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985A - 셔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셔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985A
KR20180053985A KR1020160151232A KR20160151232A KR20180053985A KR 20180053985 A KR20180053985 A KR 20180053985A KR 1020160151232 A KR1020160151232 A KR 1020160151232A KR 20160151232 A KR20160151232 A KR 20160151232A KR 20180053985 A KR20180053985 A KR 2018005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phone
shutter cover
cellular phone
sl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이 벨치안
Original Assignee
안드레이 벨치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드레이 벨치안 filed Critical 안드레이 벨치안
Priority to KR102016015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985A/ko
Publication of KR2018005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셔터 커버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폰이 수납 배치될 수 있는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휴대폰의 전면을 차폐시키는 클로즈 상태와 상기 휴대폰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오픈 상태 간 전환이 가능한 셔터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폰은 후면부가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장착공간 내 지지되어 후면부에 상기 셔터 커버가 배치 가능한 커버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면부 및 하면부의 내면에 상기 셔터 커버의 이동궤적을 제공하는 레일을 구비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휴대폰의 전면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휴대폰의 후면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굴곡 부위를 가지고 연장 형성되며, 상기 셔터 커버는 좌우로 연결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각 슬레이트는 인접한 다른 슬레이트와 상하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셔터 커버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셔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MOBILE PHONE CASE HAVING SHUTTER COVER}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체결되어 전면의 스크린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휴대용 PC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을 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통신기기들 중에서도 특히 휴대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에 대해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휴대폰 케이스가 더불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 케이스는 현재까지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휴대폰이 장착되는 수납케이스가 구비되고, 수납케이스 후방으로 부착 설치되는 보호패널과, 보호패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납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고 휴대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3288호에서는 이와 같은 타입의 휴대폰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타입의 휴대폰 케이스는 필요에 따라 커버 부위를 카드 등의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불사용시에는 커버를 통해 휴대폰 전면의 스크린을 차폐함으로써, 소정정도의 보호 기능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전면 스크린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는 합성섬유, 가죽 등의 연한 소재로 이뤄지기 때문에, 강한 외부충격이나 커버 외면에 직접 외부물체가 부딪히는 경우에는 스크린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커버를 차폐시켜 둔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전면 스크린 등이 손상되는 사례가 매우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나아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커버가 일종의 힌지구조를 통해 개폐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폰이나 휴대폰 케이스를 잡고 커버를 개폐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개방된 커버가 케이스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심미적으로도 보기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3288호(2016년 09월 27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폰의 전면 스크린 등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 등의 개폐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 등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커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폰이 수납 배치될 수 있는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휴대폰의 전면을 차폐시키는 클로즈 상태와 상기 휴대폰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오픈 상태 간 전환이 가능한 셔터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폰은 후면부가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장착공간 내 지지되어 후면부에 상기 셔터 커버가 배치 가능한 커버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면부 및 하면부의 내면에 상기 셔터 커버의 이동궤적을 제공하는 레일을 구비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휴대폰의 전면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휴대폰의 후면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굴곡 부위를 가지고 연장 형성되며, 상기 셔터 커버는 좌우로 연결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각 슬레이트는 인접한 다른 슬레이트와 상하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셔터 커버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셔터 커버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핀을 구비하되, 상기 각 핀은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단 또는 하단에 구형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슬레이트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장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폰을 장착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 및 상기 브라켓의 후면부는 상기 휴대폰 후면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카메라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셔터 커버를 통해 휴대폰 전면의 스크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 셔터 커버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소정의 강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어 종래 휴대폰 케이스 대비 비교적 강한 외부 충격이나 직접적인 충돌에도 전면 스크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폰 케이스를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만을 통해 쉽게 개폐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셔터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휴대폰 후면 부위에 마련된 커버수납공간에 수납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셔터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셔터 커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상품의 심미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보여주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에서 셔터 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를 보여주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휴대폰(H)이 수납되는 케이스(11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후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10) 후면부는 휴대폰(H)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0)는 후면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좌우측면부와, 상하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좌우측면부 및 상하면부는 후면부를 기점으로 소정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횡단면은 전면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휴대폰(H)의 장착 배치를 위한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공간은 전술한 케이스(110)의 후면부, 좌우측면부 및 상하면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장착공간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휴대폰(H) 전면의 스크린은 개방된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장착공간의 깊이(D)는 휴대폰(H)의 두께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스(110) 후면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좌우측면부 및 상하면부의 높이(D)는 휴대폰(H) 두께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간에 배치된 휴대폰(H) 후면 부위에 소정정도의 공간(111)을 확보하여 후술할 셔터 커버(1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휴대폰(H)은 상기와 같은 장착공간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휴대폰(H)은 후면부가 케이스(110)의 후면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 배치될 수 있다. 휴대폰(H) 후면부와 케이스(110) 후면부 간의 공간(111)은 셔터 커버(120)가 배치되기 위한 커버수납공간(111)을 이루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휴대폰(H)의 배치는 장착공간에 구비되는 브라켓(112)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스(110)는 장착공간에 구비되어 휴대폰(H)을 장착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112)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112)은 접착식, 스냅(snap) 조립식 등 다양한 공지의 결합방식을 통해 휴대폰(H)의 후면부, 측면부 등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케이스(110)의 후면부 및 브라켓(112)의 후면부에는 카메라홀(114, 115)이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홀(114, 115)은 휴대폰(H) 후면부에 구비된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케이스(110)의 장착시에도 카메라를 통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휴대폰(H) 전면의 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한 셔터 커버(120)를 구비할 수 있다.
셔터 커버(120)는 케이스(110)에 장착 지지되되, 케이스(110)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셔터 커버(120)는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휴대폰(H)의 전면 스크린을 차폐하거나, 휴대폰(H) 후면 부위의 커버수납공간(111) 내 수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셔터 커버(120)는 휴대폰(H) 전면의 스크린을 차폐하는 클로즈 상태 및, 휴대폰(H) 후면 부위의 커버수납공간(111)에 수납되어 휴대폰(H) 전면 스크린을 개방 또는 노출시키는 오픈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셔터 커버(120)는 좌우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클로즈 상태 및 상기 오픈 상태 간 전환될 수 있다.
셔터 커버(120)는 복수의 슬레이트(121)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슬레이트(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인접한 다른 슬레이트(121)와 연결되어 소정 면적의 셔터 커버(120)를 이루게 된다.
셔터 커버(120)를 이루는 슬레이트(121)의 개수는 각 슬레이트(121)의 좌우 폭이나 장착 배치되는 휴대폰(H)의 크기(좌우 폭) 등에 따라 증감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셔터 커버(120)는 10 내지 20개의 슬레이트(121)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셔터 커버(120)를 이루는 슬레이트(121) 개수는 전체 셔터 커버(120)의 좌우 폭이 케이스(110) 또는 휴대폰(H)의 좌우 폭보다 소정정도 커질 수 있는 개수로 이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셔터 커버(120)의 좌우 폭은 케이스(110) 또는 휴대폰(H)의 좌우 폭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레이트(121)의 개수 또는 셔터 커버(120)의 좌우 폭은, 케이스(110) 또는 휴대폰(H)의 좌우 폭에 대해 1.2 내지 1.5배가 되는 개수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셔터 커버(120)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휴대폰(H) 전면의 스크린을 완전히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정의 여유분을 두어 사용상의 편의를 기하기 위함이다.
각 슬레이트(121) 간은 상호 맞닿는 접선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좌우로 인접한 2개의 슬레이트(121)는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호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좌우로 인접한 슬레이트(121)는 맞닿는 접선 내지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20 내지 50도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인접한 슬레이트(121) 간의 회동 각도는 슬레이트(121)의 개수나 좌우 폭 등에 따라 증감 변동될 수 있다.
좌우로 인접한 슬레이트(121) 간의 결합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즉, 인접한 슬레이트(121) 간에 회동이 가능하며, 복수개의 슬레이트(121)가 조합된 셔터 커버(120)가 케이스(110) 또는 휴대폰(H)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이면, 그 결합구조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결합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좌우로 인접한 슬레이트(121)는 요철 및 요홈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슬레이트(121)는 일측면을 따라 요철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반대측인 타측면을 따라 요홈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슬레이트(121)는 좌측면을 따라 요철이 구비되고, 반대측인 우측면을 따라 요홈이 구비될 수 있다. 요철 또는 요홈은 인접한 다른 슬레이트(121)의 요홈 또는 요철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슬레이트(121)의 좌측면을 따라 구비된 요철은 해당 슬레이트(121)의 좌측에 배치된 다른 슬레이트(121)의 요홈에 결합되어, 인접한 슬레이트(121) 간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셔터 커버(120)는 복수의 핀(122)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핀(122)은 복수의 슬레이트(121)에 대응되며, 각 핀(122)은 각 슬레이트(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각 핀(122)은 슬레이트(121)의 배치방향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핀(122)은 복수의 슬레이트(121)를 케이스(110)에 대해 지지하는 한편, 상호 연결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트(121)가 케이스(110) 또는 휴대폰(H)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각 핀(122)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케이스(110)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 상면부 및 하면부의 내측면(즉, 장착공간을 바라보는 면)에는 상기와 같은 핀(122)의 체결을 위한 레일(113)이 구비될 수 있다. 레일(113)은 셔터 커버(120)의 이동궤적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일(113)은 휴대폰(H) 전면의 일측단을 기점으로 연장되어 휴대폰(H) 후면의 일측단까지 대략 'U'자형의 궤적을 그리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각 핀(122)은 상단 또는 하단이 이와 같은 레일(113)에 체결되어 레일(113)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셔터 커버(120) 또는 복수의 슬레이트(121)는 레일(113)의 궤적을 따라 휴대폰(H) 전면 또는 후면 부위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핀(122)의 상단 및 하단은 레일(113)을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베어링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핀(122)의 상단 및 하단에는 롤러 베어링, 볼 베어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각 핀(122)의 상단 및 하단에는 레일(113)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형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형 돌기는 핀(122)의 상단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롤러 베어링 등 종래의 복잡하고 값비싼 베어링 수단을 대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셔터 커버(120)가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3 및, 상기의 도 4 내지 6을 비교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셔터 커버(120)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휴대폰(H) 전면의 스크린을 노출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도 1 내지 3은 셔터 커버(120)가 휴대폰(H) 전면 스크린을 차폐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3과 같이 셔터 커버(120)가 휴대폰(H) 전면에 배치되어 스크린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즉, 클로즈 상태)에서, 휴대폰(H) 전면의 스크린은 셔터 커버(120)를 통해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셔터 커버(120) 또는 각 슬레이트(121)를 플라스틱 등과 같이 소정의 강성 재질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클로즈 상태에서 셔터 커버(120)에 의한 휴대폰(H) 전면 스크린 등의 보호가 보다 완벽하게 이뤄질 수 있다. 즉, 클로즈 상태에서 셔터 커버(120)에 직접 외부 물체가 부딪히거나 충돌이 가해지더라도 휴대폰(H)의 전면 스크린이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연한 재질의 커버 등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효과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클로즈 상태에서 휴대폰(H)의 전면 스크린을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셔터 커버(120)의 외측 상면에 손가락을 대고, 셔터 커버(120)를 옆으로(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이 셔터 커버(120)에 조작력이 가해지면, 셔터 커버(120)는 케이스(110)에 구비된 레일(113) 궤적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H) 후면 부위의 커버수납공간(111)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휴대폰(H) 전면 스크린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즉, 오픈 상태)가 되며, 사용자는 휴대폰(H)의 조작, 스크린을 통한 시청 등 적절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대로 다시 휴대폰(H) 전면 스크린을 차폐시키고자 하는 경우(즉, 클로즈 상태로 전환)에는, 손가락을 통해 반대 방향을 셔터 커버(120)를 밀어 손쉽게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상기와 같은 오픈 상태 및 클로즈 상태 간 전환에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셔터 커버(120)를 가볍게 미는 동작을 통해 전환이 이뤄질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좀 더 부연하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H)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폰(H) 또는 휴대폰 케이스(100)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이나 스크린을 통한 시청 행위를 하게 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폰(H) 또는 휴대폰 케이스(100)를 쥐고 있는 자세를 고려하면, 손바닥 위에 휴대폰 케이스(100) 등을 올려놓고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휴대폰 케이스(100) 등을 가볍게 쥔 자세를 취하게 되며, 엄지 손가락만이 조작을 위해 자유로운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은 선천적인 인체 관절의 특성상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보다 자연스러우며,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가능한 운동 범위 등이 상당히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이와 같은 휴대폰 사용의 일반적인 자세나 특성을 고려하여 도출된 것으로, 비교적 좌우 방향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엄지 손가락을 통해 셔터 커버(120)가 좌우로 슬라이딩 조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셔터 커버(120)를 통해 휴대폰(H) 전면의 스크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 셔터 커버(12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소정의 강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어 종래 휴대폰 케이스 대비 비교적 강한 외부 충격이나 직접적인 충돌에도 전면 스크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폰 케이스(100)를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만을 통해 쉽게 개폐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셔터 커버(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휴대폰(H) 후면 부위에 마련된 커버수납공간(111)에 수납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셔터 커버(12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셔터 커버(1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상품의 심미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휴대폰 케이스 110: 케이스
111: 커버수납공간 112: 브라켓
113: 레일 114, 115: 카메라홀
120: 셔터 커버 121: 슬레이트
122: 핀

Claims (3)

  1. 휴대폰(H)이 수납 배치될 수 있는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110); 및
    상기 케이스(110)에 지지되어 상기 휴대폰(H)의 전면을 차폐시키는 클로즈 상태와 상기 휴대폰(H)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오픈 상태 간 전환이 가능한 셔터 커버(120);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폰(H)은 후면부가 상기 케이스(110)의 후면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장착공간 내 지지되어 후면부에 상기 셔터 커버(120)가 배치 가능한 커버수납공간(111)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110)는 상면부 및 하면부의 내면에 상기 셔터 커버(120)의 이동궤적을 제공하는 레일(113)을 구비하되, 상기 레일(113)은 상기 휴대폰(H)의 전면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휴대폰(H)의 후면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굴곡 부위를 가지고 연장 형성되며,
    상기 셔터 커버(120)는 좌우로 연결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트(121)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113)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각 슬레이트(121)는 인접한 다른 슬레이트(121)와 상하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셔터 커버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 커버(120)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트(121)에 대응되는 복수의 핀(122)을 구비하되, 상기 각 핀(122)은 상기 레일(11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단 또는 하단에 구형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슬레이트(121)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커버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장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폰(H)을 장착 지지하는 브라켓(112)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후면부 및 상기 브라켓(112)의 후면부는 상기 휴대폰(H) 후면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카메라홀(114, 1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커버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0160151232A 2016-11-14 2016-11-14 셔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180053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32A KR20180053985A (ko) 2016-11-14 2016-11-14 셔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32A KR20180053985A (ko) 2016-11-14 2016-11-14 셔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85A true KR20180053985A (ko) 2018-05-24

Family

ID=6229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232A KR20180053985A (ko) 2016-11-14 2016-11-14 셔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241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60269516A1 (en)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US20120037536A1 (en) Protective Case With Sliding Display Cover
US20140166707A1 (en) Apparatus with rotating disc for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US20110228458A1 (en) Multi-material protective case for sliding/articulating/rota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1701051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privacy
CN101346889A (zh) 用于便携式终端的滑盖式开闭机构
CN1964373A (zh) 滑动型铰接装置和具有该装置的个人便携式装置
US20120238334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480407Y1 (ko)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53985A (ko) 셔터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N208924305U (zh) 一种折叠屏手机壳
KR101227535B1 (ko) 디스플레이창 보호기능과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388290B1 (ko)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1464707B1 (ko) 전면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12623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보호커버
US833108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17932B1 (ko)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321277Y1 (ko) 슬라이드식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1019351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KR200476284Y1 (ko) 회전 케이스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769904B1 (ko)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용 케이스
KR20130017804A (ko)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