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247A - 공작기계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247A
KR20180051247A KR1020160148317A KR20160148317A KR20180051247A KR 20180051247 A KR20180051247 A KR 20180051247A KR 1020160148317 A KR1020160148317 A KR 1020160148317A KR 20160148317 A KR20160148317 A KR 20160148317A KR 20180051247 A KR20180051247 A KR 2018005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ed
head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두인
Original Assignee
정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두인 filed Critical 정두인
Priority to KR102016014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247A/ko
Publication of KR2018005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23B29/248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with individually adjustable too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23B29/20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for placing same by shanks in sleeves of a turret
    • B23B29/205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for placing same by shanks in sleeves of a turret the tool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2Tool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공작기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공작기계장치는: 가공대상체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장착몸체부와, 장착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부와, 브라켓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대상체를 가공하는 바이트를 구비하는 홈가공부를 포함하며, 바이트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가공대상체의 가공영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장치{MACHINE TOOL DEVICE}
본 발명은 공작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브라켓에 장착 가능한 홈가공용 툴을 제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물을 절삭 가공하여 기계의 부품을 가공하는 장치이며,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위치결정 수단과 절삭 공구에 의한 절삭 수단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각종의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의 소재를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거나, 반소재에 더욱 정밀한 가공을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공작기계라 한다.
선반 중 CNC 선반에는 홀가공 바이트, 외경가공 바이트, 홈가공 바이트 등의 여러 종류의 바이트가 장착되면서 가공대상체를 가공한다.
이때 홀가공 바이트, 외경가공 바이트, 홈가공 바이트가 각각 전용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로 선반에 결합되므로, 가공 작업이 중간에 변경되는 경우 바이트의 교체뿐만 아니라 브라켓의 교체도 수반되어 작업 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작업 시간도 늘어나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홈가공 바이트의 경우 바이트의 치수에 따라 가공이 가능한 홈의 폭이 특정되어 있으므로, 넓은 폭의 홈을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 서로 다른 폭 영역을 갖는 홈가공 바이트를 여러 번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홈가공 바이트의 헤드가 파손되는 경우 홈가공 바이트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파손 정도에 비해 유지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22962호(2016.10.25 공개, 발명의 명칭: CNC 공작기계의 다축 가공을 위한 고정용 지그의 공작물 회전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브라켓에 장착 가능한 홈가공용 툴을 제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의 교체 없이도 홈의 가공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공작기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홈가공 바이트나 헤드부가 파손된 경우, 해당 부위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작기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장치는: 가공대상체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장착몸체부와, 장착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부와, 브라켓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대상체를 가공하는 바이트를 구비하는 홈가공부를 포함하며, 바이트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가공대상체의 가공영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라켓부는, 장착몸체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몸체와, 홈가공부가 장착되기 위한 홈부를 브라켓몸체에 형성하는 안착부 및 브라켓몸체를 관통하여 안착부의 내측에 위치한 홈가공부의 측면을 가압하여 홈가공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홈가공부는, 안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측면이 가압되어 고정되는 장착브라켓 및 장착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바이트를 구비하는 가공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공몸체부는, 바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장착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몸체부 및 헤드부와 고정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헤드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공몸체부는, 헤드부와 회전구속부를 관통하여 고정몸체부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부는, 고정몸체부에 연이어 설치되는 헤드몸체 및 헤드몸체의 단부에 고정되며 바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구속부는, 헤드부에 고정되며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제1맞물림부 및 제1맞물림부에 걸리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고정몸체부에 고정되는 제2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맞물림부와 제2맞물림부에 구비된 돌기는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제1맞물림부와 함께 회전되어 설치위치가 가변되는 바이트에 의해 가공대상체의 가공영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장치는, 바이트를 구비한 홈가공부가 브라켓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대상체를 가공하기 위한 다른 툴과 호환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몸체부를 중심으로 헤드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별도의 공구의 교체 없이도 홈의 가공영역을 변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트나 헤드부가 파손된 경우, 해당 부위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가공부가 브라켓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가공부가 브라켓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몸체부가 장착브라켓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몸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몸체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회전으로 바이트의 설치위치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가공부가 브라켓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가공부가 브라켓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몸체부가 장착브라켓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몸체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몸체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몸체부의 단면도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회전으로 바이트의 설치위치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장치(1)는, 가공대상체(1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장착몸체부(30)와, 장착몸체부(30)의 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부(40)와, 브라켓부(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대상체(10)를 가공하는 바이트(76)를 구비하는 홈가공부(50)를 포함한다.
가공대상체(10)는 파지부(20)에 파지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홈가공부(50)에 의해 가공대상체(10)의 표면에 홈을 형성한다. 파지부(20)는 가공대상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가공대상체(10)에 파지부(20)가 고정되므로 가공대상체(10)와 파지부(20)가 함께 회전된다. 공작기계장치(1)에서 가공대상체(10)를 고정하기 위한 파지부(20)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착몸체부(30)는 가공대상체(1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장착몸체부(30)에는 브라켓부(40)가 고정된다. 브라켓부(40)의 내측에는 홈가공부(5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홈가공부(50) 외에도 가공대상체(10)를 가공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공구도 브라켓부(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장착몸체부(30)는 파지부(2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몸체부(3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몸체부(30)의 측면에 브라켓부(4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브라켓부(40)는 장착몸체부(30)의 측면에 설치되며, 브라켓부(40)의 내측에는 홈가공부(50) 또는 가공대상체(10)를 가공하기 위한 공구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40)는 브라켓몸체(42)와 안착부(44)와 고정부재(46)를 포함한다.
브라켓몸체(42)는 장착몸체부(3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착몸체부(30)의 측면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볼트의 결합에 의해 장착몸체부(30)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안착부(44)는 홈가공부(50)가 장착되기 위한 홈부를 브라켓몸체(42)에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44)는 브라켓몸체(42)의 내측에 수평방향(도 3기준)으로 홈을 형성한다.
고정부재(46)는 브라켓몸체(42)를 관통하여 안착부(44)의 내측에 위치한 홈가공부(50)의 측면을 가압하여 홈가공부(50)의 이동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46)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브라켓몸체(42)를 관통하여 안착부(44)에 삽입된 홈가공부(50)의 측면을 가압하므로 홈가공부(50)의 이동을 구속한다.
홈가공부(50)는 브라켓부(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대상체(10)를 가공하는 바이트(76)를 구비하며, 바이트(76)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가공대상체(10)의 가공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홈가공부(50)는, 안착부(44)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고정부재(46)에 의해 측면이 가압되어 고정되는 장착브라켓(60)과, 장착브라켓(6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바이트(76)를 구비하는 가공몸체부(70)를 포함한다.
장착브라켓(60)은 브라켓부(40)의 안착부(44)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46)에 의해 고정되며, 장착브라켓(60)의 내측에는 바이트(76)를 포함한 가공몸체부(7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60)은 장착몸체(62)와 외측평탄부(64)와 체결볼트(66)를 포함한다.
장착몸체(62)는 파이프 형상이며, 장착몸체(62)의 측면에는 외측평탄부(64)가 설치된다. 외측평탄부(64)는 원호를 형성하는 장착몸체(62)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브라켓부(40)의 내측에 장착브라켓(60)이 삽입된 경우, 외측평탄부(64)에 고정부재(46)가 접하면서 가압하므로 장착브라켓(60)의 회전을 구속한다.
장착몸체(62)의 내측에는 가공몸체부(70)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장착몸체(62)의 내측에 가공몸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볼트(66)가 장착몸체(62)를 관통하여 가공몸체부(70)를 가압하므로 가공몸체부(70)의 이동을 구속한다.
가공몸체부(70)는 가공대상체(10)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트(76)를 구비하며 장착브라켓(6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나, 가공대상체(10)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공구 등도 장착브라켓(6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60)에는 복수지점에 홀부가 형성되고, 해당 홀부에는 장착브라켓(60)의 중앙홀부로 출몰 가능한 체결볼트(66)가 설치된다. 체결볼트(66)는 가공몸체부(70)가 장착브라켓(60)의 중앙홀부에 삽입된 후 중앙홀부를 향한 장착몸체(62)의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가공몸체부(70)를 장착브라켓(60)의 내측에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가공몸체부(70)의 외측면에는 체결볼트(66)가 삽입 가능한 홈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볼트(66)가 복수지점에서 홈부에 삽입되는 것이 확인되면, 가공몸체부(70)가 장착브라켓(60)의 정위치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몸체부(70)는 헤드부(72)와 고정몸체부(80)와 회전구속부(90)와 체결부재(100)를 포함한다.
헤드부(72)는 바이트(7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몸체부(8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72)는 헤드몸체(74)와 바이트(76)와 지지브라켓(78)을 포함한다.
헤드몸체(74)는 고정몸체부(80)에 연이어 설치되며 원기둥 형상을 구비한다. 지지브라켓(78)은 헤드몸체(74)의 단부에 고정되며, 바이트(7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를 구비한다. 헤드몸체(74)에서 돌출된 지지브라켓(78)에 바이트(7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바이트(76)가 파손된 경우에는 바이트(76)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72)에는 홈파기가 실제 이루어지는 홈파기용 바이트(76)가 부착되며, 헤드부(72)가 고정몸체부(80)에 대해 회전 가능함에 따라, 홈파기용 바이트(76)가 가공대상체(10)와 이루는 각도가 조정된다. 홈파기 바이트(76)의 각도에 의해 특정되는 홈의 폭 영역을 축소 또는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기존 여러 개의 가공몸체부(70)에 의해 가공이 가능했던 넓은 폭의 홈 가공을 하나의 가공몸체부(70)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부(80)는 헤드부(72)에 연이어 설치되며, 장착브라켓(6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몸체부(80)는 지지몸체(82)와 내측평탄부(84)를 포함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몸체(82)는 브라켓부(40)의 안착부(44)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지지몸체(82)의 측면에는 지지몸체(82)의 길이방향으로 내측평탄부(84)가 설치된다. 평면 형상을 갖는 내측평탄부(84)는 지지몸체(82)와 함께 장착브라켓(6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체결볼트(66)가 내측평탄부(84)를 가압하므로 고정몸체부(80)의 회전이 구속된다.
헤드부(72)와 고정몸체부(80)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이들 사이에 서로 대향되고 교합되는 기어인 회전구속부(90)가 설치된다. 이로써 헤드부(72)에 부착된 홈파기용 바이트(76)에 의한 홈가공 시 헤드부(72)가 고정몸체부(80)에 대해 헛도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회전구속부(90)는 헤드부(72)와 고정몸체부(80)의 사이에 위치하며,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헤드부(72)의 회전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속부(90)는, 헤드부(72)에 고정되며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제1맞물림부(92)와, 제1맞물림부(92)에 걸리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고정몸체부(80)에 고정되는 제2맞물림부(96)를 포함한다.
제1맞물림부(92)에 구비된 돌기인 제1돌기(94)와, 제2맞물림부(96)에 구비된 돌기인 제2돌기(98)는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제1맞물림부(92)와 함께 회전되어 설치위치가 가변되는 바이트(76)에 의해 가공대상체(10)의 가공영역이 조절된다.
제1맞물림부(92)는 헤드부(7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방사형으로 돌출된 제1돌기(94)가 고정몸체부(80)에 고정된 제2맞물림부(96)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맞물림부(96)는 고정몸체부(8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방사형으로 돌출된 제2돌기(98)가 구비되므로, 제1맞물림부(92)와 제2맞물림부(96)는 서로 어긋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헤드부(72)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1맞물림부(92)는 헤드부(72)의 하측에 고정되며, 제2맞물림부(96)는 고정몸체부(80)의 상측에 고정된다.
체결부재(100)는 헤드부(72)와 회전구속부(90)를 관통하여 고정몸체부(80)에 고정되므로, 헤드부(72)와 고정몸체부(80)와 회전구속부(90)와 체결부재(100)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볼트 형상의 체결부재(100)는 헤드부(72)와 회전구속부(90)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몸체부(80)에 체결되므로, 헤드부(72)의 회전 각도와 상관없이 헤드부(72)를 고정몸체부(8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헤드부(72)와 고정몸체부(80)에는 각각 지시부재(112)와 눈금부재(110)가 설치되므로 헤드부(72)의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고정몸체부(8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눈금부재(110)가 설치되며, 눈금부재(110)와 마주하는 헤드부(72)에는 지시부재(112)가 설치되므로 헤드부(72)의 회전각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헤드부(72)가 고정몸체부(80)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와 이에 따른 홈의 폭 영역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회전 각도 및 홈의 폭 영역에 관한 눈금을 헤드부(72)와 고정몸체부(80)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72)가 파손되는 경우 헤드부(72)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가공대상체(10)를 가공하는 다른 유형의 바이트를 사용한 후, 해당 바이트를 포함한 뭉치는 브라켓부(40)에서 분리된 후, 가공몸체부(70)가 결합되 장착브라켓(60)을 브라켓부(40)에 결합한다.
가공몸체부(70)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공몸체부(70)를 감싸는 장착브라켓(60)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가공몸체를 가공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공구도 장착브라켓(60)을 매개로 브라켓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홀가공 바이트의 작업 후, 홀가공 바이트용 브라켓부(40)를 장착몸체부(30)에서 분리할 필요 없이, 매개뭉치인 장착브라켓(60)에 결합된 홈가공 바이트(76)를 포함한 가공몸체부(70)를 홀가공 바이트용 브라켓부(40)에 바로 삽입하여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작기계장치(1)의 다른 가공 작업 시에도 브라켓부(40)의 교체가 불필요하므로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고 소요 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체결부재(100)를 풀어 헤드부(72)를 회전 가능하게 한 후에, 눈금부재(110)와 지시부재(112)를 참조하여 헤드부(72)를 회전시켜 회전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므로 바이트(76)의 홈가공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유형의 바이트 사용 후, 홈가공을 하기 위한 바이트(76)를 구비한 홈가공부(50)가 브라켓부(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가공대상체(10)를 가공하기 위한 다른 툴과 호환이 이루어져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몸체부(80)를 중심으로 헤드부(7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별도의 공구의 교체 없이도 홈의 가공영역을 변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이트(76)나 헤드부(72)가 파손된 경우, 해당 부위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공몸체부(70)의 헤드부(72)를 고정몸체부(8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홈가공 시의 홈의 폭 영역을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어 1개의 가공몸체부(70)로서 커버할 수 있는 홈가공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공작기계장치 10: 가공대상체
20: 파지부 30: 장착몸체부
40: 브라켓부 42: 브라켓몸체
44: 안착부 46: 고정부재
50: 홈가공부 60: 장착브라켓
62: 장착몸체 64: 외측평탄부
66: 체결볼트 70: 가공몸체부
72: 헤드부 74: 헤드몸체
76: 바이트 78: 지지브라켓
80: 고정몸체부 82: 지지몸체
84: 내측평탄부 90: 회전구속부
92: 제1맞물림부 94: 제1돌기
96: 제2맞물림부 98: 제2돌기
100: 체결부재 110: 눈금부재
112: 지시부재

Claims (8)

  1. 가공대상체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장착몸체부;
    상기 장착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공대상체를 가공하는 바이트를 구비하는 홈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트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가공대상체의 가공영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장착몸체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몸체;
    상기 홈가공부가 장착되기 위한 홈부를 상기 브라켓몸체에 형성하는 안착부; 및
    상기 브라켓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홈가공부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홈가공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가공부는, 상기 안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측면이 가압되어 고정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바이트를 구비하는 가공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몸체부는, 상기 바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장착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고정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기 헤드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몸체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회전구속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몸체부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에 연이어 설치되는 헤드몸체; 및
    상기 헤드몸체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부는,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며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제1맞물림부; 및
    상기 제1맞물림부에 걸리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몸체부에 고정되는 제2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맞물림부와 상기 제2맞물림부에 구비된 돌기는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맞물림부와 함께 회전되어 설치위치가 가변되는 상기 바이트에 의해 상기 가공대상체의 가공영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장치.
KR1020160148317A 2016-11-08 2016-11-08 공작기계장치 KR20180051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17A KR20180051247A (ko) 2016-11-08 2016-11-08 공작기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17A KR20180051247A (ko) 2016-11-08 2016-11-08 공작기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247A true KR20180051247A (ko) 2018-05-16

Family

ID=6245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317A KR20180051247A (ko) 2016-11-08 2016-11-08 공작기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983B1 (ko) 표면가공을 위한 가공물 클램핑 자동화장치
KR101098211B1 (ko) 다공정 복합가공장치
US8241093B2 (en) Precision guiding device in a machine for machining cylindrical components
MXPA05013534A (es) Accesorio para maquinas herramienta.
KR102210680B1 (ko) 정밀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절삭인서트용 공구홀더
US9821426B2 (en) Apparatus for adding an additional rotation axis to a multi-axis tooling machine
KR101807827B1 (ko) 심압대 개조 선반의 파이프위치조절장치 및 파이프위치 조절장치를 이용한 파이프 가공방법
KR20140107006A (ko) 구멍 가공용 백챔퍼링 공구
KR20180051247A (ko) 공작기계장치
EP1667826B1 (en) Alignment ring for a punch
KR20180039353A (ko) 컵형 와이어 브러쉬를 장착한 자동 면취기의 구조
KR101807510B1 (ko) 심압대 개조 선반의 스플라인 축 구조 및 스플라인 축 구동방법
KR100987153B1 (ko) 다중 편심 지그
US20230158580A1 (en) Chuck jaw
KR100363187B1 (ko) 공작기계용 작업지그
KR20200036878A (ko) 절삭 공구 및 조절 장치가 장착된 절삭 공구를 위한 조절 장치
CN213135844U (zh) 用于台阶轴结构的夹具及机床
CN111515714B (zh) 工件保持工具
KR20220101258A (ko) 드릴머신용 가변형 보조 테이블
KR101612540B1 (ko) 공작기계의 피가공물 고정장치
KR101807811B1 (ko) 심압대를 개조한 선반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의 가공방법
KR20190001384U (ko) 선반의 래비린스 시일 가공용 바이트구조체
KR20210138334A (ko) 치공구 핀의 결합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용 조립체
KR101855160B1 (ko) 평면 각 및 가공 토크 조절 구조를 가지는 탭 드릴 머신
JP2016221534A (ja) 鍛造装置及び鍛造装置の再芯出し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