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012A -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012A
KR20180051012A KR1020160147788A KR20160147788A KR20180051012A KR 20180051012 A KR20180051012 A KR 20180051012A KR 1020160147788 A KR1020160147788 A KR 1020160147788A KR 20160147788 A KR20160147788 A KR 20160147788A KR 20180051012 A KR20180051012 A KR 2018005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hydrogen
battery
present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해
Priority to KR102016014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012A/ko
Publication of KR2018005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0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11/1811
    • B60L11/1816
    • B60L11/1848
    • B60L11/18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30/28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현재 개발된 전기자동차 예를 들어 EV(Electric Vehicle), PHEV(Plug in Hybrid EV) 등은 충전 인프라의 구축의 한계로 인해 충전소가 충분히 보급되어 있지 않으며, 특성상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충전소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과정 자체가 매우 번거롭다. 더욱이 충전 피크시간에는 충전소에 도착하더라도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1)에서는 수소연료 자동차의 충전기(200)에 자신이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300-1)의 충전과 무관한 한 개 이상의 충전커넥터(200-3))와 전기요금계산기(200-2)를 추가로 장착하여 다른 전기자동차들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Charging system using a hydrogen car}
본 발명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들을 일일이 접촉하여 충전서비스를 겸할 수 있는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발된 EV(Electric Vehicle), PHEV(Plug in Hybrid EV) 등은 충전 인프라의 구축의 한계로 인해 충전소가 충분히 보급되어 있지 않으며, 비용 문제로 충분한 인프라가 구축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자동차는 충전이 필요할 때 전기충전소가 주행가능거리(DTE: Distance to empty) 내에 없을 경우 주행 중 완전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클러스터에서 배터리 SOC(state of charge) 표시로 충전 경고를 해주고 있다. 더 나아가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의 전압 상태를 파악하여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재의 자동차 위치로부터 최단 경로에 위치하고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재충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나, 여전히 충전소 절대수가 부족하여 가까운 위치에 있는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고 특성상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충전소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과정 자체가 매우 번거롭다. 더욱이 충전 피크시간에는 충전소에 도착하더라도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설치해야 하는 부담,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는 불편함, 충전 피크시간에 충전소에서 차례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 등을 해소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즉 연료전지유닛과 연결되는 충전기에 타 전기자동차들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커넥터와 요금계산기를 장착하여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로부터 출동신호를 받았을 때 일일이 찾아가서 충전서비스까지 하는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에서는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없는 곳에서도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들을 일일이 찾아가 충전서비스를 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운전자를 위해 고정형 충전소를 많이 건설할 필요가 없으며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인근 충전소를 찾아야만 하는 부담감이 없으며, 충전하는 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롭게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도 1는 본 발명의 운행시스템 블록도.
2.도 2는 본 발명의 충전시스템 블록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은 일반적인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에 타 전기자동차들을 충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별도의 충전커넥터와 전기 요금계산기를 장착한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도1은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의 운행시스템을 도식화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수소차 구동시스템에 충전커넥터와 전기 요금계산기를 포함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은 여러 대의 전기자동차들을 동시에 충전할 경우를 대비하여 한 개 이상의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2는 이 경우의 구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행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수소 연료전지차와 같은 스택(100-1), 개질기(100-2), BOP(Balance OF Plants)(300-2)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유닛(100), 충전기(200), DC/DC 컨버터(200-1), 제어유닛(300), 배터리(300-1), DC/AC 컨버터(100-3) 및 교류전동모터(300-4)등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타 전기자동차들을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기(200)에 자신의 배터리(300-1)와 충전과 무관한 별도의 전기요금계산기(200-2)와 충전커넥터(200-3)가 추가로 장착된다.
우선 전기에너지 발생원의 연료전지유닛(100)을 살펴보면, 연료전지유닛(100)은 스택(100-1), 개질기(100-2), 스택(100-1)과 개질기(100-2)의 동작을 보조하는 BOP(300-2:Balance OF Plants)를 구비하고,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며 이는 다시 직류전기를 승압하는 DC/DC 컨버터(200-1)를 통해 충전기(200)에 공급된다. 상기의 BOP(300-2)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부, 연료저장부의 연료를 개질기(100-2)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등이 포함되며 개질기(100-2)는 BOP(300-2)에 의해 공급된 연료를 가열하여 수소를 생성하고, 이를 스택(100-1)으로 공급한다. 즉 개질기(100-2)는 펌프에 의해 연료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수소 등의 연료가스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개질기(100-2)는 연료전지 시스템이 시동 온(ON) 상태가 될 때 배터리(300-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웜업(warm up)을 수행하는데, 개질기(100-2)의 웜업은 개질기(100-2) 내의 촉매가 촉매활성화 온도에 도달되도록 하여 수소를 안정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
스택(100-1)은 개질기(100-2)로부터 공급된 수소와 같은 연료가스와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화학반응을 일으켜 기전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개질기(100-2) 및 스택(100-1)의 반응 메커니즘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이와 같이 스택(100-1)이 포함된 연료전지유닛(100)은 발생된 전기를 충전기(200)로 공급하는데, 충전기(200)는 이를 공급받아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300-1)를 충전하거나 다른 전기자동차들을 충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충전기(200)에는 1개 이상의 요금계산기(200-2)와 충전커플러(200-3)가 별도로 구비된다.
충전기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300-1)는 역시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직류 전기를 DC/AC 컨버터(300-3)보내어 교류로 전환한 다음 교류 전동모터 (300-4)및 기타 부하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연료전지시스템이 시동 시 초기 정상기동을 보장하도록 연료전지유닛(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300-1)는 2차 전지로서 연료전지유닛(100)이 정상 기동된 후 발생된 전기에 의해 충전기(200)를 거쳐 충전이 가능하다.
교류 전동모터(300-4)) 및 기타 부하는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300-1)로부터 DC/AC 컨버터(300-3)를 거쳐 보내온 전기만으로 구동할 수도 있고, 스택(14)에서 발생하여 DC/DC 컨버터(20)를 통해 직접 DC/AC 컨버터(300-3)를 통과한 전기를 추가하여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유닛(300)의 제어방법은 특허1013822600000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1)는 여러 대의 전기자동차를 동시에 충전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의 추가로 탑재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추가된 각 충전기(200) 전면에는 또 다시 한 개 이상의 충전커넥터(200-3)가 구비되며, 각각의 충전커넥터(200-3)에는 전기요금계산기(200-2)가 구비되어 있다.
이를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추가된 각 연료전지 유닛(100)은 제어유닛(300)에 의해 배터리(300-1)로부터 웜업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으며 이후 정상기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는 각각의 추가된 DC/DC 컨버터(200-1)를 통해 각각의 충전기(200)에 공급되며, 충전기(200)들은 제어유닛(300)에 의해 배터리(300-1) 혹은 타 전기자동차들에게 전기를 공급한다. 이렇듯 연료전지유닛(100), DC/DC 컨버터(200-1), 충전기(200)들을 별도로 다수개 구비하면 과부하로 인한 손상을 예방하면서 배터리(300-1) 혹은 타 전기자동차들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300-1)에 공급되는 전기의 양이 충분하기 때문에 굳이 DC/DC 컨버터(200-1)에서 DC/AC 컨버터(300-3)로 직접 전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교류 전동모터(300-4)에 충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1)
연료전지유닛(100) 스택(100-1) 개질기(100-2)
충전기(200) DC/DC컨버터(200-1)
전기요금계산기(200-2) 충전커넥터(200-3)
제어유닛(300) 배터리(300-1) BOP(300-2)
DC/AC컨버터(300-3) 교류전동모터(300-4)

Claims (2)

  1.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1)에서, 수소연료 자동차의 충전기(200)에 자신이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300-1)의 충전과 무관한 한 개 이상의 충전커넥터(200-3))와 전기요금계산기(200-2)를 추가로 장착하여 다른 전기자동차들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1).
  2. 본 발명의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1)에서, 중앙의 배터리(300-1)와 제어유닛(300)의 케이블에 연료전지유닛(100), DC/DC 컨버터(200-1), 충전기(200)들을 추가로 연결하여 여러 대의 전기자동차들을 동시에 충전할 때, 각 부품에 과부하가 걸림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1).

KR1020160147788A 2016-11-08 2016-11-08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KR20180051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788A KR20180051012A (ko) 2016-11-08 2016-11-08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788A KR20180051012A (ko) 2016-11-08 2016-11-08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12A true KR20180051012A (ko) 2018-05-16

Family

ID=6245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788A KR20180051012A (ko) 2016-11-08 2016-11-08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0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208A (ko) 2020-05-06 2021-11-17 하재청 수소충전소 정전시 비상전원공급 시스템
KR102450193B1 (ko) * 2021-05-14 2022-10-04 주식회사 효성 복합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208A (ko) 2020-05-06 2021-11-17 하재청 수소충전소 정전시 비상전원공급 시스템
KR102450193B1 (ko) * 2021-05-14 2022-10-04 주식회사 효성 복합 충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9786A1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CN101116211B (zh) 具有电池电容器能量存储系统的混合燃料电池系统
KR101305605B1 (ko)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 시스템
US7973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ractive effort with interface to other apparatus
EP3907096A1 (en) Charging control device using in-vehicle solar cell
EP2639099A1 (e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ic vehicle
US76879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use in an electric vehicle
KR20120012661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005313A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車載電力管理装置
CN101420137A (zh) 燃料电池-超级电容器混合动力车的启动次序控制方法
FI12905Y1 (fi) Siirrettävä latausjärjestelmä sähkövoimalla kulkeviin ajoneuvoihin
US11400825B2 (en) AC/DC EVSE charging system
US9108522B2 (en) Vehicle-mounted controller
KR20150109608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WO2019136994A1 (zh) 用于电动汽车直流充电的充电装置
KR102270373B1 (ko)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제어장치
US20120306268A1 (en) Battery System for Micro-Hybrid Vehicles comprising High-Efficiency Consumers
JP2012188052A (ja) 発電機車
WO2014068782A1 (ja) 車両
JP2016140224A (ja) 給電システム及び分配給電装置
KR20180051012A (ko) 수소차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CN110014889B (zh) 对具有电驱动器的车辆的低电压车载网络的供电
CN112154087A (zh) 电动车辆及电动车辆控制方法
CN113752867A (zh) 新能源电动汽车的车对车型车载直流充电系统及充电方法
KR20180043141A (ko) 충전소 기능을 겸한 수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