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693A - 발열기구 - Google Patents

발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693A
KR20180053693A KR1020187010144A KR20187010144A KR20180053693A KR 20180053693 A KR20180053693 A KR 20180053693A KR 1020187010144 A KR1020187010144 A KR 1020187010144A KR 20187010144 A KR20187010144 A KR 20187010144A KR 20180053693 A KR20180053693 A KR 2018005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kin
adhesive layer
absorbing layer
water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요시 이가우에
Original Assignee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581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42947A1/ja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581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42948A1/ja
Application filed by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61F2007/0207Plants, dried plants, seeds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61F2007/024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with a layer having high heat transfer cap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61F2007/0257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with a fluid impermeab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61F2007/0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with a fluid absorb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61F2007/036Fuels
    • A61F2007/038Carbon or charcoal, e.g. ac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의 목적은 지각되는 온감에 지속성이 있고, 온열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 할 수 있는 발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발열 기구에 있어서, (1) 수용체의 피부 부착면 측을 구성하는 포장재는, 상기 점착층 측에서부터 적어도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층과 수분의 투과를 차단하는 수분배리어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시트로 구성되고, (2) 점착층을 상기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및 (3) 점착층 및 수분흡수층의 적어도 하나에, 수분 존재 하에서 온감이 증강하여 지각되는 온감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지각되는 온감의 지속성이 향상되어 현격하게 우수한 온열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열기구
본발명은 발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발명은 지각되는 온감에 지속성이 있고, 온열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발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와 접촉하여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기구는, 방한 등을 위한 보온 기구로서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 촉진이나 동통 완화 등을 위한 치료용 기구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회용 손난로 등은 휴대성이 우수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보온 기구나 치료용 기구 등으로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발열기구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피부에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발열기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발열기구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점착층에 유효 성분을 첨가한 발열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점착층에 유효 성분을 배합한 발열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점착층에 배합하는 유효 성분으로 온감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온열 성분을 배합한 점착층을 포함하는 발열기구는 온열 작용의 향상이 기대된다.
한편, 최근, 발열기구의 기능성의 향상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지각되는 온감의 지속성이 향상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온열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발열기구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14-8288호 공보
본발명의 목적은 지각되는 온감에 지속성이 있고, 온열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발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발열기구에 있어서, 이하의 (1)~(3)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지각되는 온감의 지속성이 향상되어 현격하게 우수한 온열 작용을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1) 수용체의 피부 부착면 측을 구성하는 포장재는, 점착층 측에서부터 적어도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층과 수분의 투과를 차단하는 수분배리어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시트로 구성된다.
(2) 점착층을 상기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3) 점착층 및 수분흡수층의 적어도 하나에, 수분 존재 하에서 온감이 증강하여 지각되는 온감제를 포함시킨다.
본발명은 관련된 지식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즉, 본발명은 하기 형태의 발명을 제공한다.
항 1.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발열기구에 있어서,
피부에 전달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피부에 부착되는 피부 부착면을 가지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피부 부착면 측에 형성된 점착층, 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의 피부 부착면 측을 구성하는 포장재는, 상기 점착층 측에서부터 적어도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층과 수분의 투과를 차단하는 수분배리어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층이 상기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수분흡수층의 적어도 하나에, 수분 존재 하에서 온감이 증강하여 지각되는 온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구.
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 형성영역: 상기 수분흡수층이 노출하고 있는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가 100 : 5~2000인, 발열기구.
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층이 노출하고 있는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이 상기 수분흡수층의 단부까지 연통하고 있는, 발열기구.
항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피부 부착면 측을 구성하는 포장재가 상기 온감제의 투과를 차단하는 배리어 기능을 가지는, 발열기구.
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배리어층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 형성된 수지층, 증착막, 및/또는 금속박막을 가지는, 발열기구.
항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층이 섬유시트인, 발열기구.
항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가 상기 점착층에 포함되는, 발열기구.
항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가 캡사이신,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세이지, 카페인, 니코틴산 토코페롤,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바닐릴 에틸 에테르, 바닐릴 프로필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 바닐릴 펜틸 에테르, 바닐릴 헥실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진저롤, 고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발열기구.
항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가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이고, 상기 수용체가 적어도 일부에 통기성을 가지는, 발열기구.
본발명의 발열기구에 의하면, 발열부에 의한 온감과 온감제에 의한 온감을 지속적으로 지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감의 지속성은, 본발명의 발열기구가 가지는 특유의 구성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하 (1)~(4)를 반복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1) 발열부에서 부여되는 온감에 의해 피부가 발한하고, (2) 수분흡수층이 땀을 흡수하고, (3) 흡수된 땀을 통해 온감제에 의한 온감이 증강되며, (4) 온감이 지각적으로 익숙해지면 발열부에서 부여되는 온감이 지배적으로 지각된다.
본발명의 발열기구에 의하면, 발열부에 의한 온감과 온감제에 의한 온감을 지속적으로 지각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 순환 촉진, 어깨 결림 개선, 동통 완화 등을 목적으로 한 치료기구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사용시 발한에 의한 끈적임을 억제하고, 또한 피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우수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점착층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발열기구에 대하여, 피부 부착면 측에서 본 평면 개략도이다.
[도 2]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점착층이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발열기구에 대하여, 피부 부착면 측에서 본 평면 개략도이다.
[도 3]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점착층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발열기구에 대하여, 피부 부착면 측에서 본 평면 개략도이다.
[도 4]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점착층이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발열기구에 대하여, 피부 부착면 측에서 본 평면 개략도이다.
[도 5]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점착층이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발열기구에 대하여, 피부 부착면 측에서 본 평면 개략도이다.
[도 6] 본발명의 발열기구의 바람직한 일 형태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7] 시험예 3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6의 발열기구를 부착하고, 혈류량을 경시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발열기구이며, 피부에 전달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와, 상기 발열부(1)를 수용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피부 부착면을 가지는 수용체(2)와, 상기 수용체(2)의 피부 부착면 측에 형성된 점착층(3)을 구비한다. 또한,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상기 수용체(2)의 피부 부착면 측을 구성하는 포장재(21)는, 상기 점착층(3) 측에서부터 적어도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층(211)과 수분의 투과를 차단하는 수분배리어층(212)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시트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점착층(3)이 상기 수분흡수층(211)의 표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점착층(3) 및 상기 수분흡수층(211)의 적어도 하나에, 수분 존재 하에서 온감이 증강하여 지각되는 온감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의 발열기구에 대해 상술한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온감"은, 발열기구를 피부에 부착했을 때 지각되는 따뜻함에 대한 감각을 나타내고, "온열 작용"은, 발열기구의 물리적 발열과 상기 온감에 의해 피부 부착 부위에 초래되는 생리 작용 (혈액 순환 촉진, 어깨 결림 개선, 동통 완화 등)을 나타낸다.
<발열부(1)>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발열체로서, 피부에 전달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1)를 구비한다. 해당 발열부(1)는, 발열하여 온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발열부(1)는 발열하여 피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한 그 발열기구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 통전(通電)에 의해 발열하는 통전 발열체;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받아 발열하는 발열체; 액상, 반고체상 또는 고체상의 축열재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발열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은, 일회용이 가능하고, 안전성, 발열 효율, 편리성 등의 점에서 발열부(1)로서 적절하게 사용된다.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의 조성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 일회용 손난로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된다.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피(被)산화성 금속, 산화 촉진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에 있어서, 피산화성 금속은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산화되고, 산화열에 의해 발열원(發熱源)이 되는 역할을 한다. 피산화성 금속의 종류에 대해서는 산화에 의해 발열할 수 있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철(환원철, 주철, 분무철(atomized Fe), 전해철), 알루미늄, 아연, 망간, 마그네슘, 칼슘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피산화성 금속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피산화성 금속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발열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 과립 형태 또는 섬유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피산화성 금속 중에서도 안전성,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철분을 들 수 있다.
피산화성 금속이 분말 형태인 경우, 그 입자의 지름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1~1000㎛, 바람직하게는 0.1~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250㎛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분말 형태의 피산화성 금속의 입자의 지름은, JIS8815-1994 「사분시험방법통칙(Test sieving-General requirements)」에 규정되어 있는「건식사분시험(Test dry sieving)」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에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부여해야 하는 발열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2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 중량%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성 조성물에 있어서, 산화 촉진제는, 산소의 유지 및 피산화성 금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 촉진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산소의 유지 및 피산화성 금속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활성탄,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대나무 숯, 목탄, 커피찌꺼기 숯, 흑연, 석탄, 야자껍질 숯, 역청탄(炭), 이탄, 갈탄 등의 탄소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산화 촉진제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산화 촉진제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활성탄, 카본블랙, 대나무 숯, 목탄, 커피찌꺼기 숯, 더욱 바람직하게는 활성탄을 들 수 있다.
또한, 산화 촉진제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발열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 과립 형태 또는 섬유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를 들 수 있다.
산화 촉진제가 분말 형태인 경우, 그 입자의 지름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01~1000㎛, 바람직하게는 0.005~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00㎛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분말 형태의 산화 촉진제의 입자의 지름은, JIS 8815-1994 「사분시험방법통칙(Test sieving-General requirements)」에 규정되어 있는 「건식사분시험(Test dry sieving)」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에서의 산화 촉진제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부여해야 하는 발열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1~30 중량%, 바람직하게는 3~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23 중량%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성 조성물에 있어서, 피산화성 금속과 산화 촉진제의 비에 대해서는, 부여해야 하는 발열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피산화성 금속 100 중량부당 산화 촉진제가 2~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성 조성물에 있어서, 물은 산소와 함께 피산화 금속을 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에 대해서는, 증류수, 이온 교환수, 순수(純水), 초순수(超純水), 수돗물, 공업용수 등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된다.
발열성 조성물에서의 물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부여해야 하는 발열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5~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 중량%를 들 수 있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은, 전술하는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수용성 염류가 포함되어도 된다. 수용성 염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를 촉진할 수 있다.
수용성 염류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나트륨, 칼륨 등), 알칼리 토금속 (칼슘, 마그네슘 등), 또는 중금속 (철, 구리, 알루미늄, 아연, 니켈, 은, 바륨 등)의 황산염, 탄산수소염, 염화물 또는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염류 중에서도 전도성, 화학적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 (제1, 제2) 등의 염화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염류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에 수용성 염류를 배합하는 경우, 그 함유량에 대해서는, 부여해야 하는 발열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보습제를 포함해도 된다. 보습제는 수분을 유지하고, 산화 반응장(反應場)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보습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질석, 펄라이트,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카오린(kaolin), 활석, 스멕타이트(smectite), 마이카(mica), 벤토나이트(bentonite), 탄산칼슘, 실리카겔, 알루미나, 제올라이트(zeolite), 이산화규소, 규조토 등의 무기 다공성 물질; 펄프, 목분(톱밥), 면, 전분류, 셀룰로오스류 등의 유기물; 폴리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술폰산계 수지, 무수말레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수지, 폴리아스파라긴산계 수지, 폴리글루타민산계 수지, 폴리알긴산계 수지 등의 흡수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보습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보습제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질석, 폴리아크릴산계 수지 목분, 펄프; 더욱 바람직하게는 질석, 폴리아크릴산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보습제로 무기 다공질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열성 조성물 중에서 공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보습제의 입자 지름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3000㎛, 바람직하게는 0.5~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0㎛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보습제의 입자 지름은, JIS8815-1994 「사분시험방법통칙(Test sieving-General requirements)」에 규정되어 있는 「건식사분시험(Test dry sieving)」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에 보습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함유량에 대해서는, 부여해야 하는 발열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를 들 수 있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은, 더욱 필요에 따라 금속이온 봉쇄제, 향료, 증점제, 부형제(賦形劑), 계면 활성제, 수소 발생 억제제 등의 다른 첨가제가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은 전술하는 성분을 일정량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발열성 조성물의 조제는, 산소 존재 하에서 이루어 질 수 있지만, 감압 하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1)는, 본발명의 발열기구를 피부에 부착했을 때 적절한 온도로 발열하도록 설정된다. 본발명의 발열기구의 최고 도달 온도에 대해서는, 적용 대상이 되는 피부 부위, 부여해야 하는 온감이나 온열 작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32~85℃정도, 바람직하게는 34~70℃ 정도를 들 수 있다. 해당 최고 도달 온도는, JIS S4100:2007에서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다.
<수용체(2)>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발열부(1)를 수용하는 수용체(2)를 구비한다. 수용체(2)는 상기 발열부(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2)를 가진다.
수용체(2)는 피부 부착면 측에 배치되는 포장재(21) (이하,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로 표기하기도 한다)는, 점착층(3) 측에서부터, 적어도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층(211)과 수분의 투과를 차단하는 수분배리어층(212)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에 있어서, 수분배리어층(212)은 수분흡수층(211)의 전면에 걸쳐 적층되어, 수분흡수층(211)에 의해 흡수된 땀이 수용부(22) 내부 또는 수용체(2)의 피부 부착면의 반대측으로 투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에 있어서, 수분흡수층(211)은 점착층(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에서 온열에 의해 발한한 땀을 흡수하여 온감제에서 부여되는 온감을 증강시킴으로써 온감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분흡수층(211)은 점착층(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수분흡수층 노출영역)에서 발한한 땀을 흡수함으로써 사용시 땀에 의한 끈적임을 억제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구비하는 역할도 한다.
수분흡수층(211)을 구성하는 소재에 대해서는, 흡수 특성을 가지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섬유 재료, 흡수성 수지 재료, 스폰지 형태의 수지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수분흡수층(211)은 이러한 소재를 시트 형태로 형성한 것을 수분배리어층(212)에 접착시키는 방법; 이러한 소재를 수분배리어층(212)에 도포 또는 부착시켜 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사용감, 점착층(3)과의 접착성 등의 관점에서, 수분흡수층(211)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섬유시트가 바람직하다.
수분흡수층(211)으로 사용되는 섬유시트로는, 구체적으로 부직포, 직포를 들 수 있다.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섬유시트로,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섬유시트의 구성섬유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비닐론, 레이온, 아크릴, 아세테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섬유; 면, 마, 실크, 종이 등의 천연 섬유; 이들의 혼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섬유 중에서도 사용감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을 들 수 있다.
또한 수분흡수층(211)으로 사용되는 섬유시트는 흡수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흡수성 수지(고흡수성 수지(SAP)를 포함)이 부착되어도 된다.
수분흡수층(211)으로 사용되는 섬유시트의 중량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100g/m2, 바람직하게는 15~70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g/m2를 들 수 있다.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에 있어서, 수분배리어층(212)은 발한한 땀을 흡수한 수분흡수층(211)에서 땀이 수용체(2) 내부 또는 수용체(2)의 피부 부착면의 반대측의 외부로 투과 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온감의 지속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수분배리어층(212)의 구성 소재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 증착막, 금속박막 등을 들 수 있다. 수분배리어층(212)은 1층만으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이어도 되고, 또한 동일 또는 다른 소재로 형성된 2층 이상으로 구성되는 복층 구조이어도 된다. 수용체(2)의 제조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수분배리어층(212)을 구성하는 층의 적어도 1층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배리어층(212)으로 사용되는 수지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수분배리어층(212)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해당 수지층은 1층이어도 되고, 또한 동일 또는 다른 수지에 의해 2층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수분배리어층(212)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1층당 두께에 대해서는, 수분배리어층(212)을 구성하는 층의 개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0~100㎛, 바람직하게는 15~7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를 들 수 있다.
또한, 수분배리어층(212)으로 사용되는 증착막을 구성하는 소재에 대해서는 수분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크롬, 아연, 금, 은, 백금, 니켈 등 금속; 이산화규소,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등의 무기산화물; 불화 마그네슘 등의 무기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증착막의 두께에 대해서는, 수분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는 범위인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5000Å, 바람직하게는 100~1000Å을 들 수 있다.
상기 증착막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 또는 수분흡수층(211)에 대해 물리 증착법, 화학 증착법 등의 공지된 증착 방법으로 상기 소재를 증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분배리어층(212)으로 사용되는 금속박막으로,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막, 스텐인리스 박막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금속박막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박막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박막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50㎛, 바람직하게는 5~15㎛를 들 수 있다.
상기 금속박막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층 또는 수분흡수층(211)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트, 압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등의 공지된 라미네이트 방법에 따라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는 수분흡수층(211) 및/또는 점착층(3)에 포함되는 온감제의 투과를 차단하는 온감제 배리어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온감제 배리어 기능을 가짐으로써 수분흡수층(211) 및/또는 점착층(3)에 포함되는 온감제가 피부 부착면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온감의 지속성을 보다 더욱 향상시키고, 온열 작용을 현격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에 온감제 배리어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수분배리어층(212)을 구성하는 적어도 1층을 수분 배리어 기능과 함께 온감제 배리어 기능을 겸비하는 구성 소재로 형성하면 된다. 온감제 배리어 기능을 가지는 수분배리어층(212)으로는, 구체적으로 온감제 배리어 기능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이하, "온감제 배리어성 수지”로 표기 하기도 한다)로 형성된 수지층, 상기 증착막 및 상기 금속박막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제 배리어성 수지의 종류에 대해서는, 온감제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온감제 배리어성 수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온감제 배리어성 수지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수분배리어층(212a)에 대해 더욱 열용착성(熱溶着性)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b)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용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분배리어층(212)으로는, 온감제 배리어성 수지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a)과 열용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b)의 적층체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온감제 배리어성 수지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a)이 피부 부착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의 바람직한 층의 구조로는, 수용부(22) 측에서 점착층(3) 측을 향해 열용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b), 온감제 배리어성 수지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a) 및 수분흡수층(211)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 구조;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b), 증착막 또는 금속박막 및 수분흡수층(211)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체(2)에 있어서, 피부 부착면 측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포장재(23) (이하, "비(非)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로 표기하기도 한다)는 종래의 발열기구에서의 수용체(2)의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는 발열부(1)로서,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통기성을 구비해야 하지만, 발열부(1)로서 해당 발열성 조성물 이외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통기성 또는 비(非)통기성 중의 하나이면 된다.
통기성을 구비하는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는, 예를 들면, 통기성 수지층(231), 섬유 기재(纖維基材)(232)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통기성을 구비한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의 형성에 사용되는 통기성 수지층(231)의 구성 수지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통기성 수지층(231), 구체적으로는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세공(細孔)이 형성되어 있는 수지 필름이면 된다. 수지 필름에 형성되는 세공의 형상, 크기 및 개수에 대해서는, 수용체(2)에 구비해야 하는 통기도(通氣度)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통기성 수지층(231)의 두께에 대해서는,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의 층의 구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5~150㎛, 바람직하게는 3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80㎛를 들 수 있다.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에 사용되는 섬유 기재(232)로서는, 구체적으로 부직포, 직포를 들 수 있다.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섬유 기재(232)로,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섬유 기재(232)의 소재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비닐론, 레이온, 아크릴, 아세테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섬유; 면, 마, 실크, 종이 등의 천연 섬유; 이들의 혼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소재 중에서도 사용감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을 들 수 있다.
섬유 기재(232)의 중량에 대해서는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층의 구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100g/m2 바람직하게는 5~70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g/m2을 들 수 있다.
통기성을 가지는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의 층의 구조로는, 구체적으로 통기성 수지층(231) 또는 섬유 기재(232)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 통기성 수지층(231) 및 섬유 기재(232) 내에서 동일 또는 다른 소재를 2개 이상 조합한 복층 구조를 들 수 있다. 사용감의 향상, 발열성 조성물의 누출 방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수지층(231)으로 구성되는 단층 구조; 수용체(2)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통기성 수지층(231) 및 섬유 기재(232)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 구조를 들 수 있다.
통기성 수지층(231)과 섬유 기재(232)의 적층은 드라이 라미네이트, 압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등의 공지된 라미네이트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를 비(非)통기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층의 구조, 사용 재료 등에 대해서는,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단, 비통기성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에는 상기 증착막 및 금속박막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체(2)는,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와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를, 발열부(1)를 수용하는 수용부(22)가 되는 영역의 주위를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와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를 접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에 포함되는 수분배리어층(212) 및/또는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에 포함되는 수지층을 이용하여 열용착(heat-sealed)시키는 방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발열부(1)로서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수용체(2)의 수용부(22)에 수용되는 해당 발열성 조성물의 양에 대해서는 부착하는 피부 부위, 해당 발열성 조성물의 발열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수용부(22)를 형성하고 있는 영역의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의 면적 1cm2 당, 해당 발열성 조성물이 0.01~1.5g 정도, 바람직하게는 0.05~1g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8g 정도를 들 수 있다.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체(2)에 있어서, 발열부(1)를 수용하는 수용부(22)의 개수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복수이면 되고 부착하는 피부 부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수용부(22)의 크기나 형상에 대해서도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부착하는 피부 부위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점착층(3)>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수분흡수층(211)의 표면(즉, 수용체(2)의 피부 부착면 측)에 대해 점착층(3)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점착층(3)을 부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본발명의 발열기구의 피부 부착면의 표면에 점착층(3)이 형성된 영역(이하, 「점착층 형성영역(3X)」로 표기하기도 한다)와 수분흡수층(211)이 노출하고 있는 영역(이하, 「수분흡수층 노출영역(211X)」)가 형성되고, 점착층 형성영역(3X)가 피부 상에 발열기구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수분흡수층 노출영역(211X)가 발한 한 땀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점착층(3)은 점착제를 기제로 사용하여 형성된다. 점착제는 유제(油劑)나 기타 용매 등의 존재 하에서 점착성을 가지는 폴리머(점착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해당 점착성 폴리머가 유제나 기타 용매 등에 분산 또는 용해되며, 점착성을 가지는 조성물이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점착성 폴리머의 종류나 조성은 공지되어 있고, 본발명에서는 종래의 일회용 손난로의 점착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의 종류로는, 구체적으로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에 포함되는 접착성 폴리머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폴리부틸렌-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로는, 구체적으로 부가 반응 경화형 실리콘계 점착제, 과산화물 경화형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에 포함되는 접착성 폴리머로는, 구체적으로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 하는(메타) 아크릴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에 포함되는 점착성 폴리머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등의 폴리올과,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점착제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고무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점착층(3)은 점착제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온감제 등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점착층(3)에 점착제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 점착층(3) 중 점착제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피부에 대한 점착성, 점착층 형성영역의 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60~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0~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0~98 중량%를 들 수 있다.
점착층(3)은 적어도 수용체(2)에서 발열부(1)를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22)의 하면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3)은 수분흡수층(211)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한 점착층 형성영역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 형상, 도트 형상, 격자 형상, 그물 형상, 수분흡수층의 단부를 둘러싸는 테두리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가 형성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스트라이프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점착층 형성영역(3X)의 스트라이프의 폭에 대해서는, 발열기구를 부착하는 피부 부위, 발열기구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100mm 정도, 바람직하게는 3~30mm 정도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트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가 형성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에는 원형의 도트가 배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트 형상은 타원형, 다각형, 부정형 등의 가운데에서 어느 하나이면 된다. 도트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를 형성하는 경우, 도트 1개당 면적에 대해서는 발열기구를 부착하는 피부 부위, 발열기구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5~10000mm2정도, 바람직하게는 500~3000mm2 정도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3에 격자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가 형성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격자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를 형성하는 경우, 격자 1개당 면적에 대해서는 발열기구를 부착하는 피부 부위, 발열기구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3000mm2정도, 바람직하게는 10~1000mm2 정도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4에 그물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가 형성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그물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를 형성하는 경우, 그물을 형성하는 선의 폭에 대해서는 발열기구를 부착하는 피부 부위, 발열기구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100mm 정도, 바람직하게는 3~30mm 정도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5에 테두리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가 형성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테두리 형상의 점착층 형성영역(3X)를 형성하는 경우, 테두리의 폭에 대해서는 발열기구를 부착하는 피부 부위, 발열기구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100mm 정도, 바람직하게는 3~50mm 정도를 들 수 있다.
또한, 형성되는 수분흡수층 노출영역(211X)는 수분흡수층(211)의 단부까지 연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흡수층 노출영역(211X)가 수분흡수층(211)의 단부까지 연통하고 있는 경우에는, 발열기구를 피부에 부착했을 때 공기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고, 사용시 발한에 의한 끈적임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수분흡수층 노출영역(211X)가 수분흡수층(211)의 단부까지 연통하고 있는 형태로는, 구체적으로 점착층(3)이 스트라이프 형상 또는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 형태를 들 수 있다.
점착층 형성영역(3X)와 수분흡수층 노출영역(211X)의 면적비에 대해서는, 부착되는 피부에 대한 접착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점착층 형성영역(3X) : 수분흡수층 노출영역(211X)의 면적비로는 통상 100 : 5~2000, 바람직하게는 100 : 10~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25~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25~66.7을 들 수 있다.
점착층(3)의 도포량에 대해서는 부착되는 피부에 대한 점착성, 점착층 형성영역(3X)의 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점착층 형성영역(3X)에서의 점착층(3)의 도포량으로는 통상 20~150g/m2, 바람직하게는 40~120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00g/m2를 들 수 있다.
점착층(3)은 수용체(2)를 구성하는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의 수분흡수층(211)에 대해 공지된 코팅법에 의해 코팅(塗工)함으로써 형성된다.
<온감제(溫感劑)>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점착층(3) 및 수분흡수층(211)의 적어도 하나에, 수분 존재 하에서 온감이 증강하여 지각되는 온감제가 포함된다. 해당 온감제는 온감을 부여하여 우수한 온열 작용의 발휘에 기여한다.
「수분 존재 하에서 온감이 증강하여 지각되는 온감제」는, 피부에 온감을 주는 온감제 내에서 수분과 공존함으로써, 수분 부재의 경우에 비해 지각되는 온감이 증강되는 온감제이다. 수분 존재 하에서 온감이 증강하여 지각되는 온감제에 대해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었고, 그 종류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캡사이신,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세이지, 카페인, 니코틴산 토코페롤,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바닐릴 에틸 에테르, 바닐릴 프로필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 바닐릴 펜틸 에테르, 바닐릴 헥실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진저롤, 고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온감제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온감제 중 고추 추출물은, 고추를 추출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성분이다. 고추 추출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고추는 건조 상태, 또는 미(未)건조 상태 중 하나이면 된다. 또한, 고추 추출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고추는 분말화, 세절화(細切化) 등으로 가공된 것이면 된다. 더욱이, 고추 추출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고추는 사전에, 당질 분해 효소, 단백질 분해 효소, 지질 분해 효소, 핵산 분해 효소 등의 효소를 사용하여 효소 처리된 것이면 된다.
고추의 추출 처리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물, 함수 에탄올(에탄올 함량 30~95 중량% 정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추의 추출 처리 조건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추 1kg당 100~10만ml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1만ml 정도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고, 5~12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70℃ 정도의 온도 조건하에서 10초~24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1분~6시간 정도를 들 수 있다.
고추를 추출 처리하여 얻은 추출액을 농축 또는 건조함으로써 고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추를 추출 처리하여 얻은 추출액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불용물(不溶物) 제거, 살균 등의 처리를 해도 된다.
온감제로 사용되는 고추 추출물은 건조 상태, 함수(含水) 상태 중 하나이거나, 바람직하게는 건조 상태이다.
또한, 온감제 중 생강 추출물은 생강을 추출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성분이다. 생강 추출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생강은, 건조 상태 또는 미건조 상태 중 하나이면 된다. 또한, 생강 추출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생강은 분말화, 세절화 등으로 가공 처리된 것이면 된다. 더욱이, 생강 추출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생강은 사전에, 당질 분해 효소, 단백질 분해 효소, 지질 분해 효소, 핵산 분해 효소 등의 효소를 사용하여 효소 처리된 것이면 된다.
생강의 추출 처리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물, 함수 에탄올(에탄올 함량 30~95 중량% 정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생강의 추출 처리 조건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생강 1 kg당 100~10만ml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1만ml 정도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고, 5~12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70℃ 정도의 온도 조건하에서 10초~24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1분~6시간 정도를 들 수 있다.
생강을 추출 처리하여 얻은 추출액을 농축 또는 건조함으로써 생강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생강을 추출 처리하여 얻은 추출액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불용물 제거, 살균 등의 처리를 해도 된다.
온감제로 사용되는 생강 추출물은 건조 상태, 함수 상태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건조 상태이다.
이러한 온감제 중에서도, 나타나는 온감의 지속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 보다 우수한 온열 작용을 발휘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캡사이신,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및 생강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제는 점착층(3) 또는 수분흡수층(211)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도 되고, 또한 이 모두에 포함되어도 된다. 나타나는 온감을 한층 더 높이고 온열 작용을 한층 더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상기 온감제는 적어도 점착층(3)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3) 및/또는 수분흡수층(211)에서의 상기 온감제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온감제의 종류, 온감제를 포함하는 층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점착층(3)에 상기 온감제를 포함시키는 경우라면, 점착층(3) 중의 상기 온감제의 함유량으로 예를 들면, 0.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 중량%를 들 수 있다. 상기 온감제의 함유량은,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건조 중량 환산 값이다. 또한, 수분흡수층(211)에 상기 온감제를 포함시키는 경우라면 수분흡수층(211)의 단위 면적당 상기 온감제의 함유량으로 예를 들면, 0.0005~500mg/cm2, 바람직하게는 0.001~300mg/c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150mg/cm2를 들 수 있다.
점착층(3)에 온감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점착층(3)의 기제로 사용되는 점착제와 온감제를 혼합한 점착층용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를 수분흡수층(211) 상에 코팅하면 된다. 또한, 수분흡수층(211)에 온감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수분흡수층(211)에 대해 온감제를 포함하는 액을 분무하는 방법, 온감제를 포함하는 액에 수분흡수층(211)을 함침(含浸)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온감제를 수분흡수층에 부착시키면 된다.
<기타 성분>
점착층(3) 및/또는 수분흡수층(211)에는 상기 온감제 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약리 성분이나 향장(香粧)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약리 성분과 향장 성분으로, 예를 들면 산성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카밀레, 칠엽수, 은행 나무, 하마 메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레몬 추출물, 비타민 E, 니코틴산 유도체 등의 혈액 순환 촉진제;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콜라겐, 히알루론산, 스쿠알렌 등의 보습제; 바질 추출물, 주니퍼 추출물 등의 피로회복제; 인도 메타신, 디클로페낙, 플루르비프로펜,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펠비낙,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글리콜 등의 진통제; 차 추출물, 인삼 추출물, 칠엽수, 아미노필린, 에스신, 안토시아니딘, 유기 요오드 화합물, 고추나물 추출물, 조팝 나뭇잎 추출물, 쇠뜨기, 로즈마리, 헤데라 헬릭스(아이비), 티오뮤카세(thiomucase),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의 슬리밍제; 테르미날리아, 비스나가, 마유스, 칠엽수, 안토시아닌, 비타민 P, 금잔화, 콘콜리틱산(concholytic acid), 실라놀 등의 부종 개선제; 프로테아제 등의 필링제; 티오 글리콜산 칼슘 등의 제모제; γ- 오리자놀 등의 자율 신경 조절제; 천연 향료, 단품 향료 등의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약리 성분 및 향장 성분은, 점착층(3) 및 수분흡수층(211) 중의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약리 작용이나 향장학적 작용을 효과적으로 이룬다는 관점에서, 점착층(3)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리 성분 및 향장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층(3) 및/또는 수분흡수층(211)에서의 약리 성분 및 향장 성분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부여해야 하는 약리적 효과 또는 향장적 효과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점착층(3) 및/또는 수분흡수층(211)에 이러한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온감제의 경우와 동일하다.
< 이형층(離型層) >
본발명의 발열기구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점착층(3)의 표면 (피부에 부착되는 측)에는 이형 가능한 이형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존 중 점착층의 건조 방지, 보존 중 상기 온감제의 휘발 방지, 점착층의 접착에 의한 취급성의 저하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형층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필름; 실리콘 가공 등의 이형성 부여 가공 처리한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형층으로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실리콘 가공 등의 이형성 부여 가공 처리하여도 된다. 이러한 이형층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수지 필름은, 점착층(3) 중의 유효 성분의 흡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형태>
본발명의 발열기구의 바람직한 형태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발열기구는,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와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의 상호 단부를 접착시킴으로써 수용부(22)를 가지는 수용체(2)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체(2) 중 발열부(1)로는,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이 수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발열기구는, 수용체(2)의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는, 수용부(22) 측에서 피부 부착면을 향해 용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b), 온감제 배리어 성 수지로 형성된 수분배리어층(212a) 및 수분흡수층(211)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발열기구는, 수용체(2)의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3)는 수용부(22) 측에서 외측을 향해 통기성 수지층(231) 및 섬유 기재(232)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발열기구는,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21)를 구성하는 수분흡수층(211)의 표면에 점착층(3)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편의상 이형층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사용형태 · 포장형태>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점착층을 피부에 부착함으로써 신체의 보온기구 또는 치료용 기구로 사용된다. 특히,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현격하게 우수한 온열 작용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혈액 순환 촉진, 동통 완화, 어깨 결림 개선 등을 위한 치료용 기구로 특히 적절하게 사용된다.
본발명의 발열기구가 적용될 수 있는 피부 부위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눈, 얼굴, 목, 어깨, 허리, 등, 복부, 둔부, 팔, 다리, 발바닥 등을 들 수 있다.
본발명의 발열기구는, 발열부(1)가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인 경우에, 산소 배리어성을 가지는 포장재에 포장되어 해당 발열성 조성물이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제공된다. 사용시 해당 포장을 개봉함으로써 해당 발열성 조성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발열이 개시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1
점착층 형성영역과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가 다른 발열기구(실시예1~4 및 비교예 1~6)을 제조하고, 각 발열기구에 대한 온감의 지속성, 피부에 대한 접착성 및 사용감에 대해 평가하였다. 각 발열기구의 제조 방법 및 평가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1. 발열기구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부직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비통기성 적층시트로 구성되는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세로 13cm, 가로 9.5cm의 직사각형)을 준비하였다. 해당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부직포의 표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140℃로 가열 혼합한 하기 조성의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A를, 점착층 형성영역의 도포량이 100g/m2가 되도록 코팅하여 냉각함으로써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 상에 점착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점착층의 부분적인 형성은 점착층 형성영역의 스트라이프 형상이 세로 방향으로 4줄, 또 그 사이에 수분흡수층(부직포) 노출영역의 스트라이프 형상이 3줄이며, 점착층 형성영역의 스트라이프 폭은 19mm, 수분흡수층(부직포) 노출영역의 폭은 6.3 mm, 점착층 형성영역 :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가 80 : 20이 되도록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A>
캡사이신 (상품명 「캡사이신」 알프스 공업약품 주식회사 제) 0.01 중량%
고무계 접착제 99.99 중량%
합계 100 중량%
다음으로,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 상의 점착층에 실리콘 가공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구성되는 이형층(세로 13cm, 가로 9.5cm의 직사각형)을 접착하였다.
또한, 별도의 세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 및 부직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가 적층되어 있는 통기성 적층시트로 구성되는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세로 13cm, 가로 9.5cm의 직사각형)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철분 22g, 활성탄 6g, 수용성염·보습제·수혼합물 10g (염화나트륨, 흡수성 수지, 질석, 물 등의 혼합물; 물 8.5g 함유)를 혼합하여 발열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발열성 조성물 38g을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폴리에틸렌 필름 측과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폴리에틸렌 필름 측으로 삽지시킨 상태이며, 이러한 포장재의 상호 단부를 열용착함으로써 수용부(세로 12cm, 가로 8.5cm)에 발열성 조성물이 수용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발열기구는 신속하게 밀봉봉투에 수용하였다.
실시예 2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에 형성한 점착층의 부분적인 형성을, 점착층 형성영역의 스트라이프 폭이 14.25mm, 수분흡수층(부직포) 노출영역의 가로 폭이 12.7mm, 점착층 형성영역 :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가 60 : 40이 되도록 설정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에 형성한 점착층의 부분적인 형성을, 점착층 형성영역의 스트라이프 폭이 9.5mm, 수분흡수층(부직포) 노출영역의 폭이 19mm, 점착층 형성영역 :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가 40 : 60이 되도록 설정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부직포의 전면에 점착층 형성영역을 형성한 것(즉, 점착층 형성영역 :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가 100 : 0)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2. 성능 평가
각 발열기구를 10 명의 피험자의 허리 부분에 부착하였다. 부착 2 시간 후에 지각되는 온감, 피부에 대한 접착성, 및 사용감에 대해, 이하 판정 기준에 따라 평점화하고, 각 평가 항목에 대해 평점의 평균이 2 이상 3 이하의 경우를 A, 1 이상 2 미만의 경우를 B, 0.5 이상 1 미만의 경우를 C, 0.5 미만인 경우 D로 판정하였다.
(온감의 판정 기준)
3 점 : 충분히 지각할 수 있다.
2 점 : 지각할 수 있다.
1 점 : 약하지만 지각할 수 있다.
0 점 : 지각할 수 없다.
(피부에 대한 접착성의 판정 기준)
3 점 : 단부의 떨어짐 등이 없이 접착 상태를 충분히 유지하고 있다.
2 점 : 단부의 떨어짐 등이 약간 있지만, 접착 상태를 충분히 유지하고 있다.
1 점 : 단부의 떨어짐 등이 있고, 접착 상태가 약간 불안정하다.
0 점 : 단부의 떨어짐 등이 많고, 접착 상태가 불안정하다.
(사용감의 판정 기준)
3 점 : 땀에 의한 끈적임이 없고, 사용감이 매우 양호하다.
2 점 : 땀에 의한 끈적임이 약간 느껴지지만, 사용감이 양호하다.
1 점 : 땀에 의한 끈적임이 느껴지고, 사용감이 약간 나쁘다.
O 점 : 땀에 의한 끈적임이 강하게 느껴지고, 사용감이 나쁘다.
3. 평가 결과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피부 부착면 측에 점착층을 전면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온감의 지속성(부착 2 시간 후의 온감)이 떨어지고, 피부에 대한 접착성이나 사용감도 만족스럽지 않았다(비교예 1). 이에 비해,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피부 부착면 측에 점착층을 부분적으로 형상한 경우에는, 온감의 지속성이 향상되었으며, 피부에 대한 접착성 및 사용감도 개선되었다(실시예 1~3). 특히 점착층 형성영역 :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가 80 : 20~60 : 40의 경우에는, 온감의 지속성이 현격하게 우수하였으며, 피부에 대한 접착성 및 사용감도 양호하였다.
점착층 형성 영역 : 수분 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
온감 피부에 대한
접착성
사용감
실시예 1 80:20 A A B
실시예 2 60:40 A A A
실시예 3 40:60 A B A
비교예 1 100:0 C B D
시험예 2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구조 및 점착층 중 첨가 성분이 다른 발열기구(실시예 2, 4 및 비교예 2~6)를 제조하고, 각 발열기구에 대한 온감의 지속성, 피부에 대한 접착성 및 사용감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6의 발열기구의 제조 방법 및 평가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1. 발열기구의 제조
실시예 4
하기 조성의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B를 사용하여 점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B>
노닐산바닐릴아미드(상품명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나가오카실업 주식회사 제) 0.001 중량%
고무계 점착제 99.999 중량%
합계 100 중량%
비교예 2
폴리에틸렌 필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비통기성 적층시트로 구성되는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세로 13cm, 가로 9.5cm의 직사각형)을 준비하였다. 해당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대해 점착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부직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만으로 구성되는 통기성의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세로 13cm, 가로 9.5cm의 직사각형)을 준비하였다. 해당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한편에 대해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한 조건으로, 점착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별도의 폴리에틸렌 필름 및 부직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가 적층되어 있는 비통기성 적층시트로 구성되는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세로 13cm, 가로 9.5cm의 직사각형)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폴리에틸렌 필름측의 단부와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단부를 스프레이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수용부 (세로 12cm 가로 8.5cm)에 발열성 조성물이 수용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하기 조성의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C를 사용하여 점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C>
dl-α-토코페롤 ; 비타민 E (상품명 「비타민E 리놀레이트 혼합물」, 에사이푸드·케미칼 주식회사 제(Eisai Food & Chemical Co., Ltd.제))(기름상) 5 중량%
고무계 접착제 95 중량%
합계 100 중량%
비교예 5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C를 사용하여 점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고무계 점착제만을 사용하여 점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열기구를 제조하였다.
2. 성능 평가
각 발열기구의 온감의 지속성, 피부에 대한 접착성, 사용감 및 요통 완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온감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비교예 6의 발열기구에서 지각된 온감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피부에 대한 접착성 및 사용감에 대해서는,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요통 완화 효과의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요통을 느끼고 있는 10명의 피험자의 허리 부분에 발열기구를 8 시간 부착하였다. 부착 8시간 후에, 요통 완화 효과를 이하 판단 기준에 따라 평점화하고, 비교예 6의 평점의 평균을 100으로 하여, 평점의 평균이 95 이상 105 미만의 경우를 C, 105 이상 250 미만인 경우를 B, 250 이상 400 이하의 경우를 A로 판정하였다.
(요통 완화 효과의 판정 기준)
3 점 : 요통이 현저하게 완화되고 있다.
2 점 : 요통이 완화되고 있다.
1 점 : 요통이 약간 완화되고 있다.
0 점 : 요통의 완화가 없다.
3. 평가 결과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에 수분흡수층(부직포)를 형성하지 않은 발열기구는, 부분적으로 형성한 점착층에 캡사이신을 포함하고 있어도, 온감의 지속성이 캡사이신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6과 동등하며, 피부에 대한 접착성, 사용감 및 요통 완화 효과도 불충분하였다(비교예 2). 또한, 수분배리어층을 형성하지 않은 발열기구는, 부분적으로 형성한 점착층에 캡사이신을 포함하고 있어도, 온감의 지속성이 비교예 6을 밑돌아, 요통 완화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았다(비교예 3). 한편, 부분적으로 형성한 점착층에 혈액 순환 촉진 작용이 알려진 비타민 E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분흡수층(부직포)의 유무와 상관없이 온감의 지속성이 비교예 6과 동일하고, 요통 완화 효과도 불충분하였다(비교예 4 및 5). 이에 비해 수분흡수층(부직포) 및 수분배리어층(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에 온감제(캡사이신 또는 노닐산바닐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온감의 지속성이 우수하여 현격하게 우수한 요통 완화 효과가 있고, 더욱이 피부에 대한 접착성 및 사용감도 양호하였다(실시예 2 및 4).
점착층형성영역 :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의 구성 점작층의 함유성분 온감
(비교예 6을 기준)
피부에
대한
점착성
사용감 요통완화 효과
수분 흡수층
(부직포)의 유무
수분 배리어층
(수지 필름)의 유무
실시예2 60 : 40 있음 있음 캡사이신 비교예 6을 초과 A A A
실시예4 60 : 40 있음 있음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비교예 6을 초과 A A A
비교예2 60 : 40 없음 있음 캡사이신 비교예 6과 동일 D D C
비교예3 60 : 40 있음 없음 캡사이신 비교예 6에 미달 A A C
비교예4 60 : 40 있음 있음 비타민 E 비교예 6과 동일 A A C
비교예5 60 : 40 없음 있음 비타민 E 비교예 6과 동일 D D C
비교예6 60 : 40 있음 있음 없음 - A A -
시험예 3
6 명의 피험자에 의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6의 발열기구에 의한 혈류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피험자의 허리 부분의 피부 혈류량 (ml/분)를 경시적(經時的)으로 10분간 측정하였다. 그 후, 발열기구를 허리 부분에 부착하여 피부 혈류량(ml/분)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50 분간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 혈류량의 측정은, 레이저 도플러 혈류계(ALF 21, 어드밴스사 제)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6 명의 피험자의 피부 혈류량의 평균값의 경시변화를 도 7에 도시한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발열기구는 비교예 1의 발열기구에 비해, 혈류량이 향상되어 우수한 온열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1: 발열부
2: 수용체
21: 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
211: 수분흡수층
212: 수분배리어층
212a: 온감제 배리어 기능을 가지는 수분배리어층(수지층)
212b: 열용착성이 우수한 수분배리어층(수지층)
22: 수용부
23: 비피부 부착면 측 포장재
231: 통기성 수지층
232: 섬유기재
3: 점착층

Claims (9)

  1.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발열기구에 있어서,
    피부에 전달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피부에 부착되는 피부 부착면을 가지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피부 부착면 측에 형성된 점착층, 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의 피부 부착면 측을 구성하는 포장재는, 상기 점착층 측에서부터 적어도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층과 수분의 투과를 차단하는 수분배리어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층이 상기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수분흡수층의 적어도 하나에, 수분 존재 하에서 온감이 증강하여 지각되는 온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 형성영역: 상기 수분흡수층이 노출하고 있는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의 면적비가 100 : 5~2000인, 발열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층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층이 노출하고 있는 수분흡수층 노출영역이 상기 수분흡수층의 단부까지 연통하고 있는, 발열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피부 부착면 측을 구성하는 포장재가 상기 온감제의 투과를 차단하는 배리어 기능을 가지는, 발열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배리어층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 형성된 수지층, 증착막, 및/또는 금속박막을 가지는, 발열기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층이 섬유시트인, 발열기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가 상기 점착층에 포함되는, 발열기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가 캡사이신,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세이지, 카페인, 니코틴산 토코페롤,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바닐릴 에틸 에테르, 바닐릴 프로필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 바닐릴 펜틸 에테르, 바닐릴 헥실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진저롤, 고추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발열기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가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성 조성물이고, 상기 수용체가 적어도 일부에 통기성을 가지는, 발열기구.

KR1020187010144A 2015-09-11 2016-05-02 발열기구 KR201800536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5810 WO2017042947A1 (ja) 2015-09-11 2015-09-11 発熱具
JPJP-P-2015-075810 2015-09-11
PCT/JP2015/075811 WO2017042948A1 (ja) 2015-09-11 2015-09-11 発熱具
JPJP-P-2015-075811 2015-09-11
PCT/JP2016/063610 WO2017043119A1 (ja) 2015-09-11 2016-05-02 発熱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693A true KR20180053693A (ko) 2018-05-23

Family

ID=5824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144A KR20180053693A (ko) 2015-09-11 2016-05-02 발열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41331B2 (ko)
EP (1) EP3348242B1 (ko)
JP (1) JP6998206B2 (ko)
KR (1) KR20180053693A (ko)
CN (1) CN108289754B (ko)
WO (1) WO20170431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327B1 (ko) * 2018-05-30 2019-12-03 김재형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팩
KR200491961Y1 (ko) * 2019-10-22 2020-07-07 주식회사 피부다움 발열 패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사지 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420B1 (ko) 2015-02-19 2023-12-07 캔디샌트 바이오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열 생성용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EP3453364B1 (en) * 2016-05-02 2022-08-24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Heat generator
KR20210034639A (ko) * 2018-12-19 2021-03-30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온열구
JP7343975B2 (ja) * 2018-12-28 2023-09-13 小林製薬株式会社 温熱治療用の医療機器
US11272829B2 (en) * 2019-04-02 2022-03-15 Dorai Home, Inc. Drying appliance
CN110025480B (zh) * 2019-05-21 2023-11-10 程勇 双发热灸贴及具有它的自发热热灸包
EP4288004A1 (en) * 2021-02-02 2023-12-13 Thermosaver AS Rescue ba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054A (ja) * 1995-04-21 1996-11-05 Sekisui Chem Co Ltd 外用剤
GB2303208B (en) * 1995-07-08 1998-01-21 Akio Usui Viscous liquid exothermic composition,exothermic device mad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xothermic device
JP3429147B2 (ja) 1996-11-21 2003-07-22 三宝化学株式会社 温感型湿布
JP2002177313A (ja) * 2000-12-15 2002-06-25 Kao Corp 温熱具
JP2003336042A (ja) * 2002-05-20 2003-11-28 Maikooru Kk 吸水性ポリマー入り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JP3097002U (ja) * 2003-04-08 2004-01-15 桐灰化学株式会社 貼付型カイロ
CA2573305A1 (en) * 2004-07-14 2006-01-19 Mycoal Products Corporation Heating element for foot warm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A2573276A1 (en) * 2004-07-14 2006-01-19 Mycoal Products Corporation Heat generating body and process for producing heat generating body
CN103037933B (zh) 2010-06-04 2018-01-30 拜耳医药保健有限责任公司 活度递送进展监测
US9931241B2 (en) * 2010-06-09 2018-04-03 Kao Corporation Steam-generative warming device
JP2014008288A (ja) * 2012-06-29 2014-01-20 Kiribai Kagaku Kk 発熱具
WO2014157726A1 (ja) * 2013-03-29 2014-10-02 興和株式会社 発熱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使い捨てカイロ
CN204121446U (zh) * 2014-08-06 2015-01-28 陈蕾 一种自发热保温立体面膜
CN204274756U (zh) * 2014-08-27 2015-04-22 贵州高澄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发热式理疗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327B1 (ko) * 2018-05-30 2019-12-03 김재형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팩
KR200491961Y1 (ko) * 2019-10-22 2020-07-07 주식회사 피부다움 발열 패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사지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119A1 (ja) 2017-03-16
CN108289754A (zh) 2018-07-17
EP3348242B1 (en) 2022-06-29
EP3348242A4 (en) 2019-04-17
JPWO2017043119A1 (ja) 2018-08-09
JP6998206B2 (ja) 2022-01-18
CN108289754B (zh) 2021-09-07
EP3348242A1 (en) 2018-07-18
US11241331B2 (en) 2022-02-08
US20190038458A1 (en)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693A (ko) 발열기구
JP6750007B2 (ja) 発熱具
KR102111837B1 (ko) 자체발열 보온필름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페이스 마스크와 아이 마스크
JP5415526B2 (ja) 可搬式湿熱システム
US20170360602A1 (en) Heat generation tool
EP2810627A1 (en) Heating tool
WO2006006661A1 (ja) 発熱体、これを用いた保温方法及び型成形発熱用包材
WO2006006653A1 (ja) マイクロヒ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06654A1 (ja) ヒートクロ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06656A1 (ja) 発熱体
WO2006006648A1 (ja) 発熱組成物、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JP2007319359A (ja) 発熱体
JP2007136053A (ja) 膏薬温熱用具
JP7071824B2 (ja) 発熱具
WO2006006649A1 (ja) 湿潤性発熱組成物圧縮体、発熱体及び湿潤性発熱組成物圧縮体の製造方法
WO2017191682A1 (ja) 発熱具
WO2006006660A1 (ja) 発熱ラップ
WO2017191681A1 (ja) 発熱具
JP7008504B2 (ja) 発熱具
JP7343975B2 (ja) 温熱治療用の医療機器
CN210750246U (zh) 双发热水性灸贴及具有它的双发热热灸包
JP2021107600A (ja) マスク
CN113164280A (zh) 化学取暖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