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59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591A
KR20180052591A KR1020180054151A KR20180054151A KR20180052591A KR 20180052591 A KR20180052591 A KR 20180052591A KR 1020180054151 A KR1020180054151 A KR 1020180054151A KR 20180054151 A KR20180054151 A KR 20180054151A KR 20180052591 A KR20180052591 A KR 20180052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dule
magnet
coil
elastic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창
김성훈
안병기
김포철
이중석
강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2591A/ko
Publication of KR2018005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5/00Anti-hunting arrangements
    • G05B5/04Anti-hunting arrangements fluid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46Housing modula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두 개의 렌즈 모듈을 각각 구동시키는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공용 마그네트를 공유함으로써, 복수의 액추에이터 간에 자계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두 개의 렌즈 모듈이 장착된 듀얼 카메라가 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듀얼 카메라는 2개의 독립된 카메라 모듈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집합시킨 형태로만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후 변형 등에 취약하여 보강재를 통한 추가적인 보강이 이루어져야 하며, 두 개의 렌즈 모듈을 각각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간의 간격을 가깝게 설계할 경우 자계 간섭으로 인하여 액추에이터의 구동 특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두 개의 렌즈 모듈을 각각 구동시키는 복수의 액추에이터 간에 자계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두 개의 렌즈 모듈을 각각 구동시키는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공용 마그네트를 공유함으로써, 복수의 액추에이터 간에 자계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두 개의 렌즈 모듈을 각각 구동시키는 복수의 액추에이터 간에 자계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렌즈 모듈 및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렌즈 모듈이 탄성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탄성 부재를 가압하는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와 하우징의 너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광축 방향은 제1 렌즈 모듈(210) 또는 제2 렌즈 모듈(23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렌즈 모듈(210), 제2 렌즈 모듈(230),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수용하는 하우징(100),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00),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500)을 포함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렌즈 배럴(210a, 230a) 및 렌즈 배럴(210a, 230a)과 결합하는 보빈(210b, 230b)을 포함한다.
렌즈 배럴(210a, 230a)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어느 하나의 화각이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광각 렌즈)되고, 나머지 하나의 화각이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망원 렌즈)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렌즈 모듈의 화각을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다양한 심도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피사체 대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일 예로, 합성)하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밝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저조도 환경에서도 피사체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줌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모두 수용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이동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베이스(110) 및 베이스(110)와 결합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에는 두 개의 광 경로 윈도우가 구비된다. 따라서, 두 개의 광 경로 윈도우를 통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통과한 광이 각각 이미지 센서(510, 530)에 수광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베이스(110)와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1000)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하우징(100)은 베이스(110)와 결합하고, 케이스(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130)는 베이스(110)와 결합하여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500)은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500)은 인쇄회로기판(550), 인쇄회로기판(550)에 연결되는 제1 이미지 센서(510) 및 제2 이미지 센서(530)를 포함한다.
각각의 이미지 센서(510, 530)는 각각의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각각의 이미지 센서(510, 53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300)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300)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 액추에이터(310)와 제2 액추에이터(33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코일 및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렌즈 모듈 및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액추에이터(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추에이터(300)는 제1 렌즈 모듈(210)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제1 코일(310a), 제2 렌즈 모듈(230)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제2 코일(330a), 및 제1 코일(310a)과 제2 코일(330a)에 모두 마주보도록 배치된 공용 마그네트(350)를 포함한다.
공용 마그네트(350)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사이에 배치되며,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공용 마그네트(350)의 일면(350a)은 제1 코일(310a)과 마주보고, 공용 마그네트(350)의 타면(350b)은 제2 코일(33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310a)과 공용 마그네트(350) 사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제1 렌즈 모듈(21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코일(330a)과 공용 마그네트(350) 사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제2 렌즈 모듈(23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액추에이터(300)는 제1 코일(310a)과 마주보도록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제1 마그네트(310b) 및 제2 코일(330a)과 마주보도록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제2 마그네트(3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310b)와 제2 마그네트(330b)는 각각 복수의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마그네트(310b)는 세 개의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330b)도 세 개의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일(310a), 제1 마그네트(310b) 및 공용 마그네트(350)는 제1 렌즈 모듈(21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310)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330a), 제2 마그네트(330b) 및 공용 마그네트(350)는 제2 렌즈 모듈(23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330)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액추에이터(310)와 제2 액추에이터(330)에 의하여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두 개의 액추에이터가 각각 서로 독립된 마그네트와 코일로 구성된 경우에는, 두 개의 액추에이터 사이의 간격을 좁게 설계하면 두 개의 액추에이터의 자계가 서로 간섭되어 액추에이터의 구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10)와 제2 액추에이터(330)가 공용 마그네트(350)를 일 구성으로서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액추에이터(310)와 제2 액추에이터(330) 사이의 간격을 줄이더라도 제1 액추에이터(310)와 제2 액추에이터(330) 간의 자계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액추에이터의 구동 특성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310)와 제2 액추에이터(330)가 공용 마그네트(350)를 일 구성으로서 공유하고 있으므로, 제1 액추에이터(310)와 제2 액추에이터(330) 사이의 간격을 좁게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0)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0)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미지 센서(510, 530)의 크기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일한 크기의 웨이퍼(Wafer)에서 생산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510, 530)의 수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용 마그네트(350)를 사용함으로써 액추에이터(300)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310b) 및 공용 마그네트(350)는 제1 렌즈 모듈(210)을 향하는 면들이 같은 극성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렌즈 모듈(210)의 외부면에 구비된 제1 코일(310a)과 마주보는 제1 마그네트(310b)의 일면(310b-1)과 공용 마그네트(350)의 일면(350a)은 제1 극성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네트(330b) 및 공용 마그네트(350)는 제2 렌즈 모듈(230)을 향하는 면들이 같은 극성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렌즈 모듈(230)의 외부면에 구비된 제2 코일(330a)과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330b)의 일면(330b-1)과 공용 마그네트(350)의 타면(350b)은 제2 극성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극성과 제2 극성은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며, 일 예로, 제1 극성은 N극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극성은 S극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공용 마그네트(350)의 두께는 제1 마그네트(310b)와 제2 마그네트(330b)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일 예로, 공용 마그네트(350)의 두께는 제1 마그네트(310b)의 두께(제1 마그네트(310b)를 구성하는 각각의 마그네트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2 마그네트(330b)의 두께(제2 마그네트(330b)를 구성하는 각각의 마그네트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 마그네트(310b)와 제2 마그네트(330b)는 각각 세 개의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고, 공용 마그네트(350)는 하나의 마그네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네 개의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네 개의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의 크기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이 광축과 평행하게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네 개의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이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제1 마그네트(310b)를 구성하는 세 개의 마그네트는 서로 동일한 두께로 설계되고, 공용 마그네트(350)의 두께는 제1 마그네트(310b)를 구성하는 각 마그네트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계된다. 공용 마그네트(350)와 제2 마그네트(330b)의 두께 관계도 이와 동일하다.
공용 마그네트(350)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이동시키는 데에 모두 관여하게 되므로, 공용 마그네트(350)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설계하여 구동력의 크기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렌즈 모듈이 탄성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탄성 부재를 가압하는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탄성 부재는 제1 렌즈 모듈(210)을 지지하는 제1 탄성 부재(410), 제2 렌즈 모듈(230)을 지지하는 제2 탄성 부재(430)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410)는 제1 렌즈 모듈(2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 및 제1 렌즈 모듈(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하부 탄성 부재(410b)를 포함하고, 제2 탄성 부재(430)는 제2 렌즈 모듈(23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 및 제2 렌즈 모듈(2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하부 탄성 부재(430b)를 포함한다.
제1 하부 탄성 부재(410b) 및 제2 하부 탄성 부재(430b)는 베이스(110)에 장착되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한다.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 및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는 홀더(130)에 장착되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의 상부를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 및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와, 하우징(100) 사이에는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 및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스페이서(600)가 배치된다. 스페이서(600)는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를 가압하는 제1 스페이서(610) 및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를 가압하는 제2 스페이서(630)를 포함하며,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공된다.
스페이서(600)의 상면은 하우징(100)과 접촉하고, 스페이서(600)의 하면은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 및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와 접촉한다.
스페이서(600)에 의해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 및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는 광축 방향 하측(일 예로, 베이스(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 및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가 결합된 홀더(130)도 광축 방향 하측으로 가압된다.
스페이서(600)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제1 상부 탄성 부재(410a) 및 제2 상부 탄성 부재(430a)는 홀더(130)에 대하여 평행도를 유지한 상태로 홀더(13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홀더(130)의 일단은 제1 하부 탄성 부재(410b) 및 제2 하부 탄성 부재(430b)와 접촉하며, 스페이서(600)에 의한 가압력이 홀더(130)에도 전달되므로, 결국 홀더(130)의 일단이 제1 하부 탄성 부재(410b) 및 제2 하부 탄성 부재(430b)를 광축 방향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하부 탄성 부재(410b) 및 제2 하부 탄성 부재(430b)는 베이스(110)에 대하여 평행도를 유지한 상태로 베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와 하우징의 너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렌즈 모듈(210)의 광 중심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D1)는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렌즈 모듈(210)의 광축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축 사이의 최단 거리(D1)는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광 중심은 광이 각 렌즈 모듈(210, 230)의 광축과 만나는 점을 의미하고, 너비는 도 7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변 중에서 짧은 측의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두 개의 렌즈 모듈로 촬영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는,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간의 거리를 가깝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가 멀게 설계될 경우에는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두 개의 이미지가 서로 다르게 촬영되어,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 또는 밝은 이미지의 생성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에서는 제1 렌즈 모듈(210)의 광 중심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D1)를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두 개의 렌즈 모듈을 각각 구동시키는 복수의 액추에이터 간에 자계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하우징 110: 베이스
120: 케이스 130: 홀더
210: 제1 렌즈 모듈 230: 제2 렌즈 모듈
300: 액추에이터 310: 제1 액추에이터
320: 제2 액추에이터 350: 공용 마그네트
410: 제1 탄성 부재 430: 제2 탄성 부재
500: 이미지 센서 모듈 600: 스페이서

Claims (16)

  1.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렌즈 모듈 및 제2 렌즈 모듈;
    상기 제1 렌즈 모듈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렌즈 모듈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각각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공용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마그네트는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제2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용 마그네트의 일면은 상기 제1 코일과 마주보고, 상기 공용 마그네트의 타면은 상기 제2 코일과 마주보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코일과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2 코일과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마그네트의 두께는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과 마주보는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일면과 상기 공용 마그네트의 일면은 제1 극성을 갖도록 착자되고,
    상기 제2 코일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일면과 상기 공용 마그네트의 타면은 제2 극성을 갖도록 착자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성과 상기 제2 극성은 서로 반대되는 극성인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광축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광축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은,
    각각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상부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하부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 상부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하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탄성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1 상부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탄성 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4. 하우징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렌즈 모듈과 제2 렌즈 모듈; 및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각각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외부면에 구비된 제1 코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외부면에 구비된 제2 코일 및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에 모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에 모두 마주보도록 배치된 마그네트는,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중 두께가 가장 두꺼운 마그네트인 카메라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광 중심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직선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KR1020180054151A 2018-05-11 2018-05-11 카메라 모듈 KR20180052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51A KR20180052591A (ko) 2018-05-11 2018-05-11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51A KR20180052591A (ko) 2018-05-11 2018-05-11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455A Division KR20170122469A (ko) 2016-04-27 2016-04-2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591A true KR20180052591A (ko) 2018-05-18

Family

ID=6245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151A KR20180052591A (ko) 2018-05-11 2018-05-1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25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1070A1 (en) Optical mechanism
CN109031584B (zh) 镜头驱动装置及包括镜头驱动装置的相机模块
US9846315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s for digital cameras
US9784988B2 (en)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US8587675B2 (en) Actuator and anti-vibration camera module using same
KR101792439B1 (ko) 카메라 모듈
US20200004110A1 (en) Camera module and stop module
KR20170122469A (ko) 카메라 모듈
KR101901702B1 (ko) 카메라 모듈
KR101813392B1 (ko) 카메라 모듈
KR102380841B1 (ko) 카메라 모듈
US11977320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102236A (ko) 카메라 모듈
KR20180135269A (ko) 카메라모듈
US20210405321A1 (en) Camera module
TWI726766B (zh) 相機模組與電子裝置
KR20180052591A (ko) 카메라 모듈
US20220086315A1 (en) Camera module
US11733538B2 (en) Camera module
KR101823272B1 (ko) 카메라 모듈
KR101813393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20731A (ko) 카메라 모듈
US20230194824A1 (en) Camera module
KR20230149220A (ko) 카메라 모듈
KR20210012811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