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957A - 코 훈련 매트 - Google Patents

코 훈련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957A
KR20180056957A KR1020160154938A KR20160154938A KR20180056957A KR 20180056957 A KR20180056957 A KR 20180056957A KR 1020160154938 A KR1020160154938 A KR 1020160154938A KR 20160154938 A KR20160154938 A KR 20160154938A KR 20180056957 A KR20180056957 A KR 20180056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mat
nose
trai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603B1 (ko
Inventor
송단비
Original Assignee
송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단비 filed Critical 송단비
Priority to KR102016015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6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훈련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레이부의 위치 및 형상을 다채롭게 변경하여 후각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상에 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각 훈련과 함께 청각 훈련이 가능하고 동적인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후각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매트로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코 훈련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코 훈련 매트에 있어서, 매트본체; 및 상기 매트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플레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결속부재에 탈착되는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 훈련 매트{MAT FOR NOSE WORK}
본 발명은 코 훈련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레이부의 위치 및 형상을 다채롭게 변경하여 후각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상에 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각 훈련과 함께 청각 훈련이 가능하고 동적인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후각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매트로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코 훈련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와 같은 애완동물은 소유자가 먹이를 주기적으로 주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타고난 후각이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감퇴하게 되고, 지능 발달 또한 저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노즈 플레이(nose play) 또는 노즈 워크(nose work)라고 호칭되는 코 훈련을 수행하는 전문 훈련시설이 생기고 있고, 코 훈련(노즈워크)을 위한 담요나 매트 등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93577호에는 반려동물의 코 훈련을 위한 노즈 플레이 담요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노즈 플레이 담요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코를 이용한 먹이 찾기 놀이가 가능한 노즈 플레이 담요에 있어서, 상기 노즈 플레이 담요(100)의 일측면으로써, 먹이를 숨길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플레이부(110)가 적어도 1 이상 구비된 내측부(101); 및 상기 내측부(101)의 반대편 면으로써, 중앙부를 기준으로 한 쌍의 손잡이부(121,122)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외측부(102); 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21,122)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부에는 나머지 손잡이부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123)가 구비되어, 상기 노즈 플레이 담요(100)는 상기 외측부(10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접히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21,122)가 상기 고정부(123)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종래 노즈 플레이 담요는 반려동물의 후각 훈련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지만,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먼저, 종래 노즈 플레이 담요는 다양한 형태의 플레이부(110)가 마련되어 있지만 고정식으로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므로 다채로운 코 훈련이 불가능하여 장기간 사용할 경우 애완동물이 싫증을 느끼게 되어 훈련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노즈 플레이 담요를 재구매 하여야 하는 등 소비자의 부담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노즈 플레이 담요는 플레이부(110)가 고정식이어서 청결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오염시에 세척 또한 어렵고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체적으로 사용이 불편하므로 상품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노즈 플레이 담요는 플레이부의 설치면적이 한정되어 있어서 여러 마리의 애완동물이 동시에 사용할 수 없어서 호환성이 떨어지고, 움직임이 없는 매트상에 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적인 후각 훈련이 불가능하여 후각 훈련의 효과가 낮고 애완동물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93577호 "노즈 플레이 담요"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플레이부의 위치 및 형상을 다채롭게 변경하여 후각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상에 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 훈련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각 훈련과 함께 청각 훈련이 가능하고 동적인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후각 훈련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로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코 훈련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코 훈련 매트에 있어서, 매트본체; 및 상기 매트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플레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결속부재에 탈착되는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부는, 면상체로 형성된 플레이부베이스; 상기 플레이부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이부베이스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3 결속부재 및 제4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상기 플레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발생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본체는 일면에 오목홈부가 형성되도록 테두리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상기 매트본체에 일단이 결속되어 펼쳐지거나 포개어지고 상기 제1 결속부재가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보조플레이면상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결속부재는 상기 보조플레이면상체가 고정되는 상기 매트본체 부분에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플레이면상체는, 내부에 유동체수용부가 형성되도록 두 겹의 면상체가 접합된 수납패드; 상기 유동체수용부에 삽입되는 유동체; 및 상기 유동체수용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수납패드에 설치되는 제5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훈련 매트에 의하면, 플레이부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위치 및 형상을 다채롭게 변경하여 후각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플레이부의 오염시에 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 훈련 매트에 의하면,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되어 청각 훈련이 가능하고, 펼치거나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보조플레이면상체가 구비됨에 따라 여러 마리의 애완동물이 사용할 수 있고, 유동체에 의한 동적인 환경에서 코 훈련을 수행할 수 있어서 후각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 전환을 통해 매트로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코 훈련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2b는 도2a의 A부 확대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3a는 코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b는 매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방향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2b는 도2a의 A부 확대사시도로서, 저면이 나타나도록 방향을 전환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매트본체(1)와, 이 매트본체(1)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부(2)로 구성되되, 플레이부(2)를 필요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매트본체(1)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결속부재(3)와, 플레이부(2)에 설치되어 제1 결속부재(3)에 탈착되는 제2 결속부재(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결속부재(3) 및 제2 결속부재(4)는 암, 수 벨크로스화스너, 단추, 지퍼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냅단추 등으로 호칭되는 암,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매트본체(1)는 천연섬유 및 인조섬유로 제직된 직조물, 가죽, 부직포 등의 면상체만으로 구성되거나, 발포폼 등의 틀에 커버 직물지 등이 덧씌워지는 형태, 커버 직물지의 내부에 양모, 솜, 스티로폼 등의 충진재를 주입하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부(2)는 접은 상태에서 주머니나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면상 구조로 형성되는 플레이부베이스(21)와, 이 플레이부베이스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제3 결속부재(22) 및 제4 결속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3 및 제4 결속부재(22,23)는 암,수 벨크로화스너나 암,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부베이스(21)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면상체를 접어서 형성한 것으로, 제3 결속부재 및 제4 결속부재(22,23)에 의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형태로 접혀져 고정된다. 여기서, 플레이부베이스(21)는 직물지, 가죽, 부직포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애완동물의 청각 훈련이 가능하도록 음향발생수단(미도시)이 플레이부(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음향발생수단(미도시)은 복수의 플레이부(2) 중에서 일부 플레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에 멜로디재생칩 및 스피커 등이 구비된 통상의 음향발생모듈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음향발생수단은 자체에 구비된 노름버튼, 압전소자 등으로 형성된 스위치가 구비되어 애완동물과의 접속시에 온/오프(ON/OFF) 동작되어 음향을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제1 결속부재(3) 및 플레이부(2)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용 매트로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 결속부재(3) 및 플레이부(2)가 배치된 배면 부분이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뒤집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코 훈련 매트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레이부(2) 저면에 결합된 제2 결속부재(4)를 매트본체(1)에 결합된 제1 결속부재(3)에 결합하고, 플레이부베이스(21)를 원하는 형태로 접고 제3 및 제4 결속부재(22,23)을 결속하여 내부에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조립하고 주머니의 내부에 간식과 같은 먹이 등을 투입한 다음 애완동물에게 제공하게 되면 애완동물이 후각을 이용하여 플레이부(2)를 찾아다니며 뒤집는 등 다양한 후각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애완동물이 싫증을 느끼거나 익숙해지게 되면 플레이부(2)가 착탈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위치를 변경하거나 플레이부베이스(2)의 위치 및 형상을 변경하여 새로운 환경을 조성한 후 코 훈련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부 플레이부(2)의 내부에 음향발생수단이 내장되어 접촉시 멜로디가 방출되므로 청각 훈련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3a는 코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b는 매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방향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매트본체(1), 이 매트본체(1)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부(2), 매트본체(1)에 설치되는 제1 결속부재(3), 플레이부(2)에 설치되는 제2 결속부재(4)를 구비하되, 매트본체(1)는 일면에 오목홈부(1a)가 형성되도록 테두리돌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두리돌부(12)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본체(1)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략 "ㄷ" 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다양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트본체(1)에 오목홈부(1a)가 형성되어 테두리돌부(12)에 의해 놀이공간이 구획되므로 코 훈련에 집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을 전환하게 되더라도 플레이부(2)가 눌려져 구겨지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트로 사용시 테두리돌부(12)가 지지대의 기능을 수해하여 플레이부(2)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상면이 기울어지지 않아서 애완동물에게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매트본체(1), 이 매트본체(1)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부(2), 매트본체(1)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결속부재(3)와, 플레이부(2)에 설치되어 제1 결속부재(3)에 탈착되는 제2 결속부재(4)를 구비하되, 상기 매트본체(1)에 일단이 결속되어 펼쳐지거나 포개어지는 보조플레이면상체(5)가 더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결속부재(3)는 보조플레이면상체(5)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결속부재(4)는 플레이부(2) 뿐만 아니라 보조플레이면상체(5)의 포개어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매트본체(1) 오목홈(1a)의 가장자리 부분에도 설치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펼쳐지거나 포개어지는 보조플레이면상체(5)가 더 구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부(5)의 설치를 위한 면적이 넓어져 설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여러 마리의 애완동물을 동시에 코 훈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조플레이면상체(5)는 절첩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탈부착 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조플레이면상체(5)를 포개어 플레이부(2)를 수납하는 보관장소로도 활용할 수 있어서 취급 및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매트본체(1)에 일단이 봉재 등의 방법으로 결속되고 펼쳐지거나 포개어지도록 구성된 보조플레이면상체(5)가 구성되되, 상기 보조플레이면상체(5)는 코 훈련 과정을 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보조플레이면상체(5)는 내부에 유동체수용부가 형성되도록 두 겹의 면상체가 접합된 수납패드(51), 수납패드(51)의 유동체수용부에 삽입되는 유동체(52), 및 유동체수용부를 개폐하기 위해 수납패드(51)에 설치되는 제5 결속부재(53)가 구비되어 있다.
유동체(52)는 주입구(522)를 갖는 기밀팩으로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공기 및 물의 유동공간을 가지면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고주파융착법으로 접합되는 격리선(5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유동체(52)의 중앙 부분에는 격리선(521)이 형성되지 않아 서로 간에 공기나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5 결속부재(53)는 수납패드(51)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지퍼나 암,수 벨크로화스너로 구성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코 훈련 매트는 유동체(52)의 내부에 공기나 물을 일정량 주입하여 수납패드(51)에 삽입하게 되면 플레이부(2)에 의한 코 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 및 하중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공기와 같은 유체의 유동 되면서 유동체(52)가 상하로 요동되므로 동적인 상태에서 코 훈련을 시킬 수 있어서 훈련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애완동물의 놀이기능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코 훈련 매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매트본체
12:테두리돌부
2:플레이부
21:플레이부베이스
22:제3 결속부재
23:제4 결속부재
3:제1 결속부재
4:제2 결속부재
5:보조플레이면상체
51:수납패드
52:유동체
53:제5 결속부재

Claims (6)

  1. 코 훈련 매트에 있어서,
    매트본체; 및
    상기 매트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플레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결속부재에 탈착되는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훈련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부는,
    면상체로 형성된 플레이부베이스;
    상기 플레이부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이부베이스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3 결속부재 및 제4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훈련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훈련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본체는 일면에 오목홈부가 형성되도록 테두리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훈련 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본체에 일단이 결속되어 펼쳐지거나 포개어지고 상기 제1 결속부재가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보조플레이면상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결속부재는 상기 보조플레이면상체가 고정되는 상기 매트본체 부분에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훈련 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레이면상체는,
    내부에 유동체수용부가 형성되도록 두 겹의 면상체가 접합된 수납패드;
    상기 유동체수용부에 삽입되는 유동체; 및
    상기 유동체수용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수납패드에 설치되는 제5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훈련 매트.
KR1020160154938A 2016-11-21 2016-11-21 코 훈련 매트 KR10190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938A KR101903603B1 (ko) 2016-11-21 2016-11-21 코 훈련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938A KR101903603B1 (ko) 2016-11-21 2016-11-21 코 훈련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957A true KR20180056957A (ko) 2018-05-30
KR101903603B1 KR101903603B1 (ko) 2018-10-04

Family

ID=6229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938A KR101903603B1 (ko) 2016-11-21 2016-11-21 코 훈련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6314A (zh) * 2020-04-20 2020-06-19 江苏农牧科技职业学院 一种用于工作犬嗅觉作业气味联系、气味分化的训练方法
KR20200124502A (ko) *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펫클럽 노즈워크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247B1 (ko) 2020-05-26 2021-08-23 (주)오션플로우 반려동물용 매트
KR200497410Y1 (ko) * 2021-03-16 2023-11-01 주식회사 펫뜰리에 노즈워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3667B2 (en) 2006-05-01 2008-04-29 Regina Borror Multi-purpose textured pad
KR101327484B1 (ko) * 2012-07-20 2013-11-11 박태선 애완동물용 매트
WO2015173840A1 (en) * 2014-05-15 2015-11-19 Sigurdur Jonsson Animal lear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502A (ko) *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펫클럽 노즈워크매트
CN111296314A (zh) * 2020-04-20 2020-06-19 江苏农牧科技职业学院 一种用于工作犬嗅觉作业气味联系、气味分化的训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603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603B1 (ko) 코 훈련 매트
US9723807B2 (en) Pet toilet
CN104334047A (zh) 通风的运动包
US20080169014A1 (en) Auxiliary modeling structure for playhouse
CA2936713A1 (en) A pet activity toy
CA111409S (en) Animal sleeping bag
JP2022527832A (ja) ペット用ベッド
US8296881B2 (en) Play system for children, including playmat and playpieces
JP4422604B2 (ja) 愛玩動物用ベッド
KR20180093520A (ko) 보강 없이 형태를 유지하는 친환경적 반려동물 하우스
USD535068S1 (en) Spherical pet toy
US20160324302A1 (en) Multipurpose overnight bag
KR200419760Y1 (ko) 휴대용 접이식 가방 겸용 방석
US20050211175A1 (en) Traveling pet bed
JP3871942B2 (ja) ペット用ケース及びペット用ケース用中敷き並びにペットシーツの固定機構
KR200319921Y1 (ko) 다용도 쿠션
JP4308816B2 (ja) 折りたたみ可能な洗髪器
JP2003018931A (ja) 愛玩動物の寝床
JP2018027160A (ja) プレイ・トイボックス
US20050050634A1 (en) Headboard for a bed
KR200405696Y1 (ko) 휴대용 접이식 방석
US20070180622A1 (en) Coloring pillow pad
US20190091589A1 (en) Plush system
JP3008186U (ja) ペット用クッション
JP3125464U (ja) スクール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