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667A -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 Google Patents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667A
KR20180055667A KR1020170054314A KR20170054314A KR20180055667A KR 20180055667 A KR20180055667 A KR 20180055667A KR 1020170054314 A KR1020170054314 A KR 1020170054314A KR 20170054314 A KR20170054314 A KR 20170054314A KR 20180055667 A KR20180055667 A KR 2018005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gas
piston
gas cell
g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방호
주동석
천영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엘
Publication of KR2018005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0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 F16N3/1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delivering grease
    • F16N3/12Grease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1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by pressure of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4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 F16N2260/02Indicating
    • F16N2260/05Oil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 그리스 토출구가 형성되는 실린더 형태의 주입기 하우징 ;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의 가스실과 하부의 그리스실로 구획하는 주입기 피스톤 ;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가스실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노브 홀이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캡,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부에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노브 홀을 통해 출입하는 노브가 형성되며 하부의 저면에 상방으로 오목한 스플라인 결합홈이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피스톤,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셀 카트리지 ;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가스실과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셀, 상기 가스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를 구성하되 회전을 통해 저항값을 변경하여 상기 가스셀의 가스 발생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스크형 가변저항, 하단부가 상기 디스크형 가변저항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스플라인 결합홈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저항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셀 모듈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Automatic Lubricator with Pressure Indicating Function}
본 발명은 그리스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장치의 회전축이나 베어링 등에 그리스를 자동으로 주입하도록 하되 정상 작동 여부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기계장치의 회전축이나 베어링 등에는 기계장치의 원활한 작동과 마모 방지를 위해서 그리스(grease)가 주입된다. 그리스는 영구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주기적으로 보충하여 그리스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스를 보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그리스 펌프를 이용하여 기계장치의 그리스 주입구를 통해 그리스를 수동으로 주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항시 구동되는 산업용 기계장치의 경우 그리스의 보충 주기가 짧고 그리스를 주입해야 할 곳도 많기 때문에 이를 수동으로 보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만약, 그리스 보충시기를 놓치게 되면 기계장치가 마모되어 수명이 줄어들거나 작동불능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리스 자동 주입기 개발되었으며, 그리스 자동 주입기는 현재 산업현장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스 자동 주입기는 실린더 형태의 주입기 하우징의 내부에 그리스가 채워져 있고, 스프링이나 가스셀이 마련되어 주입기 하우징 내부의 피스톤을 가압함으로써 그리스를 토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스 자동 주입기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은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가압하는 기계식이며, 또 다른 방식은 가스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가압하는 가스 가압식이다.
스프링을 이용하는 기계식 그리스 자동 주입기는 스프링의 압축된 거리에 따라서 주입 압력이 변하고, 또한 그리스를 공급받는 기계장치의 그리스 주입구 압력이나 그리스의 점도에 따라서 그리스의 주입량이 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그리스의 정량 주입이 어렵고 그리스의 소모시기를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을 이용한 기계식 그리스 자동 주입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그리스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모터와 제어장치가 추가된 전자 제어식 그리스 자동 주입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높은 단가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가스 가압식은 가스셀에서 일정하게 발생되는 가스(질소 또는 수소)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스프링을 이용하는 기계식 그리스 자동 주입기에 비하여 그리스의 정량 주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리스 주입구의 압력이 높아지거나 막히게 될 경우 더 이상 압력이 증가하지 않는 기계식 그리스 자동 주입기와는 달리, 가스 가압식 그리스 자동 주입기는 내부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아울러 주입기 하우징에 크랙이 발생하여 가스가 누출되면 정상적으로 그리스가 토출되지 않으며 이 또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3579호 "자동 그리스 주유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10998호 "윤활유 공급장치"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 가압식 그리스 자동 주입기에 있어서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가스셀 카트리지를 마련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서 하부에 그리스 토출구가 형성되는 주입기 하우징 ;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의 가스실과 하부의 그리스실로 구획하는 주입기 피스톤 ;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되 내부가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가스실과 연통되며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노브 홀이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캡,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부에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노브 홀을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출입하는 노브가 형성되며 하부의 저면에 상방으로 오목한 스플라인 결합홈이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피스톤,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셀 카트리지 ;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가스실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셀, 상기 가스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를 구성하되 회전을 통해 상기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의 저항값을 변경하여 상기 가스셀의 가스 발생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크형 가변저항, 하단부가 상기 디스크형 가변저항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스플라인 결합돌기가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스플라인 결합홈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저항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셀 모듈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하부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과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사이를 기밀되도록 하되 단면이 '∩'형태인 기밀용 실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노브가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의 상단부에 음각의 조작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음각의 조작 홈은 육각봉 렌치용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셀 모듈은 상기 인디케이터 캡 내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셀 카트리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상부에 카트리지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셀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결합구를 통해서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내부가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가스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주입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는, 주입기 하우징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인디케이터 피스톤을 구비한 가스셀 카트리지가 마련됨으로써 가스셀이 정상적으로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가스셀 카트리지의 노브를 눌러서 주입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확인함으로써 그리스 토출구를 통하여 그리스가 정상적으로 토출되고 있는지 여부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가스셀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저면도,
도 6은 도 4의 디스크형 가변저항의 저면도,
도 7은 도 3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리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가스셀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분리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가스셀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디스크형 가변저항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리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는, 주입기 하우징(100), 주입기 피스톤(200), 가스셀 카트리지(300), 가스셀 모듈(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스셀 카트리지(300)는 인디케이터 기능이 구비된 장치로서, 내부에 별도의 가스셀 모듈(340)을 수용하도록 마련되거나, 내부에 가스셀 모듈(340)이 포함되어 가스셀 모듈(340)과 일체화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가스셀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가스셀 모듈(340)이 포함되어 가스셀 모듈(340)과 일체화되는 것으로 한다.
주입기 하우징(100)은 그리스를 저장하는 그리스 컵(110)과 그리스 컵(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토출구 마개(120)로 이루어진다. 그리스 컵(1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서 상부에는 가스셀 카트리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 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 마개(120)는 그리스 컵(110)의 하부에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되며 중앙에 그리스 토출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주입기 피스톤(200)이 마련된다. 주입기 피스톤(200)은 주입기 하우징(110)의 내주면, 더욱 상세하게는 그리스 컵(1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주입기 피스톤(200)에 의해 주입기 하우징(100)의 내부는 상부의 가스실(112)과 하부의 그리스실(113)로 구획된다. 주입기 피스톤(200)과 그리스 컵(1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오링(210)이 마련되어 가스실(112)과 그리스실(113)을 격리되도록 한다.
주입기 하우징(100)의 가스실(112)은 가스셀 모듈(340)에서 발생된 가스가 채워지는 공간이며, 그리스실(113)은 그리스 토출구(121)를 통해서 토출될 그리스를 채우는 공간이다. 그리스실(113)에는 그리스가 직접 채워지거나 벨로우즈 형태의 그리스 주머니(미도시)에 담긴 채로 채워진다.
가스셀 카트리지(300)는 인디케이터 캡(310), 인디케이터 피스톤(320),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스셀 카트리지(300)의 내부에는 가스셀 모듈(340)이 더 마련되어 가스셀 카트리지(300)에 일체화됨으로써 하나의 독립된 모듈을 형성하게 된다. 가스셀 카트리지(300)의 형태는 도 3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내부의 구조는 도 4 내지 도 8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가스셀 카트리지(300)의 인디케이터 기능은 가스실(112)의 가스 압력 형성 여부와 가스 압력의 세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하며, 이는 인디케이터 캡(310), 인디케이터 피스톤(320), 탄성부재(330)에 의하여 구현된다.
인디케이터 캡(3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서 내부의 하부가 주입기 하우징(100)의 가스실(112)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노브 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캡(310) 상부의 노브 홀(311) 주변으로는 개월 수를 나타내는 숫자 표식(312)이 마련된다.
인디케이터 캡(310)은 실린더 컵(110)의 카트리지 결합구(111)에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된다. 인디케이터 캡(310)과 카트리지 결합구(111)에는 오링(313)이 게재되어 결합부위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에는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이 마련된다.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상부에는 인디케이터 캡(310)의 노브 홀(311)을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출입하는 원통형의 노브(321)가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피스톤(320) 하부의 저면에는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스플라인 결합홈(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브(321)의 하단부 둘레에는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상승시 인디케이터 캡(310)의 노브 홀(311)을 밀폐하기 위한 오링(323)이 마련된다.
아울러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노브(321)의 상단부에는 노브(321)가 인디케이터 캡(310)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노브(321)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음각의 조작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음각의 조작 홈은 일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노브(3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노브(321)의 회전된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음각의 화살표 홈(324)이다.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을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330)가 마련된다. 본 실시례에서 탄성부재(330)는 코일 스프링이며 하단부가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인디케이터 캡(310)의 상부에 지지되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탄성부재(330)가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을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가스실(112)의 내부에 가스 압력이 형성되기 전에는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노브(321)가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수로 노브(321)를 조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실(112)에 가스 압력이 형성되며 가스실(112)과 연통되어 있는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에도 가스실(112)과 동일한 가스 압력이 형성되며, 그 가스 압력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탄성부재(330)의 하방 가압력보다 크게 되면 이로 인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아울러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노브(321)가 인디케이터 캡(310)의 노브 홀(311)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노브(321)가 탄성부재(330)에 의하여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는 동안에는 노브(321)를 손으로 조작할 수 없다. 그러나 노브(321)의 상단부에는 화살표 표식(324)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살표 표식(324)에 일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노브(321)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캡(310)의 하부에는 가스셀 모듈(340)이 마련된다. 가스셀 모듈(340)은 가스셀(341), 디스크형 가변저항(342), 저항 조절 다이얼(3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스셀(341)은 가스셀 수용컵(350)에 수용된 상태로 인디케이터 캡(310)의 하부에 고정되고, 디스크형 가변저항(342)과 저항 조절 다이얼(343)은 가스셀(341)의 상부에 차례로 마련되어 가스셀 모듈(340)이 가스셀 카트리지(300)에 일체화되도록 한다.
가스셀(341)은 가스를 발생시켜 주입기 하우징(100)의 가스실(112)과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고 가스로 인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이는 종래의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스셀(341)은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면과 측면은 디스크형 가변저항(342)과 접촉되어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내부의 배터리와 연결된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즉 가스셀(341) 자체가 코인 배터리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다.
가스셀(341)의 상부에는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이 마련된다.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은 가스셀(3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은 회전을 통해서 상기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의 저항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저항값을 변경하면 가스셀(341)의 가스 발생량을 조정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가스셀(341)은 통기구(351)가 형성되어 있는 가스셀 수용컵(350)에 수용된 상태로 인디케이터 캡(310)의 하부에 고정된다. 가스셀 수용컵(350)에 형성된 통기구(351)를 통해서 가스셀(341)에서 발생된 가스가 주입기 하우징(100)의 가스실(112)과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가스셀 수용컵(350)에는 전극을 형성하는 가스셀(341)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를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접촉단자(352)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단자(352)는 가스셀(341)과 가스셀(341)의 상부에 마련되는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셀 수용컵(350)에는 통기구(351) 주변으로 복수의 이격 돌기(354)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격 돌기(354)는 통기구(351)가 가스셀(341)에 의해 폐쇄되지 않도록 가스셀(341)을 통기구(351)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스셀 수용컵(350)의 외측 일부에 회전 방지용 돌기(353)가 형성되어 가스셀 수용컵(350)이 인디케이터 캡(310)에 결합된 이후 접촉단자(35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인디케이터 캡(310)의 가스셀 수용컵(350)이 결합되는 부위에도 회전 방지용 돌기(353)에 대응되는 회전 방지용 홈(314)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셀(341)의 상부에는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이 마련된다.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은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면의 중앙과 둘레부위에 복수의 전극(3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342a)은 상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저항(342b)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의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서로 다른 크기의 고정구멍(342c) 한 쌍과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의 통기구(342d)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을 회전시켜 가스셀(341)에 접촉되는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의 전극(342a)을 달리하면 가스셀(341)과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이 형성하는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의 저항값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저항값이 변경되면 가스셀(341)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이 변화되어 가스 발생량이 조절된다.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의 상면에는 저항 조절 다이얼(343)이 마련된다. 저항 조절 다이얼(343)의 하단부에는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의 한 쌍의 고정구멍(342c)에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343a)가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 결합을 통해서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의 상면에 고정된다.
저항 조절 다이얼(343)의 상부에는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스플라인 결함홈(322)에 대응되는 스플라인 결합돌기(343b)가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 결합돌기(343b)는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스플라인 결합홈(322)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인디케이터 피스톤(322)이 상하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거나 저항 조절 다이얼(343)과 함께 축회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저항 조절 다이얼(343)을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노브(321)와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셀 모듈(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실시례의 가스셀 카트리지(300)는 하나의 독립된 모듈 형태로 이루어지며 주입기 하우징(100)의 카트리지 결합구(111)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가스셀 카트리지(300)는 주입기 하우징(100)의 카트리지 결합구(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그리스가 모두 소모될 경우 가스셀 카트리지(300)를 분리하고 주입기 피스톤(200)을 다시 상방으로 밀어올린 다음 그리스를 충전할 수 있다. 즉, 구조가 간단하고 재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노브(321)를 회전시켜 원하는 사용 개월 수에 해당하는 숫자 표식(312)에 노브(321)의 화살표 표식(324)의 방향을 일치시킨다.
본 실시례는 실수에 의해 노브(321)가 회전되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사용시 노브(321)가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노브(321)의 회전은 음각으로 형성된 화살표 표식(324)에 일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노브(321)를 회전시키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과 스플라인 결합된 저항 조절 다이얼(343)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과 함께 회전하며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을 회전시키게 된다.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을 회전시켜 가스셀(341)과 디스크형 가변저항(342)이 폐회로를 형성하게 되면 가스셀(341)에서 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발생한 가스는 통기구(342d, 351)를 통해서 주입기 하우징(100)의 가스실(112)과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로 유입되며 가스 압력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가스 압력이 서서히 증가하여 가스실(112)과 가스셀 카트리지(300) 내부의 가스 압력이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을 넘어서게 되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이 상승하여 노브(321)가 인디케이터 캡(310)의 노브 홀(3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즉, 노브(321)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통하여 가스셀(341)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에 의하여 가스실(112)에 가스 압력이 형성되어 주입기 피스톤(20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노브(321)와 인디케이터 캡(310)의 색상이 서로 보색 관계라면 매우 쉽게 노브(321)의 돌출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가 정상적으로 작동 중인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화살표 표식(324)이 숫자 표식(312)의 숫자 9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9개월에 걸쳐서 그리스실(113)에 채워진 그리스를 토출하게 된다.
작동 중인 상태의 내부 모습은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동 중에는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이 상승하여 노브(321)의 하단부 둘레에 마련된 오링(323)이 인디케이터 캡(310)의 노브 홀(311)을 밀폐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실(112)과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가 완전히 기밀된 상태가 된다. 아울러 주입기 피스톤(200)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며 그리스실(113)의 그리스를 그리스 토출구(121)로 토출하게 된다.
만약 주입기 하우징(100)에 크랙(crack)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가스실(112)의 가스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이 하강하여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노브(321)가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노브(321)의 확인을 통하여 크랙 등의 문제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셀(341)이 정상적으로 가스를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그리스가 토출되지 않는다면, 즉 주입기 피스톤(200)이 하강하지 못한다면 가스실(112)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는 주입기 하우징(100)의 크랙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돌출 상태의 노브(321)을 손으로 누르게 된다면 가스실(112)의 압력이 매우 높아 노브(321)가 정상적인 압력으로는 하강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문제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스실(113)에 저장된 그리스를 모두 소진한 경우 가스셀 카트리지(300)를 분리한 후 그리스를 재충전하고 새로운 가스셀 카트리지(300)를 장착하여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의 가스셀 카트리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가스셀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분리 단면도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가스셀 카트리지(300')는 제1실시례에 의한 가스셀 카트리지(30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가스셀 모듈(340)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도 13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 의한 가스셀 카트리지(300')는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이 제1실시례에 의한 가스셀 카트리지(300)와 동일하나, 인디케이터 피스톤(320') 및 저항 조절 다이얼(343')의 구조가 제1실시례와 다르며, 기밀용 실(327')이 더 마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피스톤(320') 및 저항 조절 다이얼(343'), 그리고 기밀용 실(326')에만 새로운 도면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례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에는 제1실시례에 의한 인디케이터 피스톤(320')과 마찬가지로 노브(321')와 스플라인 결합홈(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브(321')의 하단부 둘레에는 오링(323')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하단부에는 외주면에 기밀용 실(327')을 장착할 수 있도록 실 안착부(326')가 더 형성되며, 노브(321')의 상단부에 음각의 조작 홈으로서 육각봉 렌치용 홈(324')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육각봉 렌치용 홈(324')는 끝이 납작한 도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조작 가능한 제1실시례의 화살표 표식(324')과는 달리 육각봉 렌치를 이용해서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각봉 렌치를 소지한 취급자만 노브(321')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노브(321')에 형성되는 육각봉 렌치용 홈(324')으로는 노브(321')가 회전된 정도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노브(321')의 상단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삼각형 표식(325')이 형성된다.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실 안착부(326')에는 기밀용 실(327')이 안착된다. 기밀용 실(327')은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과 인디케이터 캡(310)의 사이를 기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기밀용 실(327')은 단면이 '∩'형태인 밀폐용 링으로서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실 안착부(326')에 안착된 상태로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기밀용 실(327')이 인디케이터 캡(310)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므로,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은 상하방향으로 매끄럽게 이동되며, 노브(321')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오링(323')에 의해 노브 홀(311)이 완전히 밀폐되기 전에도 인디케이터 캡(310)의 노브 홀(311)을 통해서 가스가 누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례에 의한 저항 조절 다이얼(343')은 제1실시례에 의한 저항 조절 다이얼(343)과 마찬가지로, 상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돌기(343b')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한 쌍의 고정돌기(343a')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고정돌기(343a')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343c')이 더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저항 조절 다이얼(343')의 하부에 받침판(343c')이 형성되고, 받침판(343c')의 하부에 한 쌍의 고정돌기(343a')가 형성되는 것이다.
받침판(320')은 기밀용 실(327')이 설치되어 있는 인디케이터 피스톤(320')의 하부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도 13에는 받침판(320')의 단부가 인디케이터 피스톤(320') 및 기밀용 실(327')을 받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례에 의한 가스셀 카트리지(300')가 장착된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의 사용 상태는 제1실시례와 유사하므로 이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주입기 하우징
110 : 그리스 컵 111 : 카트리지 결합구
120 : 토출구 마개 121 : 그리스 토출구
200 : 주입기 피스톤
300 : 가스셀 카트리지
310 : 인디케이터 캡 311 : 노브 홀
320 : 인디케이터 피스톤 321 : 노브
322 : 스플라인 결합홈 330 : 탄성부재
340 : 가스셀 모듈
341 : 가스셀 342 : 디스크형 가변저항
343 : 저항 조절 다이얼 343b : 스플라인 결합돌기
350 : 가스셀 수용컵

Claims (5)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서 하부에 그리스 토출구가 형성되는 주입기 하우징 ;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의 가스실과 하부의 그리스실로 구획하는 주입기 피스톤 ;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되 내부가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가스실과 연통되며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노브 홀이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캡,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부에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노브 홀을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출입하는 노브가 형성되며 하부의 저면에 상방으로 오목한 스플라인 결합홈이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피스톤,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셀 카트리지 ;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가스실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셀, 상기 가스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를 구성하되 회전을 통해 상기 가스 발생용 전기회로의 저항값을 변경하여 상기 가스셀의 가스 발생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크형 가변저항, 하단부가 상기 디스크형 가변저항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스플라인 결합돌기가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스플라인 결합홈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저항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셀 모듈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하부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과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사이를 기밀되도록 하되 단면이 '∩'형태인 기밀용 실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피스톤의 노브가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의 상단부에 음각의 조작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의 조작 홈은 육각봉 렌치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셀 모듈은 상기 인디케이터 캡 내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셀 카트리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상부에 카트리지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셀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결합구를 통해서 상기 인디케이터 캡의 내부가 상기 주입기 하우징의 가스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주입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KR1020170054314A 2016-11-17 2017-04-27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KR20180055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198 2016-11-17
KR20160153198 2016-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667A true KR20180055667A (ko) 2018-05-25

Family

ID=6229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314A KR20180055667A (ko) 2016-11-17 2017-04-27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6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7652A (zh) * 2018-09-17 2018-12-18 长兴鸿运织造有限公司 一种纺织设备上的润滑装置
KR20200077985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베스트서브 자동오일 주입기용 가압 드라이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7652A (zh) * 2018-09-17 2018-12-18 长兴鸿运织造有限公司 一种纺织设备上的润滑装置
KR20200077985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베스트서브 자동오일 주입기용 가압 드라이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5667A (ko)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자동 주입기
US9624978B2 (en) Bearing device
US9377053B2 (en) Rolling bearing device
JP2007536474A (ja) 自動モーター駆動インラインピストンポンプ潤滑装置
CN101432152B (zh) 胎压控制设备
JP6942195B2 (ja) 潤滑剤吐出ポンプ
EP1732151B1 (en) Valve body and gel-type electric battery plug incorporating said valve body
US4409867A (en) Adjustable constant level oiler and tool for making oiler adjustments
KR101485168B1 (ko) 윤활유 공급용 펌프
JP2006126106A (ja) 液体残量検知方法
CN210942360U (zh) 一种带有防飞溅功能的液体生产灌装机
CN103287595B (zh) 粉体填充装置、粉体装入容器的制造方法
CA2635788C (en) Automatic viscid substance actuator, dispenser and distributor
CN110742813A (zh) 面膜盒、氧注入器及包括该面膜盒和氧注入器的面膜套装
CN201636515U (zh) 一种油脂加注器
KR102173573B1 (ko) 자동오일 주입기용 가압 드라이브
KR19990082776A (ko) 유체압기기용영점위치결정기구
CN218973742U (zh) 一种气密测漏仪
KR200324390Y1 (ko) 공압을 이용한 단독 윤활장치
KR101654175B1 (ko) 외부 케이싱이 교체 가능한 전자담배용 충전식 배터리
WO2020117393A1 (en) Logic circuitry package
CN218239698U (zh) 模拟油环境下导电环耐磨耗测试装置
KR200201377Y1 (ko) 그리스 주입기
CN117470159A (zh) 一种定位检测装置以及定位检测方法
KR101265726B1 (ko) 액체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