싱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만일, 현재의 구동 신호의 입력 주기를 늘려서, OIS 신호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있지만, 오토 포커스의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특정 시간대에만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나머지 시간대에서는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OIS 신호의 영향으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제어부는,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tpulse)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tsenor_hold)에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노이즈가 상쇄되는 시간대(tnoise)에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차단하고,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특정 시간대(tpulse)에 수신되는 센싱 신호만을 출력함으로써, 노이즈를 갖는 센싱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위칭부를 배치하여,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OIS 신호에 의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오토 포커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 신호가 차단되는 시간대에, OIS 신호 생성하여 입력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온도 변화에 따른 코일 센서의 저항 및 출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1는 코일 센서의 온도 측정 시간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센싱부는, 코일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센서는, 카메라 모듈의 온도가 상승하면, 코일 저항이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센서는 코일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 신호가 반대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센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출력 신호도 같이 변하게 된다.
코일 센서의 출력 신호가 변하면, 제어부는,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즉, 제어부는, 코일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출력 신호를 토대로, 렌즈의 현재 이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데, 온도 변화에 따라, 코일 센서의 출력 신호가 가변되면, 제어부가 산출한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는, 에러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를 산출하고, 코일 센서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산출된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가 정확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코일 센서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코일 센서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상승했다면, 산출된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가 에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산출된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가 에러이므로,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를 보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코일 센서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로부터 변화된 온도 변화값을 산출한 다음,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보상 테이블을 참조하여, 온도 변화값에 상응하는 온도 보상값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추출된 온도 보상값을 토대로,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센싱부인 코일 센서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때, 코일 센서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을 토대로, 코일 센서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코일 센서의 저항값을 측정할 때, 코일 센서에 전류를 인가하고, 전류가 인가된 코일 센서의 전압을 측정하며, 코일 센서에 인가된 전류값과 측정된 전압값을 토대로, 코일 센서의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인가되는 전류는, 직류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1 센싱부인 코일 센서에 전류를 인가할 때, 제1 센싱부로부터 센싱되는 신호 펄스들 사이의 시간대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전류를 인가할 때, 전자기 유도 변위 측정을 위한 펄스와 중첩되지 않도록, 전자기 유도 펄스와 펄스 사이의 시간대에 전류를 인가해야 한다.
그 이유는, 제어부가 전자기 유도 펄스를 수신하여,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산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펄스와 펄스 사이의 시간대에, 센싱부에 전류를 인가하여, 센싱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센싱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렌즈부의 현재 이동 위치를 재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2가지 방식으로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렌즈부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마다, 제어부가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토대로, 이동된 렌즈부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된 센싱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렌즈부의 현재 위치를 보정하는 방식으로, 렌즈부가 포커스 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여러 번 보정하고, 렌즈부가 포커스 위치에 도달한 후에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한 번 보정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렌즈부가 포커스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가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된 센싱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보정하는 방식으로, 렌즈부가 포커스 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보정하지 않고, 렌즈부가 포커스 위치에 도달한 후에만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한 번 보정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첫 번째 방식은,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어, 사진이나 영상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방식은,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에서만 보정을 하므로, 오토 포커스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사진이나 영상 촬영이 정확하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제어부는,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특정 시간대에서만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tsenor_hold)에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 또는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싱 신호가 차단되는 시간대에, 센싱부의 온도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센싱부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 제1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가 합성된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렌즈부를 이동하므로, 고주파 영향에 의해, 촬영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고주파 신호는,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할 때,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출력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IS 입력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제어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IS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IS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IS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 제3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일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IS 입력 시간대와도 동기될 수 있다.
일 예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IS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1, 제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IS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IS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 제4 실시에에 따른 고주파 신호 합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으로서,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지 않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와 동기될 수도 있고, OIS 신호를 인가하는 OSI 입력 시간대와도 동기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IS 입력 시간대 중 적어도 어느 한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때, 영상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15와 같이,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를 진폭 A 크기로 인가하다가, 영상에 노이즈가 검출되는 시점에서,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를 진폭 B 크기로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때, 영상에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의 스프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50)은, 고정부(130)와 렌즈부(110) 사이에 연결되어, 렌즈부(110)의 이동에 따른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50)은, 렌즈부(11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150a)와, 고정부(130)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150)은,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데,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에 의해, 렌즈부(110)는, 이동 후, 안정화될 때까지 소정 시간 기다려야 하는 시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50)과 고정부(130) 사이에는, 댐퍼(damper)(190)를 배치함으로써, 스프링(150)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댐퍼(190)의 위치는, 스프링(150)과 고정부(130) 사이 중, 모든 영역에 배치 가능하다.
일 예로, 댐퍼(190)는, 스프링(150)과 고정부(13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50b)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50)과 고정부(130) 사이에, 댐퍼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150)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키고,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7은 스프링의 댐퍼 적용 전후에 대한 고유진동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에 댐퍼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이동부가 이동한 후, 이동부가 안정화될 때까지, 긴 시간이 걸리므로, 불필요한 시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에 댐퍼를 적용하면, 이동부가 이동한 후, 이동부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안정화되므로, 이동부가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불필요한 시간 손실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에 댐퍼를 적용함으로써,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억제시키고,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렌즈부에 인가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S100)
그리고, 제어부는, 생성된 구동 신호를 렌즈부에 인가하여 렌즈부를 이동시킨다.(S200)
다음, 제어부는,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센싱 신호가 생성되는지를 확인한다.(S300)
이어, 제어부는, 센싱 신호가 생성되면, 현재 시간이 특정 시간대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400)
여기서, 특정 시간대는,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대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특정 시간대이면, 생성된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S500), 특정 시간대가 아니면, 생성된 센싱 신호를 차단한다.(S1100)
그 이유는, OIS 신호 입력 등의 외부 영향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차단하기 위함니다.
다음, 제어부는, 수신된 센싱 신호를 토대로, 센싱부와 렌즈부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한다.(S600)
이어, 제어부는,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고,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한다.(S700)
그리고, 제어부는, 처리된 이미지 신호와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으로부터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값을 산출한다.(S800)
다음, 제어부는, 산출된 포커스 위치값으로 렌즈부를 이동시키고(S900), 포커스 제어 종료인지를 확인하며(S1000), 포커스 제어 종료이면, 모든 포커스 제어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센싱 신호가 생성되면, 특정 시간대인지를 확인할 때, 특정 시간대가 아니면, 생성된 센싱 신호를 차단하고(S1100),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생성 및 입력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센싱 신호가 생성되면, 특정 시간대인지를 확인할 때, 특정 시간대가 아니면, 생성된 센싱 신호를 차단하고(S1100),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한 다음(S1110), 검출된 센싱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렌즈부의 포커스 위치를 보정함으로써(S1120),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때, 센싱부의 저항값을 측정한 다음(S1112), 측정된 저항값을 토대로, 센싱부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S1114)
또한, 제어부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의 저항값을 측정할 때, 센싱부에 전류를 인가하고(S1112-1), 전류가 인가된 센싱부의 전압을 측정한 다음(S1112-2), 센싱부에 인가된 전류값과 측정된 전압값을 토대로, 센싱부의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다.(S1112-3)
여기서, 센싱부에 전류를 인가할 때, 센싱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시점은, 센싱부로부터 센싱되는 신호 펄스들 사이의 시간대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렌즈부에 인가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때(S100), 구동 신호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가 합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위한 신호 성분이고,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는, 렌즈부의 이동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 성분이며, 구동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S110),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S120)
즉,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시간대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IS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S130), 생성된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IS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도 있다.(S140)
여기서, OIS 신호는, 손떨림에 의한 포커스 보정을 위한 신호로서, OIS 신호 인가시에도, 고주파 신호에 의해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OIS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S150),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인가하는 OIS 입력 시간대에 상응하는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며(S160), 생성된 제1, 제2 동기 신호를 토대로,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IS 입력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S170)
즉,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 및 OIS 입력 시간대에만,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나머지 시간대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일부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고(S182),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하며(S184), 노이즈가 검출되면,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S186)
즉,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합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에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코일과 고정 코일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하는 단계(S600)에서, 검출부의 반파 정류부는, 고정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반파 신호로 정류한다.(S610)
그리고, 검출부의 변환부는, 정류된 반파 신호를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한 다음(S620), 검출부의 증폭부는,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에 대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한다.(S630)
이어, 검출부의 피크 검출부는, 증폭된 주파수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함으로써, 전류 또는 전압의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S64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위칭부(700)를 배치하여, 특정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수신되는 제1 센싱부(200)의 센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OIS 신호에 의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오토 포커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 신호가 차단되는 시간대에, OIS 신호 생성 및 제1 센서부(200)의 온도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센싱부(2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렌즈부(110)의 포커스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제1 센싱부(200)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신호의 전체 시간대 중, 이미지 신호 처리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임의의 고주파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영상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사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150)과 렌즈부(110) 사이에 댐퍼를 배치하여, 스프링(150)의 고유 진동을 줄임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카메라 모듈
200: 제1 센싱부
300: 제2 센싱부
400: 이미지 신호 처리부
500: 포커스 위치 산출부
600: 제어부
700: 스위칭부

Claims (21)

  1.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 1 센싱부;
    상기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
    상기 제 2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 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오토 포커스를 위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오토 포커스를 위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와 상기 렌즈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저주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기 위해 상기 고주파 신호를 인가하는 제 1 시간대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시간대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상기 렌즈부의 이동의 센싱으로 인해 상기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손떨림 보정을 위한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 1 시간대를, 상기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 3 시간대와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부는,
    상기 렌즈부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는 코일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부는,
    상기 렌즈부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의 이동 방향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부는,
    상기 렌즈부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부 및 제 2 센싱부는,
    상기 렌즈부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렌즈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센싱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 1 센싱부의 온도를 더욱 고려하여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센싱부의 온도는 제 1 시간대와는 다른 시간대에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센싱부는 코일 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센서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코일 센서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 센서에 전류를 인가한 후 상기 코일 센서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인가된 전류와 상기 측정된 전압을 토대로 상기 코일 센서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렌즈부를 이동시켜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 1 센싱부;
    상기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
    상기 제 2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 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오토 포커스를 위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오토 포커스를 위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와 상기 렌즈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저주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기 위해 상기 고주파 신호를 인가하는 제 1 시간대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시간대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상기 렌즈부의 이동의 센싱으로 인해 상기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는 제 1 시간대를, 상기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 3 시간대와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센싱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 1 센싱부의 온도를 더욱 고려하여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 18 항에 있어서,
    제 1 센싱부의 온도는 제 1 시간대와는 다른 시간대에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1. 렌즈부의 이동을 제 1 센싱부를 통해 센싱하는 단계;
    상기 렌즈부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제 2 센싱부를 통해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이미지 신호를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통해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센싱부의 센싱 신호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이미지 신호를 토대로, 오토 포커스를 위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렌즈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오토 포커스를 위해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와 상기 렌즈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저주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이동을 센싱하기 위해 상기 고주파 신호를 인가하는 제 1 시간대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시간대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상기 렌즈부의 이동의 센싱으로 인해 상기 이미지 신호에 노이즈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KR1020180003409A 2018-01-10 2018-01-10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8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09A KR101887068B1 (ko) 2018-01-10 2018-01-10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09A KR101887068B1 (ko) 2018-01-10 2018-01-10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824A Division KR101819518B1 (ko) 2016-03-09 2016-09-13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983A KR20180029983A (ko) 2018-03-21
KR101887068B1 true KR101887068B1 (ko) 2018-08-09

Family

ID=6190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409A KR101887068B1 (ko) 2018-01-10 2018-01-10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196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지니틱스 Af 구동 소자의 변위 곡선 선형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1693A (ja) * 2003-03-06 2004-09-30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155A (ko) * 2005-02-01 2006-08-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위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7041387A (ja) * 2005-08-04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KR102169957B1 (ko) * 2014-02-19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1693A (ja) * 2003-03-06 2004-09-30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196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지니틱스 Af 구동 소자의 변위 곡선 선형화 방법
KR102246679B1 (ko) * 2018-12-21 2021-04-30 주식회사 지니틱스 Af 구동 소자의 변위 곡선 선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983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81256B (zh) 控制相机模块的自动聚焦的装置和方法
KR101769385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US9983380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US20200003989A1 (en) Lens holder dr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with camera
KR20150097998A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US8928766B2 (en) Anti-shake device for a lens module
US11985404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105234A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US8243147B2 (en) Handshake correction apparatus
KR101887068B1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EP3244529B1 (en)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KR101819518B1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55142A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057605A (ja) 撮像装置
KR10260550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80096923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US7480449B2 (en) Image detection module
CN115550630B (zh) 一种镜头位置的检测系统、检测方法、音圈马达及设备
JP2008292902A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20090303333A1 (en) Camera and image detecting module thereof
JP2008180561A (ja) 位置検出回路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