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992A -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992A
KR20180051992A KR1020160149007A KR20160149007A KR20180051992A KR 20180051992 A KR20180051992 A KR 20180051992A KR 1020160149007 A KR1020160149007 A KR 1020160149007A KR 20160149007 A KR20160149007 A KR 20160149007A KR 20180051992 A KR20180051992 A KR 2018005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ly
air
guide rollers
adsorptio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958B1 (ko
Inventor
양진석
Original Assignee
양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석 filed Critical 양진석
Priority to KR102016014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9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편기를 이용한 직조공장과 같이 섬유공장에서 발생되는 섬유 플라이(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 및 제거 후 깨끗한 에어를 다시 공장 내로 공급하도록 한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하우징(10) 속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이동하도록 설치된 흡착벨트(14), 상기 흡착벨트(14)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흡착벨트(14)를 지그재그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3)와 흡착벨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 상기 흡착벨트에 흡착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The dust collector having fly collection and filtration functions}
본 발명은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편기를 이용한 직조공장과 같이 섬유공장에서 발생되는 플라이(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 및 제거 후 깨끗한 에어를 다시 공장 내로 공급하도록 한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편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한 직조공장에서는 다량의 섬유 플라이(보푸라기)가 발생되며, 이러한 플라이는 공장 내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치므로 작업자의 건강을 위해 이러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또한 상기한 플라이를 제거하기 위해 청소에 장시간이 소요됨으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더불어 공기 중에 떠다니는 플라이가 생산중인 원단에 내려앉게 되어 불량을 발생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장 내 공기에 함유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0262491호(등록일자 2000년05월02일)에는 상기 공기흐름 방해판을 상기 통기구가 상기 물공급관이 형성하는 폐공간 내에 오도록 하면서 상기 통기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부에 위치시켜 먼지함유 기류통과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물분사노즐을 통해 먼지함유기류에 물을 분사시켜 먼지를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오염원의 먼지 포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섬유 보푸라기를 제거하기 위해 국내 공개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999-0023815호(공개일자 1999년07월05일)에는 공급되는 면사의 린트(LINT)로 인하여 발생하는 풍면(風綿)과 이물질 등을 일차적으로 걸러 낼 수 있는 환편기의 먼지제거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환편기의 먼지제거 송풍장치의 모터(M)에 여과필터(18)가 구성되는 먼지제거망(10)을 장착하는 환편기의 먼지제거 송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먼지 포집방법이나 송풍장치를 이용하는 먼지 제거방식은 다량의 플라이가 발생되는 섬유 공장에서는 플라이(보푸라기)에 의해 필터가 빨리 막혀 자주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를 해주어야 하고, 필터에 포집된 플라이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262491호(등록일자 2000년05월02일) 국내 공개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999-0023815호(공개일자 1999년07월0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흡입된 공기를 흡착 벨트로 향하기 하여 플라이(보푸라기)를 포함한 이물질이 흡착 벨트에 포집시키고, 그 흡착 벨트를 수조를 통과하게 하면서 에어 분사에 흡착벨트에 포집된 플라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개선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는, 송풍기를 통해 흡입구로 공장 내 공기를 흡입하여 세정수단에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속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이동하도록 설치된 흡착벨트, 상기 흡착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흡착벨트를 지그재그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흡착벨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들, 상기 흡착벨트에 흡착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은 에어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공급된 에어를 흡착벨트 표면으로 분사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롤러는 하우징에서 오염 공기 유입측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흡착벨트를 견인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들중 하나는 격판의 하단 밑에 설치되고, 가이드롤러들이 좌측과 우측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두 개의 가이드롤러들은 하우징 바닥 바로 위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흡착벨트가 상기 가이드롤러들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되고, 가이드롤러를 통과한 흡착벨트는 다시 구동롤러에서 구동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부분적으로 물이 채워져 수조로 형성되며, 두개의 가이드롤러가 상기 수조 내에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흡착벨트가 물이 채워진 수조 내를 통과하면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켜 필터에서 수조 내 물에 부유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벨트는 플라이를 비롯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게 점착성의 고무층과 상기 고무층을 지지하고 구동롤러와 가이드롤러들에 의해 이동되게 내구성을 갖는 지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고무층의 상면에는 플라이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게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흡착벨트의 고무층과 그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들에 플라이 등의 이물질들이 흡착되고, 다수의 롤러들이 하우징 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흡착벨트의 경로를 연장하여 종래의 세정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세정장치 내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에어노즐을 통해 흡착벨트에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수조 내 물속으로 탈락시켜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필터로 탈락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섬유공장 내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공기정화장치의 흡착벨트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2의 흡착벨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공장 내 복수 구역에 설치된 덕트에 연결된 복수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관로 연결구(2)를 갖는 흡입구(1)와 벨로우즈형 유입통로(3)를 통해 송풍기(4)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통로(4)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흡입장치와 상기 공기흡입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서 플라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세정수단(7)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단(7)은 유입공기의 경로를 연장하도록 상부에서 하방으로 설치된 격판(11)에 의해 하측이 연통되게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하우징(10)과 그 하우징 속으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플라이와 같은 이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벨트(14), 상기 흡착벨트(14)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모터(12)의 회전력으로 회전되어 흡착벨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13), 상기 흡착벨트가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과 상기 흡착벨트에 흡착된 플라이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단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정장치의 측부는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플라이 제거수단은 에어를 공급하는 펌프(30)와 상기 펌프에서 공급된 에어를 흡착벨트 표면으로 분사하는 에어노즐(23)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벨트(14)는 도 3에 부분확대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를 비롯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게 점착성의 고무층(140)과 상기 고무층을 지지하고 구동롤러(13)와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에 의해 이동되게 내구성을 갖는 지지층(14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무층(140)의 상면에는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증대시켜 플라이와 먼지 등이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게 다수의 돌기(1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벨트(14)는 하우징 내에서 지그재그로 이동할 때 공기가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게 다수의 홀(143)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13)는 하우징(10)에서 오염 공기 유입측에 설치되어 모터(12)에 의해 구동되어 흡착벨트를 견인하며, 상기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중 가이드롤러(15)는 격판(11)의 하단 밑에 설치되고, 이어서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들이 좌측과 우측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두 개의 가이드롤러(21,22)들은 하우징 바닥 바로 위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흡착벨트(14)가 상기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되고, 가이드롤러(22)를 통과한 흡착벨트는 다시 구동롤러(13)에서 구동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부분적으로 물이 채워져 수조(20)로 형성되며, 두개의 가이드롤러(21,22)가 상기 수조(20)에 배치되어서 흡착벨트(14)가 물이 채워진 수조 내를 통과하면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때, 흡착벨트(14)의 고무층(140)에 묻어 흡착된 플라이와 같은 이물질들의 제거를 위해 에어펌프(30)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노즐(23)을 통해 고무층(140)의 표면으로 분사되며, 바람직하게는 수조(20) 속에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롤러(21)에 측면에서 에어를 흡착벨트(14)로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벨트(14)에서 탈락되어 수조(20) 내에 부유되는 플라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수조 내의 물은 펌프로 순환되면서 필터(40)에서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공장 내 공기를 흡입하여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공기는 배출관(50)을 통해 공장 내로 배출되며, 이때 배출되는 공기에서 잔여의 플라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의 출구측에는 필터(52)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섬유 공장 내에서 플라이와 같은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벨트의 고무층과 그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들에 플라이와 이물질들이 효율적으로 흡착되고, 다수의 롤러들이 하우징 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흡착벨트의 경로를 연장하여 종래의 세정수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세정수단 내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에어노즐을 통해 흡착벨트에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수조 내 물속으로 탈락시켜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필터로 탈락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섬유공장 내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집진장치는 섬유 원단을 직조하는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격판
13 : 구동롤러 14 : 흡착벨트
15, 16, 17, 18, 19, 21, 22 : 가이드롤러
20 : 수조 30 : 에어펌프
40 : 필터 140 : 고무층
141 : 지지층 142 : 돌기
143 : 홀

Claims (5)

  1. 송풍기를 통해 흡입구로 공장 내 공기를 흡입하여 세정장치에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0) 속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이동하도록 설치된 흡착벨트(14), 상기 흡착벨트(14)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흡착벨트(14)를 지그재그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흡착벨트를 견인하는 구동롤러(13)와 흡착벨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 상기 흡착벨트에 흡착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은 에어를 공급하는 펌프(30)와 상기 펌프에서 공급된 에어를 흡착벨트 표면으로 분사하는 에어노즐(2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13)는 하우징(10)에서 오염 공기 유입측에 설치되어 모터(12)에 의해 구동되어 흡착벨트를 견인하며, 상기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중 가이드롤러(15)는 격판(11)의 하단 밑에 설치되고, 가이드롤러(16, 17, 18, 19)들이 좌측과 우측으로 배치되며, 두 개의 가이드롤러(21,22)들은 하우징 바닥 바로 위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흡착벨트(14)가 상기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되고, 가이드롤러(22)를 통과한 흡착벨트는 다시 구동롤러(13)에서 구동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부분적으로 물이 채워져 수조(20)로 형성되며, 두개의 가이드롤러(21,22)가 상기 수조(20)에 배치되어서 흡착벨트(14)가 물이 채워진 수조 내를 통과하면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켜 필터(40)에서 수조 내 물에 부유된 플라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벨트(14)는 보푸라기를 비롯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게 점착성의 고무층(140)과 상기 고무층을 지지하고 구동롤러(13)와 가이드롤러(15, 16, 17, 18, 19, 21, 22)들에 의해 이동되게 내구성을 갖는 지지층(141)을 구비하며, 상기 흡착벨트에는 공기가 관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다수의 홀(143)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층(140)의 상면에는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게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다수의 돌기(142)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1020160149007A 2016-11-09 2016-11-09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10188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07A KR101881958B1 (ko) 2016-11-09 2016-11-09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07A KR101881958B1 (ko) 2016-11-09 2016-11-09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992A true KR20180051992A (ko) 2018-05-17
KR101881958B1 KR101881958B1 (ko) 2018-08-24

Family

ID=6248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007A KR101881958B1 (ko) 2016-11-09 2016-11-09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9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6711A (zh) * 2018-06-14 2018-11-02 和县新拓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工厂污水处理排放装置
WO2020209696A1 (ko) * 2019-04-12 2020-10-15 서성균 분진 제거 장치
CN112516705A (zh) * 2020-11-11 2021-03-19 梁桂清 一种建筑施工除尘保护方法
CN114887431A (zh) * 2022-05-06 2022-08-12 安徽和谐暖通工程有限公司 一种三塔式rto废气过滤装置
CN115671921A (zh) * 2022-11-10 2023-02-03 湖南岳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气回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07B1 (ko) * 2005-12-02 2006-09-25 주식회사 두원정밀 습식 공기청정기
KR100622690B1 (ko) * 2006-03-23 2006-09-19 (주)제일기건 순환형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JP2015091574A (ja) * 2013-09-30 2015-05-14 東レ株式会社 分離膜エレメン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6711A (zh) * 2018-06-14 2018-11-02 和县新拓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工厂污水处理排放装置
CN108726711B (zh) * 2018-06-14 2021-03-16 和县新拓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工厂污水处理排放装置
WO2020209696A1 (ko) * 2019-04-12 2020-10-15 서성균 분진 제거 장치
CN112516705A (zh) * 2020-11-11 2021-03-19 梁桂清 一种建筑施工除尘保护方法
CN114887431A (zh) * 2022-05-06 2022-08-12 安徽和谐暖通工程有限公司 一种三塔式rto废气过滤装置
CN115671921A (zh) * 2022-11-10 2023-02-03 湖南岳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气回收设备
CN115671921B (zh) * 2022-11-10 2023-06-23 湖南岳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气回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958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958B1 (ko)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100921921B1 (ko) 습식 필터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0912658B1 (ko)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210255603U (zh) 一种机械加工用钢板表面除锈装置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CN110631165B (zh) 一种密闭空间通风换气装置
KR20160035754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150107346A (ko) 공기 정화장치
KR100888043B1 (ko) 필터의 연속재생이 가능한 집진시스템
KR102068067B1 (ko) 도장부스용 배기시스템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20120020542A (ko) 팬을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0602869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KR101610739B1 (ko) 습식 집진기 세척 장치
KR100671844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KR101742738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0589788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102107164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0309268Y1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KR101236503B1 (ko) 공기정화장치
KR200405172Y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0622690B1 (ko) 순환형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0640733B1 (ko) 흡입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050101512A (ko) 공기정화기
KR102119826B1 (ko) 우드 펠렛 제조용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