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172Y1 -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172Y1
KR200405172Y1 KR2020050030406U KR20050030406U KR200405172Y1 KR 200405172 Y1 KR200405172 Y1 KR 200405172Y1 KR 2020050030406 U KR2020050030406 U KR 2020050030406U KR 20050030406 U KR20050030406 U KR 20050030406U KR 200405172 Y1 KR200405172 Y1 KR 200405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washing water
wash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명해
Original Assignee
예명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명해 filed Critical 예명해
Priority to KR2020050030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46/7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01D46/76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involv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 B01D46/2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the belts travelling during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를 순환식으로 구성하고, 그 일측을 세척수조에 침수시켜 일정주기마다 순환시키면서 세척되도록하여 항상 최상의 필터성능을 유지하록 함과 아울러 중금속 등을 제거를 위한 니켈망을 장치하여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공기 흡입팬(16)과, 상기 공기 흡입팬(16)에 의해 내부로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12) 및 흡입된 공기를 다시 배출시키는 배출구(14)와, 상기 흡입구(12)와 배출구(14) 사이의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필터실(20)과, 싱기 필터실(20) 내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하부 롤러(24a,24b) 및 이에 감겨 회전되는 필터(22)와, 세척수 공급 및 배수구(34a,34b)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실(20) 하부에 위치하며 저수된 세척수에 상기 필터(22)의 하부를 소정깊이 침수시켜 필터(22)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척수조(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조(30)의 내부에 초음파세척기(32)가 장치되고, 상기 수조내에 세척수의 오염을 감지하여 세척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오염감지센서(36)가 장치되고, 상기 필터(22)의 전방에 중금속을 제거하는 니켈망(37)이 설치되며, 습도센서(39)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원적외선 히터(40)가 배출구(14) 쪽에 설치되고, 상기 니켈망(37) 전방에 음이온발생기(18)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필터가 상,하부 롤러에 감겨 회전되는 순환실 필터이고, 그 하부가 세척수조에 소정깊이 침수되어 일정주기 또는 저속으로 회전되므로 세척수조의 세척수 및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어 항상 깨끗한 최상의 필터성능을 유지함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척수만 교체하여주면 종래와 같이 필터를 교체 또는 인위적인 세척이 필요없으므로 사용 및 유지관리에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 상기 필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니켈망이 장치되어 있으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내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들이 효과적으로 필터링되는 장점이 있다.
공기, 정화, 청정기, 필터, 세척수, 수조, 초음파,

Description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Filter of air clean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 - 흡입구
14 - 배출구 16 - 흡입팬
18 - 음이온발생기 20 - 필터실
22 - 필터 24a,24b - 상,하부롤러
30 - 세척수조 32 - 초음파세척기
34a,34b - 공급 및 배수구 36 - 오염감지센서
37 - 니켈망 38 - 제어부
39 - 습도센서 40 - 원적외선 히터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를 순환식으로 구성하고, 그 일측을 세척수조에 침수시켜 일정주기마다 순환시키면서 세척되도록하여 항상 최상의 필터성능을 유지하록 함과 아울러 중금속 등을 제거를 위한 니켈망을 장치하여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크게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에 의해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다시 배출시키는 배출구 및 공기 이송로내에서 유입된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는 다양한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성능 또한 필터 제조기술의 발전에 의해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필터는 자체 세척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는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지는 모르나, 시간이 지나면서 걸러져 축척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공기정화 성능이 점점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때문에 일정주기가 지나면 필터를 교체하거나 공기청정기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한 후 다시 장착하여 사용해야야 한다. 특히 실내 공기상태에 따라 필터의 교체 및 세척 주기가 달라지는데, 실내공기가 오염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필터의 관리주기가 더욱더 앞당겨지기 때문에 수시로 필터의 상태를 관찰하여 오염상태에 따라 필터를 교체하거나 세척해 주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다 보면 필터의 오염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기가 매우 번거러워 필터 관리를 소홀히 하게 됨으로 오히려 오염된 필터에 의해 더욱더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 적은 순환실 필터를 구성하여 그 일측을 세척수조에 침수시킨 후 일정주기마다 순환시키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하여 항상 최상의 필터성능을 유지하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니켈망을 장치하여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습도센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원적외선 히터를 배출구 쪽에 설치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공기 흡입팬과,
상기 공기 흡입팬에 의해 내부로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 및 흡입된 공기를 다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필터실과,
싱기 필터실 내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하부롤러 및 이에 감겨 회전되는 필터와,
세척수 유입 및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실 하부에 위치하며 저수된 세척수에 상기 필터의 하부를 소정깊이 침수시켜 필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척수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조의 내부에 초음파 세척기가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의 전방에 중금속을 제거하는 니켈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습도센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원적외선 히터를 배출구 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입구 일측에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정화필터 구조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본체(10) 전면에 흡입구(12)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 후측에 상향의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12) 내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흡입팬(16) 및 흡입구(12) 상단부에 음이온발생기(1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흡입구(12)와 배출구(14), 흡입팬(16) 및 음이온발생기(18)의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몸체 내부에는 필터실(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실(20)에는 구동모터(25)에 의해 회전되는 상,하부 롤러(24a,24b)가 이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 롤러(24a,24b)에는 필터(22)가 감겨져 있다. 특히 필터실(20)의 하부에는 세척수(31)가 저수된 세척수조(30)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 롤러(24b)가 침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세척수조(30)의 내부에는 살균 및 세척을 위한 초음파세척기(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22)의 전방에는 니켈망(37)이 설치되어 중금속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 내지 걸러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에는 상기 장치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제어부(38)에 습도센서(39)를 통한 실내의 습도 정보가 입력되어 실내의 습도가 높은 경우 제어부(38)의 제어를 받으면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원적외선 히터(40)를 배출구(14) 쪽에 설치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제거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기청정기가 온(ON)되면 흡입팬(16)이 작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12)로 흡입하여 니켈망(37)과 필터(22)를 통해 배출구(14)로 배출시킨다.
흡입팬(16)에 의해 강제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흡입구(12)의 상부에 설치된 음이온발생기(18)에 의해 포함된 먼지와 같은 것이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되고, 이차로 니켈망(37)을 통과하면서 중금속과 같은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이어서 3차로 필터(22)를 통과하면서 대부분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배출구(14)로 배출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22)는 상,하부 롤러(24a,24b)에 의해 감겨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 또는 하부 롤러(24a)(24b) 지름 간격을 두고 두겹을 이루어지므로 두번에 걸친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터(22)는 구동모터(25) 및 상,하부 롤러(24a,24b)에 의해 일정 주기로 회전하거나 또는 천천히 회전하여 순환된다. 순환하면서 하부의 세척수조(30)내의 세척수(31)에 침수되게 되는데, 이때 세척수(31)에 의해 의해 오염물질이 세척된다. 특히 세척수조(30)내의 초음파세척기(32)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살균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세척 및 살균작용이 완료된 깨끗한 필터(22)는 다시 세 척수조(30)를 벗어나 유입된 실내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제어부(38)에 습도센서(39)를 통한 실내의 습도 정보가 입력되어 실내의 습도가 높은 경우 제어부(38)의 제어를 받으면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원적외선 히터(40)를 배출구(14) 쪽에 설치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제거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세척수조(30)의 일측에는 세척수 공급구(34a)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세척수 배수구(3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 주기로 오염된 세척수(31)를 배수구(34b)로 배수시킨 후 세척수 공급구(34a)를 통해 새로운 세척액을 공급해준다.
이와 같이 간단한 세척수(31)의 교체를 통해서 번거로운 필터(22)의 교체 또는 인위적 세척작업이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상기 세척수조(30)내에 세척수(31) 오염 상태를 센싱하는 오염감지센서(36)를 장치하여 이를 통해 상기 세척수(31)의 혼탁정도를 감지하여 필요시 세척수(31)의 교체주기를 자동으로 알려주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터가 상,하부 롤러에 감겨 회전되는 순환실 필터이고, 그 하부가 세척수조에 소정깊이 침수되어 일정주기 또는 저속으로 회전되므로 세척수조의 세척수 및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어 항상 깨끗한 최상의 필터성능을 유지함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성능이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척수만 교체하여주면 종래와 같이 필터를 교체 또는 인위적인 세척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사용 및 유지관리에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 상기 필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니켈망이 장치되어 있으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내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들이 효과적으로 필터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공기 흡입팬(16)과,
    상기 공기 흡입팬(16)에 의해 내부로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12) 및 흡입된 공기를 다시 배출시키는 배출구(14)와,
    상기 흡입구(12)와 배출구(14) 사이의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필터실(20)과,
    싱기 필터실(20) 내에 구동모터(25)에 의해 회전되는 상,하부 롤러(24a,24b) 및 이에 감겨 회전되는 필터(22)와,
    세척수 공급 및 배수구(34a,34b)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실(20) 하부에 위치하며 저수된 세척수(31)에 상기 필터(22)의 하부를 소정깊이 침수시켜 필터(22)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척수조(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조(30)의 내부에 초음파세척기(32)가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조(30) 내에 세척수(31)의 오염을 감지하여 세척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오염감지센서(36)가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2)의 전방에 중금속을 제거하는 니켈망(3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망(37) 전방에 음이온발생기(18)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배출구(14) 쪽에는 원적외선 히터(40)를 설치하여 습도센서(39)를 통해 측정한 습도 정보에 의해 제어부(38)에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2020050030406U 2005-10-26 2005-10-26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200405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06U KR200405172Y1 (ko) 2005-10-26 2005-10-26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06U KR200405172Y1 (ko) 2005-10-26 2005-10-26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172Y1 true KR200405172Y1 (ko) 2006-01-10

Family

ID=4175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406U KR200405172Y1 (ko) 2005-10-26 2005-10-26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17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94B1 (ko) 2007-04-27 2009-05-07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집진기 셀 청소장치
KR101363326B1 (ko) 2012-01-05 2014-02-17 김행숙 습식 공기청정기
KR20190000295U (ko) * 2017-07-24 2019-02-07 박일중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KR102036156B1 (ko) * 2019-07-23 2019-10-25 (주)유성엔비텍 폐기물처리시설용 악취제거장치
KR102095716B1 (ko) * 2019-03-27 2020-04-02 최재원 다기능 공기조화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94B1 (ko) 2007-04-27 2009-05-07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집진기 셀 청소장치
KR101363326B1 (ko) 2012-01-05 2014-02-17 김행숙 습식 공기청정기
KR20190000295U (ko) * 2017-07-24 2019-02-07 박일중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KR200489747Y1 (ko) * 2017-07-24 2019-08-02 박일중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KR102095716B1 (ko) * 2019-03-27 2020-04-02 최재원 다기능 공기조화시스템
KR102036156B1 (ko) * 2019-07-23 2019-10-25 (주)유성엔비텍 폐기물처리시설용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921B1 (ko) 습식 필터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0405172Y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CN106149280B (zh)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KR101881958B1 (ko)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200429519Y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0583071B1 (ko) 스크린 공기세정시스템
CN218812690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104015127A (zh) 一种无尘石雕磨削系统
JP2001120890A (ja) 洗濯機
JP2001079293A (ja) 洗濯機
KR102064953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JPH11276794A (ja) 洗濯機
KR20230093702A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20150118323A (ko) 수막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KR20120126826A (ko) 공기 청정기
KR102183577B1 (ko) 여과와 세정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여과시스템
KR200343301Y1 (ko) 세정식 공기정화장치의 수조세척 및 처리수 교환장치
CN216495128U (zh) 清洁设备及其机身
KR101641888B1 (ko) 여과장치
KR20200137525A (ko) 매연 정화기
JP2003170010A (ja) 濾過装置
KR20040049768A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CN111850966A (zh) 一种洗衣机
KR20180123389A (ko) 공기정화용 사이클론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링모듈
CN216171080U (zh) 打磨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