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46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 및 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 및 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460A
KR20180057460A KR1020160166196A KR20160166196A KR20180057460A KR 20180057460 A KR20180057460 A KR 20180057460A KR 1020160166196 A KR1020160166196 A KR 1020160166196A KR 20160166196 A KR20160166196 A KR 20160166196A KR 20180057460 A KR20180057460 A KR 20180057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frequency band
predetermined frequency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609B1 (ko
Inventor
김은용
안광진
최영관
조훈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19,63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93696B2/en
Priority to CN201780071041.1A priority patent/CN109983742B/zh
Priority to PCT/KR2017/013332 priority patent/WO2018097591A1/en
Priority to EP17873507.2A priority patent/EP3510740A4/en
Publication of KR2018005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11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reducing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or the mean power of the constellation; Arrangements for increasing the shape gain of a signal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18Reduction thereof using auxiliary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1Reduction thereof using phase offsets between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은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하며,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 및 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 {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영역 신호의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 비(PAPR, peak-to-average ratio)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간 영역 신호의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 비(PAPR, peak-to-average ratio)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 비(PAPR, peak-to-average ratio)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은,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하며, 상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신호 수신 방법은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 비(PAPR, peak-to-average ratio)가 감소함으로써, 송신 장치는 더 높은 평균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쓰르풋(throughput)과 커버리지(coverage)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주파수 자원 활용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일반적인 다중 주파수 자원 활용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Pre-5G 규격에서 서브프레임(subframe) #0, #25의 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Pre-5G 규격에서 xPDCCH가 전송되는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PAPR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은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시스템에 기 가입되어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 기기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에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같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일 예시에 해당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은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간 영역 신호의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 비(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송신 장치가 동일한 신호를 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에서 전송하는 경우, PAPR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보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쓰루풋(throughput) 증대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더 많은 주파수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많은 주파수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으로써, 주파수 대역이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단위로 구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다만, CC 단위로 시퀀스(sequence)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퀀스를 동시에 전송하면 동일한 시퀀스가 주파수 축에서 반복하여 전송됨으로써, PAPR이 증가하는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CC 내에서도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가 전송됨에 있어, 주파수 축에서 시퀀스가 반복되는 경우 PAPR이 증가하는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본원 발명은, 특정 주파수 블록 단위로 동일한 시퀀스가 반복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TE, pre-5G와 같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물리 채널 및 신호는 주파수축에서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을 통해 시간 축으로 변환된 신호 파형(waveform)이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주파수 축의 신호 성분은 특정 범위의 전력(power)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주파수 축의 신호 성분이 시간 축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시간 성분 신호의 전력은 넓은 범위를 분포를 갖게 된다. 신호의 전송 전력의 범위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 비(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를 사용할 수 있다. PAPR은 기저 대역 전송 신호가 송신 장치에 미치는 영향을 표시하는 기준으로서, 평균 전력에 대한 첨두 전력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증폭기의 선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신호 크기 범위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PAPR이 큰 신호를 신호 품질 저하 없이 전송하는 것은, 최대전력이 선형 구간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 평균전력을 낮추어야 하므로, 불리하다. 반대로, PAPR이 낮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신호 품질 저하 없이 신호 평균 전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신호가 주파수 축에서 반복되는 특성이 있을 경우, 반복되는 주파수 차이에 대응되는 시간 성분 신호가 큰 전력을 갖게 되어 PAPR 저하가 유발된다. 이를 막기 위해 LTE, pre-5G와 같은 규격은 신호가 주파수 축에서 반복되지 않도록 랜덤화(randomization) 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throughput 증대를 위해 더 많은 주파수 자원을 활용하고자 다수의 component carrier(CC)가 도입되고 있다. 송신 장치는 CC 별로 신호를 생성하게 되어, 동일한 신호가 주파수 축에서 CC 단위로 반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APR이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CC를 전송하기 위해, 송신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 별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장치(100)는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11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11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11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11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113) 각각은 제1 내지 N CC에서 각각 전송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100)는 상기 CC 별로 생성된 신호를 각각 주파수/시간 변환을 통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장치(100)는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121),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 (122) 내지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 (123)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121),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 (122) 내지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 (123) 는 각각의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111 내지 113) 를 통해 생성된 신호들을 주파수/시간 변환을 통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송신 장치(100)는 상기 변환된 시간 성분 신호들을 digital up converter(DUC)(130)를 통해 중심주파수를 옮겨서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상기 송신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장치(200)는 digital down converter(DDC)(210)를 통해 중심주파수 별로 각 CC 별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200)는 상기 분리된 각 CC 별 신호를 시간/주파수 변환을 통해 주파수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장치(200)는 제1 시간/주파수 변환부(221), 제2 시간/주파수 변환부 (222) 내지 제N 시간/주파수 변환부 (223)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주파수 변환부(221), 제2 시간/주파수 변환부 (222) 내지 제N 시간/주파수 변환부 (223) 는 CC 별로 분리된 신호들을 시간/주파수 변환을 통해 주파수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장치(200)는 CC 별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장치(200)는 제1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231), 제2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23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231), 제2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23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233) 각각은 제1 내지 N CC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장치(100)가 CC 별 신호를 생성함에 있어 동일한 신호가 주파수 축에서 CC 단위로 반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PAPR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e-5G 규격에 따르면 50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는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에서 subframe #0 및 subframe #25의 각 OFDM 심볼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제어 신호가 하향링크로 전송될 수 있다.
단, 도 3은 실제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수를 모두 도시하는 대신, 개념적으로 간략하게 주파수 축에서의 멀티플렉싱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동기 신호(synchronizing signal), 빔 기준 신호(beam reference signal, BRS), Pre-5G 규격의 물리적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xPBCH)이 주파수 축에서 멀티플렉싱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와 BRS는 해당 셀(cell)의 셀 아이디(physical cell, PCDI)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xPBCH는 해당 셀의 PCID 및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메시지(message)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8개의 CC가 동일한 PCID 값을 갖고 CC 별로 MIB message에 차이가 없다면, 완벽하게 동일한 신호가 주파수 축에서 8번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PAPR는 약 9dB 정도 증가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CC 내에서도 주파수 축에서 특정 신호가 반복되어 PAPR이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Pre-5G 규격의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xPDCCH)이 전송되는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PDCCH는 xPDCCH 신호 복조 시 채널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xPDCCH와 관련된 사용자 특정 기준 신호 (UE-specific Reference Signal associated with xPDCCH )와 함께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주파수 축으로 멀티플렉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 도 4는 실제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수를 모두 도시하는 대신, 개념적으로 간략하게 주파수 축에서의 멀티플렉싱을 표현한 도면이다.
xPDCCH 전송 심볼은 CC 당 16개의 xREG가 있으며, 각 xREG는 xPDCCH 전송에 사용되는 48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tone))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xPDCCH 수신 시 채널 추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UE-specific reference signal associated with xPDCCH가 xREG 당 24개의 RE를 사용하며 주파수 축에서 상기 48개의 RE와 멀티플렉싱 될 수 있다. xPDCCH는 단말에 전달하고자 하는 제어 정보에 의해 신호가 랜덤화 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UE-specific reference signal associated with xPDCCH는 매 xREG 단위로 RS ID 값에만 의존하는 동일한 시퀀스가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RS ID는 기본값으로 PC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로 설정 시에는 설정된 값이 사용될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가 하나의 수신 장치에게 최대 16 xREG를 모두 사용하여 xPDCCH를 전송할 경우, UE-specific reference signal associated with xPDCCH의 시퀀스가 16번 반복되어 PAPR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주파수 축에서 동일 신호가 반복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PAPR 증가 폭이 커지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PAPR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송수신 장치 간의 합의 없이 송신 장치가 독자적으로 PAPR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송수신 장치 간의 합의를 통해 추가적으로 PAPR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5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송신 장치(500)가 CC 단위로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PAPR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500)는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3) 각각은 제1 내지 N CC를 통해 각각 전송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3) 각각은 CC 별로 전송할 데이터뿐 아니라 동기 신호, 복조(demodulation)를 위한 기준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3) 각각은 주어진 셀 정보 및 시간 인덱스(time index) 등에 따라 다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500)는 상기 CC 별로 생성된 신호를 각각 주파수/시간 변환을 통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장치(500)는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521),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 (522) 내지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 (523)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521),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 (522) 내지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 (523) 는 각각의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1 내지 513) 를 통해 생성된 신호들을 주파수/시간 변환을 통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3) 각각은 각 CC의 시간 성분 신호에 대해 기설정된 위상을 적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500)의 위상 회전 제어부(540)는 각각의 CC에 대해 적용할 위상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 회전 제어부(540)는 상기 설정된 위상 정보를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3)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3) 각각은 전달받은 위상 정보에 기반하여, 시간 성분으로 변환된 신호를 각각의 위상 값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상 회전 제어부(540)는 제1 CC에 대한 신호에는 e- /2, 제2 CC에 대한 신호에는 ej0 그리고 제N CC에 대한 신호에는 e /2를 적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 회전 제어부(540)는 설정된 위상 값들을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3)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1)는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521)에 의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된 제1 CC에 대한 신호에 대해, e- / 2을 곱할 수 있다.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2)는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522)에 의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된 제2 CC에 대한 신호에 대해, ej0을 곱할 수 있다. 또한,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533)는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523)에 의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된 제3 CC에 대한 신호에 대해, ejπ/2을 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513)가 동일한 PCID에 기반하여 동일한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더라도, 서로 다른 위상 값이 곱해짐으로써, 구분되게 된다.
digital up converter(DUC)(550)는 상기 서로 다른 시간 성분 신호에 대해 중심주파수를 옮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UC(540)는 믹서(mixer) 등의 RF unit으로 상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CC 내에서도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가 전송됨에 있어, 주파수 축에서 시퀀스가 반복되는 경우 PAPR이 증가하는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은 하나의 CC 내에서 주파수 축으로 반복되는 신호의 PAPR을 감소하기 위해, 제1 실시 예를 적용한 송신 장치(600)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장치(600)는 제1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1), 제2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2) 내지 제N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1), 제2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2) 내지 제N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3) 각각은 하나의 CC 내의 제1 내지 N REG에서 각각 전송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1), 제2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2) 내지 제N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3) 각각은 REG 별로 전송할 데이터뿐 아니라 동기 신호, 복조(demodulation)를 위한 기준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1), 제2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2) 내지 제N REG에 대한 신호 생성부(613) 각각은 주어진 셀 정보 및 시간 인덱스(time index) 등에 따라 다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600)는 상기 REG 별로 생성된 신호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위상을 적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REG에 대한 위상 회전부(621), 제2 REG에 대한 위상 회전부(622) 내지 제N REG에 대한 위상 회전부(623) 각각은 각 REG의 주파수 성분 신호에 대해 기설정된 값의 위상을 적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600)의 위상 회전 제어부(630)는 각각의 REG에 대해 적용할 위상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 회전 제어부(630)는 상기 설정된 위상 정보를 제1 REG에 대한 위상 회전부(621), 제2 REG에 대한 위상 회전부(622) 내지 제N REG에 대한 위상 회전부(623)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REG에 대한 위상 회전부(621), 제2 REG에 대한 위상 회전부(62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623) 각각은 전달받은 위상 정보에 기반하여, 각 REG 별로 생성된 주파수 성분의 신호에 대해 각각의 위상 값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각 REG별 위상 값이 적용된 주파수 성분의 신호는 CC 내의 해당하는 자원 요소에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주파수 맵퍼(mapper)(641)는 제1 REG에 대한 위상 값이 적용된 제1 REG에 대한 신호를 CC 내의 제1 REG에 해당하는 RE에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파수 맵퍼(mapper)(642)는 제2 REG에 대한 위상 값이 적용된 제2 REG에 대한 신호를 CC 내의 제2 REG에 해당하는 RE에 매핑할 수 있으며, 제N 주파수 맵퍼(mapper)(643)는 제N REG에 대한 위상 값이 적용된 제N REG에 대한 신호를 CC 내의 제N REG에 해당하는 RE에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시간 변환부(650)는 역푸리에 변환(inversion fast fourier transform, IFFT) 블록일 수 있다. 상기 주파수/시간 변환부(650)는 주파수 성분 신호를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시간 성분의 신호는 digital up converter(DUC)에 의해 중심주파수로 옮겨지고, 믹서(mixer) 등의 RF unit으로 전달되어, 수신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CC 내에서 REG 단위로 신호를 생성하고 위상을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하는 단위로 신호를 생성하고 위상을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주파수 블록 단위로 위상 회전을 적용하여 PAPR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수신 장치는 상기 위상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수신 장치 구조를 통해 본래대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700에서, 송신 장치는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단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는, 임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내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 단위일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송신 장치는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20에서, 송신 장치는 상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8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상기 송신 장치(800)는 다수의 CC를 동시에 전송하는 장치로서, 송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810)는 임의의 주파수 단위별로 신호생성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신호 생성 정보를 상기 임의의 주파수 단위별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임의의 주파수 단위는 CC 단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810)는 상기 신호 생성 정보로서, 각 CC에 따라 상이한 CC 인덱스(index)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800)는 상기 송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810)가 생성한 상기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신 장치(800)는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radio resource control(RRC) message)를 통해 상기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와 동일한 신호 생성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장치(800)는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3) 각각은 상기 송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810)에서 생성된 각 CC 단위에 대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3) 각각은,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내지 N CC에서 각각 전송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3) 각각은 CC 별로 전송할 데이터뿐 아니라 동기 신호, 복조(demodulation)를 위한 기준 신호등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1), 제2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3) 각각은 주어진 셀 정보, 시간 인덱스(time index)뿐만 아니라, 상기 송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810)로부터 수신된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800)는 상기 CC 별로 생성된 신호를 각각 주파수/시간 변환을 통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장치(800)는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831),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 (832) 내지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 (833)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831),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 (832) 내지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 (833) 는 역푸리에 변환(inversion fourier transform, IFFT) 블록일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831),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 (832) 내지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 (833) 는 각각의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1 내지 823)를 통해 생성된 신호들을 주파수/시간 변환을 통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3) 각각은 각 CC의 시간 성분 신호에 대해 기설정된 위상을 적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800)의 위상 회전 제어부(850)는 각각의 CC에 대해 적용할 위상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 회전 제어부(850)는 상기 설정된 위상 정보를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3)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3) 각각은 전달받은 위상 정보에 기반하여, 시간 성분으로 변환된 신호를 각각의 위상 값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상 회전 제어부(850)는 제1 CC에 대한 신호에는 e- /2, 제2 CC에 대한 신호에는 ej0 그리고 제N CC에 대한 신호에는 e /2를 적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 회전 제어부(850)는 설정된 위상 값들을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3)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1)는 제1 주파수/시간 변환부(831)에 의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된 제1 CC에 대한 신호에 대해, e- / 2을 곱할 수 있다.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2)는 제2 주파수/시간 변환부(832)에 의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된 제2 CC에 대한 신호에 대해, ej0을 곱할 수 있다. 또한,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3)는 제N 주파수/시간 변환부(833)에 의해 시간 성분 신호로 변환된 제3 CC에 대한 신호에 대해, ejπ/2을 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800)는 상기 위상 회전 제어부(850) 및 제1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1), 제2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2) 내지 제N CC에 대한 위상 회전부(843)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장치(800)의 제1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1 내지 823)는 생성된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송신 장치(800)는,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로 생성하기 위해, CC 별로 상이한 위상 값을 적용하여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digital up converter(DUC)(860)는 상기 서로 다른 시간 성분 신호에 대해 중심주파수를 옮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UC(860)는 믹서(mixer) 등의 RF unit으로 상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9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수신 장치(900)는 상기 송신 장치(8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 장치(900)는 상기 송신 장치(800)에서 생성된 신호 생성 정보를 기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900)는 digital down converter(DDC)(910)를 통해 중심주파수 별로 각 CC 별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900)는 상기 분리된 각 CC 별 신호를 시간/주파수 변환을 통해 주파수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장치(900)는 제1 시간/주파수 변환부(921), 제2 시간/주파수 변환부 (922) 내지 제N 시간/주파수 변환부(9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주파수 변환부(921), 제2 시간/주파수 변환부 (922) 내지 제N 시간/주파수 변환부 (923) 는 일반적으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블록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주파수 변환부(921), 제2 시간/주파수 변환부 (922) 내지 제N 시간/주파수 변환부 (923) 는 CC 별로 분리된 신호들을 시간/주파수 변환을 통해 주파수 성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장치(900)는 CC 별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장치(900)는 제1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1), 제2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1), 제2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3)는 송신 장치(800의 제1 CC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생성부(821 내지 823)의 동작을 인지하고, 동기 신호를 예측하여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1), 제2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3)는 복조(demodulation)를 위한 기준 신호를 예측하여 채널 추정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1), 제2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3)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채널을 복조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1), 제2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3) 각각은 송신 장치(800)가 전송한 신호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된 신호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수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940)는 송신 장치(800)에서 생성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940)는 상기 제1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1), 제2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2) 내지 제N CC에 대한 신호 수신부(933) 각각으로 CC 별 해당 신호 생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710)와 수신단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940)는 CC 별 신호생성정보를 사전에 합의를 통해 동일한 값을 가지고 있어야 신호 수신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800)가 수신 장치(900)에 CC 별 신호 생성 정보를 미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장치(800)는 기지국이고, 상기 수신 장치(900)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1000에서, 송신 장치는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생성 정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단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는, 임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내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 단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생성 정보는 각 CC에 따라 상이한 CC 인덱스(index)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010에서, 송신 장치는 상기 생성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생성된 신호 생성 정보를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radio resource control(RRC) message)를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송신 장치는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신 장치는 주어진 셀 정보, 시간 인덱스(time index)뿐만 아니라,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40에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050에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는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PAPR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 각각에 따라, 송신 장치가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경우, PAPR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 비(PAPR, peak-to-average ratio)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는 상기 PAPR의 감소로, 더 높은 평균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쓰루풋(throughput)과 커버리지(coverage)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 또는 송신 장치의 위상 회전 제어부는 플래시 메모리나 기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 또는 위상 회전 제어부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 또는 송신 장치의 위상 회전 제어부는 CPU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신호 생성 정보 관리부 또는 송신 장치의 위상 회전 제어부의 CPU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술한 프로그램들을 RAM으로 복사한 후, 복사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 또는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운용체제(operating system) 등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관리부 또는 제어부는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 등의 다른 기능부와 함께 단일칩 시스템 (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500, 600, 800: 송신 장치
200, 900: 수신 장치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하며, 상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는, 임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내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 (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하는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생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신호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생성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하며, 상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생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이 결정되면,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상기 결정된 위상이 적용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는, 임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내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 (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하는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이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위상을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적용된 신호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위상이 결정되면,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에 상기 결정된 위상이 적용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서로 다른 시퀀스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단위별로 생성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66196A 2016-11-22 2016-12-07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 및 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 KR10264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19,633 US10693696B2 (en) 2016-11-22 2017-11-2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780071041.1A CN109983742B (zh) 2016-11-22 2017-11-22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装置和方法
PCT/KR2017/013332 WO2018097591A1 (en) 2016-11-22 2017-11-2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7873507.2A EP3510740A4 (en) 2016-11-22 2017-11-2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5418P 2016-11-22 2016-11-22
US62/425,418 201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460A true KR20180057460A (ko) 2018-05-30
KR102640609B1 KR102640609B1 (ko) 2024-02-26

Family

ID=6230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196A KR102640609B1 (ko) 2016-11-22 2016-12-07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 및 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510740A4 (ko)
KR (1) KR1026406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70B1 (ko) * 2009-06-22 2014-01-24 알까뗄 루슨트 송신을 위해 결합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244B1 (ko) * 2009-04-10 2013-12-2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서버,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70B1 (ko) * 2009-06-22 2014-01-24 알까뗄 루슨트 송신을 위해 결합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609B1 (ko) 2024-02-26
EP3510740A4 (en) 2019-10-16
EP3510740A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82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16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lized multi-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N110870242B (zh) 用于相位跟踪参考信号设计的方法和装置
WO2018116788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190138859A (ko) 신호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9997381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US10784934B2 (en)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precode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transmissions
US11303489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WO2017092697A1 (zh) 通信系统中处理通信信号的方法和装置
WO2011023088A1 (zh) 子载波发送方法、基站和系统
RU2711234C1 (ru) Аппарат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на основе множества каналов
KR1015982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신호 전송 및 수신 방법
CN109804588B (zh) 用于ofdm和dfts-ofdm的公共参考信号设计的方法和设备
AU2018216424C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2397927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스펙트럼 마스크 필링을 이용한 피크 대 평균 전력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6325539A (zh) 一种传输信号的方法及装置
US106936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767604B (zh) 基於刪餘模式之正交分頻多工(ofdm)傳輸之控制
EP4120645A1 (en) Ofdm-based method and device for spreading and transmitting compressed data
US117702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033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406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 및 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
KR102449701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주파수 도약이 가능한 다중-뉴머롤로지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8116806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200100003A (ko) 밀리미터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