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062A - 비상 조명등 - Google Patents

비상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062A
KR20180053062A KR1020160150413A KR20160150413A KR20180053062A KR 20180053062 A KR20180053062 A KR 20180053062A KR 1020160150413 A KR1020160150413 A KR 1020160150413A KR 20160150413 A KR20160150413 A KR 20160150413A KR 20180053062 A KR20180053062 A KR 2018005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emergency
fire
uni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333B1 (ko
Inventor
임성철
Original Assignee
임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철 filed Critical 임성철
Priority to KR102016015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3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014Measuring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thereof
    • H01S5/0028Laser diodes used as de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H01S5/4087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emitting more than one wavelength
    • H01S5/4093Red, green and blue [RGB] generated directly by laser action or by a combination of laser action with nonlinear frequency conversion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비상 대피로를 안내해주도록, 조명 하우징과 조명 회로 구조물을 포함하고, 조명 회로 구조물은, 평상 시 상기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건축물의 시설물 유지 전원부를 통해 충전되며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건축물의 상기 시설물 유지 전원부로부터 전기적으로 고립되는 비상 전원부; 비상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부; 비상 전원부와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LED 조사부, 통신부,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 및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기 센서와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조명등{EMERGENCY LIGHTING FIXTURE}
본 발명은 건축물에 화재 발생 시 건축물에 시설물 유지 전원의 인가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비상 전원을 이용하여 지상 건물인 경우 비상 대피로의 연장 방향을 찾거나 지하 건물인 경우 비상 대피로의 위치를 찾는데 도움을 주는 비상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은, 화재 발생 시 상시 전원을 차단하여 어두움 속에서도 사람들을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상시전원 대신 비상전원을 통해 점등되는 비상 유도등을 내벽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비상 유도등이 LED 등 또는 형광 등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를 밝게 하여 간접 조명으로 비상 대피로를 안내한다.
그러나, 상기 LED 등 또는 형광 등이 빛을 직선방향으로 비추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비추는 산란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비상 유도등은 화재 발생 시 주변에 자기 위치 만을 밝히고 LED 등 또는 형광 등의 빛을 연기에 흡수시키므로 화재 주변에 위치되는 대피자에게 비상 대피로의 위치를 명확하게 시인시켜 주지 못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 유도등의 기술적 문제점으로써, 상기 비상 유도등은 건축물의 층별로 위치되지만 특정 층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비상 유도등은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 시 비상 대피로의 구조물(=적치물, 시설물, 복도 및 계단) 형상을 움직임으로 확인시켜 주지 못한다. 상기 비상 유도등의 적용 문제점으로써, 상기 비상 유도등은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시 층별 상황을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피자의 대피 방향에 혼선을 준다. 상기 비상 유도등은 비상 대피로의 주변 구조물 형상을 움직임으로 확인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상황에서 대피자에게 오랜 시간 동안 비상 대피로를 각인시켜 주지 못한다.
한편, 상기 비상 유도등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6145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604호(선행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5313호(선행문헌 3), 그리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2483호(선행문헌 4) 에 종래 기술로서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비상 유도등은 엘이디 상에 순차적으로 볼록 렌즈와 투명 보호캡을 이용하여 덮개의 외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거나(@ 선행 문헌 1), LED 또는 EL의 점등 수단을 색깔별로 구분하여 비상 대피로의 진입을 유도한다(@ 선행 문헌 2).
또한, 상기 비상 유도등은 대피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식별이 가능한 길 안내장치를 개시하거나(@선행문헌 3), 상기 비상 유도등은 LED 와 레이저를 이용하여 비상 대피로를 안내한다(@ 선행 문헌 4). 그러나, 상기 비상 조명등은 선행 문헌 1 내지 4에서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시 층별 상황을 확인시켜 주지 못하며 비상 대피로의 구조물 형상을 오랜 시간 동안 조명 빛에 의해 움직임으로 확인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에 비상 대피로에서 대피자의 대비 방향에 혼선을 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6145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60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531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248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특정 장소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위치를 대피자에게 명확하게 확인시키며, 화재 발생 시 비상 대피로의 구조물(=적치물, 시설물, 복도 및 계단) 형상을 움직임으로 대피자에게 확인시키도록 하고,
화재 발생 시 지상 건물의 층별 상황 그리고 지하 건물의 구획된 구역별 상황을 신속히 확인하여 대피자의 대피 방향에 혼선을 주지 않으며, 화재 발생 시 대피자에게 오랜 시간 동안 비상 대피로의 구조물 형상을 각인시켜 주는데 적합한 비상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조명등은,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비상 대피로를 안내해주도록, 상기 조명 하우징과 상기 조명 하우징으로 둘러싸이는 조명 회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회로 구조물은, 평상 시 상기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건축물의 시설물 유지 전원부를 통해 충전되며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건축물의 상기 시설물 유지 전원부로부터 전기적으로 고립되는 비상 전원부; 상기 비상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부; 상기 비상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LED 조사부, 통신부,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기 센서와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의 화재 상황 데이터 그리고 상기 통신부의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비상 대피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를 통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구조물 형상을 레이저 광에 의해 움직임으로 표시하고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를 통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상기 비상 대피로의 방향을 레이저 광에 의해 움직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 하우징은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LED 조명 하우징과 레이저 조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LED 조사부의 적어도 하나의 LED 등을 위치시키면서 상기 LED 등을 통해 외부에 간접 조명하고,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은 상기 외부에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의 레이저 유도 관과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의 레이저 유도 관을 외부에 노출시켜 레이저 유도 관들을 통해 레이저 광들을 상기 외부에 각각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명 하우징이 상기 건축물의 천정에 위치되어 직육면체를 이루는 때, 상기 LED 조명 하우징은 상기 천정에 직각인 두 개의 넓은 면과 두 개의 좁은 면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넓은 면에 사람 표식과 EXIT 문구를 가지고,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은 상기 두 개의 넓은 면의 상부 측에 두 개씩 쌍을 이루는 복수의 지지홀 그리고 개개의 좁은 면의 상부 측에 두 개의 지지홀을 가지고,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의 상기 두 개의 넓은 면과 상기 개개의 좁은 면의 상부 측에서 두 개의 지지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하우징은, 지상에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에서, 지상 건물 내 개별적인 층의 천정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상 건물에서, 상기 비상 전원부, 상기 제어부, 상기 LED 조사부,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조명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 상기 비상 대피로의 천정에 위치되고, 상기 연기 센서와 온도 센서는 상기 조명 하우징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별적인 층의 주거 공간 또는 사무 공간의 천정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하우징은, 지하에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져 넓은 공간을 한정하는 건물에서, 지하 건물 내 지하 층의 천정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하 건물에서, 상기 비상 전원부, 상기 제어부, 상기 LED 조사부, 상기 연기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통신부,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조명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 상기 지하층의 상기 천정에서 복수의 구획된 구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 전원부는 전지 또는 축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 건물 또는 상기 지하 건물의 상기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상기 연기 센서의 연기 수집 데이터를 소정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연기 지속 시간과 실제 연기 지속 시간을 비교하거나 상기 온도 센서의 온도 수집 데이터를 상기 소정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온도 값과 실제 온도 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값보다 더 크면 상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여 상기 화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의 통신부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층의 통신부의 통신을 통해 또는 상기 지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통신부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구역의 통신부의 통신을 통해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상기 개별적인 층에서 또는 개별적인 구역에서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상황 데이터와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층별로 위치되는 통신부 또는 구역별로 위치되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를 우회하는 경로를 찾아 상기 비상 대피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LED 조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 등과 LED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LED 구동 드라이버는 상기 LED 등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의 변동을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해줄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내장 모듈, 감지 모듈, 블루투스 모듈과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내장 모듈은 상기 지상 건물에서 상기 개별적인 층의 숫자와 상기 개별적인 층에서 상기 주거 공간 또는 상기 사무 공간을 순서적으로 배열시킨 숫자를 가지거나 상기 지하 건물에서 개별적인 구역의 이차원적인 순서 쌍에 대응하는 숫자를 가지고, 상기 감지 모듈은 상기 지상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에서 또는 상기 지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구역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지상 건물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된 층의 블루투스 내장 모듈을 탐색하거나 상기 지하 건물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블루투스 내장 모듈을 탐색하여 화재 발생 위치의 숫자를 데이터 처리 모듈에 SMS 또는 MMS의 메세지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메세지를 처리하여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또는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레이저 유도관; 및 상기 레이저 유도관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진동자,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레이저 발생부와 집속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유도관은 상기 일 측에서 폐쇄되고 상기 타 측에서 개구되는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와 상기 레이저 발생부를 진동시키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는 상기 비상 전원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진동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로부터 전압과 전류를 인가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레이저 광을 여러 방향으로 발산시키고, 상기 집속 렌즈는 상기 레이저 광을 일 방향을 향해 집속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파란색의 레이저 광을 발산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유도 관 내 순서적인 배열에서 상기 집속 렌즈 다음으로 구조물 표시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표시 렌즈는 렌즈 면에 복수의 가로 선과 복수의 세로 선의 교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격자 무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는 상기 구조물 표시 렌즈의 상기 복수의 격자 무늬를 상기 레이저 광으로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상기 구조물의 외주 면 상에 투영시키고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통해 투영된 격자 무늬들을 상기 구조물의 상기 외주 면 상에 흔들어서 상기 구조물 형상을 움직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녹색의 레이저 광을 발산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유도 관 내 순서적인 배열에서 상기 집속 렌즈 다음으로 방향 표시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표시 렌즈는 렌즈 면에 상기 비상 대피로에서 복도와 계단의 연장 방향을 표시하거나 상기 비상 대피로를 찾기 위한 비상구 또는 계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살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방향 표시 렌즈의 상기 복수의 화살표를 상기 레이저 광으로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상기 비상 대피로의 바닥 상에 투영시키고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통해 투영된 화살표들을 상기 비상 대피로의 바닥 상에 흔들어서 상기 비상 대피로의 방향을 움직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 하우징은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LED 조명 하우징과 레이저 조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또는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의 상기 레이저 유도 관은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에 대해 돌출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특정 장소에서 화재 발생 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연기 센서 및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상황 데이터와 통신부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고 화재 상황 데이터와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를 이용하여 비상 대피 방향을 표시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대피자에게 명확하게 확인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비상 대피로 가까이에서 LED 등으로 간접 조명을 하고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비상 대피로의 구조물과 바닥 상에 격자 무늬들과 화살표들을 투영하고 흔들어서 비상 대피로의 구조물 형상을 움직임으로 대피자에게 확인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제어부의 화재 상황 데이터와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의 레이저 광에 반영하여 지상 건물의 층별 상황 그리고 지하 건물의 구획된 구역별 상황을 신속히 확인하여 대피자의 대피 방향에 혼선을 주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 등으로 간접 조명을 하고 레이저 광으로 직접 조명을 하는 동안 비상 대피로의 구조물과 바닥 상에 레이저 광에 의해 투영되어 흔들리는 격자 무늬들과 화살표들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 대피자에게 오랜 시간 동안 비상 대피로의 구조물 형상을 각인시키고 대피자로 하여금 비상 대피 방향을 올바르게 판단하게 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조명등을 보여주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조명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비상 조명등에서 조명 하우징과 조명 회로 구조물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명 회로 구조물에서 통신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명 회로 구조물에서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또는 레이저 방향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에서 구조물 표시 렌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의 레이저 방향 표시부에서 방향 표시 렌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방향 표시 렌즈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건축물에서 고층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비상 조명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건축물에서 지하 건물의 내부에서 구획된 구역에 배치되는 비상 조명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지하 건물에서 도 1의 비상 조명등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조명등을 보여주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상 조명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비상 조명등에서 조명 하우징과 조명 회로 구조물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조명 회로 구조물에서 통신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3의 조명 회로 구조물에서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또는 레이저 방향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에서 구조물 표시 렌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레이저 방향 표시부에서 방향 표시 렌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방향 표시 렌즈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9는 건축물에서 고층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비상 조명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10은 건축물에서 지하 건물의 내부에서 구획된 구역에 배치되는 비상 조명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조명등(160)은, 건축물(도 9의 200 또는 도 10의 220)에서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비상 대피로(도 9의 180 또는 도 10의 215)를 안내해주도록, 조명 하우징(도 1의 150)과 조명 회로 구조물(도 3의 12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 하우징(150)은 조명 회로 구조물(120)을 도 3과 같이 둘러싼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조명 하우징(150)은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LED 조명 하우징(130)과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을 도 1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조명 하우징(150)이 건축물(200 또는 220)의 천정에 위치되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직육면체를 이루는 때, 상기 LED 조명 하우징(130)은 천정에 직각인 두 개의 넓은 면과 두 개의 좁은 면을 가지며 두 개의 넓은 면에 사람 표식과 EXIT 문구를 갖는다.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은 두 개의 넓은 면의 상부 측에 두 개씩 쌍을 이루는 복수의 지지홀(145) 그리고 개개의 좁은 면의 상부 측에 두 개의 지지홀(145)을 갖는다.
상기 조명 회로 구조물(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전원부(10), 제어부(20), LED 조사부(30), 연기 센서(40), 온도 센서(50), 통신부(70),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LED 조명 하우징(130)은 내부에 LED 조사부(30)의 적어도 하나의 LED 등(도면에 미 도시)을 위치시키면서 LED 등을 통해 외부에 간접 조명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은 외부에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의 레이저 유도 관(도 5의 102)과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의 레이저 유도 관(도 5의 103)을 외부에 노출시켜 레이저 유도 관들(102, 103)을 통해 레이저 광들(도 11 또는 도 12의 LR1, LR2)을 외부에 각각 조사한다.
한편, 상기 조명 하우징(150)은, 지상에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도 9 참조)에서, 지상 건물(200) 내 개별적인 층의 천정에 복수 개로 설치된다. 상기 지상 건물(200)에서, 상기 비상 전원부(10), 제어부(20), LED 조사부(30), 통신부(70),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은 조명 하우징(150)에 의해 둘러싸여 비상 대피로(도 9의 180)의 천정에 위치된다.
상기 연기 센서(40)와 온도 센서(50)는 조명 하우징(15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장되어 개별적인 층의 주거 공간(190) 또는 사무 공간(190)의 천정에 도 9와 같이 위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조명 하우징(150)은, 지하에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져 넓은 공간을 한정하는 건물(도 10을 참조)에서, 지하 건물(220) 내 지하 층의 천정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하 건물(220)에서, 상기 비상 전원부(10), 제어부(20), LED 조사부(30), 연기 센서(40), 온도 센서(50), 통신부(70),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조명 하우징(150)에 의해 둘러싸여 지하층의 천정에서 복수의 구획된 구역에 위치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회로 구조물(120)에서, 상기 비상 전원부(10)는 평상 시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건축물(200 또는 220)의 시설물 유지 전원부를 통해 충전되며 화재 발생 시 건축물(200 또는 220)의 시설물 유지 전원부로부터 전기적으로 고립된다. 상기 비상 전원부(10)는 전지 또는 축전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는 비교 및 판단 회로, 그리고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비상 전원부(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연기 센서(40)와 온도 센서(50)는 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LED 조사부(30), 통신부(70),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비상 전원부(10)와 제어부(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는, 연기 센서(40)와 온도 센서(50)의 화재 상황 데이터 그리고 통신부(70)의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비상 대피 방향을 결정하고,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를 통해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구조물 형상을 레이저 광(도 11의 LR1)에 의해 움직임으로 표시하고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를 통해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비상 대피로(도 9의 180, 도 10의 215)의 방향을 레이저 광(도 11의 LR2)에 의해 움직임으로 표시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0)는, 지상 건물(200) 또는 지하 건물(220)의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연기 센서(40)의 연기 수집 데이터를 소정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연기 지속 시간과 실제 연기 지속 시간을 비교하거나 온도 센서(50)의 온도 수집 데이터를 소정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온도 값과 실제 온도 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값보다 더 크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여 화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지상 건물(200)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의 통신부(70)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층의 통신부(70)의 통신을 통해 또는 지하 건물(220)에서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통신부(70)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구역의 통신부(70)의 통신을 통해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파악하여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개별적인 층에서 또는 개별적인 구역에서 공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화재 상황 데이터와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층별로 위치되는 통신부(70) 또는 구역별로 위치되는 통신부(70)를 통해 화재 발생 위치를 우회하는 경로를 찾아 비상 대피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LED 조사부(30)는 적어도 하나의 LED 등과 LED 구동 드라이버(도면에 미 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LED 구동 드라이버는 LED 등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의 변동을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해준다.
또 다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 회로 구조물(120)에서, 상기 통신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내장 모듈(62), 감지 모듈(64), 블루투스 모듈(66)과 데이터 처리 모듈(68)을 포함한다. 상기 블루투스 내장 모듈(62)은 지상 건물(200)에서 개별적인 층의 숫자와 개별적인 층에서 주거 공간(190) 또는 사무 공간(190)을 순서적으로 배열시킨 숫자를 가지거나 지하 건물(220)에서 개별적인 구역의 이차원적인 순서 쌍에 대응하는 숫자를 갖는다.
상기 감지 모듈(64)은 지상 건물(200)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에서 또는 지하 건물(220)에서 화재가 발생된 구역에서 제어부(20)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여 블루투스 모듈(66)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66)은 지상 건물(200)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의 블루투스 내장 모듈(62)을 탐색하거나 지하 건물(220)에서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블루투스 내장 모듈(62)을 탐색하여 화재 발생 위치의 숫자를 데이터 처리 모듈(68)에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의 메세지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68)은 메세지를 처리하여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전송한다.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 또는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유도관(102 또는 103) 그리고 레이저 유도관(102 또는 103)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진동자(83),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86), 레이저 발생부(89)와 집속 렌즈(93)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 유도관(102 또는 103)은 일 측에서 폐쇄되고 타 측에서 개구되는 원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자(83)는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86)와 레이저 발생부(89)를 진동시킨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86)는 비상 전원부(10), 제어부(20)와 진동자(8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구동된다. 상기 레이저 발생부(89)는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86)로부터 전압과 전류를 인가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도면에 미 도시)를 통해 레이저 광(도 12의 LR1 또는 LR2)을 여러 방향으로 발산시킨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파란색의 레이저 광(도 11의 LR1)을 발산시킨다. 또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는 레이저 유도 관(103) 내 순서적인 배열에서 집속 렌즈(93) 다음으로 구조물 표시 렌즈(도 6의 9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 표시 렌즈(96)는 렌즈 면에 복수의 가로 선(L1)과 복수의 세로 선(L2)의 교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격자 무늬(96A)를 갖는다.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는 구조물 표시 렌즈(96)의 복수의 격자 무늬(96A)를 레이저 광(LR1)으로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구조물의 외주 면 상에 투영시키고 진동자(83)의 진동을 통해 투영된 격자 무늬들을 구조물의 외주 면 상에 흔들어서 구조물 형상을 움직임으로 표시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레이저 다이오드(도면에 미 도시)로부터 녹색의 레이저 광(도 11의 LR2)을 발산시킨다.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레이저 유도 관(103) 내 순서적인 배열에서 집속 렌즈(93) 다음으로 방향 표시 렌즈(도 7의 98 또는 도 8의 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표시 렌즈(98 또는 99)는 렌즈 면에 비상 대피로(도 9의 180 또는 도 10의 215)에서 복도(174)와 계단(178)의 연장 방향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살표(98A, 98B, 98C)를 가지거나 비상 대피로(180 또는 215)를 찾기 위한 비상구 또는 계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살표(99A)를 갖는다.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방향 표시 렌즈(98 또는 99)의 복수의 화살표(98A, 98B 및 98C, 또는 99A)를 레이저 광(LR2)으로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비상 대피로(180 또는 215)의 바닥 상에 투영시키고 진동자(83)의 진동을 통해 투영된 화살표들을 비상 대피로(180 또는 215)의 바닥 상에 흔들어서 비상 대피로(180또는 215)의 방향을 움직임으로 표시한다. 상기 집속 렌즈(93)는 레이저 광(도 12의 LR1 또는 LR2)을 일 방향을 향해 집속시킨다.
한편, 상기 조명 하우징(150)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LED 조명 하우징(130)과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을 포함하는데,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의 두 개의 넓은 면과 개개의 좁은 면의 상부 측에서 두 개의 지지홀(145)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의 레이저 유도 관(102) 또는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의 레이저 유도 관(103)은 지지홀(145)을 통해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으로부터 돌출되어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도 2의 R1 또는 R2) 가능하게 되고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에 대해 돌출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가 도 1에서 복수의 레이저 유도 관(102, 104, 106, 108)을 가지는데, 상기 복수의 레이저 유도 관(102, 104, 106, 108)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가 도 1에서 복수의 레이저 유도 관(103, 105, 107, 109)을 가지는데, 상기 복수의 레이저 유도 관(103, 105, 107, 109)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5는 지하 건물에서 도 1의 비상 조명등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비상 조명등(160)에서, 상기 조명 회로 구조물(120)을 통해 비상 전원부(10)으로부터 제어부(도 3의 30)가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건축물(220)에 화재 발생 시 조명 회로 구조물에서 연기 센서(40)와 온도 센서(50)로부터 화재 상황 데이터와 통신부(70)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20)는 화재 상황 데이터와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8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80)에서,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86)가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86)는 진동자(83)를 진동(V)시키면서 레이저 발생부(89)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발생부(89)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LR1 또는 LR2)을 생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는 파란색의 레이저 광(LR1)을 생성시키고,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녹색의 레이저 광(LR2)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발생부(89)는 레이저 유도 관(102 또는 103)을 통해 레이저 광(LR1 또는 LR2)을 집속 렌즈(93)에 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집속 렌즈(93)는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에서 레이저 유도 관(102)를 따라 레이저 광(LR1)을 구조물 표시 렌즈(96)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표시 렌즈(96)는 격자 무늬(도 6의 96A)들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집속 렌즈(93)는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에서 레이저 유도 관(103)을 따라 레이저 광(LR2)을 방향 표시 렌즈(99)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표시 렌즈(99)는 화살표(도 8의 99A)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조물 표시 렌즈(96)와 방향 표시 렌즈(99)는 레이저 광들(LR1, LR2)을 화재 발생 위치 주변의 지하 건물(220)의 기둥(216)과 바닥(218) 상에 도 13 및 도 15와 같이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조명 하우징(150)의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의 두 개의 지지홀(145)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114)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118)는 레이저 유도 관들(102 및 103)을 통해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의 두 개의 지지홀(145)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유도 관들(102 및 103)은 도 11에서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의 앞면 및 뒷면에 위치되어 레이저 광들(LR1, LR2)을 조사하도록 그림의 편의상 도시되나, 레이저 조사 하우징(140)의 좌우 측면에 도 1과 같이 위치되어 레이저 광들(LR1, LR2)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광들(LR1, LR2)이 지하 건물(220)의 기둥(216)과 바닥(218) 상에 조사되는 동안, 상기 격자 무늬(도 6의 96A)들과 화살표들(도 8의 99A)은 진동자(83)의 진동(V)으로 지하 건물(220)의 기둥(216)과 바닥(218) 상에서 흔들릴 수 있다. 도 14에서, 상기 격자 무늬(96A)들의 흔들림만 도시하였으나, 도 15에서도, 상기 화살표들(99A)은 격자 무늬(96A)들과 함께 흔들릴 수 있다.
102-109; 레이저 유도 관, 114;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118; 레이저 방향 표시부, 120; 조명 회로 구조물
135; 표식 및 문자, 130; LED 조명 하우징
140; 레이저 조사 하우징, 150; 조명 하우징
160; 비상 조명등.

Claims (23)

  1.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비상 대피로를 안내해주는 비상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조명 하우징과 상기 조명 하우징으로 둘러싸이는 조명 회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회로 구조물은,
    평상 시 상기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건축물의 시설물 유지 전원부를 통해 충전되며 상기 화재 발생 시 상기 건축물의 상기 시설물 유지 전원부로부터 전기적으로 고립되는 비상 전원부;
    상기 비상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부;
    상기 비상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LED 조사부, 통신부,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레이저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기 센서와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의 화재 상황 데이터 그리고 상기 통신부의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비상 대피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를 통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구조물 형상을 레이저 광에 의해 움직임으로 표시하고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를 통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상기 비상 대피로의 방향을 레이저 광에 의해 움직임으로 표시하는 비상 조명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하우징은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LED 조명 하우징과 레이저 조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LED 조사부의 적어도 하나의 LED 등을 위치시키면서 상기 LED 등을 통해 외부에 간접 조명하고,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은 상기 외부에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의 레이저 유도 관과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의 레이저 유도 관을 외부에 노출시켜 레이저 유도 관들을 통해 레이저 광들을 상기 외부에 각각 조사하는 비상 조명등.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하우징이 상기 건축물의 천정에 위치되어 직육면체를 이루는 때,
    상기 LED 조명 하우징은 상기 천정에 직각인 두 개의 넓은 면과 두 개의 좁은 면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넓은 면에 사람 표식과 EXIT 문구를 가지고,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은 상기 두 개의 넓은 면의 상부 측에 두 개씩 쌍을 이루는 복수의 지지홀 그리고 개개의 좁은 면의 상부 측에 두 개의 지지홀을 가지고,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의 상기 두 개의 넓은 면과 상기 개개의 좁은 면의 상부 측에서 두 개의 지지홀에 위치되는 비상 조명등.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하우징은, 지상에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에서, 지상 건물 내 개별적인 층의 천정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비상 조명등.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건물에서,
    상기 비상 전원부, 상기 제어부, 상기 LED 조사부,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조명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 상기 비상 대피로의 천정에 위치되고,
    상기 연기 센서와 온도 센서는 상기 조명 하우징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별적인 층의 주거 공간 또는 사무 공간의 천정에 위치되는 비상 조명등.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하우징은, 지하에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져 넓은 공간을 한정하는 건물에서, 지하 건물 내 지하 층의 천정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비상 조명등.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건물에서,
    상기 비상 전원부, 상기 제어부, 상기 LED 조사부, 상기 연기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통신부,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와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조명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 상기 지하층의 상기 천정에서 복수의 구획된 구역에 위치되는 비상 조명등.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전원부는 전지 또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비상 조명등.
  9. 제5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 건물 또는 상기 지하 건물의 상기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상기 연기 센서의 연기 수집 데이터를 소정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연기 지속 시간과 실제 연기 지속 시간을 비교하거나 상기 온도 센서의 온도 수집 데이터를 상기 소정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온도 값과 실제 온도 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값보다 더 크면 상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여 상기 화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상 조명등.
  10. 제5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의 통신부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층의 통신부의 통신을 통해 또는 상기 지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통신부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구역의 통신부의 통신을 통해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상기 개별적인 층에서 또는 개별적인 구역에서 공유하는 비상 조명등.
  11. 제5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상황 데이터와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층별로 위치되는 통신부 또는 구역별로 위치되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를 우회하는 경로를 찾아 상기 비상 대피 방향을 결정하는 비상 조명등.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 등과 LED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LED 구동 드라이버는 상기 LED 등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의 변동을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해주는 비상 조명등.
  13. 제5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내장 모듈, 감지 모듈, 블루투스 모듈과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조명등.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내장 모듈은 상기 지상 건물에서 상기 개별적인 층의 숫자와 상기 개별적인 층에서 상기 주거 공간 또는 상기 사무 공간을 순서적으로 배열시킨 숫자를 가지거나 상기 지하 건물에서 개별적인 구역의 이차원적인 순서 쌍에 대응하는 숫자를 가지고,
    상기 감지 모듈은 상기 지상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에서 또는 상기 지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구역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지상 건물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된 층의 블루투스 내장 모듈을 탐색하거나 상기 지하 건물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블루투스 내장 모듈을 탐색하여 화재 발생 위치의 숫자를 데이터 처리 모듈에 SMS 또는 MMS의 메세지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메세지를 처리하여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비상 조명등.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또는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레이저 유도관; 및
    상기 레이저 유도관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진동자,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레이저 발생부와 집속 렌즈를 포함하는 비상 조명등.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유도관은 상기 일 측에서 폐쇄되고 상기 타 측에서 개구되는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와 상기 레이저 발생부를 진동시키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는 상기 비상 전원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진동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로부터 전압과 전류를 인가받아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레이저 광을 여러 방향으로 발산시키고,
    상기 집속 렌즈는 상기 레이저 광을 일 방향을 향해 집속시키는 비상 조명등.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파란색의 레이저 광을 발산시키는 비상 조명등.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유도 관 내 순서적인 배열에서 상기 집속 렌즈 다음으로 구조물 표시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표시 렌즈는 렌즈 면에 복수의 가로 선과 복수의 세로 선의 교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격자 무늬를 가지는 비상 조명등.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는 상기 구조물 표시 렌즈의 상기 복수의 격자 무늬를 상기 레이저 광으로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상기 구조물의 외주 면 상에 투영시키고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통해 투영된 격자 무늬들을 상기 구조물의 상기 외주 면 상에 흔들어서 상기 구조물 형상을 움직임으로 표시하는 비상 조명등.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녹색의 레이저 광을 발산시키는 비상 조명등.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레이저 유도 관 내 순서적인 배열에서 상기 집속 렌즈 다음으로 방향 표시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표시 렌즈는 렌즈 면에 상기 비상 대피로에서 복도와 계단의 연장 방향을 표시하거나 상기 비상 대피로를 찾기 위한 비상구 또는 계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살표를 가지는 비상 조명등.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는 상기 방향 표시 렌즈의 상기 복수의 화살표를 상기 레이저 광으로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주변에서 상기 비상 대피로의 바닥 상에 투영시키고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통해 투영된 화살표들을 상기 비상 대피로의 바닥 상에 흔들어서 상기 비상 대피로의 방향을 움직임으로 표시하는 비상 조명등.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하우징은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LED 조명 하우징과 레이저 조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구조물 표시부 또는 상기 레이저 방향 표시부의 상기 레이저 유도 관은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 하우징에 대해 돌출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되는 비상 조명등.
KR1020160150413A 2016-11-11 2016-11-11 비상 조명등 KR10195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13A KR101950333B1 (ko) 2016-11-11 2016-11-11 비상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13A KR101950333B1 (ko) 2016-11-11 2016-11-11 비상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62A true KR20180053062A (ko) 2018-05-21
KR101950333B1 KR101950333B1 (ko) 2019-02-20

Family

ID=6245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413A KR101950333B1 (ko) 2016-11-11 2016-11-11 비상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3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9081A (zh) * 2018-11-15 2019-03-29 江苏峰汇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消防应急照明灯具
KR102050028B1 (ko) * 2019-08-30 2019-11-28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050030B1 (ko) * 2019-08-29 2019-11-28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167761B1 (ko) * 2020-01-31 2020-10-19 강유림 환자 케어 시스템
KR102633830B1 (ko) * 2023-06-18 2024-02-06 (주)아이엘컴퍼니 고보조명을 구비한 스마트 비상 유도 라이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296B1 (ko) 2019-06-10 2020-08-10 정용일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585A (ja) * 2001-08-24 2003-10-31 Akiji Matoba 災害警報装置
KR100653604B1 (ko) 2005-03-28 2006-12-05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0986145B1 (ko) 2009-11-05 2010-10-07 윤병기 피난유도 시스템
KR20110059161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KR101485115B1 (ko) * 2013-12-18 2015-01-23 서해기술단 주식회사 지능형 레이저 유도등
KR101502483B1 (ko) 2013-07-29 2015-03-13 임우철 피난구 유도등
KR101595313B1 (ko) 2014-08-29 2016-02-19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레이저를 이용한 지형지물의 식별이 가능한 길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585A (ja) * 2001-08-24 2003-10-31 Akiji Matoba 災害警報装置
KR100653604B1 (ko) 2005-03-28 2006-12-05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0986145B1 (ko) 2009-11-05 2010-10-07 윤병기 피난유도 시스템
KR20110059161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KR101502483B1 (ko) 2013-07-29 2015-03-13 임우철 피난구 유도등
KR101485115B1 (ko) * 2013-12-18 2015-01-23 서해기술단 주식회사 지능형 레이저 유도등
KR101595313B1 (ko) 2014-08-29 2016-02-19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레이저를 이용한 지형지물의 식별이 가능한 길 안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9081A (zh) * 2018-11-15 2019-03-29 江苏峰汇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消防应急照明灯具
KR102050030B1 (ko) * 2019-08-29 2019-11-28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050028B1 (ko) * 2019-08-30 2019-11-28 주식회사 한국방재리더스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167761B1 (ko) * 2020-01-31 2020-10-19 강유림 환자 케어 시스템
KR102633830B1 (ko) * 2023-06-18 2024-02-06 (주)아이엘컴퍼니 고보조명을 구비한 스마트 비상 유도 라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333B1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333B1 (ko) 비상 조명등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US5572183A (en) Laser light fire evacuation system
TWI674402B (zh) 微粒偵測組件、煙霧偵測器之組件、視覺對準工具及對準煙霧偵測器之組件的方法
KR20110059161A (ko)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CN107077771B (zh) 乘客疏散方向引导系统
KR101502483B1 (ko) 피난구 유도등
US10788186B2 (en) Illumination with blue UV light source and visible light source
JPS593230A (ja) ビ−ム・インジケ−タを有する受動赤外線侵入検知装置
KR20090101034A (ko) 비상구 안내장치
KR20150091882A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방향 및 위치 유도장치
KR102100411B1 (ko) 비상호출버튼과 화재감지센서와 주차표시등을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KR101960868B1 (ko) 식별이 용이한 광원부를 갖는 랙크식 창고용 피난 안내 장치
JP2008158830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KR102049087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KR101875106B1 (ko) 휴대용 비상 조명 장치
KR20190128321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JP2006277382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JP2007108964A (ja) 誘導システムおよび誘導方法
KR20210082580A (ko) 레이저피난유도장치 및 방법
KR20190140894A (ko) 화재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KR102150895B1 (ko) 비상상황에서의 대피유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