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71U -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 Google Patents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71U
KR20190001071U KR2020180005226U KR20180005226U KR20190001071U KR 20190001071 U KR20190001071 U KR 20190001071U KR 2020180005226 U KR2020180005226 U KR 2020180005226U KR 20180005226 U KR20180005226 U KR 20180005226U KR 20190001071 U KR20190001071 U KR 201900010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hair
bottom portion
net
cruci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진수
김광선
송호섭
Original Assignee
길진수
한국특수섬유기술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진수, 한국특수섬유기술 (주) filed Critical 길진수
Priority to KR2020180005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071U/ko
Publication of KR20190001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26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33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십자형 걸림부; 상기 십자형 걸림부와 연결된 기둥부; 일 측에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가모고정부; 및 상기 가모고정부에 연결된 가모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A hair extension comprising a cross-shaped trapping part}
본 고안은 붙임 머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수의 모발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 머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임머리는 짧은 머리를 길게 하거나 머리카락을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가모(假毛)를 뭉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형성한 다음 이를 생모(生毛)에 묶어 연결함으로써 시술하고 있는바, 미용상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붙임머리는 일정한 길이의 모발을 여러 가닥 마련하고 그 상단을 접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가모를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 제10-0889004호는 상단이 접착되어 접합부가 형성됨으로써 뭉쳐져 일정한 길이를 가지게 형성된 가모가 연결끈으로 연결되게 형성되되, 연결끈에 별도로 마련된 고무끈이 묶여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국내등록특허 제10-0889004호에 의하면, 생모와 가모가 연결된 부분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술 과정에서 붙임머리의 길이가 줄어들지 않게 되어 최초 의도했던 길이로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시술 과정에서 가모와 생모를 묶어 연결하기 위해서 정밀한 기술이 필요한 바, 이와 같은 붙임머리는 필시 미용실과 같은 곳에서 전문가의 실력에 따라 그 시술 시간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소비자가 이 붙임머리로는 스스로 시술할 수 없으며, 사전에 예약을 하는 등의 수고가 필요하며, 쉽게 떼어지지 않으며 비용도 비싸서 한 번 붙임머리를 할 때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인들도 쉽게 붙임머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붙임머리 종래기술의 한 예시로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22903호가 있다. 이는 머리 핀 부착 방식의 원모 고정구를 사용하여 붙임 머리 기구의 원모 탈부착을 용이하게 한 붙임 머리 기구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탈부착을 위한 부분 자체가 머리 핀으로 형성되므로, 기본적으로 머리 핀이 차지하는 부피로 인해 붙임머리가 고정된 위치에서 가모와 생모의 경계선이 뚜렷하게 구별될 수밖에 없다. 즉, 머리 핀이 클수록, 붙임머리가 고정된 위치가 돌출되어 보일 수 있으므로, 더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핀은 소정의 무게를 갖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붙임머리가 무거워질 수 있으며, 생모가 부분적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지면서 착용자의 두피는 자극되어 착용자의 피로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핀을 제외한 구성으로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붙임머리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며, 현 시점에서는 핀과 같은 고정 수단이 없어도 충분한 고정력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며, 일반인이 전문가의 도움 없이 착용 가능하면서,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붙임머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8900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122903호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핀과 같은 고정 수단이 필요 없는 간단한 구성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며,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 머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특별히 착용자의 머리카락, 즉 생모의 두께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착용한 상태에서 그 두께가 눈에 띄지 않도록 하여 더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한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군데에 국부적으로 작은 단위로도 고정시킬 수 있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십자형 걸림부; 상기 십자형 걸림부와 연결된 기둥부; 일 측에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가모고정부; 및 상기 가모고정부에 연결된 가모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십자형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 상에서 다수 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십자형 단면을 갖는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의 일부가 열에 의해 녹아 내리면서 상기 네 개의 측면돌출부가 상기 십자형 걸림부의 갈고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모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바닥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모고정부는 돌출부가 형성된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이며, 상기 바닥고정부는 상기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와 탈부착 가능한 융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및 상기 바닥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로서 힘이 가해지면 굴곡진 형상을 형성 및 유지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바닥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모는 상기 가모고정부의 일 측에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상기 바닥부와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 중에서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기둥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기둥부의 높이보다 낮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십자형 걸림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부착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가 1.8 mm 내지 1.9mm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가 1.6 mm 내지 1.7mm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망; 상기 망의 일 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부착부; 상기 망의 타면에 구비되어 정수리 또는 가르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가모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망의 외주 또는 전체 길이를 따라 기 설정된 폭으로 제공되며, 십자형 걸림부; 상기 십자형 걸림부와 연결된 기둥부; 및 일측이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망과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십자형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 상에서 다수 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십자형 단면을 갖는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의 일부가 열에 의해 녹아 내리면서 상기 네 개의 측면돌출부가 상기 십자형 걸림부의 갈고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및 상기 바닥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로서 힘이 가해지면 굴곡진 형상을 형성 및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붙임머리가 상기 가르마의 주변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망 및 상기 부착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5.5cm 내지 6.5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붙임머리가 상기 정수리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망 및 상기 부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름이 3.5cm 내지 4.5cm인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 중에서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기둥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기둥부의 높이보다 낮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십자형 걸림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부착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가 1.8 mm 내지 1.9mm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가 1.6 mm 내지 1.7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붙임머리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며, 가벼워서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바닥부의 재질이 유연하고 지지부가 구비되어 두상의 둥근 형태 등에 들뜨는 현상이 없이 밀착이 가능하다.
또한, 착용자의 생모의 두께가 얇거나 그 표면이 특별히 매끄럽더라도, 십자형 걸림부가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머리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드라이, 고데기 사용과 같은 작업이 붙임머리가 생모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능하며, 격한 움직임에 따른 붙임머리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십자형 걸림부, 기둥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는 결합체는 착용자의 가리마에 따라 부착하든지, 생모 밑(모근 부위 등)에 위치시켜 부착하든지 간에, 들뜸 현상이 없어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 개로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필요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가 착용대상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십자형 걸림부의 기둥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바닥부와 가모가 탈부착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1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 및 1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 및 1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는 십자형 걸림부(110), 십자형 걸림부(110)와 연결된 기둥부(120), 일 측에 기둥부(120)가 연결되는 바닥부(130), 바닥부(130)의 타측에 고정되는 지지부(131), 지지부(131)와 연결된 가모고정부(141), 및 가모고정부(141)에 연결된 가모(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십자형 걸림부(110)는 기둥부(120)의 단부가 가열되고 일부가 녹아내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10)와 기둥부(120)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20)의 굵기가 얇을수록 걸림부(110)의 크기가 작아지며, 이에 따라 다수의 십자형 걸림부(110)는 생모 사이로 더 용이하게 파고들어 위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걸림부(110)는 바닥부(130) 상에서 다수 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십자형 걸림부(110)는 바닥부(13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30)에 대한 십자형 걸림부(110)의 각도가 직각에 가까워질수록 십자형 걸림부(110)가 더 용이하게 생모 사이로 파고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십자형 걸림부(110)에 형성된 갈고리부(111)(도 6 참조)에 의해 더 용이하게 생모가 걸려서 붙임머리(100)가 고정될 수 있다.
바닥부(130)는 기둥부(120)와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나일론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30)는 가요성을 갖는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두상에 따라, 또는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30)의 타측에는 지지부(131)가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31)는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를 갖는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지지부(131)는 바닥부(1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바닥부(130)의 폭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납작한 지지부(131)는 바닥부(130)에 접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납작한 지지부(131)에 가모고정부(141)가 부착되고, 가모고정부(141)에 가모(14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모고정부(141)는 지지부(131)와 연결됨과 동시에 바닥부(130)의 적어도 일부와도 접착될 수 있다.
납작한 지지부(131)는 힘이 가해지면 굴곡진 형상을 형성 및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바, 이 지지부(131)가 제공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붙임머리(100)는 착용시에 두상의 굴곡에 따라 착용될 수 있어, 들뜸 현상 없이 오랜 시간 동안 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납작한 지지부(131)가 철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로서, 무게가 가벼우면서 반복된 구부림에도 끊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다른(변형)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설명한다.
지지부(131)는 한 개가 제공될 수도 있지만, 2개 이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지지부(131a, 131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붙임머리(100)의 바닥부(1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31)는 납작한 메시 형태(미도시)의 구부림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부(1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가모(140)는 가모고정부(141)에 고정되고, 지지부(131)가 바닥부(130)와 가모고정부(141) 사이에 위치되도록 바닥부(130), 지지부(131) 및 가모고정부(141)가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더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실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바닥부(130)와 가모(140)를 박음질할 수도 있다.
가모(140)의 양과 두께, 및 가모(140), 지지부(131)와 바닥부(130)가 접착되는 정도에 따라 박음질이 필요 없을 수도 있는바, 박음질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가모(140)는 가모고정부(141)의 테두리 일 측에 가지런하게 정렬되게 위치되어 가모고정부(141)의 타 측까지의 길이만큼 가모고정부(141)에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모고정부(141)의 테두리 일 측에 박음질 처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의 제조는 기둥부(120)의 일 단부를 열처리하여 녹이면서 십자형 걸림부(110)를 형성하는 단계, 및 기둥부(120)의 타 단부에 형성된 바닥부(130)에 가모(140)가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모(140)는 가모고정부(141)의 테두리 일 측으로부터 타 측까지 실제 두피 상에서 머리카락이 분포되는 바와 같이 균등하게 분포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모(140)의 단부는 가모고정부(141)와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모(140)가 고정된 가모고정부(141)는 바닥부(130)와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십자형 걸림부(110)가 오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면 새로운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바닥부(130)를 가모고정부(141)에 부착하여 가모(140)를 그대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즉,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바닥부(130)를 별도 구매 및 교체할 수 있어, 붙임가발(100)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붙임가발(100)은 상술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지만, 바닥부(130)에 가모(140)가 부착되는 단계는 가모(140)에 가모고정부(141)를 접착하는 단계, 및 바닥부(130)에 가모고정부(141)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바닥고정부(132)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더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의 각 구성의 기능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대상(10)은 두피(11) 및 생모(12)를 포함하는 대상으로서, 붙임머리(100)의 십자형 걸림부(110)는 착용대상(10)의 생모(12) 사이를 파고들어 붙임머리(100)가 두피(11)와 밀착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2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네 개의 측면돌출부(121)가 구비된 것으로, 그 단면이 십자형이다. 이와 같은 십자형 단면을 갖는 기둥부(120)의 단면이 열처리에 의해 녹아내리면 측면돌출부(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갈고리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생모(12)는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십자형 걸림부(110)의 갈고리부(111)에 의해 걸리면서 붙임머리(100)가 착용대상(10)에 고정될 수 있다.
기둥부(120)의 측면돌출부(121)가 4개 있듯이 이에 대응되는 갈고리부(111)도 4개 있으므로, 붙임머리(100)를 착용대상(10)에 고정한 상태에서 비틀거나 당겨도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착용대상(10)에 붙임머리(100)를 고정한 후, 생모와 가모 모두를 포함하여 한 묶음으로 묶어 포니테일을 연출하거나 헤어번(hairbun)으로 올리더라도 붙임머리(100)는 생모에 걸린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생모와 어울릴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길이 d는 십자형 걸림부(110)와 기둥부(120) 및 바닥부(130)를 포함하는 부착부의 총 높이를 나타내는데, 도 11에서 보듯이 부착부의 높이는 바닥부(130)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 부착부가 1.8mm 내지 1.9mm의 높이로 구성될 수 있고, 바닥부(130)의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한 부착부가 1.6mm 내지 1.7mm의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착부의 높이를 배치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하기 위해서, 바닥부(130)의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한 기둥부(120)의 높이가 바닥부(130)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 기둥부(1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부(130)의 가장자리 부위에 있는 기둥부(120)의 높이를 중앙 부위에 있는 기둥부(1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면, 생모(12)가 십자형 걸림부(110)에 걸린 상태에서 갈고리부(111)와 바닥부(130)의 유격이 작아지기 때문에 생모(12)가 갈고리부(111)에서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붙임머리(100)의 가장자리가 들뜨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기둥부(120)의 높이가 적정치보다 높으면 갈고리부(111)와 바닥부(130)의 유격이 커지게 되어 생모(12)가 갈고리부(111)에서 쉽게 풀려 붙임머리(100)가 생모(12)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참고로, 부착부의 높이가 모든 부위(즉, 가장자리와 중앙)에서 모두 동일한 경우에 부착부의 높이가 적정치(1.8 ~ 1.9mm)보다 크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가장자리에 위치한 십자형 걸림부(110)가 먼저 생모(12)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부착부의 높이가 적정치(1.8 ~ 1.9mm)보다 작으면 생모(12)에 걸린 십자형 걸림부(110)의 걸림력은 우수하지만, 붙임머리(100)를 생모(12)에서 제거하려고 할 때 쉽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바닥부(130)의 가장 자리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를 중앙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보다 낮게 1.6mm 내지 1.7mm로 형성하여, 가장 자리에 있는 십자형 걸림부(110)의 걸림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생모(12)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중앙에 있는 십자형 걸림부(110)의 걸림력은 이보다 다소 낮도록 부착부의 높이를 1.8mm 내지 1.9mm로 형성하여 평상시 어느 정도의 걸림력은 유지하면서 붙임머리를 생모에서 제거할 때 어렵지 않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도출한 과정은 후술되는 실험예 1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1: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한 고정력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십자형 걸림부(110)는 종래의 가발용 클립(똑딱핀)과 같은 탈부착 수단에 비하여 같은 무게를 더 오래 지지할 수 있었다.
탈부착 수단 생모 부착상태에서 붙인 무게 무게를 견딘 시간
본 고안의 십자형 걸림부(110) 500g 5분 경과 후 유지
종래기술의 가발용 클립 500g 10초 이내 흘러내림
실험 과정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십자형 걸림부(110)가 형성된 바닥부(130)에 부착된 가모(140)에 500g의 무게를 테이프로 고정시켜 흘러내릴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종래기술의 가발용 클립이 탈부착 수단으로 구비된 붙임머리는 현재 시장에서 팔고 있는 일반적인 것으로, 똑딱핀으로 붙임머리를 생모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이며, 탈부착 수단이 위치된 붙임머리의 두께가 평균적으로 3.0mm를 초과한다.본 고안의 십자형 걸림부(110)의 고정력을 시험한 동일한 방법으로 종래기술의 가발용 클립이 구비된 가모에 500g의 무게를 테이프로 고정시켜 흘러내릴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종래기술의 샘플과 본 고안의 샘플은 모두 가모가 같은 길이와 면적을 갖도록 하였고, 500g 무게를 고정한 위치도 가모의 중간지점으로 지정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한 시간은 초 단위로 하였으며, 착용대상(10)의 생모에 부착하는 위치도 통일하여 3번씩 측정하였다. 3번 모두 본 고안의 십자형 걸림부(110)는 5분이 경과되어도 유지가 되었고, 종래기술의 가발용 클립은 10초를 못 넘기고 흘러내렸다. 즉, 종래의 가발 탈부착 수단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가 실질적으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고정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빗질, 드라이, 고대기 작업 시에도 흘러내림 현상이 없이 스타일 등의 연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는 고정력뿐만 아니라, 착용감 또한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후술되는 실험예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2: 일상생활 활동을 동반하여 측정한 착용감
30일 동안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착용한 결과, 쇼파에 기대거나, 침대에 눕는 등의 동작을 수행했을 때도 베김 현상이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다양한 사이즈, 바닥부(130)의 길이가 12cm인 붙임머리(100) 두 개, 8cm인 붙임머리(100) 두 개, 및 4cm인 붙임머리(100) 두 개를 8시간 동안 취침 상태에 착용한 결과,
평균적으로 총 6개 중 2개 정도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는 바닥부(130)의 타측에 결합되며 가모고정부(141)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닥고정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모고정부(141)는 가모(140)가 접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며, 바닥고정부(132)는 바닥부(130)가 접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바닥고정부(132)는 가모고정부(141)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모고정부(141)는 돌출부가 형성된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이며, 바닥고정부(132)는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와 탈부착 가능한 융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가 형성된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는 나일론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 통상의 사출 후크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두께가 대략 0.5 ~ 1.0mm인 것이 가모고정부(141)로 사용될 수 있다. 융천 재질은 펠트지와 같이 용이하게 사출 후크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를 걸리게 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가모(140)는 가모고정부(141) 및 바닥고정부(132)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부(130)에 박음질을 통해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의 탈부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착용대상(1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착될 위치가 정해진 후,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제1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십자형 걸림부(110)의 외측은 소정의 곡률이 형성된 표면으로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 될 때, 십자형 걸림부(110)는 생모(12) 사이 사이를 갈라놓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B 방향(도면상 상방)으로 바닥부(130)가 가압(제2 동작)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B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좌 또는 우 방향(도면상에서 볼 때 지면으로 들어가거나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될 경우에 십자형 걸림부(110)의 일부는 착용대상(10)의 두피(11)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때 기둥부(120)는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면서 생모의 일부가 갈고리부(111)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갈고리부(111)는 총 4개가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상부 갈고리부(111) 하나와 중간 갈고리부(111) 2개 사이에 생모가 먼저 걸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C 방향(도면상 하방)으로 바닥부(130)가 가압(제3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바닥부(130)가 가압될 경우에 십자형 걸림부(110)의 일부는 이미 생모(12)에 걸린 상태에서 화살표 B 방향과 반대 방향이므로, 이전 단계에서 미처 다 걸리지 못한 생모(12)도 용이하게 갈고리부(111)에 걸릴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하부 갈고리부(111) 하나와 중간 갈고리부(111) 2개 사이에 생모가 추가로 걸릴 수 있다.
여기서 화살표 B 방향 또는 화살표 C 방향으로 가압한다는 것은, 바닥부(13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하되, 이와 동시에 바닥부(130)를 흔들 듯이 화살표 B 방향 또는 화살표 C 방향 또는 B 또는 C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좌, 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예를 들면 2mm 이상, 10mm이하 만큼을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생모(12)가 십자형 걸림부(110)의 4개의 갈고리부(111)에 걸리면서 다수의 십자형 걸림부(110)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단순히 바닥부(130)를 당기는 것만으로는 생모(12)가 십자형 걸림부(110) 사이로부터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한다.
이때 십자형 걸림부(110)가 두피(11)에 접촉할 정도로 밀접하게 붙임머리(100)가 고정되면, 십자형 걸림부(110), 기둥부(120) 및 바닥부(130)를 포함하는 부착부는 두피(11)와의 단차가 크게 생기지 않으므로, 붙임머리(100)를 부착한 부위가 나머지 생모(12)와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다.
여기서 십자형 걸림부(110), 기둥부(120) 및 바닥부(130)를 포함하는 부착부는 두피(11)와의 단차가 크게 생기지 않는 동시에, 십자형 걸림부(110)가 바닥부(130)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도 십자형 걸림부(110)에 의해 두피(11)가 자극받지 않는다.
이후에 착용대상(10)으로부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100)를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 각각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A 내지 C와 반대 방향으로 붙임머리(100)에 힘을 가하면서 탈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착시에는 바닥부(130)를 누르고(제1 동작), 위로 올리고(제2 동작), 밑으로 내렸지만(제3 동작), 탈거시에는 그 반대로, 위로 올리고(화살표 C의 반대 방향, 제4 동작), 밑으로 내리고(화살표 B 반대 방향, 제5 동작), 외측으로 당기는(화살표 A의 반대 방향, 제6 동작) 동작으로 붙임머리(100)를 탈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살표 C의 반대 방향과 화살표 B의 반대 방향으로 붙임머리(100)를 탈거하는 것은 바닥부(130)를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되, 이와 동시에 바닥부(130)를 흔들 듯이 소정의 거리, 예를 들면 2mm 이상, 10mm이하만큼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십자형 걸림부(110)가 구비된 붙임머리(100)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며, 가벼워서 오랜 시간을 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소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붙임머리(2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망(220), 망(220)의 일 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된 부착부(210), 및 망(220)의 타면에 구비되어 정수리 또는 가르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가모(24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210)는 망(220)의 외주 또는 전체 길이를 따라 기 설정된 폭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십자형 걸림부(211), 십자형 걸림부(211)와 연결된 기둥부(212), 및 일측이 기둥부(212)와 연결되고 타측이 망과 연결되는 바닥부(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부(213)가 망(220)의 일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십자형 걸림부(211)와 기둥부(212) 및 바닥부(213)는 앞에서 설명한 구성과 도면 부호만 다를 뿐 그 구성 및 기능,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망(220)은 그물 구조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색상은 착용자의 두피의 색과 유사한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망(220)이 그물 구조의 천으로 형성될 경우에 더 용이하게 가모(240)가 다양한 방식으로 망(220)에 엮어질 수 있다. 망(220)의 형상 및 크기는 붙임머리(200)가 위치할 두상의 위치 및 탈모현상이 보이는 부위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변형 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모(240)가 망(220)에 엮어짐으로써 생모(12)를 덮도록 두상의 표면상에 위치되더라도, 망(220)이 겉으로는 두피(11)인 것처럼 보일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생모로 붙임머리를 덮거나 할 필요없이 그대로 붙임머리가 외부로 드러나더라도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다.
가모(240)는 망(220)의 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엮어질 수 있다. 망(220)에 의해 가모(240)가 부착부(2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망(22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모(240)가 접착제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부착부(210)에 결합될 수밖에 없으며, 이때 가모(240)가 부착부(210)에 결합됨으로써 가모(240)로 가르마가 자연스럽게 표현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망(220)이 구비됨으로써 가모(240)는 다양한 종류의 가르마를 표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본 고안에 따르는 부착부(210)에 의해 작은 크기의 붙임머리가 별도의 핀과 같은 부재 없이 단단하게 생모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제2 내지 제4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모(240)가 엮어진 망(220)의 다른 일 면에는 실리콘 등과 같은 다른 재질이 일부에 더 연결되어 부착부(210)가 더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망(220)은 바닥부(213)의 타 측과 접착제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213) 또는 망(220)에 접착제 도포 후 바닥부(213)와 망(220)이 서로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더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실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바닥부(213)와 망(220)을 박음질할 수도 있다.
다만, 망(220)과 부착부(210)가 연결되는 방법은 어느 한가지로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다른 일 실시예에서 망(220)과 부착부(21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십자형 걸림부(211)가 오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면 새로운 십자형 걸림부(211)가 구비된 바닥부(213)를 망(220)에 부착하여 가모(240)를 그대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즉, 십자형 걸림부(211)가 구비된 바닥부(213)를 별도 구매 및 교체할 수 있어, 가모(240)가 엮어진 망(220)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211)가 구비된 붙임머리(200)의 제조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망(220)을 재단하는 단계, 망(220)의 일면에 가모(240)를 심는 단계, 십자형 걸림부(211)가 구비된 부착부(210)를 제작하는 단계 및 부착부(210)를 망(220)의 타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부착부(210)를 망(220)의 일면에 접착하기 전에, 바닥부(213)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 참조)
지지부(230)는 바닥부(213)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및 바닥부(213)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가요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로서 힘이 가해지면 굴곡진 형상을 형성 및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230)는 바닥부(213)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230)가 부착된 바닥부(213)에 망(220)이 부착될 수 있다.
납작한 지지부(230)가 삽입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는 착용시에 두상의 굴곡에 따라 착용될 수 있어, 들뜸 현상 없이 오랜 시간 동안 붙임머리의 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납작한 지지부(230)가 철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로서, 반복된 구부림에도 끊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 중 더 상세하게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르마 및 정수리 모두를 포함하는 영역을 보완하기 위한 붙임머리(200)가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가모(240)는 자연스럽게 가르마 양 옆 및 정수리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흐트러질 수 있도록 망(220)에 심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부착부(210)는 망(220)의 테두리 측에 위치되어 망(220)의 테두리 둘레에 기 설정된 폭만큼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망(220)의 세로길이 X1은 약 7.0cm일 수 있으며, 그 가로폭 Y1은 약 3.5cm 내지 4.5cm 정도로 작게 재단될 수 있다.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망(220)의 세로길이 X1이 7.0cm보다 작고, 가로폭 Y1이 3.5cm보다 작을 경우, 부착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착력의 세기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200)를 실험용 생모 모델의 정수리에 부착하여 소정의 무게를 달아 생모에 부착된 상태로부터 탈락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또한, 망(220)의 세로 길이 X1이 7.0cm보다 크고, 가로폭 Y1이 4.5cm보다 큰 경우, 들뜸 현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200)의 망(220)은 세로길이 X1이 약 7.0cm로 그리고 그 가로폭 Y1이 약 4.5c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망(220)의 테두리 둘레에 기 설정된 폭만큼 구비되는 부착부(210)는 그 폭이 1.0cm 정도로 좁더라도 붙임머리가 착용자의 생모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부착부(210)의 폭이 1.0cm보다 작을 경우에는 부착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착력의 세기는 상기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부착부(210)의 폭은 1.0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가르마를 포함하는 영역의 머리숱을 집중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붙임머리(200)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미용적인 목적으로 생모와 다른 색의 가모가 구비된 붙임머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가모(240)는 자연스럽게 가르마 양 옆으로 흐트러질 수 있도록 망(220)에 심어질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부착부(210)는 망(220) 전체에 위치되어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망(220)의 세로길이 X2는 5.0cm 내지 7.0cm일 수 있으며, 그 가로폭 Y2는 약 1.0cm 정도로 작게 재단될 수 있다.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망(220)의 세로길이 X2이 5.0cm보다 작을 경우에는 부착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망(220)의 세로길이 X2이 7.0cm보다 큰 경우, 들뜸 현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착력의 세기는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험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망(220)은 세로길이 X2이 5.0cm 내지 7.0cm 정도로 재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착부(210)의 폭은 1.0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의 망(220)의 전체에 구비되는 부착부(210)는 그 폭이 1.0cm 정도로 형성되더라도 붙임머리가 착용자의 생모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는 가르마를 경계선으로 하는 일 측의 영역의 머리숱을 집중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붙임머리(200)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미용적인 목적으로 생모와 다른 색의 가모가 구비된 붙임머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붙임머리는 서로 다른 세로길이를 갖는 다수 개가 동시에 가르마 주변부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가모(240)는 가르마의 경계선에 형성된 생모와 같이 자연스럽게 한 방향으로 흐트러질 수 있도록 망(220)에 심어질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부착부(210)는 제3 실시예와 같이 망(220) 전체에 위치되어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망(220)의 크기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재단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는 정수리에 부착되는 용도의 붙임머리(200)로서, 정수리 영역의 머리숱을 집중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붙임머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가모(240)는 정수리에 형성된 생모와 같이 자연스럽게 방사상으로 흐트러질 수 있도록 망(220)에 심어질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망(220) 또는 부착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망(220)은 크기가 3.5cm 내지 4.5cm 정도의 지름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부착부(210)는 이와 같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원형의 망(220)의 지름이 3.5cm보다 작을 경우에는 부착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름이 4.5cm보다 큰 경우, 들뜸 현상이 증가하여 착용 상태가 미관적으로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착력의 세기는 제2 내지 4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험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의 원형의 망(220)의 지름은 3.5cm 내지 4.5c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지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착부(210)의 폭은 1.0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실시예의 망(220)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부착부(210)는 그 지름이 1.0cm 정도로 좁게 형성되더라도 붙임머리가 착용자의 생모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200)에서 망(220)과 부착부(210)는 서로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내지 제5실시예 역시 부착부(210)의 높이는 바닥부(213)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 부착부(210)가 1.8mm 내지 1.9mm의 높이로 구성될 수 있고, 바닥부(213)의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한 부착부(210)가 1.6mm 내지 1.7mm의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착부(210)의 높이를 배치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하기 위해서, 바닥부(213)의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한 기둥부(212)의 높이가 바닥부(213)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 기둥부(21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착용대상 11 : 두피
12 : 생모
100, 200 : 붙임머리 110, 211 : 십자형 걸림부
111: 갈고리부 120, 212 : 기둥부
121: 측면돌출부 130, 213 : 바닥부
131, 230 : 지지부 132: 바닥고정부
140, 240 : 가모 141: 가모고정부
210: 부착부 220 : 망
210: 두피
220: 생모

Claims (18)

  1. 생모에 걸려 고정되는 붙임머리로서,
    상기 생모가 걸리는 갈고리부를 구비하는 십자형 걸림부;
    상기 십자형 걸림부와 연결된 기둥부;
    일 측에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가모고정부; 및
    상기 가모고정부에 연결된 가모;
    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 상에서 다수 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십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의 일부가 열에 의해 녹아 내리면서 상기 네 개의 측면돌출부가 상기 십자형 걸림부의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모고정부와 탈부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바닥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모고정부는 돌출부가 형성된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이며,
    상기 바닥고정부는 상기 사출형 벨크로 테이프와 탈부착 가능한 융천 재질로 형성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및 상기 바닥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로서 힘이 가해지면 굴곡진 형상을 형성 및 유지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바닥부에 고정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모는 상기 가모고정부의 일 측에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상기 바닥부와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 중에서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의 높이보다 낮게 제공되어 상기 생모가 상기 십자형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갈고리부와 상기 바닥부의 유격이 작아져 상기 생모가 상기 갈고리부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붙임머리의 가장자리가 들뜨는 것을 예방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걸림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부착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가 1.8 mm 내지 1.9 mm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가 1.6 mm 내지 1.7 mm로 형성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1. 생모에 걸려 고정되는 붙임머리로서,
    망;
    상기 망의 일 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부착부; 및
    상기 망의 타면에 구비되어 정수리 또는 가르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가모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망의 외주 또는 전체 길이를 따라 기 설정된 폭으로 제공되며,
    상기 생모가 걸리는 갈고리부를 구비하는 십자형 걸림부;
    상기 십자형 걸림부와 연결된 기둥부; 및
    일측이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망과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 상에서 다수 개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십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면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의 일부가 열에 의해 녹아 내리면서 상기 네 개의 측면돌출부가 상기 십자형 걸림부의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 및 상기 바닥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납작한 형태로서 힘이 가해지면 굴곡진 형상을 형성 및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붙임머리가 상기 가르마의 주변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망 및 상기 부착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5.5cm 내지 6.5cm인,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붙임머리가 상기 정수리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망 및 상기 부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름이 3.5cm 내지 4.5cm인 원형으로 형성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 중에서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기둥부의 높이보다 낮게 제공되어 상기 생모가 상기 십자형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갈고리부와 상기 바닥부의 유격이 작아져 상기 생모가 상기 갈고리부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붙임머리의 가장자리가 들뜨는 것을 예방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걸림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부착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가 1.8 mm 내지 1.9mm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부착부의 높이가 1.6 mm 내지 1.7mm로 형성되는,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2020180005226U 2018-11-15 2018-11-15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201900010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26U KR20190001071U (ko) 2018-11-15 2018-11-15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26U KR20190001071U (ko) 2018-11-15 2018-11-15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516U Division KR200487950Y1 (ko) 2016-11-02 2017-10-25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71U true KR20190001071U (ko) 2019-05-07

Family

ID=6653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226U KR20190001071U (ko) 2018-11-15 2018-11-15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071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04B1 (ko) 2008-11-17 2009-03-19 강경수 붙임머리
KR20110122903A (ko) 2010-05-06 2011-11-14 황재선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04B1 (ko) 2008-11-17 2009-03-19 강경수 붙임머리
KR20110122903A (ko) 2010-05-06 2011-11-14 황재선 착용이 간편하고 머리숱이 풍성한 붙임머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856A (ko)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KR10045792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피스 및 헤어피스 셋트
US9930919B1 (en) Hair extension integration system
US20080257369A1 (en) Removable and Resuable Hair Extension
US20130306089A1 (en) Hair extension assembly and method of application
US20190281912A1 (en) Hair Extension Assembly
JP2002038323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20080055943A (ko) 증모구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125137A1 (en) Hair extension provided with cross-shaped engaging portion
JPH03213501A (ja) かつらの装着方法及び装着部材
KR20180048267A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87950Y1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20190001071U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US20040211436A1 (en) Hairstyle enhancement device
JPH09268413A (ja) 増毛装具
KR20160017825A (ko) 롤링 포니테일 가발
KR100542328B1 (ko) 벨크로 부착가발
US20150366282A1 (en) Hair extension and method
KR101396543B1 (ko)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US20080245384A1 (en) Hair extension, clasping mechanism for a hair extens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RU2720970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накладных волос в месте облысения
US11089829B2 (en) Open-top hair cap with fasteners for hair extension
KR20060097541A (ko) 붙임머리
KR200436747Y1 (ko) 붙임머리
JP2953652B2 (ja) かつ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