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995A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995A
KR20180056995A KR1020160155017A KR20160155017A KR20180056995A KR 20180056995 A KR20180056995 A KR 20180056995A KR 1020160155017 A KR1020160155017 A KR 1020160155017A KR 20160155017 A KR20160155017 A KR 20160155017A KR 20180056995 A KR20180056995 A KR 2018005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cell body
current
conductive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251B1 (ko
Inventor
최은선
이진수
윤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5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251B1/ko
Priority to PCT/KR2017/013212 priority patent/WO2018093224A1/ko
Priority to EP17872133.8A priority patent/EP3376568B1/en
Priority to US16/061,759 priority patent/US10784494B2/en
Priority to CN201780005334.XA priority patent/CN108475760B/zh
Priority to JP2018545343A priority patent/JP6735840B2/ja
Publication of KR2018005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01M2/3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류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이차전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충전 등으로 인해 이차전지의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 부피 증가에 따른 팽창력을 이용하여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도가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전류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일반적으로 전극 및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이차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를 들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차전지는 사용 과정에서 화재 또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화재 또는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차전지에 각종 안전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에는 이차전지의 과충전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또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과충전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 또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서 이차전지에 TCO(Thermal cutoff operation)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TCO 장치는 이차전지의 과충전에 의해 이차전지에 열이 발생하는 경우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더 이상 이차전지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이차전지의 화재 또는 폭발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TCO 장치는 이차전지에 열이 발생하는 경우, 즉, 이차전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작동하기 때문에 이차전지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아닌, 이차전지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차전지가 미세한 전류에 의해 과충전이 되는 경우에도 전류가 차단되어야 함에도 이차전지에 많은 열이 발생하지는 않기 때문에 TCO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이차전지에 과충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이차전지가 과충전되지 않아 이차전지에 화재 또는 폭발이 발생할 위험이 없는데도 이차전지에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TCO 장치가 전류를 차단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가 과충전 상태인 경우 이차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걸 차단하면서도, 이차전지에 과충전 상태가 아니어서 전류를 차단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차전지에 전류가 계속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이차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셀 몸체; 및 상기 셀 몸체에 장착되는 전류 차단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 장치는, 상기 셀 몸체의 부피 증가에 따라 상기 전류 차단 장치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셀 몸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전류 차단 장치는, 상기 셀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셀 몸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감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부피 증가에 따라 상기 감쌈부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기 감쌈부가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 장치는, 상기 셀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감쌈부; 및 상기 감쌈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셀 몸체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제공하는 통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부피 증가에 따라 상기 감쌈부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기 감쌈부는 상기 통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통전부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는 제1 통전부 및 제2 통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전부 및 상기 제2 통전부 사이에 상기 감쌈부 중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감쌈부와 상기 제1 통전부 및 상기 감쌈부와 상기 제2 통전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이차전지의 부피 증가에 따라 상기 감쌈부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기 감쌈부가 상기 제1 통전부 및 상기 제2 통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셀 몸체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음극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전부는 상기 음극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가 과충전 상태인 경우 이차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걸 차단하면서도, 이차전지에 과충전 상태가 아니어서 전류를 차단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차전지에 전류가 계속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이차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단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단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차단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차전지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는 각형 전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는 다른 유형의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는 이차전지의 몸체를 구성하는 셀 몸체(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는 전류 차단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차단 장치(100)는 셀 몸체(5)에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전류 차단 장치(100)는, 평소에는 이차전지(1)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다가, 이차전지(1)의 과충전시 이차전지(1)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전류 차단 장치(100)는 하기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셀 몸체(5)를 감싸는 감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감쌈부(130)가 셀 몸체(5)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감쌈부(130)는 셀 몸체(5)의 둘레 중 일부만을 감쌀 수도 있다.
한편, 이차전지가 과충전되는 경우 이차전지에는 여러가지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가 과충전되는 경우 이차전지의 발열 현상으로 인해 이차전지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의 온도는 이차전지의 발열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 주변의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에도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온도에 따라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차전지가 과충전되는 경우 이차전지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이차전지(1)가 평소에는 도 2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이차전지(1)가 과충전되는 경우 도 2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의 두께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이차전지(1)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 부피의 변화는 이차전지 온도의 변화와 달리 이차전지 주변의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이차전지 부피의 변화는 이차전지 온도의 변화에 비해 이차전지에 이차전지의 과충전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보다 신뢰도가 높은 변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과충전시 발생하는 이차전지 부피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부피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것에 관한 발명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의 셀 몸체(5) 둘레에는 감쌈부(1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차전지의 과충전 등으로 인해 이차전지의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 이로 인한 팽창력이 감쌈부(130)에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전지 부피의 증가로 인한 팽창력으로 인해 감쌈부(130)에 인가되는 힘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감쌈부(130) 중 적어도 일부는 셀 몸체(5)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이차전지(1)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차전지 부피의 증가로 인한 팽창력으로 인해 감쌈부(130)의 상부 영역 중 일부가 셀 몸체(5)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이차전지(1)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단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류 차단 장치(100)는 셀 몸체(5)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10), 셀 몸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감쌈부(130), 및 감쌈부(130)와 연결된 상태에서 셀 몸체(5)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제공하는 통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전부(120)는 제1 통전부(122) 및 제2 통전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전부(122) 및 제2 통전부(124) 사이에 감쌈부(130) 중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감쌈부(130)와 제1 통전부(122)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감쌈부(130)와 제2 통전부(12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감쌈부(130)와 제1 통전부(122) 및 감쌈부(130)와 제2 통전부(124)는 각각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구성 간에 '연결된다'는 의미는 구성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구성 간에 연결된다'는 기재되어 있는 경우 구성 간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연결되는 것은 물론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살펴보면, 셀 몸체(3)의 상부에는 전극 단자, 특히, 음극 단자(10a)가 구비될 수 있다. 음극 단자(10a)는 통전부(1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음극 단자(10a)가 제2 통전부(124)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전부(120), 감쌈부(130) 및 음극 단자(10a)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충전 과정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셀 몸체(5)의 상부에 음극 단자(10a)가 구비되는 경우 음극단자(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부(120) 및 감쌈부는 음극(10)을 구성할 수 있고, 셀 몸체(5)의 표면은 양극(20)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단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셀 몸체(5) 및 돌출부(110)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전지에 절연부(30)가 구비됨으로써 전류가 감쌈부 또는 통전부로부터 셀 몸체(5)에 직접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이차전지의 감쌈부(130) 및 통전부(122, 124)가 서로 연결되어 이차전지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5에서는 감쌈부(130)와 제1 통전부(122) 및 제2 통전부(124)가 연결되는 지점인 연결부(140)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부(140)는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의 과충전 등을 이유로 이차전지 또는 셀 몸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 셀 몸체의 둘레를 감싸는 감쌈부(130)는 셀 몸체로부터 힘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힘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감쌈부(130)는 통전부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도 6에서는 감쌈부(130)가 제1 통전부(122) 및 제2 통전부(124)로부터 이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감쌈부(130)는 돌출부(110)를 감싸는 구성일 수 있으므로, 감쌈부(130)가 셀 몸체로부터 받는 힘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감쌈부(130)는 돌출부(110)로부터 이격된다고 볼 수도 있다.
감쌈부가 통전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 통전부(122)와 제2 통전부(124) 간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전류가 이차전지에 흐르는 것이 중단된다. 이로써, 과충전 등으로 인해 이차전지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이차전지
5 : 셀 몸체
10 : 음극
10a : 음극 단자
20 : 양극
30 : 절연부
100 : 전류 차단 장치
110 : 돌출부
120 : 통전부
122 : 제1 통전부
124 : 제2 통전부
130 : 감쌈부
140 : 연결부

Claims (6)

  1. 셀 몸체; 및
    상기 셀 몸체에 장착되는 전류 차단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 장치는,
    상기 셀 몸체의 부피 증가에 따라 상기 전류 차단 장치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셀 몸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이차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 장치는,
    상기 셀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셀 몸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감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부피 증가에 따라 상기 감쌈부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기 감쌈부가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는 이차전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 장치는,
    상기 셀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감쌈부; 및
    상기 감쌈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셀 몸체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제공하는 통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부피 증가에 따라 상기 감쌈부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기 감쌈부는 상기 통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통전부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는 이차전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제1 통전부 및 제2 통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전부 및 상기 제2 통전부 사이에 상기 감쌈부 중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감쌈부와 상기 제1 통전부 및 상기 감쌈부와 상기 제2 통전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이차전지의 부피 증가에 따라 상기 감쌈부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기 감쌈부가 상기 제1 통전부 및 상기 제2 통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격되는 이차전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셀 몸체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셀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음극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전부는 상기 음극 단자와 연결되는 이차전지.
KR1020160155017A 2016-11-21 2016-11-21 이차전지 KR10216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17A KR102164251B1 (ko) 2016-11-21 2016-11-21 이차전지
PCT/KR2017/013212 WO2018093224A1 (ko) 2016-11-21 2017-11-20 이차전지
EP17872133.8A EP3376568B1 (en) 2016-11-21 2017-11-20 Secondary battery
US16/061,759 US10784494B2 (en) 2016-11-21 2017-11-20 Secondary battery
CN201780005334.XA CN108475760B (zh) 2016-11-21 2017-11-20 二次电池
JP2018545343A JP6735840B2 (ja) 2016-11-21 2017-11-20 二次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17A KR102164251B1 (ko) 2016-11-21 2016-11-21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995A true KR20180056995A (ko) 2018-05-30
KR102164251B1 KR102164251B1 (ko) 2020-10-12

Family

ID=6214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017A KR102164251B1 (ko) 2016-11-21 2016-11-21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4494B2 (ko)
EP (1) EP3376568B1 (ko)
JP (1) JP6735840B2 (ko)
KR (1) KR102164251B1 (ko)
CN (1) CN108475760B (ko)
WO (1) WO201809322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2632A (en) * 1988-12-22 1994-07-2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means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cell bulging
JP2000285905A (ja) * 1999-03-31 2000-10-13 Sanyo Electric Co Ltd 薄型電池
US20100068606A1 (en) * 2006-11-20 2010-03-18 Robert Bosch Gmbh Safety device for an accumulator cell
JP2016110959A (ja) * 2014-12-10 2016-06-20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電動車両、蓄電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845B1 (ko) 1995-07-28 1999-02-18 배순훈 리튬건전지의 과부하 방지구조
JP3306257B2 (ja) 1995-08-11 2002-07-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2次電池の安全装置
JPH11329406A (ja) 1998-05-22 1999-11-30 Hitachi Maxell Ltd 角形密閉式蓄電池
JP4009806B2 (ja) 2000-02-17 2007-11-21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密閉型電池
WO2007029941A1 (en) 2005-09-07 2007-03-15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employing safety device
JP5116235B2 (ja) * 2006-01-23 2013-01-09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2009009734A (ja) 2007-06-26 2009-01-15 Nec Saitama Ltd ラベル巻き電池パック
KR101277250B1 (ko) * 2010-10-18 2013-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합부를 포함한 단위모듈 제조용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203277543U (zh) * 2013-05-02 2013-11-06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软包装锂离子电池及其极耳
JP5942950B2 (ja) 2013-09-19 2016-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2632A (en) * 1988-12-22 1994-07-2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means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cell bulging
JP2000285905A (ja) * 1999-03-31 2000-10-13 Sanyo Electric Co Ltd 薄型電池
US20100068606A1 (en) * 2006-11-20 2010-03-18 Robert Bosch Gmbh Safety device for an accumulator cell
JP2016110959A (ja) * 2014-12-10 2016-06-20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電動車両、蓄電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84494B2 (en) 2020-09-22
US20190267604A1 (en) 2019-08-29
WO2018093224A1 (ko) 2018-05-24
EP3376568B1 (en) 2022-04-27
EP3376568A1 (en) 2018-09-19
CN108475760B (zh) 2021-01-01
EP3376568A4 (en) 2018-12-05
KR102164251B1 (ko) 2020-10-12
JP6735840B2 (ja) 2020-08-05
JP2019506726A (ja) 2019-03-07
CN108475760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8246B1 (en) Secondary battery
KR100929036B1 (ko)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및 이의동작방법
EP2339672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ing same
JP5517974B2 (ja) 二次電池
KR101036070B1 (ko) 이차 전지
US10050315B2 (en) Battery module with fusible conductors
KR102085343B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JP2011040391A (ja) 二次電池
KR101744090B1 (ko)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EP2333870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62174B1 (ko) 비수전해질 2차 전지
KR20160039803A (ko) 이차전지 탑 캡 어셈블리
US6001497A (en)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JP5594079B2 (ja) 電流遮断機構の監視装置
KR101608694B1 (ko) 2차 전지용 과충전 방지 장치
KR101818801B1 (ko) 원통형 이차전지 및 원통형 이차전지 전극탭의 퓨즈부 형성 방법
KR20180056995A (ko) 이차전지
KR100354254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539690B1 (ko) 이차 전지용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2339662B1 (en) Secondary battery
KR101688480B1 (ko) 이차전지
KR20160142629A (ko) 전지 모듈
JP2013098108A (ja) 二次電池
US20240128616A1 (en) Battery pack
KR20140082270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