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842A - 회전식 반사체가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반사체가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6842A KR20180056842A KR1020160154670A KR20160154670A KR20180056842A KR 20180056842 A KR20180056842 A KR 20180056842A KR 1020160154670 A KR1020160154670 A KR 1020160154670A KR 20160154670 A KR20160154670 A KR 20160154670A KR 20180056842 A KR20180056842 A KR 201800568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smartphone
- lens
- cover portion
- base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04N5/2254—
-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 카메라 주변에 설치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렌즈 주변에 설치되는 베이스링, 베이스링 상면에 결합되어 일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링, 베이스링과 고정링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링, 회전링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반사체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커버부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커버부 자체의 회동과 회전링 자체의 회전 조작으로 스마트폰 후면의 모든 방향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렌즈 보호커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고정지지하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카메라 주변에 부착 또는 설치되는 카메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스마트폰은 없어서는 안될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에는 통상 사용자가 터치하는 부분의 반대편에 설치된 기본카메라와 사용자를 향하는 셀카용 카메라가 동시에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단순히 다른 사람과 전화나 메시지를 주고받는 연락교환수단을 넘어서 카메라로써 사진을 찍어 저장하고, 뮤직플레이어로써 음악을 재생시키며 컴퓨터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즉, 종합 멀티 전자장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량의 정보가 빠르게 교환될 수 있고 쉽게 조작할 수 있기에 많은 사용자들이 길을 걸으면서도 사용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실제, 유럽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보행자가 달려오는 트램(시내전철)을 인지하지 못하고 치여 크게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독일 바이에른주에서는 아스팔트 도로에 신호등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중국에서도 스마트폰을 보고 걸어가던 여성이 계단에서 굴러 크게 다쳤고, 개천에 빠져 사망한 사례도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에 중독된 사람을 '디터우족'이라 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 역시 그 예외는 아닌데, 교통안전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2012년에는 2009년에 비해 스마트폰으로 인한 보행 중 사고발생이 3배나 증가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하는 캠패인만 실시할 뿐, 효과적인 안전장비가 출시되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469833호는 카메라모듈 전방에 반사판을 설치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핸드폰을 자전거 손잡이에 설치하고 카메라 시야를 90도 반사시킨 상태 즉, 사용자의 전방영상을 촬영하면서 자전거를 탈 수 있지만, 반사판의 경사가 고정되어 다양한 각도를 촬영할 수 없는 구조다. 또, 다른 실시예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각도조절기구를 설치하였지만 이는 지지대 내부에 또 다른 부품을 설치해야 하는 제조상 어려움이 있고, 각도조절기구의 조작이 반사판의 일회전축에 대한 앵글 변화만 가능하며, 어느 정도 부피를 가진 지지대를 휴대폰에 장착해야 하는 점에서 휴대성이 좋지 않은 부분이 있다.
또, 한국특허 공개공보 제10-2015-0124557호는 카메라에 반사수단이 내장된 하우징을 결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카메라용 액세서리'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반사수단이 고정된 각도로 설치된 점에서 다양한 각도를 볼 수 없는 점이 있고, 하우징이 기본적으로 부피를 가지고 별도로 결합시켜야 하는 점에서 휴대성이 나쁜 부분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3190624호는 반사경이 스마트폰 케이스에 각도가 조절되도록 결합된 '반사경 부착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반사경의 각도조절은 용이하나 일 회전축만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점에서 사용자의 측방향 시야는 확보할 수 없고, 케이스에 결합된 구조인 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핸드폰에는 범용적으로 적용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보행 중 또는 사용 중에 부주의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카메라 렌즈를 외부의 충격이나 분진으로부터 보호하며 스마트폰이 경사지게 고정설치될 수 있는 회전식 반사체가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는,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 주변에 설치되는 카메라 보조장치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된 링형태의 원판으로 중공의 원 중심에 상기 렌즈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부착되거나 평판형의 부착판과 연결되어 상기 렌즈 주변에 고정되는 베이스링; 상기 베이스링과 평행한 수평바디, 상기 수평바디의 하면에서 상기 베이스링의 상면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링과 결합된 수직바디를 갖는 고정링; 상기 베이스링과 수직한 수직몸체, 상기 수직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고정링의 수직바디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링과 상기 고정링의 수평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몸체를 갖는 회전링; 및 상기 회전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렌즈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반사체를 갖는 커버부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가 상기 회전링이 상기 베이스링과 상기 고정링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를 회전축으로 상기 커버부 자체의 회동되어 상기 스마트폰 후면의 전 방향 시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렌즈로 반사시킨다.
상기 커버부와 상기 회전링이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링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링의 수평바디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링의 수직몸체는 상기 커버부의 결합부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링과 평행하게 상기 렌즈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홈의 측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링에 고정링의 수평바디가 이격되도록 수직바디가 결합되어 가이드레일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회전링의 수평몸체가 배치된 상태로 회전되며, 회전링에 반사체가 형성된 커버부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스마트폰 후면의 전 범위에 걸친 시야를 렌즈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자는 커버부가 렌즈를 덮거나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링 자체를 베이스링과 고정링 사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렌즈의 직선방향 시야 뿐 아니라 상하좌우의 측방향 시야를 모두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의 커버부와 회전링을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이 책상과 같은 평탄한 곳에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커버부와 회전링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고정링의 수평바디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커버부가 고정링에 걸리지 않고 회동할 수 있다. 즉, 커버부를 완전히 펼쳤을 때, 베이스링과 수평한 상태를 가능하게 한다.
회전링에 커버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커버부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렌즈를 덮을 수 있다. 즉, 커버부의 결합부가 형성된 반대편이 회전링의 안착홈에 삽입됨으로써 커버부가 베이스링에 수평한 상태로 렌즈를 덮을 수 있다.
회전링의 안착홈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는 커버부의 측면에 홈에 삽입됨으로써, 커버부가 회전되지 않고 안착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커버부를 펼칠 수 있으며, 렌즈 보호커버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부착방식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제 1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제 2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부착방식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제 1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제 2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주변시야를 확보하여 차량 접근이나 장애물 등의 위험을 사용자가 미리 감지하기 위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주변에 회전식 반사체를 설치하여 다양한 방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회전식 반사체가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를 간략하게 "카메라 보조장치"로 호칭하기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 후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를 간략하게 "렌즈"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장치는 기본적으로 베이스링(10), 고정링(20), 회전링(30), 커버부(4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보조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기된 주요 구성요소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등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후면에 카메라 렌즈만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에 적용될 경우의 실시예로써, 카메라 주변에 버튼이나 다른 구성이 형성된 경우라면 도 1 내지 도 3보다 더 크게 변형 설계될 수도 있다.
우선, 베이스링(10)은 일정한 직경과 두께를 가지는 링형태로 상면과 하면이 평평하며 원 중심에 렌즈(1)가 위치하도록 스마트폰 후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원 중심에 스마트폰 카메라의 렌즈(1)가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판으로,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링(10)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어, 도 2와 같이 베이스링(10) 상면에 접촉된 고정링(20)과 볼트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홈은 고정링(20)과 베이스링(10)간 결합의 균형성을 가지도록 원 중심을 기준으로 약 90도마다 형성된 총 4개를 갖는 구조이거나, 약 45도마다 형성된 총 8개를 갖는 구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링(10) 하면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베이스링(10)의 하면이 직접 스마트폰 후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별도의 부착판(11)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후면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부착방식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베이스링(10)을 스마트폰 후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폰의 렌즈(1) 주변에 별도의 후레쉬나 별도의 홈버튼으로 인해 베이스링(10)을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본 실시예를 렌즈 주변에 고정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베이스링(10)과 별도로 연결된 부착판(11)을 형성하여 본 실시예를 렌즈(1) 주변에 위치시킬 수 있게 설계하였다. 부착판(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면이 평평한 판으로써 원판이나 사각판, 또는 기타 캐릭터 형상을 가지는 판, 아니면 노출면에 고리가 힌지결합된 평판이거나 사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된 판, 또는 노출면에 거울이 형성된 평판일 수 있다.
하면으로 접착부재(13)가 형성되어 스마트폰 후면과 직접 접착되며, 베이스링(10)과는 암(12)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암(12)의 두께와 너비, 부착판(11)의 형상은 베이스링(10)이 렌즈(1) 주변에 견고히 위치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변형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베이스링(10)이 아닌 별도의 부착판(11)이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렌즈(1)가 스마트폰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고정링(20)과 회전링(30)을 설명하며, 도 5 및 도 6은 고정링(20)과 회전링(30)의 결합에 있어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가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링(20)은 베이스링(10)과 평행한 수평바디(21)와 수평바디(21)의 하면에서 베이스링(10)의 상면을 향해 연장형성된 수직바디(22)로 구성된다. 수평바디(21)의 하면이 베이스링(10)의 상면과 이격되고 수직바디(22)의 하면이 베이스링(10)의 상면과 접촉되어 볼트결합되어 있다. 베이스링(10)과 접촉되는 즉, 고정링(20)의 수직바디(22)는 상면부터 하면까지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링(10)과 하나의 볼트를 도 2와 같이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링(20)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원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바디(21)의 외측 끝단에 수직바디(22)가 형성되는 경우 도 2와 같이 스마트폰을 눕혔을 때 "┓"자의 우측단면을 가지고, 수평바디(21)의 내측 끝단에 수직바디(22)가 형성되는 경우 도 6과 같이 스마트폰을 눕혔을 때"┏"자의 우측단면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 2와 같이 고정링(20)의 수직바디(22) 하면이 베이스링(1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어, 전체적으로 우측단면이 "]"자와 같은 가이드레일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회전링(30)은 베이스링(10)에 수직한 수직몸체(32)와 수직몸체(32)의 하단에 베이스링(10)에 평행하게 형성된 수평몸체(31)로 구성된다. 수평몸체(31)는 하면이 베이스링(10)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면이 고정링(20) 수평바디(21)의 하면과 마주하는 구조를 갖는다. 수직몸체(32)는 고정링(20)이 덮고 있지 않는 부분으로 고정링(20)의 수평바디(21)와 수직한 길이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링(30)은 수평몸체(31)가 베이스링(10)과 고정링(20)의 수평바디(21)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링(30)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원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몸체(31)의 내측 끝단에 수직몸체(32)가 형성되는 경우 도 2와 같이 스마트폰을 눕혔을 때 "┗"자의 우측단면을 가지고, 수평몸체(31)의 외측 끝단에 수직몸체(32)가 형성되는 경우 도 6과 같이 스마트폰을 눕혔을 때 "┛"자의 우측단면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 2와 같이 회전링(30)의 수평바디(21)가 고정링(20)의 수평바디(21)와 베이스링(10)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링(20)이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링(30)이 외측에 배치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비해 깔끔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양 실시예 모두 조립에 있어, 베이스링(10) 위에 회전링(30)을 배치하고, 회전링(30)의 수평몸체(31)를 고정링(20)의 수평바디(21)가 덮은 후 수직바디(22)에 볼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회전링(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링(20)의 수직바디(22) 높이가 회전링(30)의 수평바디(21) 두께 이상으로 설계해야함을 알 수 있다.
커버부(40)는 결합부(42)가 돌출된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 중 어느 한 끝단이 회전링(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예시로, 도 3과 같이 별도의 핀(41)이 커버부(40)의 돌출된 결합부(42)와 회전링(30)의 수직몸체(32)를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커버부(40)가 핀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커버부(40)가 렌즈(1)를 덮었을 경우에 렌즈(1)와 마주하게 되는 면에 반사체(50)가 형성되어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의 주변환경을 반사시켜 렌즈(1)로 들어오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커버부(40)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커버부(40)가 렌즈(1)를 덮는 경우에 회전링(30)에 걸리지 않도록 도 1과 같이 결합부(42) 주변이 라운드지게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사체(50)는 렌즈(1)에 빛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예시로는 평면거울, 오목거울, 볼록거울 등 유리판 뒷면에 수은이 도포된 거울, 메탈이나 알루미늄 호일 같은 금속판, 카드거울로 사용되는 아크릴판, 폴리에스테르(PET)와 같은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종래의 스마트폰 후면 카메라는 직선방향의 시야만 촬영할 수 있는 좁은 시야범위를 가지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반사체를 내장한 발명이 있으나, 반사각의 자유도가 낮고 별도 분리해야하는 부속품인 점에서 휴대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링(10)에 고정링(20)의 수평바디(21)가 이격되도록 수직바디(22)가 결합되어 가이드레일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회전링(30)의 수평몸체(31)가 배치된 상태로 회전되며, 회전링(30)에 반사체(50)가 형성된 커버부(40)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스마트폰 후면의 전 범위에 걸친 시야를 렌즈(1)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자는 커버부(40)가 렌즈(1)를 덮거나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링(30) 자체를 베이스링(10)과 고정링(20) 사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렌즈(1)의 직선방향 시야 뿐 아니라 상하좌우의 측방향 시야를 모두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의 커버부(40)와 회전링(30)을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이 책상과 같은 평탄한 곳에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링(30)과 커버부(40)가 결합되는 부분은 베이스링(10)의 상면을 기준으로 고정링(2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링(30)과 커버부(40)가 결합되는 부분이 고정링(2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경우, 커버부(40)가 고정링(20)에 걸려 베이스링(10)에 대해 경사진 상태까지 움직이게 된다. 이에 커버부(40)와 회전링(30)이 결합되는 결합부(42)가 고정링(20)의 수평바디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커버부(40)가 고정링(20)에 걸리지 않고 회동할 수 있다. 즉, 커버부(40)를 완전히 펼쳤을 때, 베이스링(10)과 수평한 상태가 가능하게 한 회전반경을 가질 수 있다.
렌즈(1)를 통해 보이는 시야각은 멀어질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커버부(40)에 형성된 반사체(50)는 정사각형일 경우, 반사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40)의 반사체(50)는 가로, 세로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회전링(30)은 커버부(40)의 결합부(42)와 결합된 부분의 반대편에 커버부(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부(40)가 렌즈(1)를 덮는 경우 회전링(30)과 결합된 부분과 회전링(30)의 반대편 높이를 일치시킴으로써 커버부(40)를 수평한 상태로 회전링(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반사체(50)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반사되는 시야 범위를 증가시키고, 커버부(40)의 결합부(42)가 고정링(2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전링(30)과 결합되고 커버부(40)의 결합부(42) 반대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링(30)에 안착홈(33)이 형성되어 있어 0~180도의 회전반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33)이 형성된 회전링(30)의 수직몸체(32) 측면에 반구형의 고정돌기(34)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게 커버부(40)의 측면에 반구형의 고정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0)가 안착홈(33)에 삽입되는 경우에, 회전링(30)에 형성된 고정돌기(34)가 커버부(4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43)에 삽입되면서 커버부(40)가 렌즈(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외부에서 고정돌기(34)가 고정홈(43)으로부터 이탈되는 정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커버부(40)가 렌즈(1)를 덮고 있으므로 렌즈(1)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됨을 방지하는 보호덮개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보이는 화면과, 웹서핑 같은 화면이 동시에 보이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로는 Tattu MB사에서 개발한 'Floating Camera Video Recorder', Ximisoft사에서 개발한'Screen Recorder With Facecam'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면서 카메라로 보이는 영상을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다만,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고정되어 한정된 영역을 촬영할 수 밖에 없는 점에서 측방향 부분을 인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개발추세에 맞추어 활용될 수 있는 보조장치이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대부분은 고개를 숙인 상태로 스마트폰을 하면서 앞으로 보행하게 되는데, 시야가 스마트폰 화면에 집중된 상태가 되어 전방에 위험한 장애물이나 차량이 다가오더라도 이를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스마트폰의 후면카메라 렌즈가 베이스링 중심에 오도록 설치한 뒤 반사체가 측방향 시야를 반사시키도록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스마트폰의 분할된 일부 창을 통해 전방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방의 장애물이나 구덩이, 오토바이 접근 등의 위험한 상황을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인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제 1 사용상태도로써, 사용자가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며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확대도는 우선,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가 보여주는 창과 웹서핑을 할 수 있는 창 두 가지가 동시에 나타나는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킨 상태로써, 사용자는 커버부를 스마트폰 후면에 대해 경사지게 한 뒤 버스가 오는 모습이 보이도록 회전링을 회전시킨 상태이다. 확대도와 같이 후면카메라 화면이 보이는 창을 통해 버스가 다가오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인터넷 서핑과 같은 스마트폰 이용을 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이외 다른 위험요소가 다가오는 경우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의 제 2 사용상태도로써, 사용자가 도서관에서 스마트폰을 경사지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 직사각형의 커버부는 회전링의 회전으로 다양한 각을 가질 수 있고, 커버부 자체가 결합부의 핀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 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를 덮고 있는 평상시에는 렌즈의 보호커버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렌즈
10 ... 베이스링
11 ... 부착판
12 ... 암
13 ... 접착부재
20 ... 고정링
21 ... 수평바디
22 ... 수직바디
30 ... 회전링
31 ... 수평몸체
32 ... 수직몸체
33 ... 안착홈
34 ... 돌기
40 ... 커버부
41 ... 핀
42 ... 결합부
43 ... 홈
50 ... 반사체
10 ... 베이스링
11 ... 부착판
12 ... 암
13 ... 접착부재
20 ... 고정링
21 ... 수평바디
22 ... 수직바디
30 ... 회전링
31 ... 수평몸체
32 ... 수직몸체
33 ... 안착홈
34 ... 돌기
40 ... 커버부
41 ... 핀
42 ... 결합부
43 ... 홈
50 ... 반사체
Claims (4)
-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 주변에 설치되는 카메라 보조장치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된 링형태의 원판으로 중공의 원 중심에 상기 렌즈(1)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부착되거나 평판형의 부착판(11)과 연결되어 상기 렌즈(1) 주변에 고정되는 베이스링(10);
상기 베이스링(10)과 평행한 수평바디(21), 상기 수평바디(21)의 하면에서 상기 베이스링(10)의 상면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링(10)과 결합된 수직바디(22)를 갖는 고정링(20);
상기 베이스링(10)과 수직한 수직몸체(32), 상기 수직몸체(32)의 하단에서 상기 고정링(20)의 수직바디(22)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링(10)과 상기 고정링(20)의 수평바디(21)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몸체(31)를 갖는 회전링(30); 및
상기 회전링(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42), 상기 렌즈(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반사체(50)를 갖는 커버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40)가 상기 회전링(30)이 상기 베이스링(10)과 상기 고정링(20)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고 상기 결합부(42)를 회전축으로 상기 커버부(40) 자체의 회동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는 상기 스마트폰 후면의 전 방향 시야 중 상기 반사체(50)에 반사된 어느 한 시야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보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0)와 상기 회전링(30)이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42)는 상기 베이스링(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링(20)의 수평바디(2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보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30)의 수직몸체(32)는 상기 커버부(40)의 결합부(42)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착홈(33)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40)가 상기 베이스링(10)과 평행하게 상기 렌즈(1)를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보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0)의 측면에는 고정홈(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40)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홈(33)의 측면에는 고정돌기(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부(40)가 상기 안착홈(33)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돌기(34)가 상기 고정홈(43)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40)가 상기 안착홈(3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670A KR20180056842A (ko) | 2016-11-21 | 2016-11-21 | 회전식 반사체가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670A KR20180056842A (ko) | 2016-11-21 | 2016-11-21 | 회전식 반사체가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6842A true KR20180056842A (ko) | 2018-05-30 |
Family
ID=6230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4670A KR20180056842A (ko) | 2016-11-21 | 2016-11-21 | 회전식 반사체가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5684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56469A1 (en) * | 2019-06-19 | 2020-12-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xterior cover for electronic device |
JP3232345U (ja) * | 2021-02-09 | 2021-06-10 | 豪 山川 |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用外付けミラー |
-
2016
- 2016-11-21 KR KR1020160154670A patent/KR201800568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56469A1 (en) * | 2019-06-19 | 2020-12-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xterior cover for electronic device |
JP3232345U (ja) * | 2021-02-09 | 2021-06-10 | 豪 山川 |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用外付けミラ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768294T3 (es) |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módulo de cámara | |
US8798453B2 (en) | Attachment for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 |
US7835091B2 (en) | Protective shell for an electronic device | |
JPS6047977A (ja) | 赤外線人体検知装置 | |
KR20180056842A (ko) | 회전식 반사체가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 보조장치 | |
US9426340B2 (en) | Vehicle CCTV camera apparatus | |
CN107454300A (zh) | 盖板组件、摄像组件及移动终端 | |
CN105445940A (zh) | 一种与手机配合使用的vr眼镜 | |
US20230359047A1 (en) | Projection mechanism and glasses | |
CN107479303A (zh) | 盖板组件、功能组件及移动终端 | |
JP2015120477A (ja) | 死角補助装置 | |
JP2003526422A (ja) | 映像表示装置 | |
WO2021027959A1 (zh) | 滑板车 | |
JP4678586B2 (ja) | 撮像装置付きドアミラー | |
KR101979252B1 (ko) | 차량용 카메라 일체형 블랙박스 장치 | |
EP1431804A2 (en) | Image finder for self-portrait photography | |
TW201405286A (zh) | 防護結構及具有該防護結構之電子裝置 | |
TWI510852B (zh) | 電子裝置 | |
TWM261938U (en) | Dual-driven shielding device for photographing | |
JP2005234353A (ja) | カメラガード | |
KR101627298B1 (ko) |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 |
CN205880936U (zh) | 一种行车记录仪 | |
CN114554128A (zh) | 显示装置 | |
KR101584956B1 (ko) |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 |
TWM466820U (zh) | 行車記錄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