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002A - Gnss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Gnss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002A
KR20180057002A KR1020160155050A KR20160155050A KR20180057002A KR 20180057002 A KR20180057002 A KR 20180057002A KR 1020160155050 A KR1020160155050 A KR 1020160155050A KR 20160155050 A KR20160155050 A KR 20160155050A KR 20180057002 A KR20180057002 A KR 2018005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urbance
propagation
source
radio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인원
신천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002A/ko
Publication of KR2018005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15Arrangements for jamming, spoofing or other methods of denial of service of such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방법은 전파교란원을 추적하기 위해 복수의 측정 위치들 각각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방향 탐지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한 지도매칭기법을 통해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A LOCATION OF A RADIO WAVE DISTURBANCE SOURCE AND THE TRANSMISSION POWER ESTI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 교란 발생시 복수의 전파교란신호 측정 위치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RSS) 및 방향탐지 각도(Angle of Arrival, AOA)를 이용하여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을 정밀하게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파교란은 합법적으로 허가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방해할 목적으로 불법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파교란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GPS 전파교란이 있다. GPS 신호는 코드 분할 접속 방식(CDMA)을 사용하여 확산이득만큼 교란신호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확산이득을 초과하는 강한 교란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전파교란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GPS 전파교란은 항공기, 선박, 이동통신기지국 등 GPS 수신 장비에 장애 발생시켜 사회적 혼란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국민 안전 및 국가 인프라와 관련된 분야에 전파교란이 발생할 경우 그 피해는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전파교란이 발생하면, 전파교란원을 제거하거나 전파교란으로 인한 피해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대책마련에 활용하기 위하여,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을 정밀하게 추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파교란신호 측정 위치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수집하고,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한 지도매칭기법 및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을 정밀하게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방법은 전파교란원을 추적하기 위해 복수의 측정 위치들 각각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방향 탐지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한 지도매칭기법을 통해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에 대해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까지의 자유공간손실(Free Space Loss)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와 상기 계산된 자유공간손실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에 대해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에 지형기반의 전파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에 대한 상기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 세기 및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예측모델은 상기 전파교란신호에 대한 장애물이 존재하는 비가시선(Non-Line Of Sight)에 의한 전파환경을 고려한 전파예측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는 전파교란원을 추적하기 위해 복수의 측정 위치들 각각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방향 탐지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한 지도매칭기법을 통해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보정하며,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하고,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에 대해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까지의 자유공간손실(Free Space Loss)을 계산하고,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와 상기 계산된 자유공간손실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에 대해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에 지형기반의 전파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에 대한 상기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 세기 및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전파예측모델은 상기 전파교란신호에 대한 장애물이 존재하는 비가시선(Non-Line Of Sight)에 의한 전파환경을 고려한 전파예측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전파교란신호 측정 위치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수집하고,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한 지도매칭기법 및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교란원 추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교란원 추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파교란원(140)에서 전파교란 감시 시스템(13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파교란신호 측정 위치들(131~133)까지 전파가 도달될 때, 장애물이 없는 가시선(Line of Sight, 이하 LOS)에 의한 자유경로손실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지형 또는 건물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비가시선(이하 Non-LOS) 전파환경에 의한 경로손실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을 착안하였다. 즉, 본 발명은 전파교란원(140)에서 복수의 전파교란신호 측정 위치들(131~133)까지의 지형 또는 건물 등이 존재하는 전파환경을 고려한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전파교란원(140)의 송신출력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전파교란원(140)을 추적하기 위하여 전파교란 감시 시스템(130)을 구성하는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에서 측정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수신부(110) 및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전파교란원(140)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파교란신호가 전파교란원(140)으로부터 다양한 지형 및 건물이 존재하는 경로를 통해 전파되면, 각각의 측정 위치들(131~133)에서는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RSS) 및 방향탐지 각도(Angle of Arrival, AOA)가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측정 위치들(131~133)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는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의 수신부(110)로 수신될 수 있다.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측정 위치들(131~133)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방향탐지 각도에 AOA 기법을 적용하여 전파교란원(140)의 초기 위치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추정된 전파교란원(140)의 초기 위치는 지형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에서 측정된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된 위치이므로 지도상에서 확인해보면, 전파교란원(140)의 실제 위치라고 판단하기에는 비현실적인 지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추정된 전파교란원(140)의 초기 위치를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지도를 이용한 지도매칭기법을 이용하여 전파교란원(140)의 초기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전파교란원(140)의 초기 위치를 지도의 지형 고도와 각각의 측정 위치들(131~133)을 이용하여 보다 더 정확한 전파교란원(140)의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보정된 전파교란원(140)의 초기 위치 및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보정된 전파교란원(140)의 초기 위치 및 추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이용하여 정밀 보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전파교란원(140)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파교란 감시시스템(130)은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장비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비가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210)에서,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전파교란원을 추적하기 위해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 각각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계(220)에서,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방향탐지 각도에 AOA 기법을 적용하여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는 지형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에서 측정된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된 위치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지도상에서 확인해보면, 전파교란원의 실제 위치라고 판단하기에는 비현실적인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가 고도가 높은 지형들에 둘러싸인 위치라면 상식적으로 계산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가 전파교란원의 실제 위치라고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단계(230)과 같이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지도매칭기법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지도매칭기법은 전파교란 감시시스템(130)을 구성하는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세기를 고려하는 기법이다. 구체적으로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은 지점들 중에서 전파교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전파교란 감시시스템(130)의 가까운 지점으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후 단계(240)에서,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단계(210)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들 각각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에 대해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까지의 자유공간손실(Free Space Loss)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와 계산된 자유공간손실을 이용하여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에 대해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 각각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대략적인 보정단계를 통해 전파교란원의 보정된 초기 위치와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추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이용하여 정밀 보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250)에서,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대략적인 보정단계를 통해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와 추정된 초기 송신출력에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션을 적용함으로써 전파교란 감시 시스템(130)을 구성하는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들 각각에서의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단계(260)에서,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단계(250)을 통해 계산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와 단계(210)을 통해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비교하여 차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산출된 차이 값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단계(290)과 같이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산출된 차이 값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단계(270)과 같이 산출된 차이 값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보정 단계에서 획득한 전파교란원의 초기 송신출력을 보정할 수 있다.
이후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송신출력을 이용하여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션을 적용함으로써 전파교란 감시 시스템(130)을 구성하는 복수의 측정 위치들(131~133)들 각각에서의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재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산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와 실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의 차이 값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차이 값이 기준 값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 수행하면서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에 대한 추정 정밀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다 정밀한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의 추정을 원할수록 기준 값은 작아질 수 있다.
한편,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와 실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의 차이 값을 전파교란원의 송신출력에 보정하면서 미리 정해진 반복 횟수만큼 수행하였으나, 차이 값이 기준 값보다 작게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전파교란원의 위치를 보정하는 프로세스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단계(280)에서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전파교란 감시시스템(130)의 방향탐지 각도에 대한 오차 허용범위 이내에서 AOA(Angle of Arrival) 기법을 통해 전파교란원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위치 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단계(280)에서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위치 영역에서 지도매칭기법을 이용하여 현재 추정된 전파교란원 위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은 지점으로 전파교란원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와 실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의 차이 값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차이 값이 기준 값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 수행하면서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초기에 대략적으로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초기 송신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지형기반 전파예측모델을 이용하여 계산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와 실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비교하여 최대한 유사한 결과를 얻도록 전파교란원의 초기 송신 출력을 보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100)는 방향탐지 각도에 대한 오차 허용범위 이내에서 전파교란원 초기 위치들을 지도매칭기법을 통해 현실적인 위치로 보정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전파교란원 추정 장치
110 : 수신부
120 : 프로세서

Claims (1)

  1. 전파교란원을 추적하기 위해 복수의 측정 위치들 각각에서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 및 방향탐지 각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방향 탐지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한 지도매칭기법을 통해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측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수신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측정 위치들에서 측정되는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전파교란원의 초기 위치 및 상기 추정된 전파교란신호의 초기 송신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파교란원의 최종 위치 및 최종 송신출력을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방법.
KR1020160155050A 2016-11-21 2016-11-21 Gnss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57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50A KR20180057002A (ko) 2016-11-21 2016-11-21 Gnss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50A KR20180057002A (ko) 2016-11-21 2016-11-21 Gnss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002A true KR20180057002A (ko) 2018-05-30

Family

ID=6230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050A KR20180057002A (ko) 2016-11-21 2016-11-21 Gnss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902A (ko) * 2018-07-23 2020-01-31 국방과학연구소 위성항법 감시 방법 및 시스템
WO2022015503A1 (en) * 2020-07-14 2022-01-20 T-Mobile Usa, Inc.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nterference attack det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902A (ko) * 2018-07-23 2020-01-31 국방과학연구소 위성항법 감시 방법 및 시스템
WO2022015503A1 (en) * 2020-07-14 2022-01-20 T-Mobile Usa, Inc.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nterference attack detection
US11831679B2 (en) 2020-07-14 2023-11-28 T-Mobile Usa, Inc.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nterference attack de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0522A (ko) 이동체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252531B1 (ko) 적응적 칼만필터를 이용한 목표 위치추적장치
KR102033828B1 (ko) 시스템간 시각차이 보상을 통한 다중위성군 gnss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452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ff-line and on-line sensor calibration
KR20150132165A (ko) 외부 지원 정보를 사용하여 고정, 타이밍-기반 무선 위치 결정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KR20180057002A (ko) Gnss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47194A (ko) 전파예측모델을 이용한 전파교란원의 위치 및 송신출력 추정 장치 및 방법
US11047992B2 (en)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terminal
KR101151670B1 (ko) 기준국 수신기 시계오차 조정 효과를 고려한 gνss 의사거리 보정치 표준편차 설정방법
KR102172979B1 (ko) Gnss 수신기 보강항법 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529436B1 (ko) 긴급 구조원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096870B1 (ko) 운동성 전리층 교란의 폭 추정을 위한 gnss 수신기 네트워킹 장치 및 그 방법
KR101668531B1 (ko) 전술항법장치에 대한 분석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088727B1 (ko) Gnss 신호의 전리층 변화율에 기반하는 전리층 교란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225112B1 (ko) 비행체를 이용한 항행안전시설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2025763B1 (ko) 위성의 고장 원인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181645A1 (ja) 測位方法および端末
KR20200089884A (ko) 재밍 신호 세기 추정 방법 및 장치
US10816675B2 (en) Coordinate output method and coordinate output device
KR20200058770A (ko) 위성항법 보강정보 선택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KR102584796B1 (ko) Gis 정보를 이용한 위치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68861A (ko) 전파 교란원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446445B1 (ko) 전파 송신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470694B1 (ko) 위치 계산 장치 및 방법
KR20190070459A (ko) 비콘 기반 측위장치의 신호 세기 보상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