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267A -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267A
KR20180048267A KR1020170075783A KR20170075783A KR20180048267A KR 20180048267 A KR20180048267 A KR 20180048267A KR 1020170075783 A KR1020170075783 A KR 1020170075783A KR 20170075783 A KR20170075783 A KR 20170075783A KR 20180048267 A KR20180048267 A KR 2018004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hair
attachment head
gauze
cruci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진수
Original Assignee
길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진수 filed Critical 길진수
Priority to KR2020170005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50Y1/ko
Priority to US15/798,679 priority patent/US20180125137A1/en
Publication of KR2018004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는, 십자형 걸림부, 십자형 걸림부와 연결된 기둥부, 일 측에 기둥부가 연결되고 타측에 지지부가 위치하는 바닥부, 지지부와 연결된 가모고정부, 및 가모고정부에 연결된 가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며, 가벼워서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A hair extension comprising a cross-shaped trapping par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핀과 같은 별도의 부착 수단이 필요없이, 적은 수의 모발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임머리는 짧은 머리를 길게 하거나 머리카락을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가모(假毛)를 뭉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형성한 다음 이를 생모(生毛)에 묶어 연결함으로써 시술하고 있는바, 미용상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붙임머리는 일정한 길이의 모발을 여러 가닥 마련하고 그 상단을 접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가모를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 제10-0889004호는 상단이 접착되어 접합부가 형성됨으로써 뭉쳐져 일정한 길이를 가지게 형성된 가모가 연결끈으로 연결되게 형성되되, 연결끈에 별도로 마련된 고무끈이 묶여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국내등록특허 제10-0889004호에 의하면, 생모와 가모가 연결된 부분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술 과정에서 붙임머리의 길이가 줄어들지 않게 되어 최초 의도했던 길이로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시술 과정에서 가모와 생모를 묶어 연결하기 위해서 정밀한 기술이 필요한 바, 이와 같은 붙임머리는 필시 미용실과 같은 곳에서 전문가의 실력에 따라 그 시술 시간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소비자가 이 붙임머리로는 스스로 시술할 수 없으며, 사전에 예약을 하는 등의 수고가 필요하며, 쉽게 떼어지지 않으며 비용도 비싸서 한 번 붙임머리를 할 때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인들도 쉽게 붙임머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붙임머리 종래기술의 한 예시로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22903호가 있다. 이는 머리 핀 부착 방식의 원모 고정구를 사용하여 붙임 머리 기구의 원모 탈부착을 용이하게 한 붙임 머리 기구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탈부착을 위한 부분 자체가 머리 핀으로 형성되므로, 기본적으로 머리 핀이 차지하는 부피로 인해 붙임머리가 고정된 위치에서 가모와 생모의 경계선이 뚜렷하게 구별될 수밖에 없다. 즉, 머리 핀이 클수록, 붙임머리가 고정된 위치가 돌출되어 보일 수 있으므로, 더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핀은 소정의 무게를 갖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붙임머리가 무거워질 수 있으며, 생모가 부분적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지면서 착용자의 두피는 자극되어 착용자의 피로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핀을 제외한 구성으로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붙임머리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며, 현 시점에서는 핀과 같은 고정 수단이 없어도 충분한 고정력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며, 일반인이 전문가의 도움 없이 착용 가능하면서,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붙임머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889004 B1 KR 10-2011-0122903 A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로서, 핀과 같은 고정 수단이 필요 없는 간단한 구성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며,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붙임머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별히 착용자의 머리카락, 즉 생모의 두께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걸려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착용한 상태에서 그 두께가 눈에 띄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더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한 붙임머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는, 십자형 걸림부; 상기 십자형 걸림부와 연결된 기둥부; 일 측에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고 타측에 지지부가 위치하는 바닥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가모고정부; 및 상기 가모고정부에 연결된 가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재단되는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복수 개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십자형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 상에서 다수 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 및 고정되고, 상기 기둥부는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의 일부가 열처리에 의해 녹아내리면서 상기 네 개의 측면돌출부가 상기 십자형 걸림부의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모는 상기 가모고정부의 일 측에 접착제 도포 후 상기 바닥부와 선택적으로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타측은 상기 가모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바닥고정부에 접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모고정부는 돌출부가 형성된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이며, 상기 바닥고정부는 상기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와 탈부착 가능한 융천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십자형 걸림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결합체의 두께는 1.7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제조방법은, (a)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는 기둥부의 일 단부를 열처리하여 녹이면서 십자형 걸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둥부의 타 단부에 형성된 바닥부에 지지부가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지지부가 가모고정부와 연결되는 단계; 및 (d) 가모가 상기 가모고정부에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제조방법은, (a)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는 기둥부의 일 단부를 열처리하여 녹이면서 십자형 걸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둥부의 타 단부에 형성된 바닥부에 지지부가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착되도록 바닥고정부가 접착되는 단계; 및 (d) 상기 바닥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가모고정부에 가모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고정부가 상기 가모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하여 상기 십자형 걸림부가 상기 가모와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붙임머리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며, 가벼워서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바닥부의 재질이 유연하고 지지부가 구비되어 두상의 둥근 형태 등에 들뜨는 현상이 없이 밀착이 가능하다.
또한, 착용자의 생모의 두께가 얇거나 그 표면이 특별히 매끄럽더라도, 십자형 걸림부가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머리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드라이, 고데기 사용과 같은 작업이 붙임머리가 생모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능하며, 격한 움직임에 따른 붙임머리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십자형 걸림부, 기둥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는 결합체는 약 2.0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가리마에 따라 부착하든지, 생모 밑(모근 부위 등)에 위치시켜 부착하든지 간에, 들뜸 현상이 없어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가 착용대상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십자형 걸림부의 기둥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바닥부와 가모가 탈부착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가모' 가발은 인공적으로 화학 섬유로 제작한 가모를 사용한 가발이며, '인모' 가발은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을 사용한 가발이나, 본 발명에 의한 가발 제작 과정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한 가지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는 십자형 걸림부(110), 십자형 걸림부(110)와 연결된 기둥부(120), 일 측에 기둥부(120)가 연결되고 타측에 지지부(131)가 위치하는 바닥부(130), 지지부(131)와 연결된 가모고정부(141), 및 가모고정부(141)에 연결된 가모(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십자형 걸림부(110)는 기둥부(120)의 단부가 가열되고 일부가 녹아내림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10)와 기둥부(120)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120)의 굵기가 얇을수록 걸림부(110)의 크기가 작아지며, 이에 따라 다수의 십자형 걸림부(110)는 생모 사이로 더 용이하게 파고들어 위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걸림부(110)는 바닥부(130) 상에서 다수 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십자형 걸림부(110)는 바닥부(130)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130)에 대한 십자형 걸림부(110)의 각도가 직각에 가까워질수록 십자형 걸림부(110)가 더 용이하게 생모 사이로 파고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십자형 걸림부(110)에 형성된 갈고리부(111)(도 4 참조)에 의해 더 용이하게 생모가 걸려서 붙임머리(100)가 고정될 수 있다.
바닥부(130)는 기둥부(120)와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나일론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130)는 가요성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두상에 따라, 또는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휘어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30)의 타측에는 지지부(131)가 위치하며, 지지부(131)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를 갖는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납작한 지지부(131)는 바닥부(130)에 접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납작한 지지부(131)에 가모고정부(141)가 부착되고, 가모고정부(141)에 가모(14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모고정부(141)는 지지부(131)와 연결되되, 바닥부(130)의 적어도 일부와도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납작한 지지부(131)가 삽입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붙임머리(100)는 착용시에 두상의 굴곡에 따라 착용될 수 있어, 들뜸 현상 없이 오랜 시간 동안 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납작한 지지부가 철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로서, 무게가 가벼우면서 반복된 구부림에도 끊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시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지지부(131a, 131b)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복수 개의 지지부(131a, 131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붙임머리(100)의 바닥부(1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재단될 수 있으며, 붙임머리(100)의 각각의 모서리의 위치가 두상에서 유지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31)는 납작한 메시 형태(미도시)의 구부림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부(1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모(140)는 가모고정부(141)에 고정되고, 지지부(131)가 바닥부(130)와 가모고정부(141) 사이에 위치되도록 바닥부(130), 지지부(131) 및 가모고정부(141)가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실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바닥부(130)와 가모(140)를 박음질할 수도 있다.
가모(140)의 양과 두께, 및 가모(140), 지지부(131)와 바닥부(130)가 접착되는 정도에 따라 박음질이 필요 없을 수도 있어, 박음질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모(140)는 가모고정부(141)의 테두리 일 측에 가지런하게 정렬되어 위치되어 가모고정부(141)의 타 측까지의 길이만큼 가모고정부(141)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모고정부(141)의 테두리 일 측에 박음질 처리가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의 제조방법은 기둥부(120)의 일 단부를 열처리하여 녹이면서 십자형 걸림부(110)를 형성하는 단계, 및 기둥부(120)의 타 단부에 형성된 바닥부(130)에 가모(140)가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모(140)는 가모고정부(141)의 테두리 일 측으로부터 타 측까지 실제 두피 상에서 머리카락이 분포되는 바와 같이 균등하게 분포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모(140)의 단부는 가모고정부(141)와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모(140)가 고정된 가모고정부(141)는 바닥부(130)와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에 따라 십자형 걸림부(110)가 오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면 새로운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바닥부(130)를 가모고정부(141)에 부착하여 가모(140)를 그대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즉,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바닥부(130)를 별도 구매 및 교체할 수 있어, 붙임가발(100)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붙임가발(100)은 상술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되, 바닥부(130)에 가모(140)가 부착되는 단계는 가모(140)에 가모고정부(141)를 접착하는 단계, 및 바닥부(130)에 가모고정부(141)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바닥고정부(132)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의 각 구성의 기능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가 착용대상(200)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의 기둥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의 전체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대상(200)은 두피(210) 및 생모(220)를 포함하는 대상으로서, 붙임머리(100)의 십자형 걸림부(110)는 착용대상(200)의 생모(220) 사이를 파고들어 붙임머리(100)가 두피(210)와 밀착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20)는 네 개의 측면돌출부(121)가 구비된 것으로, 그 단면이 십자형이다. 이와 같은 십자형 단면을 갖는 기둥부(120)의 단면이 열처리에 의해 녹아내리면 측면돌출부(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갈고리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생모(220)는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십자형 걸림부(110)의 갈고리부(111)에 의해 걸리면서 붙임머리(100)가 착용대상(200)에 고정다.
기둥부(120)의 측면돌출부(121)가 4개 있듯이 이에 대응되는 갈고리부(111)도 4개 있으므로, 붙임머리(100)를 착용대상(200)에 고정한 상태에서 비틀거나 당겨도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착용대상(200)에 붙임머리(100)를 고정한 후, 생모와 가모 모두를 포함하여 한 묶음으로 묶어 포니테일을 연출하거나 헤어번(hairbun)으로 올리더라도 붙임머리(100)는 생모에 걸린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생모와 어울릴 수 있다.
도 6의 길이 d는 십자형 걸림부(110)와 기둥부(120) 및 바닥부(130)를 포함하는 붙임머리(100)의 두께를 나타낸다. 이는 1.7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2.0m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는 길이 d가 2.0mm 정도밖에 안 되더라도 용이하게 생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도출한 과정은 후술되는 실험예 1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1: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한 고정력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십자형 걸림부(110)는 종래의 가발용 클립(똑딱핀)과 같은 탈부착 수단에 비하여 같은 무게를 더 오래 지지할 수 있었다.
탈부착 수단 생모 부착상태에서 붙인 무게 무게를 견딘 시간
본 발명의 십자형 걸림부(110) 500g 5분 경과 후 유지
종래기술의 가발용 클립 500g 10초 이내 흘러내림
실험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십자형 걸림부(110)가 형성된 바닥부(130)에 부착된 가모(140)에 500g의 무게를 테이프로 고정시켜 흘러내릴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종래기술의 가발용 클립이 탈부착 수단으로 구비된 붙임머리는 현재 시장에서 팔고 있는 일반적인 것으로, 똑딱핀으로 붙임머리를 생모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이며, 탈부착 수단이 위치된 붙임머리의 두께가 평균적으로 3.0mm를 초과한다.
본 발명의 십자형 걸림부(110)의 고정력을 시험한 동일한 방법으로 종래기술의 가발용 클립이 구비된 가모에 500g의 무게를 테이프로 고정시켜 흘러내릴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종래기술의 샘플과 본 발명의 샘플은 모두 가모가 같은 길이와 면적을 갖도록 하였고, 500g 무게를 고정한 위치도 가모의 중간지점으로 지정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한 시간은 초 단위로 하였으며, 착용대상(200)의 생모에 부착하는 위치도 통일하여 3번씩 측정하였다. 3번 모두 본 발명의 십자형 걸림부(110)는 5분이 경과되어도 유지가 되었고, 종래기술의 가발용 클립은 10초를 못 넘기고 흘러내렸다. 즉, 종래의 가발 탈부착 수단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가 실질적으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고정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빗질, 드라이, 고대기 작업 시에도 흘러내림 현상이 없이 스타일 등의 연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는 고정력뿐만 아니라, 착용감 또한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후술되는 실험예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2: 일상생활 활동을 동반하여 측정한 착용감
30일 동안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착용한 결과, 쇼파에 기대거나, 침대에 눕는 등의 동작을 수행했을 때도 베김 현상이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다양한 사이즈, 바닥부(130)의 길이가 12cm인 붙임머리(100) 두 개, 8cm인 붙임머리(100) 두 개, 및 4cm인 붙임머리(100) 두 개를 8시간 동안 취침 상태에 착용한 결과,
평균적으로 총 6개 중 2개 정도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는 십자형 걸림부(110), 갈고리부(111), 기둥부(120), 측면돌출부(121), 바닥부(130), 가모고정부(141) 및 가모(14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술된 일 실시예와 주요 구성이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 외의 구성을 더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의 바닥부(130)와 가모(140)가 탈부착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는 바닥고정부(132)를 더 포함한다.
가모고정부(141)는 가모(140)가 접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며, 바닥고정부(132)는 바닥부(130)가 접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바닥고정부(132)는 가모고정부(141)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가모고정부(141)는 돌출부가 형성된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이며, 바닥고정부(132)는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와 탈부착 가능한 융천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출부가 형성된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는 나일론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 통상의 사출 후크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가 대략 0.01~0.05mm인 것이 가모고정부(141)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천 재질은 펠트지와 같이 용이하게 사출 후크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를 걸리게 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의 탈부착 방법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착용대상(20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착될 위치가 정해진 후,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제1 동작)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십자형 걸림부(110)의 외측은 소정의 곡률이 형성된 표면으로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 될 시에, 십자형 걸림부(110)는 생모(220) 사이사이를 갈라놓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B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제2 동작)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될 경우에 십자형 걸림부(110)의 일부는 착용대상(200)의 두피(210)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때 기둥부(120)는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면서 생모의 일부가 갈고리부(111)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갈고리부(111)는 총 4개가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상부 갈고리부(111) 하나와 중간 갈고리부(111) 2개 사이에 생모가 먼저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C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제3 동작)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될 경우에 십자형 걸림부(110)의 일부는 이미 생모(220)에 걸린 상태에서 화살표 B 방향과 반대 방향이므로, 이전 단계에서 미처 다 걸리지 못한 생모(220)도 용이하게 갈고리부(111)에 걸릴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하부 갈고리부(111) 하나와 중간 갈고리부(111) 2개 사이에 생모가 추가로 걸릴 수 있다.
여기서 화살표 B 방향 또는 화살표 C 방향으로 가압한다는 것은, 바닥부(13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하되, 이와 동시에 바닥부(130)를 흔들 듯이 화살표 B 방향 또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예를 들면 2mm 이상, 10mm이하만큼을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생모(220)가 십자형 걸림부(110)의 4개의 갈고리부(111)에 걸리면서 다수의 십자형 걸림부(110)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단순히 바닥부(130)를 당기는 것만으로는 생모(220)가 십자형 걸림부(110) 사이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못한다. 이때 십자형 걸림부(110)가 두피(210)에 접촉할 정도로 밀접하게 붙임머리(100)가 고정되면, 십자형 걸림부(110), 기둥부(120) 및 바닥부(130)를 포함하는 결합체의 두께는 2.0mm 정도인 것으로, 두피(210)와의 단차가 크게 생기지 않으므로, 붙임머리(100)를 부착한 부위가 나머지 생모(220)와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다.
여기서 십자형 걸림부(110), 기둥부(120) 및 바닥부(130)를 포함하는 결합체의 두께가 2.0mm 정도임으로, 두피(210)와의 단차가 크게 생기지 않는 동시에, 십자형 걸림부(110)가 바닥부(130)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도 십자형 걸림부(110)에 의해 두피(210)가 자극받지 않는다.
이후에 착용대상(200)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 각각의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화살표 A 내지 C와 반대 방향으로 붙임머리(100)에 힘을 가하면서 탈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착시에는 바닥부(130)를 누르고(제1 동작), 위로 올리고(제2 동작), 밑으로 내렸지만(제3 동작), 탈거시에는 그 반대로, 위로 올리고(화살표 C의 반대 방향, 제4 동작), 밑으로 내리고(화살표 B 반대 방향, 제5 동작), 외측으로 당기는(화살표 A의 반대 방향, 제6 동작) 동작으로 붙임머리(100)를 탈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살표 C의 반대 방향과 화살표 B의 반대 방향으로 붙임머리(100)를 탈거하는 것은 바닥부(130)를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되, 이와 동시에 바닥부(130)를 흔들 듯이 소정의 거리, 예를 들면 2mm 이상, 10mm이하만큼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며, 가벼워서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100: 붙임머리
110: 십자형 걸림부
111: 갈고리부
120: 기둥부
121: 측면돌출부
130: 바닥부
131: 지지부
132: 바닥고정부
140: 가모
141: 가모고정부
200: 착용대상
210: 두피
220: 생모

Claims (10)

  1. 십자형 걸림부;
    상기 십자형 걸림부와 연결된 기둥부;
    일 측에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고 타측에 지지부가 위치하는 바닥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가모고정부; 및
    상기 가모고정부에 연결된 가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를 갖지며 상기 바닥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재단되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복수 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 상에서 다수 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 및 고정되고,
    상기 기둥부는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의 일부가 열처리에 의해 녹아내리면서 상기 네 개의 측면돌출부가 상기 십자형 걸림부의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모는 상기 가모고정부의 일 측에 접착제 도포 후 상기 바닥부와 선택적으로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타측은 상기 가모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바닥고정부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모고정부는 돌출부가 형성된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이며, 상기 바닥고정부는 상기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와 탈부착 가능한 융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걸림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결합체의 두께는 1.7mm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9. (a)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는 기둥부의 일 단부를 열처리하여 녹이면서 십자형 걸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둥부의 타 단부에 형성된 바닥부에 지지부가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지지부가 가모고정부와 연결되는 단계; 및
    (d) 가모가 상기 가모고정부에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제조방법.
  10. (a)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는 기둥부의 일 단부를 열처리하여 녹이면서 십자형 걸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둥부의 타 단부에 형성된 바닥부에 지지부가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착되도록 바닥고정부가 접착되는 단계; 및
    (d) 상기 바닥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가모고정부에 가모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고정부가 상기 가모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하여 상기 십자형 걸림부가 상기 가모와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제조방법.
KR1020170075783A 2016-11-02 2017-06-15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48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16U KR200487950Y1 (ko) 2017-06-09 2017-10-25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US15/798,679 US20180125137A1 (en) 2016-11-02 2017-10-31 Hair extension provided with cross-shaped engaging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97 2016-11-02
KR20160145397 2016-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267A true KR20180048267A (ko) 2018-05-10

Family

ID=6218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783A KR20180048267A (ko) 2016-11-02 2017-06-15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8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265B1 (ko) * 2020-04-28 2020-12-11 정은수 가발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10033438A (ko) * 2019-09-18 2021-03-26 정은수 곡면 베이스를 갖는 가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438A (ko) * 2019-09-18 2021-03-26 정은수 곡면 베이스를 갖는 가발
KR102190265B1 (ko) * 2020-04-28 2020-12-11 정은수 가발 및 이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2710B2 (en) Storage case for artificial lash extensions
US20080257369A1 (en) Removable and Resuable Hair Extension
KR10045792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피스 및 헤어피스 셋트
US20060180171A1 (en) Hairpiece with attachment rings and heating kit for attaching hairpiece
US20130306089A1 (en) Hair extension assembly and method of application
US20070157944A1 (en) Hair weft product and method of use
US20160050996A1 (en) Hair Clip for Hair Extensions or Wigs and a Method Therefor
BRPI1001561A2 (pt) método para a aplicação de cìlios artificiais à pálpebra, cìlios artificiais para aplicação à pálpebra e conjunto de cìlios artificiais para aplicação à pálpebra
KR20090084856A (ko)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276807A1 (en) Method for Applying Hair Extensions
KR100991223B1 (ko)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87901Y1 (ko) 개선된 붙임 머리
US20120037177A1 (en) Method for Applying Hair Extensions
KR20180048267A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089921A (ja) 使い捨て用かつら
US20160150843A1 (en) Attaching device for partial wig
KR100906073B1 (ko) 붙임 머리
KR101633079B1 (ko) 부분 가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87950Y1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US20180125137A1 (en) Hair extension provided with cross-shaped engaging portion
KR101834312B1 (ko) 부분 가발
KR101426304B1 (ko) 속눈썹 연장 방법
US20080245384A1 (en) Hair extension, clasping mechanism for a hair extens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90001071U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RU2720970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накладных волос в месте облыс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