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000A - 소화기 - Google Patents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000A
KR20180057000A KR1020160155039A KR20160155039A KR20180057000A KR 20180057000 A KR20180057000 A KR 20180057000A KR 1020160155039 A KR1020160155039 A KR 1020160155039A KR 20160155039 A KR20160155039 A KR 20160155039A KR 20180057000 A KR20180057000 A KR 20180057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gas
cylinder
head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박덕근
이훈
허보영
조심정
임수정
이향이
임혜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6015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000A/ko
Publication of KR2018005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releasing means operating essentially simultaneously on both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for the propulsion of extinguishing 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소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소화기는 소화용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통부, 상기 분말통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말통부로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부, 및 상기 분말통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소화용 분말과 상기 가스의 분출을 조절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헤드부가 분리된다.

Description

소화기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소방법은 공연장이나 근린시설, 숙박시설, 의료시설, 아파트 및 기숙사, 업무시설 등등 건물의 규모에 맞게 일정 보행거리마다 소화기를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수동식 소화기는 초기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소형 소화설비로 화재의 확산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동식 소화기는 분사 방식과 충전되는 약제의 형태에 따라 분류되며, 분사 방식에 의한 분류로는 크게 축압식과 가압식, 자기방출 방식 등이 있고, 약제에 의한 분류로는 포말 소화기,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말 소화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기 자체가 노화되어 가스의 누출, 혹은 분말 형태인 소화약제의 굳음 현상 등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혹은 화재 진압시 1회용으로 사용하여 더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분말 소화기는 소화약제가 개폐작동부위에 묻어 상기 개폐작동부위의 완전한 밀폐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고, 그로 인해 더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한 소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충전이 용이한 소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화기는 소화용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통부, 상기 분말통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말통부로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부; 및 상기 분말통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소화용 분말과 상기 가스의 분출을 조절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헤드부가 분리된다.
상기 분말통부는 일단부에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타단부에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1 결속부를 통해 상기 가스통부와 탈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2 결속부를 통해 상기 헤드부와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1 유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헤드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2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유로 내부의 흐름이 한 방향으로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의 연결 시 상기 분말통부 내부의 상기 소화용 분말이 상기 가스통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통부는 일단부에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스통부는 상기 제3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3 결속부를 통해 상기 분말통부와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가스통부와 상기 분말통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3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3 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가스통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헤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4 결속부를 통해 상기 분말통부와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헤드부와 상기 분말통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4 유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화기의 분말통부와 가스통부를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고, 분말통부와 헤드부를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분말통부, 가스통부, 및 헤드부 중 일부만 분리하여 교체 및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용 분말이 굳어서 사용이 불가능해졌을 때 분말통부만 교체할 수 있다. 또는 가스 압력이 사용 가능한 범위를 벗어났을 때 가스통부를 교체할 수 있다. 또는 헤드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헤드부만 교체할 수 있다. 분말과 가스가 분리 수용되고, 가스통부에 설치된 밸브에 의해 가스통의 개폐가 조절되므로 헤드부의 개폐작동부위에 묻은 분말에 의한 가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기를 재사용할 수 있고, 재충전이 용이하며,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통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통부의 세로축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통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의 세로축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의 세로축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2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들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10)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화기(10)는 분말통부(100), 가스통부(200), 및 헤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말통부(100)는 분말통(110),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도 2의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말통(110)은 그 내부 공간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화용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20)는 분말통(110) 하부에 배치되어 분말통(110)을 가스통부(200)에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도 2의 130)는 분말통(110) 상부에 배치되어 분말통(110)을 헤드부(300)에 연결할 수 있다.
가스통부(200)는 가스통(210), 제3 연결부(220), 및 가스통받침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통(210)은 그 내부 공간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화용 분말의 분출을 돕는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부(220)는 가스통(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스통(210)을 분말통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가스통받침대(230)는 가스통(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스통(210)을 지지할 수 있다. 가스통받침대(230)는 가스통(210)을 이루는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이질적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220)는 가스통밸브(224)와 압력게이지(2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통밸브(224)는 제3 유로(도 5의 222)의 일부구간에서부터 제3 연결부(220)의 외부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제3 유로(도 5의 222)의 개폐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압력게이지(225)는 제3 유로(도 5의 222)의 일부지점에서부터 제3 연결부(220)의 외부 일부 타 영역에 배치되어 가스통(210) 내부의 압력을 표출할 수 있다.
헤드부(300)는 헤드(310), 제4 연결부(도 7의 320), 레버부(도 6의 330), 손잡이(331), 안전핀(335), 호스연결부(340), 호스(350), 헤드돔(36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310)는 제4 연결부(도 7의 320), 레버부(330), 및 호스연결부(340)에 각각 연결되어 제4 연결부(도 7의 320), 레버부(330), 및 호스연결부(340)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한다. 제4 연결부(도 7의 320)는 헤드(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헤드(310)를 분말통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레버부(도 6의 330)는 헤드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부(도 6의 330)는 손잡이(331) 및 안전핀(335)을 포함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화기(10)의 소화용 분말과 가스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호스연결부(340)는 헤드(310)의 측부에 배치되어 호스(350)를 헤드(310)에 연결할 수 있다. 제4 연결부(도 7의 320)와 헤드돔(360)은 헤드(3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돔(360)은 제4 연결부(도 7의 3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소화기(10)는 통상의 소화기와 같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말 저장 용량 또는 가스 저장 용량은 소화기(10)가 다양한 규모의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 다양한 용량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소화기(1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소화기(10)는 소화기(10)의 크기에 따라 소화기(10)를 운반하기 위한 별도의 운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말통부(100)는 가스통부(200)와 헤드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분말통부(100)는 가스통부(200)와 헤드부(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말통부(100)를 가스통부(200)에 연결하고, 분말통부(100)를 헤드부(300)에 연결하여 소화기(10)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조립된 상태의 소화기(10)는 소화기 배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소화기(10)는 가스통받침대(23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기 배치부에 배치된 소화기(10)를 들어 화재 발생 지점 부근으로 가져온다. 압력게이지(225)를 통해 가스통(210) 내부의 가스 압력을 확인한 후, 가스통밸브(224)를 열어 가스통(210)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헤드부(300)의 안전핀(335)을 뽑고, 헤드(310)와 호스연결부(340)에 연결된 호스(350)를 화재 방향으로 향하게 잡은 뒤 손잡이(331)를 조작하여 소화기(10) 내부의 소화용 분말 및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통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통부(100)의 세로축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말통부(100)는 분말통(110), 제1 연결부(120),제2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말통(110)은 소화용 분말이 저장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가스통부(200)에 연결됐을 때 가스통부(200)로부터 제공된 가스가 유입되어 머무르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화용 분말은 통상의 분말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용 분말 약재를 가리킨다.
제1 연결부(120)는 제1 결속부(121) 및 제1 유로(122)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부(120)는 역류방지밸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20)는 분말통(110)의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분말통(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말통(110)을 가스통부(200)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결속부(121)를 통해 분말통(110)과 가스통부(200)가 서로 결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결속부(121)의 형태는 결속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연결부(1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 유로(122)를 통해 가스통(210) 내부의 가스가 분말통(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130)는 제1 유로(122)의 일부구간에 배치되어, 분말통(110)이 가스통부(200)에 연결되었을 때 분말통(110) 내부의 소화용 분말이 가스통부(200)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역류방지밸브(130)는 흐름의 방향을 조절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의 한 형태로, 한 가지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역류방지용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0)는 제2 결속부(131) 및 제2 유로(132)를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부(130)는 분말통개방핀(133) 및 제2 유로개폐조절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30)는 분말통(210)의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분말통(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분말통(110)을 헤드부(300)에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30)에 형성되는 제2 결속부(131)를 통해 분말통(110)과 헤드부(300)가 서로 결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 결속부(131)의 형태는 결속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연결부(13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2 유로(132)를 통해 분말통(110) 내부의 소화용 분말 및 가스가 헤드부(300)로 이동할 수 있다. 분말통개방핀(133)은 제2 연결부(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분말통개팡빈(133)의 내부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관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유로(132)가 분말통개방핀(133) 상단까지 이어질 수 있다. 제2 유로개폐조절구(134)는 제2 유로(132) 일부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분말통개방핀(133)과 제2 유로개폐조절구(134)는 통상의 가스압축용기 분출구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어느 한 가지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분말통부(100)를 헤드부(300)에 연결할 때 분말통개방핀(133)이 헤드부(300)의 제4 유로(도 7의 322)에 연결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통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의 세로축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스통부(200)는 가스통, 제3 연결부(220), 및 가스통받침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통(210)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스가 저장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스는 통상의 분말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용 가스를 가리킨다.
제3 연결부(220)는 제3 결속부(221) 및 제3 유로(222)를 가질 수 있다. 제3 연결부(220)는 가스통개방핀(223), 가스통밸브(224), 및 압력게이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부(220)는 가스통(210)의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스통(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스통(110)을 분말통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부(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결속부(221)를 통해 가스통부(200)와 분말통부(100)가 서로 결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3 결속부(221)의 형태는 결속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3 연결부(2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3 유로(221)를 통해 가스통(210) 내부의 가스가 분말통부(100)로 이동할 수 있다. 가스통밸브(224)는 제3 유로(222)의 일부구간에서부터 제3 연결부(220)의 외부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제3 유로(222)의 개폐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소화기(10)를 사용할 때는 가스통밸브(224)를 개방하여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가스통밸브(224)를 잠근 상태로 소화기 배치부에 배치해둘 수 있다. 압력게이지(225)는 제3 유로(222)의 일부지점에서부터 제3 연결부(220)의 외부 일부 타 영역에 배치되어 가스통(210) 내부의 압력을 표출할 수 있다. 압력게이지(225)는 가스통(210) 내부의 가스 압력을 표출함으로써 가스통(210)의 가스 압력이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압력게이지(225)에 표출되는 가스통(210) 내부의 가스 압력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가리키는 것이다. 가스 압력이 정상 범위보다 낮을 경우 소화용 분말 배출이 충분히 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가스 압력이 정상 범위보다 높을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화재 진압시는 물론, 평상시에도 소화기(10)의 압력게이지(225)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가스 압력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가스통밸브(224)는 볼밸브가 적용되어 개방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가스통밸브(224)는 통상의 유체 저장 용기 혹은 배관 등에 설치되는 개폐조절용 밸브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압력게이지(225)는 통상의 유체 저장 용기 혹은 배관 등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압력게이지(225)와 가스통밸브(224)의 구조는 어느 한 가지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가스통밸브(224)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로(222)의 개폐 여부가 시각적으로 구별이 가능하도록 가스통밸브(224) 손잡이의 닫힘 방향으로 표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통밸브(224)와 압력게이지(225)는 가스통밸브(224)의 손잡이 조작 중에 서로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 배치되되, 가스통밸브(224)와 압력게이지(225)가 동시에 확인될 수 있도록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스통밸브(224)는 안전장치를 더 포함하여 밸브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장치로는 예를 들어 통상의 가스배관 중간 밸브에 적용되는 안전잠금장치와 같이 밸브 손잡이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누른 상태에서만 손잡이가 돌아가는 방식의 안전장치 등이 있다.
가스통부(200)를 분말통부(100)에 연결할 때 가스통개방핀(223)이 분말통부(100)의 제2 유로(122)에 연결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부의 세로축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헤드부(300)는 헤드(310), 제4 연결부(320), 레버부(330), 호스연결부(340), 호스(350), 및 헤드돔(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결부(320)는 제4 결속부(321) 및 제4 유로(322)를 가질 수 있다. 제4 연결부(320)는 헤드(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헤드(310)를 분말통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제4 연결부(3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4 결속부(321)를 통해 헤드(310)와 분말통부(100)가 결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4 결속부의 형태는 결속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4 연결부(3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4 유로(321)는 호스연결부(340) 및 호스(350)까지 연장되어, 분말통(110) 내부의 소화용 분말 및 가스가 제4 유로(321)를 통해 호스(35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돔 형상의 헤드돔(360)이 헤드(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4 연결부(3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제4 연결부(320)와 제2 연결부(130)를 연결하면 헤드돔(360)이 제2 연결부(130)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분말통(110) 상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헤드돔(360)은 선택적 구성요소로서 소화기(10)의 구성에서 빠질 수 있다. 헤드돔(360)을 헤드(310)의 하부에 배치하지 않은 채 소화기(10)를 조립하면 제2 연결부(130)와 제4 연결부(320)의 외면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도 8 참조). 헤드돔(36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헤드(310)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돔(360)이 헤드(310)에 연결되는 방식은 스크류 방식으로 돌려서 끼우는 방식일 수 있고, 또는 그 밖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레버부(330)는 손잡이(331), 스템(332), 제4 유로게이트(333), 및 안전핀(335)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부(330)는 헤드(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4 유로(321)의 개폐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331)는 레버부(330)의 상부에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소화기(1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안전핀(335)은 레버부(330)에 형성되는 안전핀홀(334)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331)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안전핀홀(334)과 안전핀홀(334)에 삽입되는 안전핀(335)에 의해 손잡이(331)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안전핀(335)이 손잡이(331)의 움직임을 가로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핀홀(334)로부터 안전핀을(335)을 제거해야 손잡이(331)를 움직일 수 있다. 스템(332)은 헤드(310)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손잡이(331)의 말단에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유로게이트(333)는 스템(332)의 반대편 말단에는 배치될 수 있다. 제4 유로게이트(333)는 제4 유로(321)의 내부 직경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근접하여, 제4 유로(321) 내부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면서 제4 유로(321)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4 유로게이트(333)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유로(322)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4 유로게이트(333)가 손잡이(331)조작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레버부(330)는 제4 유로(322)의 개폐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제4 유로게이트(333)가 제4 유로(322)를 완전히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손잡이(331)를 조작함에 따라 이동한다. 이때, 제4 유로게이트(333)가 이동하는 범위는 제4 유로(332)가 꺾이거나 또는 휘어지며 호스연결부(340) 및 호스(350)로 이어지는 부위를 넘어가도록 설계되어, 제4 유로(332)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4 유로(320) 개폐구조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손잡이 및 게이트에 의한 유로 개폐조절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10)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소화기(10)는 헤드돔(36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분말통부(100)와 헤드부(300)를 연결한 이후에도 제2 연결부(130)와 제4 연결부(320)의 외면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분말통부(100)를 가스통부(200)에 연결할 수 있고, 분말통부(100)를 헤드부(300)에 연결할 수 있다.
분말통부(100), 가스통부(200), 및 헤드부(300) 각 결속부의 형태는 결속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결속부에 나사산과 나사골을 형성시켜, 스크류방식으로 결속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각 결속부에 규격에 맞도록 나사산과 나사골을 형성시켜, 제1 결속부(121)와 제3 결속부(221), 또는 제2 결속부(131)와 제4 결속부(321)를 맞대고 돌려서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각 결속부에 일정한 규격 및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턱과 동일한 개수의 돌기를 형성시켜, 이를 이용해 결속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분말통부(100)를 가스통부(200)에 연결시키고, 분말통부(100)를 헤드부(300)에 연결시킬 때, 각 부의 결속부를 맞대고 걸림턱과 돌기가 맞물리도록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결속부에 복수개의 볼트홀을 형성시킨다. 제1 결속부(121)와 제3 결속부(221), 또는 제2 결속부(131)와 제4 결속부(321)를 맞대고 각 결속부의 상기 볼트홀 위치가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한쪽 결속부를 상기 결속부에 연결될 반대쪽 결속부에 삽입킨다. 그런 다음 상기 볼트홀에 너트를 댄 후 볼트를 끼우고 상기 볼트를 돌려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의 사용이 각 결속부의 제1 내지 제4 유로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되므로, 체결부재의 길이 및 그에 따른 홀의 깊이는 이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한쪽 결속부에는 복수개의 고정날개를 형성시키고, 상기 결속부에 연결될 반대쪽 결속부에는 상기 고정날개와 동일한 개수의 고정돌기를 형성시켜 이를 이용해 결속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결속부(121)와 제3 결속부(221), 또는 제2 결속부(131)와 제4 결속부(321)를 맞댄 뒤, 상기 고정날개와 상기 고정돌기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삽입한다. 그 후, 상기 고정날개를 상기 고정돌기에 결탁시켜 연결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결속 방식이 적용 가능하며, 결속 방식에 의해 각 결속부의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결속 방식에 따라 결속에 필요한 별도의 부재를 더 가질 수 있다. 또,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헤드부(300)의 헤드돔(360)은 선택적 요소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10)의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헤드돔(360)은 결속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통부(200)를 분말통부(100)에 연결할 때, 가스통개방핀(223)이 제1 유로(122)로 삽입되어 제1 유로(122)와 제3 유로(22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가스통개방핀(223)이 제1 유로(122)의 일단에 눌리면서 제1 유로(122)와 제3 유로(222)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유로(222)의 개방구조는 가스통개방핀(223)을 직ㆍ간접적으로 떠받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말통부(100)를 헤드부(300)에 연결할 때, 분말통개방핀(133)이 제4 유로(322)로 삽입되어 제2 유로(132)와 제4유로(32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분말통개방핀(133)이 제4 유로(322)의 일단에 눌리면서 제2 유로(132)와 제4 유로(322)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유로(132)의 개방구조는 분말통개방핀(133)을 직ㆍ간접적으로 떠받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부의 각 유로 연결구조는 전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 밖에도 각 유로 연결 부위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부의 연결부에 실리콘고무 혹은 그 외의 재질의 실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10)는 통상의 분말 소화기 구성에 포함되는 사이펀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가스통부(200)가 분말통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말통(110)의 하부에 가라앉아있는 분말이 가스통부(200)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의 이동 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헤드부(300)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분말 배출 시 분말통(110)의 바닥으로부터 헤드부(300)까지 분말의 이동 거리가 통상의 분말 소화기에 비해 짧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들로 개시되거나 혹은 개시되지 않은 방식에 의해 조립된 소화기(10)를 이용한 화재 진압은 다음의 단계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가스통부(200)의 압력게이지(225)에 표출되는 압력이 정상범위인가를 확인한 뒤 가스통밸브(224)를 개방조작하여 제3유로(222)를 개방시는 단계; 레버부(330)에 형성되는 안전핀홀(334)로부터 안전핀(335)을 제거하는 단계; 호스(350)를 잡고 화재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단계; 레버부(330)의 손잡이(331)를 조작하여 소화기(10) 내부의 가스와 소화용 분말을 분사시키는 단계. 이 같은 소화기 사용 방식은 가스통부(200)의 밸브 조작단계를 제외하면 통상의 소화기 사용 방식과 다를 바 없는 것으로,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는 누구나 소화기(10)를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가스통부(200)의 가스 압력이 불충분하거나 정상범위보다 높을 시 가스통부(200)만을 분리하여 가스통부(200)를 교체하거나 가스를 충전할 수 있다. 분말통부(100)의 분말이 부족하거나 분말이 굳어서 사용할 수 없을 시 분말통부(100)를 분리하여 분말통부(100)를 교체하거나 분말을 충전할 수 있다. 헤드부(300)에 고장 발생 시 헤드부(30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부를 분리교체하거나 분리충전함으로써, 소화기를 더욱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소화기를 더욱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소화기 폐기량을 줄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소화기 100 : 분말통부
200 : 가스통부 300 : 헤드부
110 : 분말통 120 : 제1 연결부
121 : 제1 결속부 122 : 제1 유로
123 : 역류방지밸브 130 : 제2 연결부
131 : 제2 결속부 132 : 제2 유로
133 : 분말통개방핀 134 : 제2 유로개폐조절구
210 : 가스통 220 : 제3 연결부
221 : 제3 결속부 222 : 제3 유로
223 : 가스통개방핀 224 : 가스통밸브
225 : 압력게이지 230 : 가스통받침대
310 : 헤드 320 : 제4 연결부
321 : 제4 결속부 322 : 제4 유로
330 : 레버부 331: 손잡이
332 : 스템 333 : 제4 유로게이트
334 : 안전핀홀 335 : 안전핀
340 : 호스연결부 350 : 호스
360 : 헤드돔

Claims (9)

  1. 소화용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통부;
    상기 분말통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말통부로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부; 및
    상기 분말통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소화용 분말과 상기 가스의 분출을 조절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헤드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통부는 일단부에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및
    타단부에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 1 결속부를 통해 상기 가스통부와 탈착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 2 결속부를 통해 상기 헤드부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 1 유로를 갖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헤드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 2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유로 내부의 흐름이 한 방향으로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분말통부와 상기 가스통부의 연결 시 상기 분말통부 내부의 상기 소화용 분말이 상기 가스통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부는 일단부에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3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통부는 상기 제 3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 3 결속부를 통해 상기 분말통부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가스통부와 상기 분말통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 3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가스통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헤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4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 4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 4 결속부를 통해 상기 분말통부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연결부는 중심부에 상기 헤드부와 상기 분말통부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제 4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KR1020160155039A 2016-11-21 2016-11-21 소화기 KR20180057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39A KR20180057000A (ko) 2016-11-21 2016-11-21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39A KR20180057000A (ko) 2016-11-21 2016-11-21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000A true KR20180057000A (ko) 2018-05-30

Family

ID=6230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039A KR20180057000A (ko) 2016-11-21 2016-11-21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0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543A (ko) 2018-06-01 2019-12-11 황예빈 회전 분사식 소화기
KR102194180B1 (ko) * 2019-10-25 2020-12-23 문용택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543A (ko) 2018-06-01 2019-12-11 황예빈 회전 분사식 소화기
KR102194180B1 (ko) * 2019-10-25 2020-12-23 문용택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8490C9 (ru) Распылитель со встроенным нагнетательным каналом
KR20090003309A (ko) 마취제 분무기와 함께 사용하는 어댑터
US9453612B2 (en) Safety valve to release excess pressure from portable gas container for prevention of explosion
KR20180057000A (ko) 소화기
KR10139792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KR20120006270A (ko) 밸브조절식 소화기
US8910655B2 (en) Gas valve having automatically blocking means
US10105562B2 (en) Hermetically sealed portable fire extinguisher with pressure indicator
JP6787909B2 (ja) 分注システムのための閉ループコネクタ
KR101357790B1 (ko)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KR102194180B1 (ko)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KR101106973B1 (ko) 가압식 소화기
ITMI20121875A1 (it) Dispositivo ricaricabile portatile per la conservazione e l'erogazione di vino a bicchiere
WO2004075994A1 (fr) Tete de verrouillage et de declenchement pour extincteur a poudre
KR102648656B1 (ko)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US20140116280A1 (en) Gas controlled delay timing device
KR101822911B1 (ko)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KR102254527B1 (ko) 이중 챔버 소화기
JP406848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および逆止弁
TWI641424B (zh) 具有關鍵區域保護件的灑水裝置
KR101880120B1 (ko) 소화기용 소화액 충전장치
KR20140095694A (ko) 와이어의 탄성력을 이용한 안전 밸브
KR101289761B1 (ko) 자동 소화설비의 재충전 가능한 부취제 자동 분사장치
KR20100068118A (ko) 안전성 및 기능 개선을 향상시킨 엘피지 용기용 밸브 조립체
KR20110009603U (ko) 약제 분출 성능 개선형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