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324A - 목걸이형 안전센서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안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324A
KR20180057324A KR1020160155823A KR20160155823A KR20180057324A KR 20180057324 A KR20180057324 A KR 20180057324A KR 1020160155823 A KR1020160155823 A KR 1020160155823A KR 20160155823 A KR20160155823 A KR 20160155823A KR 20180057324 A KR20180057324 A KR 20180057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ook
safety sensor
nec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범진
우동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우동형
한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우동형, 한범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Priority to KR102016015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324A/ko
Priority to PCT/KR2016/013521 priority patent/WO2018097343A1/ko
Publication of KR2018005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409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comparis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1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brace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이구(110); 상기 걸이구(110)의 표면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접근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20); 상기 걸이구(110)의 양측에 형성하여 작업복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걸이구(110) 및 센서(120)가 헛돌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유닛(130);으로 이루어지는 목걸이형 안전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자의 목에 착용하여 접근하는 이동장비 및 다른 작업자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목에 헛돌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자세에 따라서 지정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목걸이형 안전센서{Necklace type safety sensor}
본 발명은 목걸이형 안전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목에 걸어서 작업복의 지정위치에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센서의 각도를 조절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형 안전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센서는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헬멧 또는 허리에 장착하여 지게차 등과 같은 이동장비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앉아 있거나 엎드린 상태와 같은 작업자세에 따라서 센서의 방향이 달라지면서 접근하는 이동장비를 감지할 수 없는 기능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헬멧 또는 작업복을 벗거나 다른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복을 착용할 경우 안전센서의 각도를 일일이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가 안전센서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84762호(2010.07.28.)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0289호(2011.03.0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765호(2014.10.13.)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0107호(2015.12.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9098호(2016.09.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자의 목에 착용하여 접근하는 이동장비 및 다른 작업자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목걸이형 안전센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자세에 따라서 지정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목걸이형 안전센서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의 목에 흔들리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목걸이형 안전센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100)는,
작업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이구(110); 상기 걸이구(110)의 표면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접근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20); 상기 걸이구(110)의 양측에 형성하여 작업복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걸이구(110) 및 센서(120)가 헛돌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유닛(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걸이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130)은 걸이구(110)의 양측에 설치하는 연결부재(131); 상기 연결부재(131)의 외측 끝단에 연결하여 작업복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13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131)의 내측 끝단에 걸림구(133)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구(133)가 이동하면서 걸려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걸이구(110)의 걸이대(112)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걸림돌기(1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1)의 중간 일측에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구(1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목에 착용하여 접근하는 이동장비 및 다른 작업자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목에 헛돌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자세에 따라서 지정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이구(110); 상기 걸이구(110)의 표면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접근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20); 상기 걸이구(110)의 양측에 형성하여 작업복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걸이구(110) 및 센서(120)가 헛돌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유닛(13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걸이구(110)는 작업자(사용자)의 목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한 형태로 작업자가 양측으로 벌려서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이구(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을 개방한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구(110)는 상기 센서(120)를 설치하는 홀더(111); 상기 홀더(111)의 양측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되 표면에 상기 센서(120)를 설치할 수 있는 한 쌍의 걸이대(112);로 구성하여, 작업자의 목 넓이에 따라서 상기 걸이대(112)의 길이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켜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111) 및 걸이대(112)의 외측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과 같은 경질재질로 제작하고, 내측은 직물 또는 면 등과 같은 연질재질로 제작하여 작업자의 목에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하고 착용시 불쾌함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111)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상기 센서(120)가 접근물체를 감지할 경우 경고음, 경고불빛,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120)는 지게차 등과 같은 이동장비 및 다른 작업자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작업자가 작업위치 및 작업자세에 따라서 작업자가 지정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홀더(111)의 일측에 회전축(12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121)의 일측에 센서(120)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센서(120)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21)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120)는 초음파센서 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방향 및 위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걸이구(110)의 양측에 연결하여 작업복(상의)의 여러 위치에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상기 걸이구(110)가 작업자의 목에서 헛돌거나 이동하면서 정확한 감지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걸이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작업자가 걸이구(110) 및 센서(120)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고정유닛(1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복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130)은 걸이구(110)의 양측에 설치하는 연결부재(131); 상기 연결부재(131)의 외측 끝단에 연결하여 작업복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132);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131)는 유연성을 갖는 로프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지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고, 상기 클램프(132)는 집게 또는 벨크로테이프, 자석, 단추 등을 사용하여 작업복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1)의 내측 끝단에 걸림구(133)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구(133)가 이동하면서 걸려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걸이구(110)의 걸이대(112)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걸림돌기(113);를 형성하여 상기 클램프(132)가 지정한 위치에 고정할 경우 상기 연결부재(131)가 느슨하게 처지지 않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구(133)는 상기 걸림돌기(113)의 내측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맞물려 걸리므로 작업자가 지정한 위치로 상기 걸림구(133) 및 연결부재(131)를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131)의 중간 일측에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구(134);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재(131)가 너무 길거나 사용 후 보관시 헝클어지므로 길이를 짧게 또는 길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구(13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1)의 중간을 접어서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고정위치에 따라서 연결부재(1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집게형태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작업자세에 따라서 상기 센서(120)의 각도를 접근물체가 다가올 이동거리 및 동선에 맞춰서 조절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복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감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목걸이형 안전센서
110: 걸이구 111: 홀더
112: 걸이대 113: 걸림돌기
120: 센서
130: 고정유닛 131: 연결부재
132: 클램프 133: 걸림구
134: 길이조절구

Claims (5)

  1. 작업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이구(110); 상기 걸이구(110)의 표면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접근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20); 상기 걸이구(110)의 양측에 형성하여 작업복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걸이구(110) 및 센서(120)가 헛돌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유닛(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안전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걸이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안전센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130)은 걸이구(110)의 양측에 설치하는 연결부재(131); 상기 연결부재(131)의 외측 끝단에 연결하여 작업복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13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안전센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1)의 내측 끝단에 걸림구(133)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구(133)가 이동하면서 걸려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걸이구(110)의 걸이대(112)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걸림돌기(1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안전센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1)의 중간 일측에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구(1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안전센서.
KR1020160155823A 2016-11-22 2016-11-22 목걸이형 안전센서 KR20180057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23A KR20180057324A (ko) 2016-11-22 2016-11-22 목걸이형 안전센서
PCT/KR2016/013521 WO2018097343A1 (ko) 2016-11-22 2016-11-23 목걸이형 안전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23A KR20180057324A (ko) 2016-11-22 2016-11-22 목걸이형 안전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324A true KR20180057324A (ko) 2018-05-30

Family

ID=6219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823A KR20180057324A (ko) 2016-11-22 2016-11-22 목걸이형 안전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57324A (ko)
WO (1) WO20180973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692Y1 (ko) * 2002-05-14 2002-08-13 이중영 목걸이형 핸즈프리
TWI337536B (en) * 2007-05-15 2011-02-21 Univ Nat Yang Ming Necklace type of detector for electrocardiographic and temperature information
KR101587714B1 (ko) * 2014-05-26 2016-01-21 이승호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KR102174752B1 (ko) * 2014-08-26 2020-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662914B1 (ko) * 2014-12-31 2016-10-0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안경형 전방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343A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8227A1 (en) Tool Holder
KR20080047967A (ko) 밀폐형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20100107295A1 (en) Cord holding garment
US20200060357A1 (en) Inclement weather work garments
JP3211063U (ja) 衣服
KR20180057324A (ko) 목걸이형 안전센서
KR20210101767A (ko) 안전고리장치
JP6298359B2 (ja) 発光装置を備えた安全帯
US7945969B1 (en) Cord holding garment
KR200477208Y1 (ko) 밴드형 각반
KR20160033925A (ko) 각반용 램프를 장착한 각반
JP2015029859A (ja) 肩掛けベルトのずり落ち防止具、及びそれを用いたショルダーバッグ
ES1153634U (es) Prenda laboral anti-caída
JP3159748U (ja) 平ゴム帯装着の長袖のカッターシャツ及びジャンパーの袖口カフス
KR20200114257A (ko) 안전조끼
WO2018012600A1 (ja) 工具落下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
EP2989916B1 (en) Clothing accessory that protects from the cold
JP3233410U (ja) ベルトずれ防止具
JP3193148U (ja) 放射線防護具
JP6637782B2 (ja) 腰ベルト
JP2020196112A (ja) 足取り付け用の工具ベルト。
KR101907174B1 (ko) 원터치 분리형 주상 안전대
JP2014047426A (ja) 安全ベスト
JP3166685U (ja) ベルト取り付け反射パッド
JPS5819129Y2 (ja) 昇降用作業ズボ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