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044A -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044A
KR20180055044A KR1020160152354A KR20160152354A KR20180055044A KR 20180055044 A KR20180055044 A KR 20180055044A KR 1020160152354 A KR1020160152354 A KR 1020160152354A KR 20160152354 A KR20160152354 A KR 20160152354A KR 20180055044 A KR20180055044 A KR 20180055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transmittance
coating layer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280B1 (ko
Inventor
오민석
이동현
김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트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트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트론텍
Priority to KR102016015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2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ND 소재를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거나 가공된 렌즈에 ND 코팅막을 형성하여 ND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ND 렌즈로서,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의 렌즈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수성 ND 소재를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거나 가공된 렌즈에 ND 코팅막을 형성하여 ND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ND 렌즈를 제공할 수 있고, 광학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ND LENS AND OPTICAL MODULE USING ND LENS}
본 발명은 ND 렌즈를 이용한 광학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수성 ND 소재를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거나 가공된 렌즈에 ND 코팅막을 형성하여 ND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ND 필터(Neutral Density Filters)는 광선 중에서 가시 분광 범위의 모든 파장에 속하는 것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투과되도록 하는 비-선택적 투과율을 가진 광학 필터를 말하며, 이것은 광의 투과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등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맑은 날 등 광량이 많은 조건하에서 렌즈의 조리개가 조여지지만 필름이 불가피하게 과노출될 때 광량을 제한함으로써 셔터가 저속으로 릴리즈되도록 하는 경우나, 또는 다이아프램이 완전 개방되어야 하지만 셔터를 최고 속도로 릴리즈하여도 필름이 불가피하게 과노출될 때 광량을 제한하여 다이아프램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경우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ND 필터에는, 입사광을 반사하여 감쇠시키는 반사형 ND 필터와, 입사광을 흡수하여 감쇠시키는 흡수형 ND 필터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반사광이 문제가 되는 렌즈 광학계에 ND 필터를 편입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흡수형 ND 필터가 사용되고, 이 흡수형 ND 필터에는, 기판 자체에 흡수물질을 섞거나(색 유리 ND 필터) 도포하는 타입과, 기판 자체에 흡수는 없고 그 표면에 형성된 박막에 흡수가 있는 타입이 존재한다.
또한, 후자의 경우, 박막 표면의 반사를 막기 위하여 상기 박막을 다층막(흡수형 다층막)으로 구성하여, 투과광을 감쇠시키는 기능과 함께 반사방지의 효과를 갖게 하고 있다.
또한, 소형 박형 디지탈 카메라에 사용되는 흡수형 다층막 ND 필터는 편입 스페이스가 좁기 때문에 기판 자체를 얇게 할 필요가 있어, 수지 필름이 최적의 기판인 것으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이 일체화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늘어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경량화/슬림화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전체적인 슬림화/경량화를 이루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ND 필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카메라 모듈(10)은 경통(11)의 내측에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갖는 다수의 렌즈(12a, 12b, 12c, 12d, 12e)로 이루어진 렌즈군(12)이 설치되고, 상기 렌즈군(12)의 전측에는 평판 형상의 ND 필터(13)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일측에 별도의 ND 필터(13)를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ND 필터(13)의 설치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85842호(발명의 명칭: 흡수형 다층막 ND 필터 및 그 제조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수성 ND 소재를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거나 가공된 렌즈에 ND 코팅막을 형성하여 ND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D 렌즈로서,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의 렌즈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ND 렌즈는 400㎚ 내지 700㎚ 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일정 값 이상을 갖는 광 흡수소재로 구성된 렌즈 형상의 글래스부; 및 상기 글래스부의 적어도 일면에 400㎚ 내지 700㎚ 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형성한 반사 방지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글래스부는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를 갖는 안료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ND 렌즈는 글래스부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 변화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글래스부의 두께에 따른 광학 밀도(OD) 값은 다음의 식 L1/L2 < 1.5를 만족하고, 여기서, L1은 렌즈의 화각 범위내에 있어서 광로의 입사점과 출사점의 직선거리 중 가장 긴 거리이고, L2는 가장 짧은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글래스부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은 다음의 수학식 T1/T2 < 1.5를 만족하고, 여기서, T1은 화각 범위 내에서 모든 광로 상의 가장 큰 투과율이고, T2는 가장 작은 투과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학 밀도(OD) 값은 0.1 ~ 4.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D 렌즈로서,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된 렌즈의 표면에 일정 파장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반사 방지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를 투과하는 빛 중에서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는 블랙 코팅층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ND 렌즈는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형성한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양면에 400㎚ 내지 700㎚ 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형성한 반사 방지 코팅층; 및 상기 렌즈부의 타측에 상기 렌즈부를 투과하는 빛 중에서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설치한 블랙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를 갖는 안료를 혼합한 유리,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료는 산화 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ND 렌즈는 블랙 코팅층에 도포되는 유체의 농도에 따른 투과율 변화로 광학 밀도 값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임의의 파장범위에서 광선 투과율이 일정 값 이상을 갖도록 구성한 ND 렌즈; 및 상기 ND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임의의 광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렌즈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흡수성 ND 소재를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거나 가공된 렌즈에 ND 코팅막을 형성하여 ND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ND 렌즈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D 렌즈를 이용하여 광학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ND 필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ND 렌즈의 두께에 따른 OD 값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 는 도 2에 따른 ND 렌즈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색과 두께 보정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투광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ND 렌즈를 이용한 광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잉크 농도별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투광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다른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ND 렌즈(100)는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의 렌즈 형상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글래스부(110)와, 반사 방지 코팅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글래스부(110)는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를 갖는 안료를 혼합한 광 흡수소재로 이루어진 렌즈 형상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700㎚ 파장 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일정 값, 예를 들면 85% 이상을 갖는 광 흡수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안료는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를 갖는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산란광의 억제를 위해 상기 안료의 크기는 10㎚ 내지 8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료는 흑색 착색제로서 염료, 블랙 카본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가시광 영역에서 균일한 감광 특성을 얻기 위해 복수의 안료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는 산화 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여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D 렌즈(100)는 글래스부(110)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 변화로 원하는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값을 0.1 ~ 4.0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글래스부(110)의 두께에 따른 광학 밀도(OD) 값은 다음의 식 L1/L2 < 1.5를 만족한다.
여기서, L1은 렌즈의 화각 범위내에 있어서 광로의 입사점과 출사점의 직선거리 중 가장 긴 거리이고, L2는 가장 짧은 거리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글래스부(110)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은 다음의 식 T1/T2 < 1.5를 만족한다.
여기서, T1은 화각 범위 내에서 모든 광로 상의 가장 큰 투과율이고, T2는 가장 작은 투과율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ND 렌즈의 두께에 따라 투과율과 그에 따른 투광곡선이 가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글래스부(110)의 렌즈 형상을 매니스커스 렌즈 형상으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록 렌즈 형상, 오목 렌즈 형상 등 다양한 렌즈 형상으로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코팅층(120)은 글래스부(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400㎚ 내지 700㎚ 파장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래수(110)의 양면에 설치되며, 고굴절율과 저굴절율을 갖는 박막이 적층 구조를 이루며 증착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제조과정을 도 2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를 갖는 안료를 혼합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베어 글래스를 가공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 두께를 갖는 렌즈 형상을 유지하도록 글래스부(110)를 1차 가공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기 1차 가공된 렌즈의 표면 처리와 임의의 굴절력을 갖는 갖도록 렌즈의 곡률을 형성하는 연마 가공 단계(S110)를 수행한다.
상기 연마 가공단계를 통해 제조된 렌즈는 렌즈의 중심축 조정과 렌즈 모서리 부분의 면취 가공 등을 수행하는 센터링 단계(S120)를 수행하고, 가공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렌즈로부터 제거하는 세척 단계(S130)를 수행한다.
세척이 완료된 렌즈는 양면에 고굴절율과 저굴절율을 갖는 박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반사 방지 코팅층(12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S140)를 수행하여 ND 렌즈(100)를 제조한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ND 렌즈(100)는 광학 모듈의 경통에 설치하는 조립단계(15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임의의 파장범위에서 광선 투과율이 일정 값 이상을 갖도록 구성한 ND 렌즈(100)를 광학 모듈(200)의 경통(210)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ND 렌즈(100)의 후단에는 상기 ND 렌즈(100)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임의의 광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렌즈군(220)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ND 필터없이 ND 필터 기능을 수행하고, 광학 모듈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ND 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ND 렌즈(100a)는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의 렌즈 형상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렌즈부(110a)와, 반사 방지 코팅층(120)과, 블랙 코팅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부(110a)는 공지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렌즈로서,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구성된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ND 렌즈(100)는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를 갖는 안료를 혼합한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렌즈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고, 제2 실시예에 따른 ND 렌즈(100a)는 공지의 일반적인 렌즈를 이용하는 것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반사 방지 코팅층(120)은 렌즈부(110a)의 표면 양측에 400㎚ 내지 700㎚ 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고굴절율과 저굴절율을 갖는 박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랙 코팅층(130)은 렌즈부(110a)의 타측면 즉 렌즈부(110a)를 투과한 빛이 출력되는 출사면에 설치되어 렌즈부(110a)를 투과하는 빛 중에서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설치한 구성으로서, 상기 렌즈부(110a)의 출사면에 설치된 반사 방지 코팅층(12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블랙 코팅층(130)은 렌즈부(110a)에 블랙 코팅층의 형성을 위해 도포되는 유체(예를 들면, 검정색 잉크)의 농도, 경화제의 비율, 경화조건 등에 따른 투과율 변화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값이 0.1 ~ 4.0 범위에서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에 도포되는 블랙 코팅층의 농도에 따라 투과율과 그에 따른 투광곡선이 가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제2 실시예에 따른 ND 렌즈의 제조과정을 도 9 및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완성품으로서 임의의 굴절력을 갖는 일반 렌즈를 로딩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상기 로딩된 일반 렌즈의 일측 표면에 고굴절율과 저굴절율을 갖는 박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반사 방지 코팅층(120)을 형성하고, 미리 설정된 농도를 갖는 검정색 잉크를 도포하여 블랙 코팅층(130)을 형성하는 페인팅 단계(S210)를 수행한다.
상기 S210단계를 수행한 다음 가공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렌즈로부터 제거하는 세척 단계(S220)를 수행하고, 상기 세척이 완료된 렌즈는 블랙 코팅층(130)이 형성된 반대편 렌즈 표면에 고굴절율과 저굴절율을 갖는 박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반사 방지 코팅층(12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S230)를 수행하여 ND 렌즈(100a)의 제조를 완료한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ND 렌즈(100a)는 광학 모듈의 경통에 설치하는 조립단계(24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ND 렌즈(100a)를 광학 모듈(200)의 경통(210)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ND 렌즈(100a)의 후단에는 상기 ND 렌즈(100a)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임의의 광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렌즈군(220)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ND 필터없이 ND 필터 기능을 수행하고, 광학 모듈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 ND 렌즈
110 : 글래스부
110a : 렌즈부
120 : 반사 방지 코팅층
130 : 블랙 코팅층
200 : 광학 모듈
210 : 경통
220 : 렌즈군

Claims (15)

  1. ND 렌즈로서,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의 렌즈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D 렌즈는 400㎚ 내지 700㎚ 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일정 값 이상을 갖는 광 흡수소재로 구성된 렌즈 형상의 글래스부(110); 및
    상기 글래스부(110)의 적어도 일면에 400㎚ 내지 700㎚ 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형성한 반사 방지 코팅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110)는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를 갖는 안료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D 렌즈는 글래스부(110)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 변화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110)의 두께에 따른 광학 밀도(OD) 값은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L1/L2 < 1.5
    여기서, L1은 렌즈의 화각 범위내에 있어서 광로의 입사점과 출사점의 직선거리 중 가장 긴 거리이고, L2는 가장 짧은 거리이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110)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은 하기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T1/T2 < 1.5
    여기서, T1은 화각 범위 내에서 모든 광로 상의 가장 큰 투과율이고, T2는 가장 작은 투과율이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밀도(OD) 값은 0.1 ~ 4.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9. ND 렌즈로서,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된 렌즈의 표면에 일정 파장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반사 방지 코팅층(120)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를 투과하는 빛 중에서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는 블랙 코팅층(13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ND 렌즈는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형성한 렌즈부(110a);
    상기 렌즈부(110a)의 양면에 400㎚ 내지 700㎚ 범위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형성한 반사 방지 코팅층(120); 및
    상기 렌즈부(110a)의 타측에 상기 렌즈부(110a)를 투과하는 빛 중에서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설치한 블랙 코팅층(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10a)는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를 갖는 안료를 혼합한 유리,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산화 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ND 렌즈는 블랙 코팅층(130)에 도포되는 유체의 농도에 따른 투과율 변화로 광학 밀도 값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D 렌즈.
  15. 광 흡수소재를 이용하여 임의의 굴절력이 형성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임의의 파장범위에서 광선 투과율이 일정 값 이상을 갖도록 구성한 ND 렌즈(100, 100a); 및
    상기 ND 렌즈(100, 100a)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임의의 광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렌즈군(220)을 포함하는 ND 렌즈를 이용한 광학장치.
KR1020160152354A 2016-11-16 2016-11-16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KR10194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354A KR101946280B1 (ko) 2016-11-16 2016-11-16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354A KR101946280B1 (ko) 2016-11-16 2016-11-16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044A true KR20180055044A (ko) 2018-05-25
KR101946280B1 KR101946280B1 (ko) 2019-02-11

Family

ID=6229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354A KR101946280B1 (ko) 2016-11-16 2016-11-16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2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388A (ko) * 2000-07-12 2002-01-19 박호군 두께에 따라 빔의 세기 분포 조절이 용이한 연속 중성밀도필터
JP2012042653A (ja) * 2010-08-18 2012-03-01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79128A (ja) * 2013-10-17 2015-04-23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およ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388A (ko) * 2000-07-12 2002-01-19 박호군 두께에 따라 빔의 세기 분포 조절이 용이한 연속 중성밀도필터
JP2012042653A (ja) * 2010-08-18 2012-03-01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79128A (ja) * 2013-10-17 2015-04-23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280B1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9747B2 (ja)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
US8733929B2 (en) Color contrast enhancing sunglass lens
US9759847B2 (en) Optical filter
JP6317954B2 (ja) レンズユニット、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6790831B2 (ja) 光学フィルタ及び撮像装置
TWI591376B (zh) 成像鏡頭及電子裝置
TWI789043B (zh) 攝影機構造
US9513417B2 (en) Optical filter and optical apparatus
US20060285208A1 (en) Optical multilayer thin-film system
EP3223042B1 (en) Optical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180269A1 (ja) 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5215038A (ja) 眼鏡レンズ
CN112740079A (zh) 深红色、近红外和可见光范围中的反射减少的光学装置
JP6556529B2 (ja) 光学フィルタ、及び、光学フィルタを備えた光学装置
CN109932772B (zh) 吸收式近红外线滤光片
JP6136661B2 (ja)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
KR101946280B1 (ko) Nd 렌즈와 이를 이용한 광학 장치
JP2001004917A (ja) 吸収階調及び選択的なスペクトル濾過を有する光学装置及びそれを取付けたレンズ構成及びカメラ
JP2006201697A (ja) 光吸収部材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素子
KR100706959B1 (ko)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조립체
JP2007065109A (ja) Ndフィルタ、該ndフィルタを有する光量絞り装置及びカメラ
CN209858766U (zh) 一种膜系结构的nd镜
US20240036234A1 (en) Lens and lens device
JP2008180844A (ja) 吸収型多層膜片面ndフィルター
JP6980364B2 (ja) 光学フィルタ及び光量調整装置並びに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