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272A -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272A
KR20180056272A KR1020160154327A KR20160154327A KR20180056272A KR 20180056272 A KR20180056272 A KR 20180056272A KR 1020160154327 A KR1020160154327 A KR 1020160154327A KR 20160154327 A KR20160154327 A KR 20160154327A KR 20180056272 A KR20180056272 A KR 20180056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fire truck
cable
fire
lif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광훈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선광훈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광훈, 김동진 filed Critical 선광훈
Priority to KR102016015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272A/ko
Publication of KR2018005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2Devices for altering inclination; Latching devices therefor ; Balanc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은 소방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승강 기구, 상기 승강 기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다리가 안착되는 사다리 안착 기구 및 상기 소방차의 상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이 감긴 권동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윈치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사다리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연결되어 상기 사다리를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LADDER AUTOMATIC LIFTING SYSTEM FOR FIRE ENGINE}
본 발명은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방차는 화재나 재해와 같은 긴급 사태에 대비하여 소방용 장비를 갖춘 특수차로, 펌프차, 물탱크차, 사다리차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사다리차는 소방관의 접근이 곤란한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방용 사다리차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1647671호는 사다리차의 붐 자동 인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소방차용 사다리는 평시에는 소방차 상부의 적재함에 수납된다. 이 때, 차량 이동 시 낙하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핀을 이용하여 사다리를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여 사다리를 이용할 경우에 소방관이 직접 소방차에 올라가서 고정핀을 해체하고, 사다리를 하차 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한 명의 소방관이 소방차의 상부로 올라가서 고정핀을 풀어 사다리를 해체한 후, 소방차의 아래에서 대기 중인 한 명 이상의 소방관에게 사다리를 전달하고, 사다리를 건네 받은 소방관은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인력으로 사다리를 상/하차함으로써, 사다리의 전개 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방관이 소방차의 상부로 직접 올라가서 사다리를 하차시키므로, 추락의 위험성(특히, 우천시)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다리를 상/하차시키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소방차용 사다리의 탈부착을 자동화함으로써, 기존의 수동 고정핀을 이용한 탈착 방식보다 비상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소방관이 소방차 상부에 올라가서 작업하는 경우, 우천 상황 및 다양한 위험 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의 소방차용 사다리는 소방관이 2인 1조로 탈부착해야 했으나, 이를 최소 인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력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다리 안착 기구 및 동력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 및 무게의 사다리, 대형 접이식 사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고층 건물의 화재 진압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소방차용 사다리의 이탈 방지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소방차에 부착된 사다리가 기설정된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방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승강 기구, 상기 승강 기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다리가 안착되는 사다리 안착 기구 및 상기 소방차의 상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이 감긴 권동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윈치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사다리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연결되어 상기 사다리를 고정시키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사다리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탈착 가능하도록 일단에 사다리 연결 기구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방차의 상부에서 상기 소방차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 기구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사다리의 승하차 시에, 상기 사다리의 승하차를 위해 상기 사다리 안착 기구를 상기 소방차의 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방차의 후방의 방향인 상기 소방차의 상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사다리의 승하차 시에 상기 사다리를 지지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사다리를 승하차시키는 롤러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다리 안착 기구는 상기 사다리가 안착되는 내부의 측면에 고무 패드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다리 안착 기구의 하면은 상기 소방차의 전방의 방향인 일단에서부터 상기 소방차의 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소정의 간격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사다리의 승하차 시에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사다리 안착 기구를 관통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 기구 및 상기 윈치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다리의 하차 시 상기 승강 기구를 상기 소방차의 후방의 방향으로 기울이고, 상기 승강 기구를 기울이는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풀고, 상기 사다리의 승차 시 상기 기울어진 승강 기구를 다시 세우고, 상기 승강 기구를 세우는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감도록 상기 승강 기구 및 상기 윈치 기구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에 구비된 사다리 연결 기구의 좌우 폭은 상기 사다리의 발판의 길이의 1/3 내지 1/2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 기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회동 가능한 휠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방차의 상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가 상기 소방차의 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향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다리 이탈 방지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방차용 사다리의 탈부착을 자동화함으로써, 기존의 수동 고정핀을 이용한 탈착 방식보다 비상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소방관이 소방차 상부에 올라가서 작업하는 경우, 우천 상황 및 다양한 위험 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소방차용 사다리는 소방관이 2인 1조로 탈부착해야 했으나, 이를 최소 인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함으로써 인력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사다리 안착 기구 및 동력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 및 무게의 사다리, 대형 접이식 사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고층 건물의 화재 진압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소방차용 사다리의 이탈 방지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소방차에 부착된 사다리가 기설정된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위에서의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용 사다리가 하차 중인 모습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소방차(1)의 상부에는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2)은 승강 기구(110), 사다리 안착 기구(120), 윈치 기구(130), 휠 기구(135), 케이블(140), 레일(150), 롤러 기구(160), 사다리 이탈 방지 기구(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기구(110)는 소방차(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기구(110)는 사다리(125)의 상하차 시에, 사다리(125)의 상하차를 위해 사다리 안착 기구(120)를 들어올리고, 사다리 안착 기구(120)를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다리 안착 기구(120)는 승강 기구(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다리 안착 기구(120)에는 사다리(125)가 안착될 수 있다. 사다리 안착 기구(120)는 사다리(125)가 안착되는 내부의 측면에 도 2에 도시한 고무 패드(200)가 구비될 수 있다. 사다리(125)가 안착되는 내부의 측면에 고무 패드(200)를 구비함으로써, 사다리(125)와 사다리 안착 기구(12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차량의 이동 시에 진동에 의한 유격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사다리 안착 기구(120)는 하면에 소방차(1)의 전방의 방향인 일단에서부터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소정의 간격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140)은 사다리(125)의 승하차 시에 사다리 안착 기구(120)의 홈을 통해 사다리 안착 기구(12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다리 안착 기구(120)는 하면에 홈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다리(125)의 하차 시에, 사다리(125)가 하차되면서 사다리(125)의 발판에 결합된 케이블이 결합된 발판을 따라가게 되고, 이로 인해 사다리 안착 기구(120)에 걸리게 되어 사다리(125)의 하차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이 사다리 안착 기구(120)에 매달리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블(140)이 사다리(125)의 승하차 시에 사다리 안착 기구(120)의 홈을 통해 사다리 안착 기구(120)를 관통하도록 사다리 안착 기구(120)의 하면에 소정의 간격의 홈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사다리(125)의 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윈치 기구(130)는 소방차(1)의 상부의 일단(소방차(1)의 전방의 방향)에 설치되고, 케이블(140)을 포함하며, 케이블(140)이 감긴 권동을 회전시킴으로써 케이블(140)을 감거나 풀 수 있다.
휠 기구(135)는 승강 기구(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케이블(140)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회동 가능한 기구일 수 있다. 휠 기구(135)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케이블(140)은 윈치 기구(130)에서 케이블(140)이 풀리는 지점과 케이블(140)와 연결되는 사다리(125)의 발판이 이루는 각도로 사다리(125)의 발판과 연결된다. 즉, 케이블(140)이 사다리(125)의 발판을 거의 수평으로 잡아당기고 있으므로(대략 10도 내지 20도), 사다리(125)가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나, 사다리(125)가 소방차(1)의 상부의 방향으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휠 기구(135)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140)이 사다리(125)의 발판을 수직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소방차(1)의 주행 시에 상하 떨림으로 사다리(125)가 소방차(1)의 상부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사다리 이탈 방지 기구(170)와 후술할 사다리 안착 기구(120) 내부의 측면에 구비된 고무 패드 그리고 휠기구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케이블(140)은 사다리(125)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연결되어 사다리(12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블(140)은 사다리(125)의 승하차 시에 홈을 통해 사다리 안착 기구(120)를 관통할 수 있다. 평시에는 케이블(140)이 사다리(125)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팽팽하게 연결되어 소방차(1)가 주행 시에도 사다리(125)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사다리(125)의 하차 시에 윈치 기구(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승강 기구(110)가 기울여지는 속도에 따라 케이블(140)을 적정한 속도로 풀어 사다리(125)가 안전하게 하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125)의 승차 시에 윈치 기구(130)는 제어부(180)가 승강 기구(110)를 세우는 속도에 따라 케이블(140)을 적정한 속도로 감아 사다리(125)가 안전하게 승차하도록 할 수 있다.
레일(150)은 소방차(1)의 상부에서 소방차(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승강 기구(11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레일(150)은 승강 기구(110)의 위치에 따라 레일(150)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기구(110)가 소방차(1)의 운전석과 인접한 곳에 설치된 경우, 레일(150)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승강 기구(110)가 소방차(1)의 운전석과 먼 곳에 설치된 경우, 레일(150)의 길이는 짧아지거나 없을 수도 있다.
승강 기구(110)는 평시에 소방차(1)의 상부에서 사다리 안착 기구(120) 및 사다리(125)의 지지가 용이한 제 1 위치(예컨대, 소방차(1)의 상부의 중앙)에서 사다리 안착 기구(120) 및 사다리(125)를 지지하고 있을 수 있다. 승강 기구(110)는 사다리(125)의 승하차 시에, 레일(150)을 통해 사다리 안착 기구(120)를 기울임으로써 사다리(125)의 상하차가 가능한 제 2 위치(예컨대, 소방차(1)의 상부의 후방)로 이동하여 사다리(125)를 승하차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승강 기구(110)가 레일(150)을 통한 이동없이 소방차(1)의 상부에서 사다리 안착 기구(120) 및 사다리(125)를 지지하고, 사다리 안착 기구(120)를 기울임으로써 사다리(125)의 상하차가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경우,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2)에서 레일(150)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롤러 기구(160)는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인 소방차(1)의 상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사다리(125)의 승하차 시에 사다리(125)를 지지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사다리(125)를 승하차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롤러 기구(160) 없이 사다리(125)를 승하차 시키는 경우, 사다리(125)가 소방차(1)에 걸림으로써 사다리(125)가 안전하게 승하차될 수 없다. 또한, 사다리(125)가 소방차(1)에 걸림으로써 소방차(1)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롤러 기구(160)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사다리(125)의 승하차 시에 사다리(125)를 지지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사다리(125)를 안전하게 승하차시키고, 소방차(1)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사다리 이탈 방지 기구(170)는 소방차(1)의 상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다리(125)가 소방차(1)의 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차(1)가 급정지하거나, 승강 기구(110)의 오류 등으로 인해 소방차용 사다리(125)가 소방차(1)의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거나 운전석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사다리 이탈 방지 기구(170)를 구비함으로써, 사다리(125)가 기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승강 기구(110) 및 윈치 기구(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운전석 또는 소방차(1)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소방관 또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소방차(1)로부터 사다리(125)가 승하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다리(125)의 하차 시 승강 기구(110)를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으로 기울이고, 승강 기구(110)를 기울이는 속도에 대응하여 케이블(140)이 풀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다리(125)의 승차 시, 기울어진 승강 기구(110)를 다시 세우고, 승강 기구(110)를 세우는 속도에 대응하여 케이블(140)이 감기도록 승강 기구(110) 및 윈치 기구(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을 위에서의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다리 안착 기구(120)는 승강 기구(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사다리 안착 기구(120)는 사다리(125)가 안착되는 내부의 측면에 고무 패드(200)가 구비될 수 있다. 고무 패드(200)는 예를 들어, 반달형 모양의 고무 패드(2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무 패드(200)는 사다리(125)와 사다리(125)가 안착되는 사다리 안착 기구(12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켜, 소방차(1)의 고속 이동 시, 진동에 의한 유격 및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다.
사다리 안착 기구(120)는 하면에 소방차(1)의 전방의 방향인 일단에서부터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소정의 간격의 홈(210)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140)은 사다리(125)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연결되어 사다리(12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블(140)은 사다리(125)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탈착 가능하도록 일단에 사다리 연결 기구(220)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케이블(140)에 구비된 사다리 연결 기구(220)의 폭이 너무 좁은 경우, 소방차(1)의 주행 시에 사다리 연결 기구(220)가 케이블(140)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사다리 연결 기구(220)의 폭이 너무 넓은 경우, 사다리 연결 기구(220)를 케이블(140)로부터 탈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케이블(140)에 구비된 사다리 연결 기구(220)의 좌우 폭은 너무 좁지도 너무 넓지도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사다리 연결 기구(220)의 좌우 폭은 사다리(125)의 발판의 길이의 1/3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용 사다리가 하차 중인 모습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방관 또는 관리자가 사다리(125) 하차 버튼을 눌러 소방차용 사다리를 하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가 소방관 또는 관리자로부터 사다리(125) 하차 버튼을 입력 받으면,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2)은 윈치 기구(130)를 역회전시켜 케이블(140)이 풀리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승강 기구(110)를 예를 들어, 45도 상승시켜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으로 사다리 안착 기구(120)를 기울이게 함으로써, 사다리(125)가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지면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윈치 기구(130)가 적정한 장력을 가지고 케이블(140)이 풀리도록 제어함으로써, 사다리(125)가 적정한 속도 및 길이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면에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기구(110)와 사다리 안착 기구(120)와의 유기적인 조합으로 사다리(125)가 지면 방향으로 적정한 속도 및 위치로 안착하게 되면, 대기중이던 소방관이 사다리(125)와 사다리(125)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연결된 사다리 연결 기구(220)를 해체하여 사다리(125)를 탈착시켜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에 이용할 수 있다.
사다리(125)의 승차시에는 이와는 반대로, 소방관 또는 관리자가 제어부(180)의 사다리(125) 승차 버튼을 눌러 소방차용 사다리를 승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소방관 또는 관리자는 사다리(125)를 소방차(1)의 후방의 방향으로 기울여져 있는 승강 기구(110)에 구비된 사다리 안착 기구(120)에 안착시킨 후, 케이블(140)의 사다리 연결 기구(220)를 사다리(125)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가 소방관 또는 관리자로부터 사다리(125) 승차 버튼을 입력받으면,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2)은 윈치 기구(130)가 회전을 하며 케이블(140)을 감도록 함으로써, 사다리(125)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승강 기구(110)는 케이블(140)이 감기는 정도에 따라 적정 수준으로 각도를 줄여, 사다리(125)가 안정적으로 승강 기구(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2)은 소방차량의 상부에 안착된 사다리(125)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 전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진압 시 사다리(125)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한 명의 소방관이 사다리(125)를 탈부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 및 무게의 사다리를 동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사다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125)를 자동으로 탈부착시킴으로써, 소방관이 소방차(1)의 상부에 직접 올라가야 하는 위험을 줄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승강 기구
120: 사다리 안착 기구
125: 사다리
130: 윈치 기구
135: 휠 기구
140: 케이블
150: 레일
160: 롤러 기구
170: 사다리 이탈 방지 기구
180: 제어부
200: 고무 패드
210: 홈
220: 사다리 연결 기구

Claims (11)

  1.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에 있어서,
    소방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승강 기구;
    상기 승강 기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다리가 안착되는 사다리 안착 기구; 및
    상기 소방차의 상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이 감긴 권동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윈치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사다리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연결되어 상기 사다리를 고정시키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사다리의 적어도 하나의 발판에 탈착 가능하도록 일단에 사다리 연결 기구를 구비하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차의 상부에서 상기 소방차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
    기구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사다리의 승하차 시에, 상기 사다리의 승하차를 위해
    상기 사다리 안착 기구를 상기 소방차의 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도록 구성되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차의 후방의 방향인 상기 소방차의 상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사다리의 승하차 시에 상기 사다리를 지지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사다리를 승하차시키는 롤러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 안착 기구는 상기 사다리가 안착되는 내부의 측면에 고무
    패드가 구비된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 안착 기구의 하면은 상기 소방차의 전방의 방향인 일단에서부터
    상기 소방차의 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소정의 간격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사다리의 승하차 시에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사다리 안착 기구를 관통하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 및 상기 윈치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다리의 하차 시 상기 승강 기구를 상기 소방차의
    후방의 방향으로 기울이고, 상기 승강 기구를 기울이는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풀고, 상기 사다리의 승차 시 상기 기울어진 승강 기구를
    다시 세우고, 상기 승강 기구를 세우는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감도록 상기 승강 기구 및 상기 윈치 기구를 제어하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구비된 사다리 연결 기구의 좌우 폭은 상기 사다리의 발판의 길이의 1/3 내지 1/2인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회동 가능한
    휠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차의 상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가 상기 소방차의 전방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향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다리 이탈 방지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KR1020160154327A 2016-11-18 2016-11-18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KR20180056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327A KR20180056272A (ko) 2016-11-18 2016-11-18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327A KR20180056272A (ko) 2016-11-18 2016-11-18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272A true KR20180056272A (ko) 2018-05-28

Family

ID=6245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327A KR20180056272A (ko) 2016-11-18 2016-11-18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2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2915A (zh) * 2022-03-18 2022-06-03 徐工消防安全装备有限公司 升降滑车及云梯消防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2915A (zh) * 2022-03-18 2022-06-03 徐工消防安全装备有限公司 升降滑车及云梯消防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from outside an upper level of a tall structure
US7597175B2 (en)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US10836608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US4934629A (en) Rescue vehicle
US87703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from outside an upper level of a tall structure
US1345304A (en) Derrick for vehicles
US5927432A (en) Rescue apparatus
CN106627309B (zh) 一种消防指挥综合作业车
US20150136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from outside an upper level of a tall structure
US20040262086A1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9222306B2 (en) Crane access staircase and mounting system
US20050023082A1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20180056272A (ko) 소방차용 사다리 자동 승하차 시스템
CN109985330A (zh) 一种基于飞行器远程锚定遣派的高层火灾救援车辆
KR101374540B1 (ko) 고가 사다리차
KR101230656B1 (ko) 고가 사다리차
KR100277432B1 (ko) 사다리 소방차
RU2396094C1 (ru) Способ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и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6095410B2 (ja) バリアフリー乗下船設備
NL1003374C2 (nl) Noodvluchtinrichting en offshore-installatie voorzien van een dergelijke noodvluchtinrichting.
CN217732612U (zh) 一种可收合的立柱式舷梯
US1732524A (en) Airplane-launching appliance
RU2306964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из зданий большой высотности
KR200218105Y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JP2023085667A (ja) シート掛け補助システムおよびシートハンガー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